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中山의 基督敎에 대한 認識
-
孫中山全集
의 내용을 중심으로-盧 在 軾 (湖西大)
Ⅰ. 머리말
Ⅱ. 세례 이후 손중산의 기독교 신앙
Ⅲ.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1. 진보적인 종교
2. 사회풍속과 民智를 깨우치는데 3. 정치의 부족함을 보충一助
Ⅳ.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1. 정치의 영향을 종교의 영향보다 더 높게 인식 2. 내정간섭에 대한 비판
Ⅴ. 손중산 기독교 신앙의 특징 1. 종교의 형식을 중시하지
않음
2. 기독교의 救世사상과 혁명 사상의 연결
Ⅵ. 결론
Ⅰ. 머리말
손중산은 1866년 11월 12일 廣東省 香山縣에서 출생하였다. 부친 孫 達成과 모친 楊太는 근실한 농부였고 12살 많은 형 孫眉는 하와이의 화교자본가였다. 손중산이 13세 되던 해인 1879년 어머니와 함께 형 孫眉가 있는 하와이로 건너갔다. 하와이에서 손중산은 아이로니(Iolani School) 학교에 입학하여 1882년까지 3년 동안 공부를 하였다. 손중산 은 이곳에서 서양 학문을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기독교에 대한 이해도 가지게 되었다. 영국 성공회에서 설립한 이 학교에서 성경과목을 배웠
(Espiscopal Bisop) 특별히 손중산에게 관심을 가지고 그와 자주 같이 식사를 하고 친히 성경을 강의해 주었다고 한다.1) 이는 손중산이 학업 에서 성실하고 성적이 우수했던 요인도 있고 그가 열심히 종교 활동에 참가했던 원인도 있을 것이다.2) 이 학교를 졸업 후 손중산은 다시 오 하우(Oahu College)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였다. 하와이에서 받은 서 양의 교육과 문화는 손중산의 사상에 큰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그 후 손중산은 1883년 홍콩에서 세례를 받고 기독교를 정식으로 받 아들인 이후 1925년 사망 시까지 40여 년 동안 줄곧 기독교 신앙을 유 지하였다. 기독교 신앙은 손중산의 일생동안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손중산과 더불어 民國시기 중요한 인물인 장개석과 기독교의 관계 를 논한 연구에서는 다소 정치적 해석에 치우치고 있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3) 손중산과 기독교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적지 않은데 장개석과 기독교의 관계를 논한 것처럼 손중산이 혁명의 수단으로 기독교를 이 용하였다는 정치적 해석이 강한 점이 느껴진다.4) 즉 손중산이 기독교
1) 廣東省社會科學院歷史硏究室,中國社會科學院近代史硏究所中華民國史硏究室, 中 山大學歷史系孫中山硏究室 合編, 復瞿理斯函 (孫中山全集 第1卷, 北京: 中 華書局, 1981; 이하孫中山全集 第〇卷으로 약칭), p.47.
2) 舒波, 孫中山與基督敎 (民國檔案 1997年 1期), p.70.
3) 장개석과 기독교의 관계를 논한 연구에서 장개석이 영국과 미국 등 제국주의 세력에 접근하기 위하여 친미파인 송씨 가문과 혼인관계를 맺으려고 했고 그 방편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張慶軍, 蔣介石與基督敎 ( 民國檔案 1997年 1期) 참조. 한편 배경한, 蔣介石과 기독교 (중국근현대사 연구 41집)에서는 최근 공개된 장개석일기를 토대로 장개석이 어떻게 기독교 를 받아들였고 기독교가 그의 내면세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새 롭게 연구하고 있다.
4) 손중산과 기독교에 관한 연구로는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孫中山硏究論 叢 第5集, 1987): 周興樑, 孫中山與西方基督敎 (文史哲 1995年 6期); 舒波, 孫中山與基督敎 (民國檔案 1997年 1期); 朱宇, 論孫中山的宗敎觀 (江蘇 敎育學院學報 1999年 4期); 郭秀文, 略論洪秀全孫中山與基督敎關係之異同 (學術交流 1999年 4期); 王敬平, 辛亥革命時期基督敎會在中國的發展與孫中 山的宗敎政策 (蕉作工學原學報(社科版) 2001年 9月); 候杰, 孫中山硏究之新
교리중에서 救國혁명에 유리한 정신을 취하여 反淸혁명과 민주공화정 의 필요성을 고취하는데 사용하였다고 보고 있다. 그리하여 진화론 사 상을 받아들인 후에 기독교에 대해 의구심을 가졌지만 기독교의 도덕 적인 측면을 이용하여 정치상의 부족한 점을 보충할 수 있다고 여기어 서 기독교 신앙을 계속 유지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 연구에서는 손중산의 사상이 기독교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주의 사상에서 나온 것으로 신중국의 건설과 중국식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기초가 되 었다고 보기도 한다.5) 비록 손중산이 자신의 구국혁명을 위해서 기독 교를 이용하였다고 하더라도 신앙이라는 것이 개인 내면세계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을 적에 단순히 정치적인 목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약간의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 및 그의 기독교 신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손중산의 기독교 신앙과 그의 혁명사상과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자 한다.6)
Ⅱ. 세례 이후 손중산의 기독교 신앙
하와이에서 3년 동안 공부하는 동안 손중산은 서양의 학문과 사상 을 접하면서 견문과 시야가 넓어지게 되었다. 후에 손중산은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進展 -“孫中山與中華民族崛起”國際學術硏討會提要 (近代史硏究 2005年 5 期); 薄建娜, 孫中山畢生信奉基督敎的原因探析 (五邑大學學報(社科版) 2007 年 4期); 郝平, 孫中山革命與美國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0), pp.35-57; 김 학관, 손중산과 근대중국 (파주: 집문당, 2004), pp.27-46 등이 있다.
5)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 p.21.
6) 본문에서는 주로 孫中山全集에 실린 손중산의 기독교와 관련된 문장들을 통 해 그의 기독교 신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었다. 하와이에서 西學을 배운 것은 고향에서 배운 것보다 훨씬 많았다.
틈이 나면 중국 학생들과 조국의 현실에 대해 비통해 하며 조국을 변화 시킬 것에 대해 얘기를 나누었다. 조국과 동포들을 구제해야 하는 願望이 이로부터 생겨났다. 당시 마음에 품은 것은 우리 국민들이 고난을 免하고 행복을 향유하기를 바라는 것이었다.7)
이로 보건대 손중산은 하와이에서 공부를 하였을 적에 이미 救國의 의지를 가지고 있었음을 느낄 수 있다.
1883년 하와이에서 고향에 귀국한 손중산은 迷信과 우상숭배는 중 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큰 장애라 여기고 同鄕인 陸皓東과 함께 동네에 있는 목상 등을 파괴하였는데 이 일로 마을사람들과 紳士들의 질책을 받아 고향에서 쫓겨나 홍콩으로 가게 되었다.8)
홍콩에서 영국성공회 소속의 학교(Dioceson Home)에서 2개월 정도 수학한 후 다시 홍콩서원(Queen’s College)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손중산은 홍콩에서 미국공리회 소속의 헤거(C. R. Hager) 목 사에게 세례를 받고 정식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는 세례명부에 “孫日 新”으로 이름을 올렸다. 당시 그는 “기독교의 道를 나는 깊이 신뢰한 다”라고 밝히고 있다.9) 후에도 손중산은 자신이 기독교를 받아들였을 때에 “간절히 예수의 도를 사모하였다”라고 회상하였다.10) 또한 그는 세례 후 종교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11)
1884년 손중산은 헤거목사와 고향에 가서 전도를 하였다. 손중산의
7) 在廣州岭南學堂的演說 (孫中山全集 第2卷, 北京: 中華書局, 1981), p.35 8)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北京: 中華書局, 1981), p.10.
9)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3에서 재인용. 손중산이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된 배경에는 그 부친이 기독교도였던 것도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손중산은 그 의 부친이 기독교에 귀의하였고 런던선교회에 소속이 되어서 일을 하기도 하 였다고 말하였다. 또한 이를 계기로 廣州에 있는 영국, 미국 선교사들과 접촉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고 그들에게서 영어도 배울 수 있었다고 회고하고 있 다. 孫中山全集 第1卷, p.547.
10) 復瞿理斯函 (孫中山全集 第1卷), p.47.
11)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3.
형 손미가 상황을 알고 손중산에게 학비를 끊는 방법으로 기독교를 포 기하라고 하였지만 손중산은 동요되지 않았다.12)
1885년 홍콩으로 다시 돌아간 손중산은 더 많은 敎友들을 사귀게 되 었다. 손중산의 교우로는 陸晧東외에도 鄭士良, 徐兼, 宋躍如13)와 영국 인 칸트 박사 부부 등이 있었다. 1891년에는 ‘敎友少年會’에 참가하였 고 6월에는 상해 廣學會의 잡지인
中西敎會報
에 敎友少年會記事 라 는 글을 발표하였다. 이 문장에서 손중산은 도덕을 중시하고 생활에 신중할 것과 부패와 타락을 경고하는 내용을 말하고 있다.14) 손중산과 자주 교류하였던 헤거목사는 손중산의 초기 기독교 신앙에 대해 다음 과 같이 말하고 있다.손중산 선생은 당시 저명한 목사나 선교사와 같은 수준이었다. 그의 신앙에 대한 열심과 열정은 많은 이들을 기독교로 귀의하게 만들었다.15)
훗날 손중산이 1896년 런던에서 체포되어 구금되었을 때의 상황을 한 교회人士에게 말한 편지에는 이렇게 쓰고 있다.
감옥에 있을 때 생사의 희망이 없어 보였고 오직 神에게 간절히 기도 하는 것 밖에 없었다. (중략) 내가 풀려날 수 있었던 것은 모두가 天父의 큰 은혜였다.16)
12)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4. 큰 형 孫眉가 손중산을 특별히 여비를 주어 서 하와이로 불렀다. 그것은 손중산이 세례를 받은 소식을 듣고 그의 신앙을 포기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손중산은 이미 굳은 의지를 가지고 있었 기 때문에 오히려 두 형제 사이의 사이만 멀어지게 되었다. 孫眉는 화가 나서 원래 손중산에게 주기로 한 재산의 소유권도 취소하였다. 손중산은 하와이를 떠나게 되었고 孫眉는 후에 손중산에게 질책을 한 것을 후회하고 손중산의 학 업에 사용하라고 돈을 보내주었다. 周興樑, 孫中山與西方基督敎 , p.75.
13) 宋躍如는 상해에서 성경 인쇄공장을 설립하였고 손중산의 혁명관련 인쇄물을 무상으로 발행해 주었다.
14) 陳旭鹿 主編, 敎友少年會紀事 (孫中山集外集,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2; 이하 孫中山集外集으로 약칭), p.597; 김학관, 손중산과 근대중국, p.37.
15)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4.
이로 보건대 손중산은 세례를 받은 이후 일정기간 동안 신실한 기 독교 신앙을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치 헤거 목사가 “만약에 당 시 홍콩이나 광주에 체계적인 神學院과 자금을 조달해 주는 이가 있었 더라면 손중산 선생은 일찍이 유명한 성직자나 선교사가 되었을 것이 다”라고 말한 것처럼 손중산의 초기 신앙의 열정은 컸다고 볼 수 있 다.17)
Ⅲ.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손중산은 세례를 받은 후 歐美지역을 자주 왕래하였고 적지 않은 기독교인들과 교류를 하였다. 기독교 사상은 손중산에게 적지 않은 영 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손중산이 기독교 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한 것은 크게 세 가지 방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진보적인 종교
오래 동안 손중산과 교류하고 그의 傳記를 기록한 손중산의 미국인 친구 린베거(Linebarger, Paul Myron)는
孫逸仙傳記
에서 이렇게 기 술하고 있다.손중산은 기독교의 문화와 중국문화를 비교하여 말하기를 중국에는 기 독교와 같은 진보된 종교가 없다. 기독교는 근대문화와 더불어 발전했지 만 중국의 유교, 불교, 도교는 2000여 년 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였다.18)
16) 致區鳳墀函 (孫中山全集 第1卷), p.45.
17) Charles R. Hager, “Dr. Sun Yat-Sen: Some Personal Reminiscenes” (The Missionary Herald, Boston, 1912), p.382;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 p.6에서 재인용.
손중산은 기독교와 중국 전통 사상인 유교와 전통 종교인 도교 및 외래 종교인 불교에 대해서 비교를 하였다. 기독교는 근대문화와 같이 전진하였지만 유, 불, 도교는 2000여 년 전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고 보고 있다. 또한 기독교는 서양 근대 자본주의 발달에 호응하여 진 보하는 종교였지만 반면 중국인이 장기적으로 신봉한 유교, 불교, 도교 는 사회발전에 저해되었다고 여기고 있다.19)
물론 이러한 인식이 다소 주관적이고 편향적이기는 하지만 손중산 이 기독교가 서양 근대 국가 발전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음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엿 볼 수 있다.
1912년 손중산은 프랑스 교회 학교 환영연설상에서 다음과 같이 지 적하였다.
세계상의 종교는 매우 많다. 야만적인 종교도 있고 문명적인 종교도 있다. 우리 중국에는 우상숭배가 만연해 있고 이단세력이 흥성해 있다.
지금 다행히 서양의 선교사들이 중국에 와서 우리 국민들을 각성시켰다.
국민들이 종교의 힘을 가지고 정치의 미치지 못하는 부분을 보충해주기 를 바라는 바이다.20)
또한 손중산은 당시 중국에 기독교가 발전하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12년 3월, 손중산이 칸트부인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렇게 말 하고 있다.
당신이 나를 위해 기도해 준 것에 대해서 감사하게 생각한다. ··· 우 리들은 현재 중국의 종교자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하에서 기독교는 반드시 번성할 것이다.21)
18) (美) 林百克 (Linebarger, Paul Myron) 著, 徐植仁 譯, 孫逸仙傳記 (上海:
上海三民公司, 1925), p.75 19) 郝平, 孫中山革命與美國, p.51.
20) 宗敎與政治 (孫中山全集 第2卷, 北京: 中華書局, 1982), p.568.
21) 復康德黎夫人函 (孫中山全集 第2卷), p.231.
한편 중화민국 임시약법 제5조에는 “중화민국의 인민은 평등하며 종 족, 계급과 종교에 다른 차별이 없다”라고 하고 있고 임시약법 제2조 7항에는 “인민은 신앙의 자유가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었다.22) 손중산 은 이를 기초로 廣州의 한 연설현장에서 종교 신앙의 자유에 대해 말 하고 있다.
과거 淸 왕조에서는 신앙의 자유를 가지지 못하고 자립적으로 선교를 하지 못하였다. 단지 조약의 보호를 따를 뿐이었다. 지금은 신앙의 자유 가 있다.23)
위의 내용에서 보면 중화민국의 모든 종교는 평등하고 국민들은 신 앙의 자유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로 보건대 손중산은 세계상의 종교는 많지만 미신과 맹목적인 신앙은 배척을 하고 바른 종교신앙을 견지하여서 종교와 정치력이 서로 보완하여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하였 던 것이다.
2. 사회풍속과 民智를 깨우치는데 도움
손중산은 중국에 온 선교사들이 근대 서양 문명을 전파하는데 일조 하였음을 인정하였고 중국인들의 理性을 깨우치는데 공헌하였음을 긍 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우리가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 異族정부를 물리친 원인을 생각해보면 대부분이 서양의 지식과 사상을 받아 民智가 날로 개선된 연유이다. 그런 데 이러한 지식과 사상은 서양 선교사들로부터 전수받은 것이 많다. 이것 은 나 혼자의 감상이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감사하고 느끼는 바이다.24)
22) 中華民國約法 (孫中山全集 第2卷), p.220.
23) 在廣州耶穌敎聯合歡迎會的演說 (孫中山全集 第2卷), p.361.
24) 在法敎堂歡迎會的演說 (孫中山全集 第2卷), p.568.
무릇 기독교가 중국에 전파되어서 중국의 風氣를 개발시키고 백성들의 지각을 깨우쳤다. 우리민족이 이민족의 압제에서 벗어난 것은 마치 모세 가 애굽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해방시킨 것과 같다.25)
손중산은 기독교가 중국에 민주혁명사상을 전파하는데 도움을 주었 고 기독교도들이 구국혁명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인 정하였다. 중화민국 성립 이후인 1912년 9월, 손중산은 북경 기독교 환 영회 연설상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내가 수년 전에 혁명을 제창하고 시종일관 견지하며 분주하게 달려왔 다. 이 혁명의 道理는 대부분이 교회에서 온 것이었다. 지금 중화민국의 건립은 나의 힘이 아니라 교회의 힘이었다.26)
1922년 한 연설상에서도 "나는 혁명의 정신이 기독교도들로부터 온 것이 많음을 믿고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27)
이처럼 손중산은 기독교가 근대 중국사회에 서양의 사상과 학문을 전파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더 나아가 혁명사상을 전파하고 고취하는데 영향을 주었음을 인정하고 있다.
3. 정치의 부족함을 보충
신앙은 사람의 도덕적 기능을 수양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손중산은 생각하였고 기독교 교리중 여러 가르침은 중국인들의 도덕적 능력을 수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여기었다. 일찍이 손중산은 홍콩에서
"敎友少年會"를 결성하고 敎友少年會紀事 라는 문장을 작성하여 교우 들에게 聖道를 행할 것을 주장하였다.28)
중화민국 성립 후 손중산은 서로 다른 연설회상에서 기독교를 통하 25) 勉中國基督敎靑年 (孫中山全集 第11卷, 北京: 中華書局, 1986), p.537.
26) 在北京基督敎等六敎會歡迎會的演說 (孫中山全集 第2卷), pp.446-447.
27) 就反基督敎運動事發表談話 (孫中山集外集), p.266.
28) 敎友少年會紀事 (孫中山集外集), p.597.
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1912년 4월 손중산은 福州의 교회환영식상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서양인들이 선교를 할 적에 특별히 도덕관념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 지금 중화민국이 막 성립되었는데 국민들은 특별히 도덕관념에 주 의를 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의 기초가 확고해 질 것이다.29) 또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종교와 정치는 連帶의 관계에 있어서 종교는 정치가 미치지 못하는 부 분을 보충해 준다. 대개 종교는 도덕보다 우위에 있다. 종교로서 정치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民國이 견고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30)
민주공화체제를 재건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한 기독교의 도덕적 수 양을 통한 종교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손중산은 명확하게 政敎분리의 원칙을 주장하였다. 그는 우 선 정교분리를 실행해야 하는 원칙을 설명하고 있다.
정교분리의 원칙은 근대 문명국가들의 公例이다. 정교분리는 宣敎자나 信敎자들이 모두 자유를 얻어 정치적으로 분쟁을 적게 할 뿐 아니라 교 회의 眞美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정교분리를 해야 하는 이유를 지적하고 있다.
지나치게 국가 권력에 의지해서 선교를 하거나 敎勢를 넓히려 하면 교 도들을 모으기 어렵고 반대하는 자들이 생겨나게 된다. 이것은 국가나 종 교에 모두 이익이 안 된다.31)
29) 在福州耶穌敎會歡迎會上的演說 (孫中山集外集), p.55.
30) 在北京基督敎等六敎會歡迎會的演說 (孫中山全集 第2卷), p.447.
31) 復高翼聖衛亞傑函 (孫中山全集 第2卷), p.66.
또한 “근세 각국의 정교분리 정책은 매우 엄격하여 교도들의 정치 간여를 일체 금지하였다. 이러한 미풍은 본받을 만하다.”라고 말하고 있다.32)
손중산은 宣敎者나 信敎者나 모두 자유를 가져야 되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 국가내정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는 晩淸시기 청조 의 잘못된 종교정책과 그로 인한 서양열강과 청조간의 분쟁이 발생한 것을 통탄하면서 권력에 의지해서 선교를 하거나 교세를 확장하려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동시에 손중산은 기독교도들의 의무를 강조하고 있다.
기독교도들은 마땅히 기독교의 교리를 發揚하여 국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치와 종교가 서로 完善한 목적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33)
또한 손중산은 기독교 정신의 자유, 평등, 박애정신을 혁명의 목표와 부합시켜서 추구하고자 하였다. 1906년 작성된 中國同盟會革命方略 에는 자유, 평등, 박애정신을 혁명정부의 宗旨로 삼고 있다.34)
Ⅳ.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1. 정치의 영향을 종교의 영향보다 더 높게 인식
손중산은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논할 적에 비록 종교가 정치의 부 족한 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고 여겼지만 종교의 역량을 정치를 보좌 하는 역할로 인식하였다.
단순히 종교신앙에 의지해서는 인류사회를 유지할 수 없고 경쟁력을 32) 復佛敎會函 (孫中山集外集), p.350.
33) 在廣州耶穌敎聯合歡迎會的演說 (孫中山全集 第2卷), p.361.
34) 中國同盟會革命方略 (孫中山全集 第1卷), p.296.
력을 가질 수 있다.35)
또한 종교의 힘은 한계가 있고 근본적으로는 혁명만이 문제를 해결 해 준다고 보고 있다.
단지 종교의 힘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慈善의 일도 완전하지 않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없 다.36)
타인의 행복을 도모하는 것은 종교의 박애정신과 자선사업으로 차츰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종교의 능력과 자선사업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는 부득불 혁명을 실행할 수 밖에 없다.37)
1923년 廣州에서 국민당원들에 대한 연설문에서 종교는 일종의 허 구성이 강한 반면 정치는 강력한 현실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 다.
우리 국민당 혁명의 道는 중국의 정치를 개혁하고 삼민주의를 실행하 는 것이다. 종교는 영혼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인데 이러한 영혼의 일은 사실 虛에 가깝다. 반면 우리 黨의 道는 종교보다도 더 확실한 증거가 있 다. 종교는 虛에 가까운 道를 선전하여도 일찍이 무한한 성과를 보였는데 우리 黨은 증거가 있는 道를 선전하고 있으니 어찌 성공하지 않겠는 가?38)
손중산은 기독교 신앙의 종교적 힘으로써는 당시 중국의 정치현실 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고 단지 혁명을 실행함으로써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중국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여긴 것이다.
35) 孫中山選集(下) (北京: 人民出版社, 1986), p.667.
36) 三民主義, 民權主義 (孫中山全集 第9卷, 北京: 中華書局, 1986), p.298.
37) 上同.
38) 在廣州對國民黨員的演說 (孫中山全集 第8卷, 北京: 中華書局, 1986), p.568.
2. 내정간섭에 대한 비판
손중산은 서양 국가들과 일부 선교사들의 중국에 대한 침략행위와 내정간섭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근대 시기 소위 기독교 국가인 서양 국가들이 중국을 침략하고 일부 선교사들이 중국 침략의 선봉적인 역 할을 담당한 것에 대해서 지적을 하고 있다,
소위 기독교국가라고 자칭하는 국가들이 중국을 압제하고 식민지화하 려한 형태는 역사상 기독교도들이 소위 聖戰이라 칭하면서 서로 살육을 행한 것과 다를 것이 없다.39)
외국 선교사중 일부는 그 범위를 넘어서서 중국 내정에 간섭을 하였 다.40)
晩年에 그는 교회가 제국주의 열강의 조정을 받는 것에 대해서 인 식을 하고서 제국주의의 간섭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41) 그 리하여 교회세력의 정치간여를 방지하기 위해서 손중산은 政敎분리정 책을 주장하였다.42) 그리고 “이러한 일은 기독교도들의 임무일 뿐 아 니라 종교직에 종사하는 자들이 마땅히 책임져야 할 일이다”라고 말하 고 있다.43)
1922년 非기독교운동이 발생하였을 적에 손중산은 비록 전면적으로 기독교를 부정하는 관점에는 반대하였지만 중국 교회도 개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어떻게 교회를 변화시키고 自主를 추구하며 제국 주의의 침략을 벗어나는가 하는 것은 敎友들의 책임이다”라고 지적하 고 있다.44)
39) 孫中山耶敎觀之追記 , 申報1925年 3月 28日.
40) 復高翼聖衛亞傑函 ,孫中山全集第2卷, p.66.
41) 上同.
42) 손중산의 정교분리에 관한 주장은 앞 장의 내용을 참조.
43) 就反基督敎運動事發表談話 ,孫中山集外集,p.266.
지식을 배우게 되었고 진화론을 받아들이면서 神의 존재에 대해서도 차츰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손중산은 성경 중 일부 이론에 대해서 의구심을 가졌는데 그 중 하나가 진화론으로 인한 신앙에 대한 회의감 이었다.
손중산은 진화론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창조론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게 되었다. 우주의 형성은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의 결과이 지 神이 창조한 것이 아니라고 보게 되었다. 그는 “세계만물은 모두 진화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무릇 진화는 자연의 이치이다”45)라고 말하면서 인간의 原形도 동물에서 진화되었다고 여기고 있다. 46)
Ⅴ. 손중산 기독교 신앙의 특징
이상으로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손중산의 기독교 신앙은 어떠한 특징을 가 지고 있는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1. 종교의 형식을 중시하지 않음
손중산은 기독교를 받아들인 초기 비교적 경건한 신앙을 유지하였 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反淸 혁명의 길을 걸은 이후 기독교에 대한 신 앙이 다소 약화되었고 신앙의 방식도 변화되었다. 즉 기독교의 기본정 신은 중시하였지만 예배나 종교의식 같은 형식은 그다지 중시하지 않 았다. 교회에 거의 출석을 하지 않았고 가끔 교회에 참석하였다 하더
44) 上同.
45) 建國方略 (孫中山全集 第6卷, 北京: 中華書局, 1985), p.194.
46) 在廣州全國靑年聯合會的演說 (孫中山全集 第8卷), p.316.
라도 혁명을 선전하기 위해서 참석한 것이었다.47) 동맹회 회원이었던 張永福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손중산 선생은 國事가 바빠서 평소 외부에 나가 있을 적이 많았고 교 회를 출석한 적이 거의 없었다. 기독교의 주요 기념일인 성탄절에도 마찬 가지였다.48)
오랫동안 손중산을 수행했던 馮自由는 “내가 선생과 일본과 歐美지 역을 오래 다녔지만 교회에서 혁명에 관한 연설을 하러 간 것 이외에 는 교회에 가는 것을 거의 보지 못했다”49)라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손중산은 왜 이러한 신앙방식을 취하였던 것일까?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 그는 이렇게 해석을 하고 있다.
나는 처음에 홍콩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그 후 20여 년 동안 국가 의 일이 분주하여서 교회에 잘 참석하지를 못하였다. 50)
또한 “나는 혁명가로서 기독교도들에게 불편을 줄 까봐 두려워서 심 적으로만 기독교를 신봉하였다”51)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혁명활동을 하는 본인이 교회에 출석함으로서 교회에 불이익을 끼칠까봐 교회활동 에는 참석하지 않고 단지 심중으로만 믿고 있다고 말한 것이다.
이로 보건대 손중산은 혁명가로서 구국혁명의 일에 종사하면서 종 교의식 참여에는 소홀하게 되었고 혁명활동이 교회에 피해를 끼칠 것 이 우려되었던 것이다.
손중산은 기독교에 대해 신봉하는 태도는 보였지만 맹목적으로 숭 배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손중산에게 있어서 기독교는 治道에
47)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2.
48) 尙明軒 主編, 孫中山生平事業追憶錄 (北京: 人民出版社, 1986), p.822에서 재 인용.
49)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2.
50) 補錄孫中山在香港敎會演說略 (民生日報 1922年 6月 22日).
51) 孫中山殯儀記祥 (申報 1925年 3月 25日).
청조의 봉건통치를 몰아내고 민주공화정을 건립하고 중화민족을 부흥 하는 道를 가리킨다고 하겠다.53)
그러나 주목할 점은 손중산이 종교의식 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해서 그가 기독교 신앙을 완전히 부정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 다. 손중산은 기독교 신앙을 버리지 않았고 기독교인임을 자처하였다.
손중산이 스스로 “나의 기독교에 대한 믿음은 과학을 연구하게 되면서 점차 희박해졌다. 의학을 배우게 되면서 기독교의 불합리성을 느끼게 되었고 진화론에 마음이 많이 기울게 되었다. 하지만 완전히 기독교를 포기하지는 않았다”54)라고 말한 것처럼 비록 기독교에 대해서 의구심 을 가지게 되었지만 기독교 신앙을 계속 고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헤 거 목사는 손중산이 계속적으로 신앙을 유지한 기독교인이었다고 말하 고 있다.55)
손중산 자신도 임종전에 병상에서 “나는 기독교도였다. 神이 나를 중국에 보내어서 죄악과 싸우게 하였다”56)라고 말하고 있다.
2. 기독교의 救世사상과 혁명사상의 연결
손중산은 어려서는 중국 유가 전통 교육을 받았지만 하와이와 홍콩 등지에서 교육을 받으며 서양의 자본주의 문화와 사상을 접하게 되었 다. 1923년 1월, 손중산은 그의 혁명사상의 기원을 논할 적에 “내가 혁 명을 추구한 것은 우리의 고유한 사상에 기인한 것도 있고 서양의 학 설에서 온 것도 있다”57) 라고 말하고 있다.
52) 復瞿理斯函 (孫中山全集 第1卷), p.46.
53)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p.8.
54) (日)宮崎滔天, 孫逸仙傳 (舒波, 孫中山與基督敎 , p.71에서 재인용).
55) 馮自由, 革命逸史 第2集, p.16.
56) Lyon Sharman, Sun Yat-sen, His Life and It's Meaning (New York, 1934), p.310(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 p.8에서 재인용).
57) 中國革命史, 革命之主義 , (孫中山全集 第7卷, 北京: 中華書局, 1985), p.60.
서양의 자본주의 문화와 사상을 존중하였지만 중국의 전통사상 또 한 배척하거나 부정하지 않았다. 기독교 사상은 그가 영향을 받은 여 러 사상중의 하나인 것이다.58) 기독교의 교리 중 손중산에게 끼친 주 요한 영향은 救世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손중산은 예수를 세상의 부조리와 싸우는 혁명가로 보았고 단순한 숭배의 대상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임종전에 병상에서 “나는 기독교 도였다. 神이 나를 중국에 보내어서 죄악과 싸우게 하였다. 예수는 혁 명가였고 나 또한 마찬가지였다”59)라고 말하였다.
손중산은 기독교교리와 혁명사상을 결합시켰고 기독교의 구세사상 은 그의 反淸혁명과 민주혁명 사상의 주요한 사상적 動因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60)
1924년 중국기독청년회 25주년 행사에서 손중산은 勉中國基督敎靑 年 이라는 글을 발표하여 중국 기독청년들에게 구약의 모세가 이스라 엘인들을 애굽에서 해방시키고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인들을 가나안 땅 으로 인도한 것처럼 그리고 예수가 세상을 구원한 것처럼 곤경에 빠져 있는 중국국민들을 해방시켜 민주공화정을 이루는 목적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면하였다.61)
그리고 임종전에 유언으로 “나는 기독교도로서 上帝의 명을 받고 40 여 년간 마귀들과 투쟁하였다. 나는 죽지만 여러분들은 계속 투쟁하고 上帝를 의지하기를 바란다”라고 말하고 있다.62)
그는 예수를 세상을 구하는 혁명자로 여기고 자신도 마귀와 투쟁하 는 혁명자로 자처하였던 것이다. “나는 예수를 믿는 혁명가로서 일체
58)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 p.22.
59) Lyon Sharman, Sun Yat-sen, His Life and It's Meaning (New York, 1934),p.310.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 p.8 에서 재인용.
60) 陳建明, 孫中山與基督敎 , p.20.
61) 勉中國基督敎靑年 (孫中山全集 第11卷), p.537.
62) 一個基督徒的遺嘱 . 이 문장은 舒波, 孫中山佚文兩篇 (民國檔案 1996年 4期), p.7에 수록되어 있는데 1925년 3월 11일 손중산이 유언으로 남긴 글로 기록되어 있다.
앙의 목적은 구국혁명을 통해서 백성들을 구제하고자 함이었다.
정리하면 손중산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인 기독교도 입장 에서 기독교를 바라 본 것이 아니라 혁명자의 입장에서 기독교를 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 성직자나 선교사들과 같이 단순히 선을 행 하고 聖道를 지킬 것을 권하는 신앙이 아닌 그리고 來世의 행복을 추 구하는 신앙이 아닌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救國을 하려는 혁명가의 입 장에서 기독교를 이해하였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이상으로 손중산이 세례를 받고 난 후 기독교 신앙의 모습과 기독 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부정적 인식 및 그의 기독교 신앙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손중산은 기독교가 근대 문명과 사상 발전에 끼친 작용과 영향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일부 교회세력과 선교사들이 서 구 열강의 선봉자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중국의 군사적 침략을 도와주 고 내정간섭을 한 것에 대해서는 비판과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그리고 기독교가 근대중국 사회에 민주혁명사상을 전파하고 民智를 개 발시킨 공헌과 도덕적 수양으로 정치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 고 여기었다. 하지만 종교로서는 현실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혁명으로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었다.
손중산이 홍콩에서 세례를 받고 처음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일정기 간은 경건한 신자였다. 하지만 구국혁명의 길을 가게 된 후 그의 신앙 에는 변화가 생겨났다. 즉 內心으로는 신앙을 유지하였지만 종교의식 에는 거의 참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그의 혁명사업이 교회와 63) 孫中山耶敎觀之追記 (申報 1925年 3月 28日).
교회人士들에게 피해를 끼칠 까봐 예배와 같은 종교의식에는 출석을 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손중산은 일생을 구국혁명과 민주공화정 을 건립하기 위해 분주하였기 때문에 순수한 종교활동에 관심을 가지 고 참여할 말한 여유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손중산은 기독교의 박애, 평등사상 등으로 중국 국민들을 敎化시키 고 이러한 종교적 기능을 이용하여 중국의 정치적 안정과 화합을 도모 하고자 하였다. 즉 기독교 교리중에서 사회발전을 돕는 적극적인 요소 를 가지고서 중국의 발전을 추진하는 수단으로 삼고자 함이었다.
孫中山全集
에 나타난 손중산의 기독교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관 한 문장들에서 그의 개인적 구원과 인격적 수양의 모습보다는 중국민 족을 개선시키고 중국을 정치적으로 발전시키려는 의지가 많이 보인 다. 이렇게 본다면 손중산이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기독교 신앙을 유지 한 궁극적인 목적이 자신의 혁명사업에 유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정치 적인 목적이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신앙은 개인 내면세계의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하였을 적에 단순히 정치적인 목적으로 단 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물론 정치지도자로서 그리고 혁명가로서 손중산이 그의 혁명 사업 중 기독교인으로서 신앙의 영향이 어떻게 나타났는지의 문제는 쉽게 단정지을 수 없는 복잡한 문제일 것이고 향후 더 고려해야 할 과제라 고 본다. 64)
손중산이 晩年에 “나는 예수를 믿는 혁명가로서 일체의 불평등을 제 거하려 했다”라고 말한 것처럼 손중산이 비록 기독교를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다고 하더라도 그의 중화민족에 대한 애정과 중국의 발전을 위한 열망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64) 배경한, 장개석과 기독교 , p.110에서 “정치가로서의 장개석의 행동 속에 기 독교도로서의 신앙과 수양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었던가라는 문제 는 대답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임에는 틀림없지만, 사실 그리 간단하게 설명 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라고 지적하고 있는데 손중산의 경우도 비슷 하다고 생각된다.
孙中山的基督教信仰的特点
-以
孙中山全集
内容为中心-卢在轼
孙中山是一位基督徒. 他自1883年在香港受洗加入基督教起, 到1925年病 死于北京止, 40多年一直是基督徒. 在长期的革命生涯中, 孙中山始终与基 督教保持一定的关系. 本论文主要考察孙中山在青年时期的基督教信仰及 他对基督教的肯定认识
、
否定认识, 同时提到他的基督教信仰的特点.1883年孙中山正式入教后, 他的基督教信仰坚定, 并热心参加宗教活动.
此后, 他在长时间生活在基督教文化圈内的一些欧美国家, 与不少基督教徒 交往. 因此, 基督教对孙中山产生了一定的积极影响. 同时, 孙中山也基督 教表示某种肯定认识与论说, 主要以下几个方面.
一
、
孙中山将基督教视为文明进步的宗教, 提倡在中国大力发展基督教.二
、
孙中山肯定基督教在中国传播了革命思想.三
、
孙中山认为传教士的活动开了中国的社会风气和民智.四
、
孙中山觉得基督教的精神能补政治之不足.同时, 他对基督教有否定的认识. 这主要是两个方面. 一是他关于宗教与 政治的关系时, 把政治放在宗教之高位置. 并且不视把宗教改革方面的作 用. 他认为单靠宗教力量解决不了现实的问题, 非实行革命不可. 另外一个 是, 他指出某些教会势力和传教士干涉中国内政.
孙中山正式走向革命道路以后, 他一般不参加宗教仪式活动. 需要注意的 是, 不能因为孙中山没有参加宗教礼仪活动, 而说他不再信仰基督教. 他内 心一直保持基督教信仰.
孙中山的基督教信仰不是站在一般教徒的立场上看待基督教的, 而是站 在革命政治家的立场上看待基督教的. 孙中山信仰基督教的最终目的, 是把 基督教教义中对推动社会发展有积极意义的部分, 具备为推翻清王朝统治 的武器.
总之, 孙中山对基督教有肯定和否定的态度. 他对其作为文明进步宗教在 文化思想规范方面所发生的积极影响与作用, 给于重视和肯定, 而对某些教 会势力与传教士充当列强进行的侵略活动, 则持批判与否定态度. 他指出基 督教及其教徒在为近代中国传播民主革命思想
、
开创社会风气与民智和改 良国民道德人格等方面, 起过一定作用. 同时又认为基督教的力量有限, 没 有过高评价它在政治斗争中的作用.주제어: 손중산, 기독교신앙, 구국혁명, 정교분리 關鍵詞: 孫中山, 基督敎信仰, 救國革命, 政敎分離
Keywords: Sun Yat-sen, Christianity faith, Save the nation revolution,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원고접수: 2012년 7월 1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9일, 수정원고 접수:
8월 19일, 게재 확정: 8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