•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৴ଅਜ਼ଚ˒ নࢲ ࢄܶ ଚࢷ ৴ଅਜ਼ଚ˒ ˩ߣ˩˒ֹ૯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৴ଅਜ਼ଚ˒ নࢲ ࢄܶ ଚࢷ ৴ଅਜ਼ଚ˒ ˩ߣ˩˒ֹ૯"

Copied!
19
0
0

Teks penuh

(1)ZZZGVXDFNU. ৴ଅਜ਼ଚ˒ নࢲ ࢄܶ ଚࢷ ˩ߣଚࢷ. ˮٔ. ࢴː ଚࢷ. ‫ࢴ୕ݧ‬ː. ࣏߳ଚࢷ. . . . . . . ѭ‫ߣ˩ݣ‬. ̘জ˩ࡨ. ˩ߣ˩ࡨ. ࢒ࡧ۱ੑ. ˀ. ଔܶ. ۱ੑ. ˀ. ࢊ؆. . . . . . . . ˓ଝࢉऎ. . . . . . . . ৴ଅਜ਼ଚ˒ ˩ߣ˩˒ֹ૯ ࢄԺ ࠏࠄ. Ѱ‫ݦ‬ ˬߦ. ̛ট. ٔߛ. ଚܶ‫؞‬ୋ. ‫ڃ‬䙸㍌ ㉔䈑‫ڄ‬. ࢊ؆ ˬߦ. ଚࢷ. ‫ݡ‬ɻ. ଚࢷ. ‫ݡ‬ɻ. ଚࢷ. ‫ݡ‬ɻ. ଚϔ. ଚ̘. =$1. ࢉ‫۽‬ଡߦǤ. . . ೳ. ೳ. . . . . ‫ߦܕ‬. =$1. ࢉ‫۽‬ଡߦǥ. . . ೳ. ೳ. . . . . ࢕̛. =$1. ࢕̛੎ۛ. ೳ. ೳ. . . ೳ. . . ˃؈. =$1. ࢕̛ࢇଥ. ೳ. ೳ. . . ೳ. . . =&1. ࢂ‫੼ܕی‬Ǥ. . . . . . . =&1. ࢂ‫੼ܕی‬ǥ. . . . . . . . . =&1. ࠒ߭ୣ୘. . . . . . . . . =&1. ̛ট੼˃ଝ. . . . . . . ࢉ‫ח‬ଝ. . . . . . . ‫ی‬ୣ˕ଝ. . . . . . . ߯߭‫੼ܕ‬. ܹչ˕ଝ. Ẅ㡕. ˀ. ࢉ‫۽‬. ˬ࡫. Ẅ㛅. ‫ݥ‬ଲឲ‫ݞݥ‬. ˩˒ֵֹ. =((. ‫ٗࢶ׵‬ଝ‫ݡࠉ؀‬Ǥ. . . . . . . . . ܹଝ. =((. ‫ٗࢶ׵‬ଝ‫ݡࠉ؀‬ǥ. . . . . . . . . 0. =((. ۴୉оܹ. . . . . . . =((. ࢇ‫ܹۏ‬ଝ. . . . . . . =((. ࢊ؆୘ଝǤ. . . . . . . =((. ࢊ؆୘ଝ‫ݨ‬ଵǤ. . . . . =((. ࢊ؆‫י‬չଝ. . . . . . . ˓ଝ ˬ࡫ ࢉऎ ̛ট ˕ଝ 6 ˀ. ʋ ˩˒ֹ. . . . . . . . 떋ᢡꫯ 싈驫ꨳ 骿驫驫떄 늷鸣B . (2) ৴ଅਜ਼ଚ˒ ࢴː˩˒ֹ૯ ̀ࢠ ࢇܹ ܻ۰ ଚϔ ଚ̘. . . . . . . . ଚࢷ. ‫ݡ‬ɻ. ࢼࢴː ࢆࢺ. ࢄܶ ˮٔ. ਊғ. ࢄԺ. ‫ݥ‬ଲ. ۳ˀ. ࢄԺ. ‫ݥ‬ଲ. ۳ˀ. Щࢴː. ْࢴː. ࢷ۴. &66. ৷ଈਫ਼ଝʎԽ. . . . . . . ۴੔. ۴੔. ࢷ۴. &66. ଎Ի̐Ԏ‫׿‬Ϣչ‫ݡݨ؀‬. . . . . . . ۴੔. ۴੔. ࢷ۴. &66. ҡए੡ਏ੪ৌࢵ࢖Ѧ˱‫ݡݨ‬. . . . . . . ۴੔. ۴੔. ࢷ۴. &69. ߭Җ‫ج‬ঙҡ࢕ࢉ. . . . . . . ۴੔. ۴੔. ࢷଗ. &65. ˓ଝ۶˃࢏‫ח‬. . . . . . . ଗܹ. ଗܹ. ࢷ۴. &66. &. . . . . . . ۴੔. ۴੔. ࢷ۴. &66. ৷ଈਫ਼˱࣏. . . . . . . ۴੔. ۴੔. ࢷ۴. &66. ୣԻࢇԽ. . . . . . . ۴੔. ۴੔. ࢷ۴. &66. -$9$Ǥ. . . . . . . ۴੔. ۴੔. ࢷ۴. &66. ț&20. . . . . . . ۴੔. ۴੔. ࢷ۴. &66. іࢇਫ਼੼‫ݦ‬. . . . . . . ۴੔. ۴੔. ࢷ۴. &66. չϽ‫ݡݨݛ‬. . . . . . . ۴੔. ۴੔. ࢷ۴. &66. ࡋࠒ঑ࢿ. . . . . . . ۴੔. ۴੔. ࢷ۴. &66. ࢕Վ˱࣏. . . . . . . ۴੔. ۴੔. ࢷ۴. &66. -$9$ǥ. . . . . . . ۴੔. ۴੔. ࢷ۴. &66. ˓ଝ࡬չ. . . . . . . ۴੔. ۴੔. ࢷ۴. &66. ‫ܕ‬଎ઝ࡛߭˓ଝǸ. . . . . . . ۴੔. ۴੔. ࢷ۴. &66. ߊˈչऋ. . . . . . . ۴੔. ۴੔. ࢷ۴. &66. ৷ଈਫ਼όઝࡓ਺. . . . . . . ۴੔. ۴੔. ࢷଗ. &6&. ৫‫੷ݛ‬ҡ࢕ࢉǤ. . . . . . . ଗܹ. ଗܹ. ࢷ۴. &6/. . . . . . . ۴੔. ۴੔. ࢷ۴. &66. іࢇਫ਼‫ݛࢇت‬. . . . . . . ۴੔. ۴੔. ࢷ۴. &66. ࢉ˓एМ. . . . . . . ۴੔. ۴੔. ࢷ۴. &66. ࢽ‫߇ؿؿ‬. . . . . . . ۴੔. ۴੔. ࢷଗ. &6&. ৫‫੷ݛ‬ҡ࢕ࢉǥ. . . . . . . ଗܹ. ଗܹ. ࢷ۴. &6/. 6:‫ݛݤ‬੬ʎ؈‫הݨ‬. . . . . . . ۴੔. ۴੔. ࢷ۴. &6/. іࢇਫ਼‫הݨݛࢇت‬. . . . . . . ۴੔. ۴੔. ࢷ۴. &66. . . . . . . ۴੔. ۴੔. ࢷ۴. &6/. . . . . . . ۴੔. ۴੔. ࢷ۴. &66. ֻ‫ࢊ؂‬଎Ի̐Ԏ‫׿‬. . . . . . . ۴੔. ۴੔. ࢷ۴. &66. ߾οए‫ٹ‬іࢇਫ਼. . . . . . . ۴੔. ۴੔. ࢷ۴ ˀ. &66. ࢽ‫הݨ୎ؿؿ‬ ʎ ˬ˕ּ. . . . . . . ۴੔. ۴੔. ˩˒ֵֹ. ‫ݛݤ‬੬۶˃‫הݨ‬Ǹ. іࢇਫ਼ցࢇЪ ˈ̗଎Ի̐Ԏ‫הݨ׿‬. ೛ ˓ଝࢉऎ ࢇܹ࢕ ࣒߶ࡁʢ ࢷ˓˕ּ ࢷ˓ࢇܹଝࢺ ଝࢺ ࢷ˓ଗܹ ࢺ ࢷ˓۴੔ ଝࢺ ࢇۘ ࢇܹଜࠆߞ ଡ ˓ଝࢉऎ ࢇܹ ‫ ݤ‬۶˃ˬ˕ ଝࢺ ࢇۘ ࢇܹଜࠆߞ ଡ ೛ ˓ଝࢉऎ ‫ࡁ߶࣒ ࢕ܹࢇ׵‬ʢ ࢷ˓˕ּ ࢷ˓ࢇܹଝࢺ ଝࢺ ଗܹ ଝࢺ ۴੔ ଝࢺ ‫ݪ‬୘ࢷ˓ ଝࢺ ࢇۘ ࢇܹଜࠆߞ ଡ Ьࢷ˓ ࡱଢࢷ˓ ۴੔ ‫˓ࢷ ݤ‬ଗܹ ଝࢺࡶ ૦ଡଜࠆ ଝࢺ ٕࢷ˓ ‫ ݤ‬ଝࢺ ࢇۘ ࢇܹ ੉ࢷ˓ ۴੔ ‫ ݤ‬एࢽѹ ଝࢺ ٕࢷ˓ ‫ ݤ‬ଝࢺ ࢇۘ ࢇܹଜࠆߞ ଡ ࢊଝ‫ػݡ‬ଭࢿ ଎Ի̐Ԓ ࢇܹ‫ ݤ‬ɼ ૲̛ѹ ˬ˕ּࡶ ࢇܹଜࠆߞ ଡ G G G G G ̻G 䖐㐐⏈G 䑀䏬∼㐡G 㜤᷸G ẄḰ⯝㢸. B싈麳ꄳ 骿뒐驫떄 섧ꓻ. (3) 2020년도 컴퓨터학심화 학습성과 평가체계 PO1. 수학, 기초과학, 인문 소양 및 컴퓨터 정보(공)학 지식을 컴퓨팅 분야의 문제 해결에 응용 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수학, 기초과학, 인문소양 및 컴퓨터학 지식을 컴퓨팅 분야의 문제해결에 응용할 수 있다.. 수행 수준. 상. 수학, 기초과학, 인문소양 및 컴퓨터학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컴퓨터공 학적 문제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교과분야별 점수가 3점 이상이고, 성취도 점수가 8점 이상/10점 만점). 중. 수학, 기초과학, 인문소양 및 컴퓨터학에 대하여 일부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컴퓨터공학 적 문제해결에 부분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교과분야별 점수가 2점 이상이고,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만점). 하. 수학, 기초과학, 인문소양 및 컴퓨터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이를 컴퓨터공학적 문제해 결에 응용하지 못한다. (교과분야 중 하나가 2점 이하기어나, 성취도 점수 5점 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Exit Interview 수학, 과학 및 전공기초에 대한 기초지식과 응용력 ○ 평가시험 기초수학 및 기초과학에 대한 성취도 평가. ○ 평가시험. ○ Exit Interview 기초수학 및 기초과학에 대한 성취도 평가 교과 관련 교과목 분야. 채점기준 5. 4. 3. 2. 1. 85점 이상. 84-70. 69-55. 54-40. 40점 미만. 85점 이상. 84-70. 69-55. 54-40. 40점 미만. 미적분학및연습I,II 기초. 선형대수. 수학. 이산수학 확률 및 통계. 평가시험. 일반화학Ⅰ 기초 (일반화학실험Ⅰ). 채점기준 (Rubric). 과학. 대학물리학 평가시험 100점 평균점수를 5점 만점으로 환산 채점기준 매우. 평가내용. 우수 Exit interview. 학습 범위 내에서 기초과학 및 수학에 관한 질문 제시와 답변 정도. 5. 조금우 수. 보통. 4. 3. 조금미 흡. 2. 매우 미흡 1. Exit Interview 점수 5점 만점. 1/17. (4)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15%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수학 및 기초과학, 전공기초에 관련된 비교과과정 참여하도록 지도. 측정. Exit Interview: 수학,과학 및 전공기초에 관한 질문 제시와 답변 정도 평가시험: 수학, 기초과학에 대한 지식과 응용력을 각 100점 만점으로 평가.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하 개선 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2/17. (5) PO2. 이론이나 알고리즘을 수식 또는 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검증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수행 수준. 실험을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할 수 있고, 실험결과로 얻어진 자료를 올바르게 해석하 고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상.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자료를 조사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실현가능한 주제를 선정 하여 실험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만점). 중.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자료를 조사 분석을 부분적으로 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주제를 선 정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하.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자료의 조사 분석이 미흡하여, 이를 토대로한 실험계획을 수행할 수 없다.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종합프로젝트(계획서 및 최종보고서) 종합프로젝트 계획서의 체계성 및 최종보고서의 자료 분석능력 ○ Exit Interview. 채점기준 매우. 평가내용. 매우 조금우수. 보통. 조금미흡. 우수. 채점기준 (Rubric). 미흡. 프로젝트 개발동기 (배경 및 필요성). 5. 4. 3. 2. 1. 주제선정의 적절성 및 실현가능성. 5. 4. 3. 2. 1. 프로젝트 계획의 타당성. 5. 4. 3. 2. 1. 자료의 이해와 분석의 적절성. 5. 4. 3. 2. 1. 실험 계획 및 수행 수준. 5. 4. 3. 2. 1. 종합프로젝트평균점수 10점 만점으로 환산. 채점기준 매우. 평가내용. 수행한 설계 작품의 장 단점을 분석하여 설명 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 보통. 우수. 조금 우수. 5. 4. 3. 조금 미흡. 매우. 2. 1. 미흡. Exit Interview 점수 5점 만점. 3/17. (6)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실험 계획 및 실험 결과의 원인과 결과 분석 능력 함양 교육실시 2)프로젝트 중심의 프로젝트 교육실시. 측정. 1)종합프로젝트: 자료 분석능력 및 실험수행능력을 각 5점 척도로 평가 2)Exit Interview : 주어진 과제의 이해와 해석, 분석 능력 등에 대하여 평가교수와의 면접 을 통한 측정(5점 척도).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하 개선 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4/17. (7) PO3.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정의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수행 수준.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한 시스템 전체 구성도와 각 요소에 대한 프로젝트의 작성이 가능 하고 이들의 관계를 설명. 상. 제한조건을 충분히 분석하고 반영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젝트 할 수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중. 제한조건을 분석할 수는 있으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젝트에 반영이 미흡하다. (성취도 점수 5점이상 8점 미만/10점 만점). 하. 제한조건 분석과 반영이 미흡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젝트가 불가능하다.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종합프로젝트 계획서의 내용: 제한조건의 분석 최종보고서의 내용: 제한조건 반영 ○ Exit Interview 채점기준 매우. 평가내용. 매우 조금우수. 보통. 조금미흡. 우수. 채점기준 (Rubric). 미흡. 설계계획의 현실적 제한조건 고려수준 설계과정의 논리성과 타당성 모의실험 결과의 타당성. 5. 4. 3. 2. 1. 5. 4. 3. 2. 1. 5. 4. 3. 2. 1. 제한조건을 반영한 설계목표의 달성 정도. 5. 4. 3. 2. 1. 종합프로젝트평균점수 10점 만점으로 환산. 채점기준 매우. 평가내용. 수행한 설계 작품의 장 단점을 분석하여 설명 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 보통. 우수. 조금 우수. 5. 4. 3. 조금 미흡. 매우. 2. 1. 미흡. Exit Interview 점수 5점 만점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 프로젝트 계획서 및 최종보고서 작성 교육 실시 및 피드백. 2) 현실적 제한조건과 주변조건을 고려한 창의적 프로젝트 능력을 배양하도록 교육.. 측정. 1)종합프로젝트: 최종보고서의 제한조건 분석과 반영을 각 5점 척도로 평가 2)Exit Interview : 주언진 프로젝트에 대한 모델링 능력 정도를 평가 교수와의 면접을 통 해 측정(5점 척도).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하 개선 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5/17. (8) 참고자료. 6/17. (9)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 한 적절한 도구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PO4 수행준거. 수행 수준. 시스템 구성과 기능 검증에 필요한 기술, 방법, 도구를 설명. 상. 컴퓨터 정보기술 관련 유틸리티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다. (평가도구별 점수가 3점 이상이고, 성취도 점수 8점이상/10점만점). 중. 컴퓨터 정보기술 관련 유틸리티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부분적으로 다룰 수 있다. (평가도구별 점수가 2점 이상이고, 성취도 점수 5점이상 8점미만/10점만점). 하. 컴퓨터 정보기술 관련 유틸리티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루지 못한다. (평가도구 중 하나가 2점 미만이거나,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평가시험 ○ 종합프로젝트(계획서 및 최종보고서). ○ 평가시험. ○ 종합프로젝트(최종보고서) 프로젝트과정에서 실무도구의 사용능력. C언어 프로그램 능력. 채점기준. 평가분야. 5. 평가시험. 85%이상취 득. C언어 프로그래밍. 채점기준 (Rubric). 4. 3. 2. 1. 84-70%이 69-55%이 40%미만 취 54-40%이상 상 상 득. 채점기준 평가내용. 종합프로젝트 시스템 설계 및 분석을 위한 도구(S/W TOOL)들의 활용정도. (계획서 및 최 제어 프로그램 사용능력 종보고서) 주요 설계파라미터의 측정순서 및 기법의 타당성. 매우. 매우 조금우수. 보통. 조금미흡. 우수. 미흡. 5. 4. 3. 2. 1. 5. 4. 3. 2. 1. 5. 4. 3. 2. 1. 종합프로젝트평균점수 5점 만점으로 환산. 7/17. (10)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학과 홈페이지 및 게시판을 통해 컴퓨터 관련 최신 기술동향과 자격증을 소개하고 각종 자격증 취득을 지원한다. 2)프로젝트 교과목을 통해 프로젝트에 필요한 기술, 방법, 도구를 활용하는 교육을 실시한 다. 측정. 1)프로젝트: 프로젝트과정에서 실무도구 사용능력을 5점 척도로 측정 2)평가시험: C언어 프로그램 능력 5점 척도로 측정.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하 개선 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8/17. (11) 사용자 요구사항과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 할 수 있는 능력. PO5. 수행준거. 수행 수준.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한 시스템 전체 구성도와 각요소에 대한 프로젝트의 작성이 가능 하고 이들의 관계를 설명. 상. 주어진 프로젝트에 대하여 제한조건 내에 충분히 분석하고 현실적 제한 조건을 반영하여 기한 내에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중. 주어진 프로젝트에 대하여 제한조건 내에 분석은 가능하지만 기한 내 완성은 제한적이다. .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하. 주어진 프로젝트에 대하여 재한조건 내 분석이 안되고 따라서 기한 내 완성이 불투명하 다. (성취도 점수 5점 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종합프로젝트. 채점기준 평가내용. 채점기준 (Rubric). 매우 조금우 조금미 매우 보통 수 흡 우수 미흡. 설계계획의 현실적 제한조건 고려수준. 5. 4. 3. 2. 1. 설계과정의 논리성과 타당성. 5. 4. 3. 2. 1. 모의실험 결과의 타당성. 5. 4. 3. 2. 1. 제한조건을 반영한 설계목표의 달성 정도. 5. 4. 3. 2. 1. 종합프로젝트평균점수 10점 만점으로 환산.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 프로젝트 게획서 및 최종보고서 작성 교육 실시 및 피드백. 2) 현실적 제한조건과 주변조건을 고려한 창의적 프로젝트 설계 능력 배양 교육. 측정. 종합프로젝트: 최종보고서의 제한조건 분석과 번영을 각 5점 척도로 측정.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하 개선 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9/17. (12) PO6.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팀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상. 수행 수준. 중. 하.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프로젝트를 수핸하는 팀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팀원과의 협력 정도 목표 달성을 위한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팀을 이끌어가는 리더쉽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자신의 역할수행은 할 수 있지만, 팀을 위한 협동능력과 리더쉽은 부분적이다.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자신의 의사가 타인에게 전달이 잘 안되고, 프로젝트 보고서 정리와 발표도 명확하지 못하 다. (성취도 점수 5점 미만/10점 만점). ○ 종합프로젝트(팀 및 개인활동) ○ Exit Interview. 채점기준 평가내용. 매우 우수. 팀및 개인 활동. 채점기준 (Rubric). 조금우 수. 보통. 조금미 흡. 매우 미흡. 소속 팀의 목표달성도. 5. 4. 3. 2. 1. 팀원의 역할 인지도 및 활동 참여도. 5. 4. 3. 2. 1. 팀 목표달성을 위한 협동 및 기여도. 5. 4. 3. 2. 1. 종합프로젝트평균점수 10점 만점으로 환산. 채점기준 평가내용. 프로젝트 수행과정에 학생 본인이 수행한 부분에 대한 신뢰성 있는 설명의 정도. 매우 조금우 조금미 매우 보통 수 흡 우수 미흡 5. 4. 3. 2. 1. Exit Interview 점수 5점 만점. 10/17. (13)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 프로젝트(팀 활동)시 팀 목표 달성을 위한 개인의 역할분담, 의견조율 과정 등을 지도한 다. 2) 전공교과목의 실습활동을 통해 팀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 및 역할교육을 실시 한다.. 측정. 1) 종합프로젝트: 팀 활동과 개인 활동을 각각 5점 척도로 측정 2)Exit Interview : 팀원으로서 소통 대한 심층 평가 등을 각 5점 척도로 측정.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하 개선 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11/17. (14) PO7.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수행 수준. 발표 내용을 문서로 작성하고 이를 청중 앞에서 구두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상. 자신의 의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프로젝트 보고서 정리와 발표가 체계적이고 명확하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중. 프로젝트 보고서 정리는 가능하지만, 자신의 의사를 타인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제한적이 다.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하. 자신의 의사가 타인에게 전달이 잘 안되고, 프로젝트 보고서 정리와 발표도 명확하지 못 하다.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종합설계 ○ Exit Interview. 채점기준 (Rubric).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 전공교과목 실습시간에 보고서 작성 교육을 실시한다 2) 동아리 활동 및 학과의 대내외 행사에서 프레젠테니션 기법과 발표의 기술을 교육한다.. 측정. 1)종합프로젝트: 최종보고서 내용 및 프레젠테이션 발표 능력 등을 각 5점 척도로 측정 2)Exit Interview : 발표 능력에 대한 심층 평가 등을 각 5점 척도로 측정.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개선.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 하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12/17. (15) PO8. 컴퓨팅 분야의 해결방안이 안전, 경제, 사회,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 는 능력. 수행준거. 컴퓨터 분야의 기술동향을 인식하고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 다.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행 수준. 상. 기술동향을 충분히 인식하고 사회적 영향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중. 기술동향은 인식하고 있지만 사회적 영향에 대한 설명이 논리적이지 못하다.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하. 기술동향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Essay 최근 기술 동향에 대한 에세이 내용의 체계성과 논리성을 판단. 채점기준 평가내용. 매우. 보통. 5. 4. 3. 2. 1. 최근기술동향과 공학기 경제 및 산업에 미치는 술 발전이 미치는 영향 영향이해. 5. 4. 3. 2. 1.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해. 5. 4. 3. 2. 1. 우수. 채점기준 (Rubric). 목표. Close the Loop. 최근 기술동향에 대한 인 식. 조금미 흡. 매우. 조금우 수. 미흡. Essay 평균점수 10점 만점.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실행. 1) 초청강연을 통하여 기술동향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 고취 2) 비교과과정 활동 지도(교내 학술행사(세미나 등). 측정. Essay: 최근기술동향과 공학기술 발전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에 대하여 초청강연 참석 등 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술하게 한다.(5점척도).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개선.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 하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13/17. (16) PO9. 컴퓨터정보(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수행 수준. 전문직업인이 가져야 할 도덕적 책임과 윤리의식을 지켜나가고 공익을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상. 직업 윤리적 책임의식이 강하고, 공익을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중. 직업 윤리적 책임의식은 있으나, 공익을 위한 선택이 가능성은 낮다. (성취도 점수 5점 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하. 직업 윤리적 책임의식이 희박하고, 공익을 위한 선택이 가능성은 낮다.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 만점).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 Essay ○ 비교과과정. 채점기준 에세이 평가내용. 매우. 보통. 5. 4. 3. 2. 1. 5. 4. 3. 2. 1. 5. 4. 3. 2. 1. 우수 컴퓨터 기술자로서의 자 부심 컴퓨터학 전공자로서 시 컴퓨터학 전공자로서의 회에 기여하는 정도 직업 대한 의식 컴퓨터학 전공자로서 기 술 발달이 사회 및 환경 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 조금미 흡. 매우. 조금우 수. 미흡. Essay 평균점수 5점으로 환산 채점기준 (Rubric) 채점기준 비교과 평가내용 직업적 책임에 대한 인 지적재산권 보호의 필 식수준 요성 또는 엔지니어로 윤리적 책임에 대한 인 서 직업적 책임과 윤 식수준 리 의견서술의 논리성. 매우 조금우 조금미 매우 보통 수 흡 우수 미흡 5. 4. 3. 2. 1. 5. 4. 3. 2. 1. 5. 4. 3. 2. 1. 마일리지 실적 참조. 14/17. (17) 목표. 실행.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70% 이상이 중이 되도록 한다. 1) 초청강연을 통하여 공학윤리의식 고취 2) 전공관련 학술행사 참여지도 3) 봉사활동 및 취업 프로그램 참여지도. 측정. 1) Essay: - 지적재산권 보호의 필요성 또는 컴퓨터 전문가로서의 직업적 책임과 윤리에 대하여 논 술하게 한다.(5점 척도) 2)비교과과정 : 비교과과정 활동 실적에 따라 평가(마일리지 실적 반영).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개선.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 하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15/17. (18) PO10.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 습할 수 있는 능력. 수행준거. 전문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할 책임과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전공분야를 탐구 할 수 있다.. 상. 수행 수준. 중. 하. 평가도구 및 평가방법. 자기 주도적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전공분야의 기술적 변화에 깊은 관심을 가 지고 있다. (성취도 점수 8점 이상/10점 만점). 자기 주도적 학습의 중요성을 알고는 있으나, 전공분야의 기술적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능력은 다소 부족하다. (성취도 점수 5점이상 8점미만/10점 만점) 자기주도적 학습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전곤분야의 기술적 동향에 대하여 잘 모른다. (성취도 점수 5점미만/10점 만점). ○ Exit Interview ○ 비교과과정(전공분야 탐구). 성취도 매우. Exit Interview 내용 엔진니어로서 전공분야의 변화하는 기술 동 향에 지식의 정도. 보통. 우수. 조금 우수. 5. 4. 3. 조금 미흡. 매우. 2. 1. 미흡. Exit Interview 점수 5점 만점 채점기준 채점기준 (Rubric). 매우 조금우 조금미 매우 보통 수 흡 우수 미흡. 비교과 평가내용 전문인으로서 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지적재산권 보호의 필 윤리적 책임에 대한 인 요성 또는 엔지니어로 식수준 서 기술변화에 대한 전공분야의 변화하는 반응 정도 기술 동향에 대한 인식. 5. 4. 3. 2. 1. 5. 4. 3. 2. 1. 5. 4. 3. 2. 1. 마일리지 실적 참조. 16/17. (19) 목표. Close the Loop. 졸업예정자의 30% 이상이 상, 30%미만이 하 등급이 되도록 한다.. 실행. 1) 비교과과정 활동 독려 2) 월 1권 이상의 전공 분야 독서권장. 측정. 1)Exit Interview :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있는 전공분야 기술동향 등을 중심으로 평가 교수가 심층 면접을 통해 평가.(5점척도) 2) 비교과과정 : 비교과활동 실적에 따라 평가 (마일리지 실적 반영). 평가. 지도교수 및 위원회: 지도학생 지도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피드백. 공개 개선. 매년 실시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CQI에 활용하고, 최근 3년간의 학습성과 평가를 분석 하여 학습성과 평가 루브릭 및 달성 목표를 개선한다.. 참고자료. 17/17. (2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