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滿洲事變 以後 南京國民政府 職業外交官의 부상에 대한 硏究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滿洲事變 以後 南京國民政府 職業外交官의 부상에 대한 硏究"

Copied!
26
0
0

Teks penuh

(1)

滿洲事變 以後 南京國民政府 職業外交官의 부상에 대한 硏究

石 美 子 (高麗大)

Ⅰ. 서 론

Ⅱ. 북양정부 시기 직업 외교관의 형성

Ⅲ.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의 외교부 조직과 직업 외교관의 충원

Ⅳ. 직업 외교관 출신 외교부장의 부상과 역할

Ⅴ. 결 론

Ⅰ. 서 론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는 국내의 불안정과 군사력의 약세를 이유 로 들어 일본군의 침략을 국제연맹에 제소해 외교적으로 대응하기로 결정하였다. 당시 남경정부는 만주사변을 국제연맹에 제소해 외교적인 해결 수단을 모색하면서 국제연맹 및 서구 열강에 대한 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처리하도록 외교부장과 차장, 아주사 司長, 국제사 사장 등 외교부의 주요한 직책에 직업 외교관을 임명했으며, 국제연맹 중국 대 표단과 중요한 서구 국가의 공사에도 모두 이들을 파견하였다. 그리고 직업 외교관인 스자오지(施肇基)와 구웨이쥔(顧維鈞), 뤄원간(羅文幹)을 외교부장에 연이어 임명하였다.

직업 외교관은 국내외에서 일본군의 중국 침략 중지와 철수를 위해 최대한의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며, 국제연맹 및 서구 열강에 대한 외교 정책 결정 중심 기구였던 만주사변 시기 특별외교위원회와 상해

(2)

사변 시기 외교위원회에 참여해 대책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일 본군이 침략을 확대함에 따라 점차 항전을 주장하였다. 이때 직업 외 교관은 북양정부에 이어 남경정부에서도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 는 계기를 맞이했는데, 본고는 이 시기 직업 외교관의 활동과 역량이 강화되고, 이들도 국내외에서 적극적, 능동적으로 관련 업무를 수행하 면서 항전 입장을 표시하는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만주사변의 발발로 인해 왕정팅(王正廷)이 1928년 6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어 진행한 관세자주권의 회복과 영사재판권의 회수 등 대외관계 에서 혁명외교가 중지되었다. 이로써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의 대외 관계는 주로 일본군의 침략을 중지시키고 중국을 구원하기 위해 국제 연맹에 대한 외교 정책을 전개하는 데에 집중되었다.

당시 남경정부는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시기별로 각각 다른 대일본 정책을 전개했으며, 그것은 제남사건 시기 북벌 우선 정책, 만주사변 시기 부저항주의 방침, 상해사변과 장성항전 시기 저항하며 동시에 교 섭하는 정책, 화북사변 시기 일본과 국교 조정 및 타협 정책으로 구분 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남경정부는 국내의 불안정과 군사력의 약세로 인해 각 시기별로 다른 대응책을 전개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국제연맹 및 서구 열강에 대한 외교·선전 정책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남경정부는 장성항전 시기 당고정전협정(塘沽停戰協定, 1933 년 5월 31일)을 비밀리에 서둘러 체결하고부터는 제한적인 항전과 동 시에 교섭하는 대응책에서 대일본 타협 정책으로 변경했으며, 이제까 지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선전 정책도 기술 합작 정책으로 바꾸었다.

아울러 뤄원간에 이어 왕징웨이(汪精衛) 행정원장을 외교부장에 임명 하였다. 왕징웨이와 다음의 장췬(張群) 외교부장은 이전부터 일본과의 타협 정책을 주장해 왔다.

이는 남경정부가 만주사변 시기 일본군의 침략을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선전 정책으로 대응하던 방침에서 대일본 타협 정책으로 변경한 점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당고정전협정 이후 남경정 부는 대일본 타협 정책으로 변경하면서 외교부장 등도 정부의 대책을

(3)

지지하고 잘 실행해 줄 수 있는 인물로 바꾸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면서 본고는 이 시기 직업 외교관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업무 수행 태도 및 활동과 항전 입장에 대해 고찰해 그 부상 과 의미를 검토하겠다. 먼저 본고는 북양정부 시기 직업 외교관이 형 성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 외교부의 조직과 직 업 외교관의 충원 및 부상에 대해 검토하겠다. 특히 만주사변 발발 이 후 남경정부가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국제연맹 및 서구 열강에 대한 외교적인 해결 수단을 모색하면서 서구 열강에 선전해 일본을 압박하 고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직업 외교관 출신 외교부장을 연 이어 임명하면서 이들의 영향력이 강화된 점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북양정부 시기 외교부의 제도 정비와 직업 외 교관의 형성에 주목하여 검토하고, 남경정부 시기, 특히 만주사변 이후 직업 외교관의 동향에 대해서는 거의 고찰하고 있지 않다. 반노 마사 타카(坂野正高)는 프랑스로 유학한 마젠충(馬建忠)이 1878년 그의 친구 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유럽의 국제관계와 외교의 역사적 변천을 서술 하면서 근대 사회의 외교 사절은 전문가로서 재능을 가진 자가 선발되 어 장기간 양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한 점에 대해 외교관의 선발과 육성 에 대한 선구적, 획기적인 견해라고 언급하였다.1)

왕리청(王立誠)은 1901년 외무부가 성립된 후부터 외교 제도가 점차 정비되었고, 新政 시기 과거제도가 폐지된 후 1906년 9월에는 외교관 선발에 관한 법이 제정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제도가 정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2) 천티챵(陳體强)도 청말 외무부의 조직 개편이 불철저했으나, 북양정부 시기 외교부의 개혁은 서양, 특히 프랑스의 제 도를 채택해 기구가 비교적 합리적으로 정비되었다고 지적하였다. 그 리고 이때 제도의 개혁이 남경정부의 외교부에 이어지며 그 토대가 되 1) 坂野正高,中國近代化と馬建忠(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5), p.89.

2) 王立誠,中國近代外交制度史(甘肅人民出版社, 1991), pp.218, 194-206.

(4)

어 주의해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3) 카와시마 신(川島眞) 도 중국에서 근대적인 직업 외교관이 청말에 태동되어 북양정부 시기 에 구체적으로 형성되고, 국민정부에 계승되어 외교 관료 집단으로서 직능적인 성격을 보였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4)

이와 같이 기존의 연구는 주로 북양정부 시기의 직업 외교관의 형 성에 주목하여 검토했고,5) 중일전쟁 시기에 외교관과 외교 제도에 대 한 연구가 몇 편 나와 있는 정도이다.6) 그리고 특정 시기에 구웨이쥔 외교부장7), 뤄원간 외교부장8) 등 주요한 인물의 견해를 살펴보는 정 도에 그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시기 남경정부의 국제연맹에 대 한 외교 정책을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 직업 외교관의 활동 및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대해 조명하고 있는 연구가 거의 없어, 본고는 이러 한 기존의 연구로는 이 시기 남경정부의 대일본 정책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했던 직업 외교관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은 미비 3) 陳體强,中國外交行政(重慶: 商務印書館, 1943), pp.50-51.

4) 川島眞,中國近代外交の形成(東京: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p.113.

5) 북양정부 시기 외교 제도와 직업 외교관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王立誠, 앞의 책, p.207. 여기에서는 남경정부 시기에 외교 제도와 직업 외교관에 대해 개략적으로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 岳謙厚, 近代外交失敗與民國職業外交家 勃興 (山西師大學報第27卷 第3期, 2000年 7月), pp.97-98; 石源華, 論留美 歸國學人與民國職業外交家群體 (復旦學報2007-4), p.32; 川島眞,中國近代 外交の形成(東京: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p.136; 岡本隆司 川島眞,中國 近代外交の胎動(東京: 東京大學出版會, 2009), p.181.

6) 陳雁,抗日戰爭時期中國外交制度硏究(上海復旦大學出版社, 2002), p.343; 洪 嵐,南京國民政府的國聯外交(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0), pp.58-119.

7) 岳謙厚,顧維鈞與抗日外交(石家庄: 河北人民出版社, 1998), p.227; 張瑋 岳謙 厚, 三十年代顧維鈞國聯外交考察 (山西師大學報第30卷 第1期, 2003年 1 月), p.115; 李雲漢, 顧維鈞與九一八事變之中日交涉 (中國國民黨中央黨史委員 會,國民政府處理九一八事變之重要文獻, 臺北: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委 員會, 1992), p.651.; 金光耀, 顧維鈞與華盛頓會議 (歷史硏究第5期, 1997), p.20; 服部龍二, 顧維鈞とブリュツセル會議 (中央大學人文科學硏究所,中華 民國の模索と苦境 1928-1949, 東京: 中央大學出版部, 2010), pp.157-181.

8) 張皓, 1932-1933年羅文幹出長外交與國民政府對日政策 (抗日戰爭硏究2000 -3), pp.34-56.

(5)

할 것이라고 본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만주사변 시기에 대해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고, 당고정전협정 이후 에 남경정부의 대일본 정책이 소극적인 항전과 교섭을 병행하는 방침 에서 타협 정책으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그것과 연계해 외교부장의 임명에도 변경이 있음에 주목했다. 그리하여 본고는 만주사변 이후 직 업 외교관의 부상 및 역할과 그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자료는 대만 국사관과 中國第二歷史檔案館에서 외교부 당안 등 외 교 관련 자료를 모아 출간한

中華民國史外交志(初稿)

革命文獻

第38輯,

抗戰前國家建設史料—外交方面

革命文獻 第72輯,

中華民國 史檔案資料滙編

第五輯 第一編 外交(一), 그리고

國民政府處理九一八 事變之重要文獻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필자가 직접 중국과 대만으 로 가서 외교부 당안 자료를 찾기도 했지만, 이 시기 외교와 관련된 자료가 적어서 한계가 있음을 언급해두고자 한다.

Ⅱ. 북양정부 시기 직업외교관의 형성

본장에서는 청말 총리아문 및 외무부에 이어 북양정부 시기 외교부 가 전문화, 근대화라는 방침의 개혁을 실행하여 전문적인 외교 인재의 육성뿐만 아니라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직업 외교관이 형성되기 시작한 점에 대해 살펴보겠다. 그리고 북양정부는 주로 시험 과 심사 제도를 통해 직업 외교관을 선발, 육성했는데, 제도의 정비와 직업 외교관의 선발 양상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고찰하겠다.

아편전쟁 이후 淸朝는 대외관계에 관한 업무가 중요해지면서 전담 기구인 총리아문(1861년, 總理各國通商事務衙門)을 설립했으며, 1901년 신축조약 체결 이후에는 총리아문을 외무부로 개편해 행정부의 산하

(6)

기구로 6部 중에 첫 번째에 두면서 점차 그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외 무부는 총리아문의 위원제를 수장제인 총리사무대신(會辦大臣, 좌우시 랑)으로 개정했으며, 司廳을 부속 기구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청말 시 기 총리아문과 외무부는 제도와 운영 면에서 여전히 낙후되어 인재의 선발 및 육성에 관한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북양정부 시기 류정샹(陸徵祥, 1871-1949) 초대 외교총장은 외교부 를 전문화, 근대화시키기 위해 조직의 개편과 외교관의 선발 및 육성 에 주력하였다. 그는 외교부에 주로 국제법 및 국제관계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유창하게 외국어를 구사하며 외국 공사로서 실무적인 경력이 있는 인물들을 충원하였다. 일찍이 그는 베이징 동문관 출신으 로 청말 駐러시아 공사관에서 번역, 參贊의 직무를 수행했으며, 네덜란 드 공사, 러시아 공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 사하면서 근대 외교에 관한 지식을 갖춘 초기 직업 외교관이었다.

외교총장에 부임하기 以前, 그는 위안스카이(袁世凱)에게 요구 조건 을 제시하여 승낙을 받았다. 그 내용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옌 후이칭(顔惠慶)을 외교부 차장에 임명하고, 부서 내의 인사 및 업무를 실행할 때 외부의 간섭을 받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특히 그는 전문적 인 외교 인재의 선발과 육성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여 다음과 같이 3 원칙을 결정하였다.

1) 외교 인원은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2) 채용 기준은 省의 경계를 타 파하고, 외국어에 능숙해야 한다. 3) 외교부 내외의 인사 추천은 이 원칙 에 적합하지 않으면 접수하지 않는다.9)

또한 1915년 외교관영사관고시령에 의해 외교관 선발 시험은 4개의 장으로 나뉘어 시행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 시험과목: 국문과 외국어, 제2 시험과목: 헌법, 국제공법, 국제사법, 9)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中華民國史外交志(初稿)(臺北: 國史館,

2002), pp.227-228.

(7)

외교법, 제3 시험과목: 행정법규, 형법, 민법, 상법, 형사소송법, 민사소송 법, 정치학, 경제학, 재정학, 상업사 등 10개의 과목 중 4개 과목의 선택, 제4 시험과목: 약장성안(約章成案), 외교사건, 초의문독(草擬文牘)10)

위와 같이 직업 외교관은 시험에 합격하거나 외국 유학으로 외국어 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고, 정치, 경제, 법률, 국제관계 등 외교와 관 련된 지식을 갖추었으며, 외국 공관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인물들 중에서 선발되었다. 그들은 채용된 후에도 외교 부서와 해외 공관에서 대외관계에 관한 직무를 수행하면서 외국어와 관련 전문 지식을 계속 수학하였다. 또한 외교관은 외교부와 재외 공관의 직원으로 세분할 수 있고, 特任, 簡任, 荐任, 委任의 4종류의 등급으로 구분되었다. 류정샹 은 주외국 공관 직원들도 앞에서 제시한 3원칙을 적용해 외교부에서 파견하였다. 이는 청말 시기 出使大臣이 대부분 직업 외교관이 아닌 인물들로 총리아문이나 외무부의 제한을 받지 않은 것에 비하여11) 획 기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북양정부 시기 점차 외교관 시험 제도가 정비되면서 외 교관은 주로 시험과 심사 제도를 통해 합격한 인물들 중에서 임명되었 다. 북양정부는 ‘외교관영사관임용잠행장정(外交官領事館任用暫行章程, 1912년 11월 27일)’, ‘외교관영사관관제(外交官領事官官制, 1914년 12 월)’, ‘외교관영사관자격심사규칙(外交官領事館資格審査規則, 1915년 9 월 30일)’, ‘외교관영사관고시령(外交官領事館考試令, 1915년 9월)’을 차 례로 공포하여 외교관의 선출 기준을 정하였다. 이 시기 외교관영사관 시험은 1915년 제1회, 1919년 제2회가 실시되었다. 당시 외교부는 청말 외무부의 직원들 중 일부 고위 만주족 관료를 제외하고는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유지시켰고, 시험과 심사를 통한 선발 기준이 정해 지면서 점차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법률과 경제, 국제관계 등을 학습한 전문가들로 충원하였다.12)

10)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앞의 책, pp.237-238.

11)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앞의 책, p.226.

12) 川島眞, 앞의 책, pp.124-127.

(8)

1920년대 초, 직업 외교관은 이미 외교부 총장, 차장, 司長, 참사, 과 장, 공사 등으로 외교부의 중요한 직무를 거의 모두 담당했고, 그로 인 해 ‘외교파(外交系)’라고 불리기도 하였다.13) 특히 북양정부는 1919년 국제연맹의 창립 헌장을 제정할 때 구웨이쥔을 대표로 파견해 적극적 으로 참가하여 국제연맹 제1차 대회에서 이사회 비상임 회원국으로 선 출되었다. 이 시기 직업 외교관은 국제연맹 회의와 파리강화회의, 워싱 턴 회의 등 각종 국제회의에서 중국 대표로 권익을 주장하여 일부 성 과를 거두었고, 유창한 외국어 실력과 국제법 등 관련 전문 지식으로 인해 열강에 새로운 인식을 주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以前에 북양정부의 외교는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매국 외교라고까지 말해졌지만, 근래 국제주의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불평등 조약의 폐지와 국제적인 지위의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14) 즉, 북양정부는 외교의 제도 및 운영과 인물 면에서 근대화를 위한 개혁을 실시해 직업 외교관을 육성했고, 이들이 국제연맹 등 대 외관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남경정부의 외교부로 이어지는 토대 를 마련하였다.

Ⅲ.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의 외교부 조직과 직업 외교관의 충원

남경정부는 만주사변 이후 일본군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연 맹에 제소·선전하는 외교적인 대책을 중요하게 모색하면서 북양정부 시기부터 대외관계 업무를 수행한 직업 외교관들을 많이 충원하였다.

이로 인해 직업 외교관은 전술한 것처럼 북양정부 시기 외교부의 전문 화, 근대화의 개혁에 의해 외교 인재로 선발, 육성되며 형성되어 국제 13)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앞의 책, p.243.

14) 唐啓華,北京政府與國際聯盟(臺北: 東大圖書公司, 1998), pp.2-6.

(9)

연맹 및 국제회의에 참가해 중국의 국제적인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 데에 이어 만주사변 시기부터 남경정부에서도 다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활동하는 계기를 맞이하였다. 본장에서는 만주사변 시기 남경정부 외교부의 조직과 외교관의 양성 제도, 그리고 직업 외교관의 충원에 대해 간략하게 고찰하겠다.

전술한 것처럼 북양정부 시기 류정샹 외교총장은 외교부의 근대화 와 전문화, 제도화에 중점을 두고 개혁을 실행했으며, 프랑스의 제도를 참작하여 ‘외교부조직장정’을 규정하였다. 1912년 10월 8일 발표된 외 교부의 조직은 총장 1인, 차장 1인, 參事 2-4인, 비서 4인, 司長 5인, 僉事 8인 이하(司마다 각각)로 구성되었고, 일상적인 업무를 주로 外政 司, 通商司, 交際司, 庶政司로 구성된 4개 司에서 담당하였다. 류정샹 은 외정사의 업무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해서 國界, 자문, 조약, 禁令 의 4科로 세분하여 부속 기구를 설립하였다.15) 1920년대에 외교부는 조약사(1921년)와 정보국(1927년)을 증설하면서 조직을 더욱 확대·개편 하였다. 이와 같이 북양정부 외교부는 淸末 총리아문과 외무부를 계승 하여 체계적으로 개혁되면서 이를 토대로 하여 남경정부의 외교부가 형성되는 근간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6)

그러면 만주사변 시기 남경정부의 외교부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남경정부 초기 외교부는 외교부장과 차장, 司, 비서처, 참사실 등으로 구분되었고, 주로 司를 확대하면서 여러 차례 개편되었다. 1928년 2월 22일, 외교부는 司를 세계 각 지역에 따라서 총무처와 제1사, 제2사, 제3사로 구분, 조정하였다. 第1司는 통상, 국적과 같은 국제적인 범위 의 사무를 담당했고, 第2司는 아시아 각 국과 소련에 관한 업무를 처 리했으며, 第3司는 서구 각국의 사무를 맡았다.17)

그리고 1928년 7월, 외교부는 정보처를 정보사로 확대하면서 정보 수집과 대외 선전을 담당시켰고, 제1사를 국제사로, 제2사를 亞洲司로, 15) 劉達人, 謝孟圜,中華民國外交行政史略(臺北: 國史館, 2000), pp.53-54.

16)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앞의 책, p.225.

17) 陳體强, 앞의 책, p.55.

(10)

제3사를 歐美司로 개편하면서 총무처를 총무사로 확대하였다. 이는 청 말 외무부와 북양정부 시기 외교부가 직무의 성질에 따라 부속 기구를 구분하던 것에 비하여 지역과 국가를 기준으로 부서를 세분했다는 것 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 외교부 조직의 확대, 개편을 거쳐서, 남경정부 는 1928년 12월 8일 제1차 ‘외교부 조직법’을 발표하였다. 그중에 중요 한 조문은 다음과 같다.

외교부 조직법(1928년 12월 8일 남경정부 공포) 제4조 외교부는 총무사, 국제사, 亞洲司, 歐美司, 정보사의 각 司를 둔다.

제8조 국제사는 여러 국가와 관련된 다음의 사항을 관장한다.

1) 통상, 교섭 사항

2) 영사관 직무 및 관할 구역 사항 3) 무역 및 해외 경제 조사와 공포 사항 4) 재외 본국 교민 및 유학에 대한 보호 사항 5) 국적 문제 교섭 사항

6) 외국인의 국경 출입 사항 7) 국제공약 사항

8) 국제 공회, 박람회 및 기타 사항

제9조 亞洲司는 아시아 각 국가 및 소련에 관한 다음의 사항을 관장한다.

1) 정치 교섭 사항 2) 군사에 관한 외교 사항

3) 거류 외국인의 보호 및 규제 사항 4) 재정 차관 및 철로에 관한 외교 사항 5) 조례의 정립 및 해석 사항

제10조 歐美司는 구미 및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각 국가에 관한 제9 조의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사항을 관장한다.

제12조 외교부 부장은 본부 사무의 감독, 소속 직원 및 각 기관을 종합, 관리한다.

제13조 외교부 정무 차장, 상무 차장은 부장의 업무 처리를 보조한다.18) 위와 같이 제1차 외교부 조직법은 부서의 세분화와 직무의 분배, 소 속 인원 등을 구분하여 비교적 체계적으로 규정되었다. 구체적인 사무 18) 中國第二歷史檔案館,中華民國史檔案資料滙編第五輯 第一編 外交(一) (江

蘇古籍出版社, 1994), pp.1-3.

(11)

를 주로 담당하는 司는 총무사, 국제사, 亞洲司, 구미사, 정보사의 다섯 개의 부서로 구분되었고, 아주사가 아시아 각 국가와의 대외관계를, 구 미사가 서구 열강과의 대외관계에 관련된 사항을 처리하였다. 이후 외 교부 조직법은 제9차(1992년 1월 22일)에 걸쳐서 개정되었지만, 그것은 글자의 수정, 司와 같은 부속 기구의 확대, 직원 수의 증가 정도였다.

이는 외교부가 1928년 12월 8일 제1차 외교부 조직법의 제정으로 인해 거의 체계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직 체계 하에서 남경정부도 북양정부와 마찬가지로 시 험과 심사를 주요한 기준으로 삼아 외교관을 임용하였다. 남경정부는 1928년 7월 ‘외교부주외공관직원고시간장(外交部駐外使領館職員考試簡 章)’을 임시로 발표했으며, 1929년 1월 16일에는 ‘외교관영사관임용잠행 조례(外交官領事館任用暫行條例)’와 ‘외교관영사관자격심사위원회잠행 규칙(外交官領事館資格審査委員會暫行規則)’을 공포하여 시행하였다.

그 중 중요한 조문은 다음과 같다.

외교관영사관임용잠행조례(外交官領事官任用暫行條例) 제2조 외교관, 영사관은 외교관영사관 시험에 합격한 인원들 중에서 선발

하여 임용한다.

제3조 시험 제도가 아직 확립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갖추고 외 교관영사관자격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서 합격된 자 중에서 외교관, 영사관으로 임용해야 한다.

1) 현재 외교부 荐任 이상의 직 혹은 고급 위임직

2) 현재 공사관 수행원 이상의 직, 영사관 수습 영사 이상의 직 혹은 공관 주사로 이미 3년 이상인 자

3) 이전 외교부를 포함해서 이미 외교부에서 荐任 이상의 직 혹은 고급 위임 직에서 3년 이상인 자

4) 공사관 수행원 이상의 직 혹은 영사관 수습 영사 이상의 직에서 3년 이상인 자19)

외교관영사관자격심사위원회잠행규칙

제3조 외교관, 영사관의 임용은 대사 및 공사와 시험에 합격해 임용되는 자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외교관영사관임용잠행 조례에 의거하여 자격 19) 南京國民政府外交部,外交部公報第1卷 第9號 (1929年 1月), pp.2-3.

(12)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야 한다.

제6조 심사해야 하는 인원은 다음의 제1항을 갖추고 제2항 혹은 제3항 중의 하나를 갖추어야 합격하는 것으로 한다.

1) 1개국 이상의 외국어에 능통해야 한다.

2) 외교 사무를 잘 처리하여 성적이 현저해야 한다.

3) 외교 직무를 장기간 수행하여 자격이 있어야 한다.20)

이러한 규정 하에 외교부는 1929년 2월 제1회 외교관영사관 시험을 실시했고, 시험 합격자들 중에서 외교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외교관 영사관자격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직원으로 임명하였다. 그리고 1929년 1월에는 ‘공관학습원잠행장정(使領館學習員暫行章程)’을, 1930년 7월에는 ‘외교부공관임용인원훈련반간장(外交部使領館任用人員訓練班 簡章)’을 공포하여 시행하였다. 여기에 의거해 임용한 이후에도 외교부 는 공사관 수행원, 영사, 수습 영사 이하의 직원을 3개월 동안 훈련시 켰으며, 심사회가 합격한 인원을 외교부장에게 보고하여 등록하고 해 외 기구로 파견하였다.21)

이와 같이 남경정부는 시험과 심사의 과정을 거쳐 외교관을 임용했 으며, 전술한 것처럼 자격 조건으로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과 관련 사무를 잘 처리하거나 근무 성적이 우수할 것을 중요한 요인으로 요구하였다. 그리고 외교부는 직원으로 임명한 이후에도 일정한 기간 동안 외국 공관으로 파견하여 업무를 수행하면서 외국어와 국제법 등 대외관계에 관련된 지식을 더욱 학습하도록 제도를 규정하였다.

한편 남경정부는 시험과 심사 제도를 통해 합격한 인물들 중에서 외교관을 임명했지만, 대외 교섭 사무가 증가하고 중일전쟁 등 국가의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외교관 임용 규정의 제한을 두지 않고 류 원다오(劉文島), 쟝팅푸(蔣廷黻), 후스(胡適) 등 사회적으로 저명한 인 물들을 임용하기도 하였다.22) 만주사변 발발 이전 이제까지 열강과 체 20) 南京國民政府外交部, 앞의 책, pp.1-2.

21) 劉達人 謝孟圜, 앞의 책, p.80.

22)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앞의 책, pp.275-276; 王立誠, 앞의 책, p.297.

(13)

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인해 손상을 입은 중국의 권익을 회복하기 위해 혁명 외교를 진행한 왕정팅 외교부장도 직업 외교관이 아니었다.

그러나 만주사변 시기 남경정부는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 정책으로 일본군을 압박해 철수시키려는 대책을 모색하면서 외교부에 이를 수행 해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외교관들을 많이 충원했는데, 이는 이 시기 외교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당시 남경정부는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선 전 정책을 강화하면서 외교부장과 차장, 국제사장, 아주사장, 구미사장 등 외교부의 주요한 직책에 직업 외교관을 충원했으며, 이외에도 국제 연맹 중국 대표를 모두 직업 외교관으로 파견하였다.

아래의 (표 1)은 만주사변 시기 주요한 서구 열강의 중국 공사들이 대부분 직업 외교관이었음을 보여주고 있고, (표 2)는 만주사변과 상해 사변, 장성항전 시기 각각의 국제연맹 중국 대표가 모두 직업 외교관 으로 파견되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만주사변 시기 스자오지는 영국 공 사이면서 국제연맹 중국 대표였고, 장성항전 시기 구웨이쥔과 궈타이 치(郭泰祺)도 각각 프랑스와 영국 공사이면서 국제연맹 중국 대표였다.

당고정전협정(1933년 5월 31일)을 체결한 이후에도 남경정부는 국제연 맹 및 서구 열강에 대한 외교․선전 정책을 계속 실행했으며, 직업 외 교관들을 중국 대표로 임명해 관련 직무를 수행하도록 유지시켰다.

특히 만주사변과 상해사변, 장성항전 시기 외교부장은 왕정팅에서 스자오지, 구웨이쥔, 뤄원간으로 이어지는 직업 외교관 출신의 인물들 이 차례로 임명되었다. 천유런(陳友人)은 한 달 정도밖에 성립되지 않 았던 쑨커(孫科) 정부 시기 외교부장으로서 여기에서는 논하지 않겠다.

그리고 아주사 사장도 1929년과 1930년에는 직업 외교관이 아닌 저우 룽광(周龍光)이 담당했지만, 만주사변 시기부터 직업 외교관인 후스쩌 (胡世澤), 선진딩(沈覲鼎)이 계속 직무를 수행하였다. 상무차장도 1929 년과 1930년에는 직업 외교관이 아닌 장워화(張我華)가 담는 당했지만, 만주사변 시기부터 직업 외교관인 왕쟈정(王家楨), 진원쓰(金問泗) 등 이 업무를 맡았다. 국제사장과 구미사장도 쳰타이(錢泰), 주허샹(朱鶴 翔) 등 직업 외교관이 지속적으로 직무를 수행하였다. 요컨대, 만주사

(14)

국가 구분 공사 재임 날짜 퇴임 날짜 영국 스자오지 1929. 1. 22 1932. 5. 30

궈타이치 1932. 5. 14 1941. 5. 9 미국 옌후이칭 1931. 9. 25 1933. 1. 7 스자오지 1933. 1. 7 1937. 5. 24 독일 류원다오(劉文島) 1931. 10. 17 1933. 9. 13 류충졔(劉崇傑) 1933. 9. 13 1935. 6. 28 프랑스 가오루(高魯) 1928. 10. 12 1931. 7. 16 구웨이쥔 1932. 8. 5 1941. 5. 9 소련 옌후이칭 1933. 1. 6 1936. 3. 23

구 분 중 국 대 표 단

1930년(제11차 대회) 장줘빈(蔣作賓), 가오루, 우차오수(伍朝樞) 1931년(제12차 대회) 스자오지, 왕쟈정, 우카이성(吳凱聲)

1932년(특별대회) 옌후이칭, 뤄중이(羅忠詒), 왕린거(王麟閣) 1932년(제13차 대회) 구웨이쥔, 옌후이칭, 궈타이치

1933년(특별대회) 구웨이쥔, 옌후이칭, 궈타이치 1933년(제14차 대회) 구웨이쥔, 옌후이칭, 궈타이치 1934년(제15차 대회) 궈타이치, 뤄중이, 진원쓰

변 이후 외교부는 직업 외교관이 대부분의 주요한 직책에 임용되어 국 제연맹 및 각 국가와의 외교를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 록 구성되었다.

(표 1) 주요 국가의 공사

* 출처 :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委員會,抗戰前國家建設史料—外交方面(革命文獻 第72輯, 臺北: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委員會, 1977).

* 이 자료를 참고해서 본고가 직접 표를 작성했음.

(표 2) 국제연맹 중국 대표단

* 출처 :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委員會,抗戰前國家建設史料—外交方面(革命文獻 第72輯, 臺北: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委員會, 1977).

* 이 자료를 참고해서 본고가 직접 표를 작성했음.

(15)

Ⅳ. 만주사변 이후 직업 외교관 출신 외교부장의 부상과 역할

남경정부는 만주사변 발발부터 상해사변과 장성항전을 거쳐 1933년 5월 당고정전협정을 체결할 때까지 각각 일본군에 대해 부저항과 제한 적인 항전 및 교섭을 병행하는 정책을 전개하면서 국제연맹에 대한 외 교적인 대응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당시 직업 외교관은 일본군의 침략을 중지시키기 위해 국내외에서 적극적, 능동적으로 활동하였다. 그들은 국제연맹 및 서구 열강에 대한 외교 정책을 결정하는 중심 기구였던 만주사변 시기 특별외교위원회와 상해사변 시기 외교위원회에서 전문적인 견해를 제시하면서 의결 활동 을 전개했으며, 국제연맹과 중요한 서구 국가에서 일본의 중국 비난과 침략 옹호에 대응하고 만주국을 불승인하는 등 중국의 국익을 수호하 는 데에 일정 정도 기여하였다. 본장에서는 만주사변 이후 남경정부의 외교부장이었던 스자오지와 구웨이쥔, 뤄원간을 중심으로 직업 외교관 의 활동과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남경정부 초기 시기 외교부장을 역임한 인물들은 황푸(黃郛), 왕정 팅(王正廷), 스자오지, 구웨이쥔, 천유런(陳友仁), 뤄원간, 왕징웨이, 장 췬이었다. 아래의 (표 3)은 남경정부 시기 외교부장을 역임한 인물들을 대상으로 삼아 만들어졌다. (표 3)은 만주사변 이후 직업 외교관 출신 인 스자오지와 구웨이쥔, 뤄원간이 차례로 외교부장의 직을 수행했다 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외교부장은 국내외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국제연맹 중국 대표단 등 다른 외교관 들의 활동을 지원했고,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항전 입장을 취했으며, 그 과정에서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 정책도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 하였다.

이 시기 외교부장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업무 수행 태도 및 활

(16)

외교 부장 재임 날짜 퇴임 날짜 후한민(胡漢民) 1925.7.1 1927.5.11 우차오수(伍朝樞) 1927.5.10 1928.1.3

황푸 1928.2.10 1928.6.8

왕정팅 1928.6.8 1931.10.3

스자오지 1931.10.3 1931.11.23 구웨이쥔(대) 1931.11.23 1931.12.30 천우런 1931.12.30 1932.1.29

뤄원간 1932.1.29 1933.8.17

왕징웨이(겸) 1933.8.17 1935.12.12

장췬 1935.12.12 1937.3.4

동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검토해 보겠다.

(표 3) 만주사변 이후 외교부장

* 출처 : 王立誠,中國近代外交制度史(甘肅人民出版社, 1991), p.305.

만주사변이 발발했을 때, 왕정팅은 1928년 6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어 대외관계에서 혁명외교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는 만주사변에 대한 남 경정부의 부저항주의 방침과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 정책에 불만을 품 은 학생들의 구타 사건으로 곧 사직했으며, 스자오지가 외교부장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스자오지(1877-1958)는 영국 공사 겸 국제연맹 중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남경으로 돌아올 수 없었다. 외교부에 서는 리진룬(李錦綸) 정무차장이 외교부장 대리로 직무를 수행하였고, 쑹쯔원(宋子文)이 중요한 일들을 결정하였다.

만주사변 시기 스자오지는 국제연맹에서 중국 대표로 관동군의 침 략을 제소했고, 서구 열강에 대한 외교와 선전 업무로 바쁘게 활동하 였다. 그는 1929년 1월 이미 영국 공사로 임명되어 다음해 국제연맹 중국 대표로 참석했으며, 1931년 10월 3일 왕정팅의 뒤를 이어 외교부 장에 임명되었다. 당시 청말 시기부터 직업 외교관이었던 그가 외교부 장에 임명된 것은 남경정부가 관동군의 침략을 외교적인 수단으로 해 결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 혹은 지지의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당시 남경정부는 국제연맹의 감독 하에 양국이 직접 교섭을 진행해

(17)

해결하자고 주장하면서 일본의 양국 간 직접 교섭을 반대하였다. 국제 연맹에서 중일 양국 대표가 직접 교섭 방안에 대해 세부적으로 타협하 지 못하고 대립하자, 요시자와 켄키치(芳澤謙吉) 일본 대표는 만주에 국제연맹 조사단을 파견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처음에 중국이 제시했는데, 일본의 반대로 폐기되었다. 그러나 관동군이 만주에서 침 략과 점령을 확대하자 일본은 조사단의 파견을 다시 제안하였다.

이때 요시자와 켄키치의 조사단 파견 제안은 중국의 일본 제재 조 치의 요구나 국제연맹의 일본군 철수 결의안에 의한 압박을 완화시켰 고, 침략을 확대하는 관동군에 대한 비난 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성격 이 강하였다.23) 요시자와 켄키치는 국제연맹 11월 23일 이사회에서 중 국이 조약을 이행하지 않는 행위나 각지에서 일어나는 반일운동이 일 본의 권리와 이익에 손해를 준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양국 간 교섭과 군사적인 행위를 간섭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조사단을 파견해 갈등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자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국제연맹 조사단의 파견 제안에 대해 스자오지 중국 대 표는 즉각 다음과 같이 반대하였다.

국제연맹 조사단의 파견은 중복된 병폐와 같다. 중국은 이 제의를 반 대하지 않겠지만, 국제연맹 조사 위원단의 성립으로 일본군의 완전한 철 수의 개시나 최단시간 내의 진행이 연기된다면 동의할 수 없다. 중국은 조사 위원단의 파견 여부와 관계없이 국제연맹 이사회가 완수해야 할 업 무는 만주사변의 사태를 확대하지 않고 즉시 전쟁을 중지시키며, 일본군 의 철수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본다. 중국은 관동군의 철수를 즉시 시작하 고 신속하게 완성해야 한다고 요청한다.24)

이와 같이 스자오지는 국제연맹 드루먼드(Drummond) 사무총장이 조사단 파견에 관한 결의안 초안을 보내주었을 때 토론의 여지가 없는 방안이라고 반대의 뜻을 분명히 밝혔다. 그러나 중국의 국제연맹 조사 23) 徐藍,英國與中日戰爭(1931-1941)(北京: 北京師範學院出版社, 1991), p.36.

24) 外交部關於中日交涉的工作報告 (中國國民黨中央黨史委員會, 앞의책), p.240.

(18)

단 파견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구 열강은 이 제안을 찬성했고, 국제연 맹 12월 10일 결의안으로 통과시켰다. 스자오지는 브리앙(Aristide Briand) 주석에게 이 12월 10일 결의안에 대해 국제연맹 조사단 파견 에 관한 내용 이외에도 일본 군대의 철수를 규정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였다.

실제로 국제연맹 조사단의 파견은 스자오지의 지적대로 일본이 군 대의 철수를 지연시키고 국제사회의 비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복된 병폐와 같았다. 이와 같이 만주사변 시기 중일 양국의 직접 교 섭을 둘러싼 갈등은 국제연맹 12월 10일 결의안에 의해 리튼 조사단을 파견하는 것으로 일단락 지어졌고, 만주사변의 해결은 이 조사단의 조 사와 보고 이후로 연기되었다. 결국 남경정부의 국제연맹에 대한 外 交․宣傳 정책은 국제연맹 및 서구 열강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관동 군의 침략을 견제하는 유효한 장치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국제연맹의 결의안과 국제 공약도 만주사변의 해결을 위한 권고안 정도로 작용하 였을 뿐이었다.

스자오지 외교부장이 국제연맹에서 중국 대표로 활동하는 관계로 남경으로 돌아오지 못하자 장제스는 11월 23일 구웨이쥔을 외교부장 대리로 임명했고, 5일 후 외교부장 서리로 결정하였다. 구웨이쥔 (1888-1985)은 미국 콜롬비아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12년 부터 위안스카이의 영문 비서와 외교부 비서처의 직무로 공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파리강화회의에도 참석했고, 국제연맹의 창립 준비 단계부터 맹약을 제정하는 일에 관여하였다. 국제연맹이 1920년 성립 되고 난 후, 그는 국제연맹 중국 전권 대표와 이사회 중국 대표로 국 가의 권익을 위해 국제연맹이 公道를 주관하도록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구웨이쥔은 남경정부가 제2차 북벌을 시작할 때 수배령을 내 린 명단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만주사변 시기 국제연맹과 국제회의에 참가한 경력이 있는 직업 외교관으로서 특별외교위원회의 위원으로 초 빙되었다. 즉, 만주사변 시기 그는 10월 12일 장쉐량(張學良)의 제의에 의해 남경으로 와서 특별외교위원회에 참가하였다. 이후 그는 국제연

(19)

맹에 대한 지식과 능력을 인정받으면서 쑹쯔원 재정부장이 외교부장의 직무를 수용하도록 요청했을 때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요구 조건을 제 시하였다.

첫째, 외교부장의 직무를 유효하게 집행하기 위해 주외국 대사관, 공사 관, 영사관에 정기적으로 경비를 지불해야 한다. 둘째, 해외 공관과 외교 부 내부의 직원을 임명할 때 외교부장의 전권으로 처리하고, 정부의 특별 한 지시나 명령을 받지 않는다. 셋째, 국민당 중앙정치회의는 중요한 정 치와 외교 문제에 대한 토론 및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나는 국민당 당원 도 아니고 중앙정치회의 위원도 아니므로, 외교에 관한 결의를 할 때 나 에게 먼저 알려주어야 한다.25)

위의 글은 남경정부 초기 외교부장이 국민당 중앙정치회의에 참가 해 외교 정책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는 당시 외교부장이 전문가로서의 견해도 존중받지 못 했고, 재외 공관과 외교부 내의 직원에 대한 임명권도 미약했다는 의 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웨이쥔은 외교부장이 되어도 막 중한 책임에 비하여 그 직무의 수행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서 외교 관계 직원 임명에 대한 전권과 중앙정치회의에서 외교 정책을 결 정할 때 미리 그 사항을 자신에게 알려줄 것을 요청하였다. 쑹쯔원은 이 요구 조건을 장제스에게 보고하여 승낙을 받았고, 그를 중요한 외 교 관계 결정 회의에 참석할 수 있도록 허가하였다.

당시 구웨이쥔은 특별외교위원회에서 국제연맹이 中日 양국의 갈등 을 전적으로 해결해 줄 수 없고 국제분쟁을 해결할 때 조정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면서 일본의 양국 간 직접 교섭 요청을 수 용하는 등 다른 대책도 세울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26)

다음으로 뤄원간(1888-1941)은 만주사변 시기 특별외교위원회의 위 25) 顧維鈞關於特種外交委員會及就任外交部長的回憶 (中國國民黨中央黨史委員

會, 앞의 책), pp.460-461.

26) 中國社會科學院 近代史硏究所 譯,顧維鈞回憶錄第1分冊 (北京: 中華書局, 1983), pp.416-417; 顧維鈞關於特種外交委員會及就任外交部長的回憶 (中國國 民黨中央黨史委員會, 앞의 책), pp.455-457.

(20)

원으로 활동했고, 상해사변과 장성항전 시기 구웨이쥔과 쑹쯔원의 추 천으로 외교부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1904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 서 법률을 공부하여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변호사 자격을 획득하였다.

북양정부 시기 그는 1921년 10월 워싱턴 회의에도 중국 대표단의 고문 으로 참가했으며, 1928년 3월에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외교총장의 직무 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는 1928년 12월 동북 변방군 사령장관 공서 고문도 맡았고, 만주사변 이후 장쉐량의 제의로 구웨이쥔과 함께 특별 외교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석하였다.

당시 장제스가 1931년 12월 15일 광동파와 연합 과정에서 하야하자, 국민당 4屆1中全會에서는 12월 28일 당무를 개혁하여 린썬(林森)을 남 경정부의 주석으로, 쑨커를 행정원장으로 임명하였다. 이때 뤄원간은 사법, 행정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곧 손과 정부가 재정과 국정 운영의 어려움으로 해체되고, 다시 장제스와 왕징웨이의 연합정부가 성립되었 다. 이때 뤄원간은 외교부장으로 임명되어 일본군의 침략이 확대되는 상해사변과 장성항전의 중요한 시기에 외교부장의 직무를 수행하였다.

상해사변 시기 뤄원간은 강경한 태도로 군사적인 항전 방안을 주장 해 남경정부의 제한적인 항전과 정전 협정 체결 방침을 반대하였다.

그의 이러한 견해에도 불구하고, 남경정부는 일본과 정전 담판을 시작 하였다. 정전 교섭에서 일본의 무리한 요구 조건과 회의의 잦은 결렬 로 어려움을 겪게 되자, 뤄원간은 남경정부가 외교적인 대응에 역점을 두고 국제연맹의 결의안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지만, 국제사회가 이해 관계에 따라 움직여 公理와 거리가 멀다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였 다.27)

장성항전 시기에도 그는 국제연맹에 중국의 입장과 대책을 적극적 으로 설명했으며, 일본 대표의 중국 비난에 대해 반박하면서 만주국의 불승인을 강력하게 요청하였다. 그는 1933년 2월 1일 국제연맹에 만주 국의 불승인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고 요구하면서 여기에 반대하는 27)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史料編纂委員會,革命文獻第36輯 (臺北: 中國國

民黨中央委員會黨史史料編纂委員會, 1991), p.8218.

(21)

영국에 대해 반박하는 내용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국제연맹은 현재 엄중한 시기에 있으며, 국제연맹 이사회 및 대회는 여러 차례 통과시킨 국제연맹의 결의안과 원칙을 두려움 없이 원용해야 한다. 1932년 3월 12일 국제연맹은 결의안에서 회원국이 국제연맹 맹약 및 구국공약을 위반하여 조성된 상황과 체결된 조약 및 협정을 승인하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을 결정하였다. 제네바의 열강 대표들은 만주국 정부 의 부인을 명백하게 선언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는데, 이는 상술한 결의안 의 원칙에 대한 책임과 법규를 회피하고자 하는 의미와 같다. 국제연맹은 중국의 주권을 존중하여 괴뢰 조직인 만주국에 대한 국가 승인을 하지 않는다고 발표해야 한다.28)

위의 글에서 뤄원간은 1932년 3월 12일 국제연맹 결의안의 원칙과 국제 공약을 존중하여 불법으로 수립된 만주국에 대한 불승인을 선언 하고, 국제연맹 19개국 위원회의 건의서에도 반드시 명문으로 이를 규 정해야 한다는 뜻을 표명하였다. 이때 19개국 위원회는 만주국의 불승 인 여부에 대해 각 국가들의 견해 차이로 결정을 내리지 못했고, 특히 영국은 만주국을 불승인하는 규정을 반대하였다. 이로 인해 뤄원간은 국제사회에서 만주국을 하나의 국가로 승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위 와 같은 내용을 발표했으며, 19개국 위원회가 리튼보고서를 심의․연 구한 후 대책을 건의할 때 중국에 유리하도록 중국 대표단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장성항전 시기 남경정부가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저항하며 동 시에 교섭하는 정책을 실행하면서 서둘러 정전 협상을 진행하자 뤄원 간은 여기에 대해 반대하는 의사를 표명하였다. 이후 당고정전협정이 비밀리에 체결되자 그는 여기에 대한 불만으로 사직했으며, 신쟝(新疆) 지역의 교섭을 처리하도록 파견되었다. 뤄원간이 1933년 8월 18일 사 직하자, 남경정부는 곧 왕징웨이 행정원장을 겸임 외교부장으로 임명 했고, 국민당 중앙정치회의의 비서장인 탕유런(唐有壬)을 류충졔(劉崇 28) 陸俊, 三月來外交大事記 (南京國民政府外交部,外交部公報第6卷 第1號,

1933年 1月-3月), pp.7-8.

(22)

傑)의 뒤를 이어 외교부 상무차장으로 결정하였다.

이때 왕징웨이와 탕유런은 모두 일본으로 유학했으며, 탕유런은 일 본의 정황을 잘 알고 있는 왕징웨이의 친한 친구였다. 왕징웨이가 외 교부장이 된 것은 앞으로 남경정부가 일본과의 충돌 사건을 타협으로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미와 같았다. 왕징웨이는 직업 외교관이 아닌 외 교부장으로서 이전 스자오지와 구웨이쥔, 뤄원간이 일관되고 강경한 태도로 대일본 정책을 요청한 것에 비하여 타협 정책을 주장해오고 있 었다. 상해사변과 장성항전 시기에도 그는 일본과의 교섭 및 타협에 의한 해결책을 언급하였다. 또한 화북사변 시기 그는 1935년 12월 외 교부장을 사임할 때까지 일본과 충돌이 발생한 그 지방 정부에서 사태 를 해결할 것을 기본 방침으로 결정하면서 남경정부의 대일본 타협 정 책을 주요하게 실행하였다.

Ⅴ. 결 론

이와 같이 본고는 청말 시기부터 전문적으로 대외관계에 관련된 업 무를 수행할 외교관을 선발․육성할 필요성이 인식되었고, 북양정부가 외교관의 선발에 대한 시험과 심사 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비해 직업 외 교관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남경정부도 시험과 심사를 주요한 기준으로 삼아 외교관을 육성하는 양상들을 살펴보았 다. 그리고 만주사변 시기 남경정부가 일본군의 침략을 중지시키기 위 해 국제연맹에 제소․선전하는 외교적인 대응책을 모색하면서 직업 외 교관이 북양정부에 이어 다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계기를 맞이하는 점을 고찰하였다.

당시 남경정부 외교부장과 차장, 아주사 사장, 각 국가의 공사, 국제 연맹 중국 대표단 등 외교부의 주요한 직책에는 모두 직업 외교관이 충원되었다. 스자오지와 구웨이쥔, 뤄원간으로 이어지는 외교부장들도

(23)

모두 직업 외교관이었다. 전술한 것처럼 직업 외교관은 남경정부의 국 제연맹에 대한 외교 정책을 지지했지만, 일본군의 침략이 확대됨에 따 라 점차 강경한 태도로 군사적인 대응과 영토 방위의 중요성을 강조했 고, 이것이 전제된 하에 외교적인 대응도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라 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만주사변 시기부터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군사 적으로 항전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상해사변 시기 상해정전협정과 장성항전 시기 당고정전협정을 서둘러 체결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외 교부장들도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국내외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 도로 대처해 나가면서 다른 외교관들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아울러 직업 외교관은 일본군의 침략이 확대됨에 따라 항전을 요청 하면서 특별외교위원회에서 정당방위에 대한 의결을 이끌어내고, 국민 당 중앙정치회의의 1931년 12월 3일 결정을 통해 부저항주의 방침을 항전으로 변경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상해사변 시기에도 이들 은 소극적인 항전과 교섭 병행 정책을 반대하고 적극적인 항전을 주장 하면서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확실한 승리를 얻고 이를 계기로 교섭에 서도 우위에 있어야 한다고 피력하였다. 비록 이 요청이 남경정부에 접수되지 않았지만, 그들은 상해정전협상에서 중국 대표로 참가해 일 본 대표의 무리한 요구를 거절하면서 중국의 권익 수호와 전쟁 중지 및 정전협정 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장성항전 시기에도 이들은 소극 적인 항전과 교섭 병행 정책을 반대했고, 중국 대표로 국제연맹에서 일본 대표와 논쟁을 벌이면서 만주국의 불승인을 통과시키기 위해 적 극적, 능동적으로 활동하여 성과를 거두었다.

당고정전협정 이후, 남경정부는 일본군의 침략에 대해 국제연맹에 대한 외교․선전 대응책에서 기술 합작 정책으로 변경했고, 일본과도 항전하며 동시에 교섭하는 대책에서 타협 정책을 실행하기로 결정하였 다. 남경정부는 1933년 3월 일본의 국제연맹 탈퇴와 서구 열강의 일본 에 대한 제재의 반대로 이제까지 국제연맹을 신뢰해 대책을 모색하던 방침에서 일본에 대한 타협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전술한 것 처럼 그것은 대일본 타협 정책을 주장해 오던 왕징웨이를 외교부장으

(24)

로 임명하고, 국제연맹 및 일본에 대해 강경한 태도로 대처하던 직업 외교관 출신 외교부장을 더 이상 임용하지 않는 점에서도 나타났다.

<참고문헌>

사료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中華民國史外交志(初稿)(臺北: 國史館, 2002)

南京國民政府外交部,外交部公報第1卷 第9號 (1929年 1月) 南京國民政府外交部,外交部公報第6卷 第1號 (1933年 1月-3月)

中國國民黨中央黨史委員會,國民政府處理九一八事變之重要文獻(臺北: 中國國民 黨中央委員會黨史委員會, 1992)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史料編纂委員會,革命文獻第36輯 (臺北: 中國國民黨 中央委員會黨史史料編纂委員會, 1991)

中國社會科學院近代史硏究所 譯,顧維鈞回憶錄第1分冊 (北京: 中華書局, 1983) 中國第二歷史檔案館,中華民國史檔案資料滙編第五輯 第一編 外交(一) (江蘇古

籍出版社, 1994) 연구서

唐啓華,北京政府與國際聯盟(臺北: 東大圖書公司, 1998)

徐藍,英國與中日戰爭(1931-1941)(北京: 北京師範學院出版社, 1991) 岳謙厚,顧維鈞與抗日外交(石家庄: 河北人民出版社, 1998)

王立誠,中國近代外交制度史(甘肅人民出版社, 1991) 劉達人, 謝孟圜,中華民國外交行政史略(臺北: 國史館, 2000) 陳雁,抗日戰爭時期中國外交制度硏究(上海復旦大學出版社, 2002) 陳體强,中國外交行政(重慶: 商務印書館, 1943)

洪嵐,南京國民政府的國聯外交(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0) 논문

金光耀, 顧維鈞與華盛頓會議 (歷史硏究第5期, 1997)

石源華, 論留美歸國學人與民國職業外交家群體 (復旦學報2007-4)

岳謙厚, 近代外交失敗與民國職業外交家勃興 (山西師大學報第27卷 第3期, 2000-7)

張瑋·岳謙厚, 三十年代顧維鈞國聯外交考察 (山西師大學報第30卷 第1期, 2003-1)

張皓, 1932-1933年羅文幹出長外交與國民政府對日政策 (抗日戰爭硏究2000-3) 岡本隆司 川島眞,中國近代外交の胎動(東京: 東京大學出版會, 2009)

服部龍二, 顧維鈞とブリュツセル會議 (中央大學人文科學硏究所,中華民國の模

(25)

索と苦境 1928-1949, 東京: 中央大學出版部, 2010)

川島眞,中國近代外交の形成(東京: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坂野正高,中國近代化と馬建忠(東京大學出版會, 1985)

(26)

(中文提要)

滿洲事變以後南京國民政府對職業外交官的興起 的研究

石 美 子

滿洲事變爆發後, 外交部長次長,亞洲司司長,國際司司長等外交部的主要 職位由職業外交官擔任. 特別是施肇基顧維鈞羅文幹以來的外交部長均為 職業外交官出身. 他們在國內外提出中國對於日本侵略的對策見解並積極 支持外交官的活動, 為了促成國際聯盟不承認偽滿洲國的決議而發表宣言, 極地開展外交活動. 綜上而言他們在針對日本和國際聯盟的政策上提出了 相對共同的對策見解並且主張抗日. 這也是因為他們作為初期的職業外交 官, 從北洋政府時期開始在國際社會活動, 深刻認識到國際聯盟及西歐列強 在解決國際爭端上所表現出的消極態度.

주제어: 만주사변, 국제연맹 제소, 직업외교관, 국내외 외교활동, 항전입장 關鍵詞: 滿洲事變, 國際聯盟 提訴, 職業外交官, 國內外 外交活動, 抗戰立場 Keywords: Manchurian Incident, League of Nations, Diplomat, Diplomatic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Coercive position

(원고접수: 2013년 6월 13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2일, 수정원고 접 수: 10월 11일, 재심사결과통보: 10월 21일, 추가수정원고 접수: 2014년 4월 7 일, 게재 확정: 4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範例案情:廉政市民代表會之市民代表王小明,其配偶陳小花擔任財團法人陽光廉政基金會之董事,基金 會董事長為楊清廉。該基金會參加受市民代表王小明監督之機關即廉政市公所之委託廉政研究 採購案公開招標之投標 ※填表說明: 1.請先填寫表 1,選擇補助或交易對象係公職人員或關係人,並於□打勾。 2.補助或交易對象係公職人員者,無須填表

第 2 頁,共 2 頁 身公教職員及約聘僱人員。 三、有關本活動報名方式及繳費等相關資訊,請詳閱實施計畫 及行程表。 正本:各直轄市政府、各縣市政府、本府各處、本府所屬一級機關、本府所屬二級機 關、本縣各鄉鎮市公所、本縣各鄉鎮市民代表會、本縣各公立高中職、各國中、 各國小、國立屏東科技大學、國立屏東大學、財政部國有財產署南區分署、財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