西洋人들의 近代 中國 鴉片問題에 대한 認識
*1)-
萬國公報
와Chinese Recorder
의 내용을 중심으로-盧 在 軾 (湖西大)
Ⅰ. 머리말
Ⅱ. 아편의 피해와 아편무역에 대한 인식
1. 아편피해의 근절방안 2. 아편무역의 찬반논의
Ⅲ. 아편무역 반대와 아편금연에 대한 소개
1. 아편무역 반대의 논리 2. 아편금연 방식의 논의
Ⅳ. 결 론
Ⅰ. 머리말
1858년 제2차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天津條約’중의 두 가지 조항은 근대 중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었다. 그 하나는 아편 수입의 합법화 이고 또 다른 하나는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 內地 선교 자유의 내용이 었다.
그 후 아편의 유입은 더욱 증가하였고 중국 내 아편 재배도 가능하 게 되었다. 아편의 유입과 중국인들의 아편 흡연은 18세기 말부터 淸 朝의 주요한 사회문제 중의 하나였다. 19세기 초부터 청조는 아편 금 연 정책을 실시했지만 아편전쟁 패배 이후 서구 열강의 중국침략과 더 불어서 아편의 중국 유입은 더욱 늘어났고 그로 인한 중국의 폐해도
*이 논문은 2010년도 성균관대학교 Post-Doc. 연수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날로 심각해졌다.
의학적으로 보았을 때 아편은 꼭 유해한 식물은 아니고 통증해소, 가래와 기침 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 아편은 인체의 마취기능의 작용을 하고 反射신경의 흥분적인 작용을 유발하여서 강렬한 중독성을 일으켰다. 한 번 아편에 중독되게 되면 곧 몸이 쇠약해지고 정신이 혼미해지면서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게 되 었다.1) 아편의 수입과 중국인의 아편 흡연으로 인한 폐해는 단순한 개 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중국 사회 전체와 민족적인 문제가 되었다.
지금까지 근대 중국의 아편문제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禁煙政策을 비롯한 정치, 외교, 경제 등의 분야에 치우쳐 있었다.2) 1990년대에 들 1) 傅建成, 烟毒問題與中國社會 (太原: 陝西人民出版社, 1999), pp.1-2.
2) 근대 중국의 아편과 관련된 연구서로는 王宏斌, 禁毒史 (長沙: 岳麓書社, 1997); 朱慶葆외, 阿片與近代中國 (南京: 江蘇敎育出版社, 1995); 蘇智良, 中 國毒品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7); 馬模貞編, 中國禁毒史資料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1998); 王金香, 中國禁毒簡史 (北京: 學習出版社, 1996) 등이 있다. 한편 국내의 중국근현대사 학계에서 아편문제에 대한 연구를 한 대표적 인 학자로는 李學魯와 朴橿을 들 수 있다. 이학로는 청조의 아편정책과 금연운 동에 관한 폭 넓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주요 연구성과로는 이학로, 19세 기 전반기 중국의 아편흡연과 흡연계층의 확산 (啓明史學 8, 1997); 19세 기 전반기 청조의 아편 금연법과 처벌 규정의 변화 (中國史硏究 2, 1997);
19세기 전반기 중국의 아편문제와 청조의 대책 (경북대학교대학원사학과 박 사학위논문, 1997); 아편전쟁시기(1839-1842) 중국의 아편문제 (대구사학 60, 2000); 洋務運動時期의 鴉片問題와 洋務派의 鴉片認識 (명청사연구 17, 2002); 廣州의 鴉片問題와 許乃濟의 弛禁論 (中國史硏究 26, 2003); 洋務 時期의 鴉片問題와 郭嵩燾의 禁煙運動 (대구사학 74, 2004); 1870年代 上 海 申報의 鴉片啓蒙運動 (명청사연구 25, 2006); 近代 中國의 鴉片禁煙 運動 (부산: 세화출판사, 2007) 등이 있다. 박강은 20세기 중일전쟁시기 아편 정책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박강, 일제의 내몽고지역에 대한 아편정책 (史 叢 35, 1989); 중일전쟁과 아편 (서울: 지식산업사, 1994); 中日戰爭期 (1937-45) 華北에서의 日本 阿片政策 (日本歷史硏究 6, 1997); 日本의 中國 占領地 阿片政策의 諸樣相; 中日戰爭期를 중심으로 (外大論叢 18, 1998);
關東州에서의 日本 阿片政策 (日本歷史硏究 11, 2000); 근대 중국의 아편·
마약과 사회문제 (韓中人文科學硏究 14, 2005); 아편과 20세기 중국 (서 울: 선인출판사, 2010)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박종열, 淸朝 阿片問題 解決策에 關한 硏究 (민족교육연구 3, 1985); 이영옥, 아편전쟁 시기 道光帝의 아편정책 (東洋史學硏究 69, 2000);
어와서 사회, 문화사적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아편에 대한 연구도 아 편의 사회, 문화적 측면이 조명되기 시작하였다.3)
한편 19세기 말 중국 내 서양 선교사들이 근대 중국사회의 아편문 제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 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4) 국내의 중국근현대사 학계에서도 19세기 말 중국의 反기독교 운동과 敎案에 관한 연구, 청정부의 교안 처리과정에 대한 연구가 있기는 하였지만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들이 중국인의 아 편흡연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졌거나 어떠한 아편 반대 활동을 하였 는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歐美학계에서는 주 로 영문자료를 바탕으로 근대 중국의 선교사들과 아편문제에 대한 연
최희재, 광서초(1875-1885)의 아편문제 논의와 금연운동 (東洋史學硏究 71, 2000) 등이 있다.
3) 朱慶葆 외, 앞의 책; 蘇智良, 앞의 책 등을 들 수 있다. 박강, 근대 중국의 아 편·마약과 사회문제 (韓中人文科學硏究 14, 2005), p.296 참조.
4) 于恩德, 中國禁煙法令變遷史 (臺北: 文海出版社, 1973); 林治平, 近代中國與 基督敎論文集 (臺北: 宇宙光出版社, 1981); 吳義雄, 在宗敎與世俗之間 (廣州:
廣東敎育出版社, 2000); 黃智奇, 亦有仁義-基督敎傳敎士與鴉片貿易的鬪爭 (香 港: 善道出版社, 2004) 등에서 서양 선교사들과 서양 국가의 교회단체 및 교회 人士들의 아편문제에 대한 인식과 비판, 아편무역 반대 등에 대해 논하고 있 다.
1980년대 이후 중국 사학계에서 근대 중국 시기의 서양 기독교 선교사들의 활동과 관련된 연구는 중국 근현대사 연구의 주요한 영역중의 하나가 되었다.
선교사들의 중국 근대 사회에서의 문화, 출판, 교육, 의료사업 등의 대한 연구 와 敎案, 청정부의 기독교 정책, 기독교의 중국 토착화, 그리고 선교사 개개인 의 연구 등 다방면에 걸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자 수의 증가와 연구주제 의 다원화로 인해서 지난 20여 년 간 중국의 중국근현대사 학계에서는 중국기 독교사와 관련된 많은 연구서와 연구논문들이 나오게 되었다. 근대 중국시기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에서의 활동과 영향에 관한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노재식, 중국 근대 기독교사 연구 동향 -중국대륙, 대만, 홍콩, 미국 학계를 중심으로 (中國近現代史硏究 28, 2005.12), pp.223-234; 聶資魯, 百余年來美國基督敎在 華傳敎史硏究 (近代史硏究 2000-3); 陶飛亞, 基督敎與中國社會硏究入門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2009) 등을 참조.
반면 서양 선교사들이 근대 중국 사회의 주요한 사회문제 하나였던 아편 문 제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가졌고 아편반대 활동에 관한 연구 성과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구가 진행되었다.5) 한편 중국 근대시기 아편무역과 아편무역 합법화에 관한 연구성과는 어느 정도 진척이 되었다.6)
본고는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편찬되고 운영된
萬國公 報
7)에 나타난 근대 중국 여성문제와 관련된 문장들을 선별하여 고찰 해 보고자 한다.
萬國公報
에 관한 연구성과를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 과 같다.중국 학계에서
萬國公報
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戈公辰의
中國報學史
에서
萬國公報
에 대해 간단히 언급 하였지만 구체적인 분석은 없었다.8) 그리고 1950년대를 전후하여 몇 몇 학자들에 의해 관심을 얻기 시작했지만9) 이 시기에는 주로 제국주 5) Beattie. H. J, Protestant missiions and opium in China, Harvard Paper on China, Vol. 22, Dec 1964, pp.104-133 ; Lodwick Katheline, Crusader against opium the protestant missionaries in China, 1874-1917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6); Lodwick Katheline, Chinese Missionary and International Efforts the use of Opium in China 1890-1916 (Ph.D Thesis, University of Arizona, 1976); Waung. W. S. K, The Controversy: Opium and Sino-British Relations, 1858-1887 (Hong Kong: Lung Men Press, 1977) 등이 있다.6) 胡維革, 論阿片貿易合法化對近代中國社會的影響 (東北師範大學學報 1998 -3); 呂秀蓮, 淸朝的禁煙政策與阿片貿易合法化問題論述 (北方論叢 1998-2);
吳義雄, 阿片戰爭前的阿片貿易再硏究 (近代史硏究 2002-2); 徐精鵬, 近代 中國阿片貿易合法化問題初探 (華東船舶工業學院 2002-4); 付娟, 論阿片貿 易合法化對中國近代禁煙的影響 (四川師範大學學報 2006-6) 등이 있다.
7) 萬國公報는 1868년 9월에 敎會新報 (영문명 The Church News)라는 이름 으로 창간되었다. 교회신보는 週刊으로 발간되었고 종교적인 내용이 중심이었 다. 총 300期까지 발행되었고 1874년 9월부터 萬國公報 (영문명 The Globe Magazine)로 개명하여 발간되었다. 내용은 종교적인 내용이외에도 일반 세속 적인 영역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1883년 7월 750卷부터 停刊되어서 6년 뒤인 1889년 2월 다시 복간되었다. 中文 명칭은 그대로 萬國公報였지만 영문명은 The Review of the Times로 바뀌어서 불리었다. 기존의 週刊으로 발간되는 것이 月刊으로 바뀌었고 歐美 선교사들의 기독교 조직인 廣學會의 주요 期刊 物이 되었다. 이 시기萬國公報는 종교적인 내용은 더욱 감소하고 서양의 정 치, 時事, 中外시사평론 등을 담은 종합적인 신문이 되었다. 1907년 12월 第 227冊까지 발간되고 나서 停刊되었다.
8) 戈公辰, 中國報學史 (北京: 三聯書店, 1955).
9) 胡繩, 帝國主義與中國政治 (上海: 生活書店, 1948); 卿汝輯,美國侵華史 (北
의 세력의 중국에 대한 문화침략이라는 시각으로서 연구가 진행이 되 었다는 한계가 있다.
1970년대 이후
萬國公報
의 연구는 점점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는데 우선 미국학계에서
萬國公報
에 대한 연구 공구서가 출판되었다.10) 1980년대 이후 중국학계에서도
萬國公報
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었다.11) 또한 역사학 분야뿐만 아니라 新聞學 영역에서도
萬國公報
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2) 기존의 연구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주 요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1)
萬國公報
의 성격에 관한 내용; 2)
萬國公報
의 서학전파; 3)
萬國公報
와 변법운동 및 중일전쟁과의 관계; 4)
萬國公報
와 관련된 몇 몇 선교사들에 관한 연구 등이다.13)京: 三聯出版社, 1952); 何兆武, 廣學會的西學與維新派 (歷史硏究 1961-4) 등에서 萬國公報에 대해 소개와 평론을 담고 있다.
10) Bennet. Adrian, Research Guide to the Wan-kuo kong-pao, 1874-1883 (San Francisco: Chinese Material Center, 1975); Bennet. Adrian, Christianity in the Chinese Idiom (John. K. Fairbank ed, The Missionary Enterprise in China and Americ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에서 萬國公報 편찬자인 존, 알렌의 출판 사업에 관한 내용을 논하고 있다,
11) 梁元生, 林樂知在華事業與萬國公報 (香港: 中文大學出版社, 1978)에서는 알 렌의 중국에서의 전반적인 선교사업과 교육, 편찬사업에 대해서 소개 분석하고 있다.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6); 王立新, 美国傳敎士與晚清中国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1997); 顧長聲, 馬禮遜 逊到遜到司徒雷登-來華新敎傳敎士評傳 (上海:上海書店出版社, 2005)에서는 萬國公報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다. 2000년대 이후 萬國公報에 대한 전문 적인 연구서가 나왔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楊大春, 萬國公報與晩淸中西文化交 流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2002)와 王林, 西學與變法-萬國公報硏究 (濟南:
濟魯書社, 2004)를 들 수 있다. 한편 萬國公報에 관한 연구논문은 상당 수 진행되어서 여기에서는 일일이 거론하지 않기로 한다.
12) 方漢奇, 中國近代報刊史(上) (太原: 山西人民出版社, 1981); 方漢寄, 中國新 聞事業通史 第一卷 (北京: 人民大學出版社, 1992); 秦紹德, 上海近代報刊史論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1993); 龔德才, 中國新聞事業史 등이 있다.
13) 4)에 관한 연구로는 주로 알렌, 티모드 리챠드, 엡스킨, 존 프라이어 등 몇 몇 선교사들에게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었고 다른 선교사들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었다.
반면
萬國公報
에 나타난 아편문제에 대한 인식의 연구는 상대적 으로 많지 않다고 볼 수 있다.14)한편
Chinese Recorder
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못하였다.1980년대 중반 이미 미국에서
Chinese Recorder
에 관한 연구지침서가 출판되었지만15)Chinese Recorder
에 관한 전문 연구성과는 아직 많이 보이지 않고 있다.16) 역사학분야보다는 神學, 종교학 방면에서Chinese Recorder
를 참고로 한 연구가 다소 진행되었다.본문에서는
萬國公報
와Chinese Recorder
를 중심으로17) 서양인들 의 근대 중국 아편문제에 대한 인식과 아편 무역 반대 및 아편 금연활 동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18)14) 최근에 王海鵬, 萬國公報反鴉片言論特點芻議 (北方論叢 2008年 6期)의 연 구성과가 보인다.
15) Kathleen Lodwick, Chinese recorder index : a guide to Christian missions in Asia, 1867-1941(Wilmington, Del.: Scholarly Resources, 1986).
16) 최근 중국 上海大學 史學科의 陶飛亞 교수가 중심이 되어서 “Chinese recorder”연구라는 프로젝트로 Chinese recorder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를 하 고 있다. 陶교수는 연구가 마무리 되면 Chinese recorder에 관한 전문 연구서 를 출판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17) 1877년과 1890년 상해에서 각각 제1차, 2차 在中國宣敎士會議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그 회의의 내용은 1878년과 1891년 상해에서 각각 영문으로 발간되었 다. 제1차 선교사 회의의 내용은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10-24, 1877(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8. 以下 GCR, 1877로 略稱). 제2차 선교사 회의의 내용은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1, 以下 GCR, 1890으로 略稱)이다.
본고에서는 萬國公報와 Chinese Recorder뿐만 아니라 제1차, 2차 선교사회 의집에 나타난 아편문제에 관한 내용들도 같이 살펴보기로 한다.
18) 필자는 기존의 萬國公報에 나타난 근대중국 사회의 아편에 대한 인식 (중 국근현대사연구47집, 2010년 9월)과 19세기 말 서양인들의 근대 중국 아편흡 연에 대한 인식과 아편금연 활동에 관한 연구-중국 內地會의 입장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30집, 2010년 8월)에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前者의 연구에서 는 萬國公報에 나타난 아편의 피해, 아편무역의 반대 및 아편금연에 관한 내용 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고 後者는 중국내지 선교회라는 선교단체의 근대 중국 사회 아편에 대한 인식과 내지선교회의 아편금연 활동에 관해서 연구를 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성과의 일부내용을 참고하였음을 밝혀둔다. 그
Ⅱ. 아편의 피해와 아편무역에 대한 인식
1. 아편피해의 근절방안
1858년 천진조약에서 아편무역이 합법화 된 이후 인도등지에서 생 산되는 아편의 수입량은 날로 증가하였다. 더욱이 아편의 중독성으로 중국의 아편수요량은 날로 증가하였다. 한편 수입아편의 높은 가격과 아편판매로 인해 얻는 높은 이윤은 중국의 일부 상인들과 농민들로 하 여금 아편을 직접 재배하고 판매하게 하였다. 아편은 적응성이 비교적 강하여서 중국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였고 병충해의 피해 도 적었다. 그로 인해 국내 아편 생산량과 소비량이 더욱 증가하였고 18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중국 국내 아편생산량이 수입 아편량의 수를 초과하기도 하였다. 1876년
萬國公報
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 하고 있다.廣東, 福州, 漢口, 九江등지의 수입 아편의 수량이 이전보다 크게 감소 했다. 이러한 아편 수입의 감소 원인은 중국 자체의 아편 수입량이 날로 증가했기 때문이고 가격이 인도산 수입 아편보다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 다.19)
아편흡연은 개인과 가정 경제에 큰 피해를 주었다. 극소수의 지위가 높거나 부유한 이들을 제외하고서는 아편흡연은 경제적인 부담이 큰 소비품이었다. 또한 아편흡연으로 노동력과 생업을 상실하고 결국에는
리고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좀 더 보완하고 범위를 확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즉 萬國公報뿐만 아니라 다른 영문자료 -Chinese Recorder와 1, 2차 선교사회의집- 등을 참고하여 내용을 보충하려고 한다.
19) 大英國事, 駐華各口領事洋藥報單 9 (萬國公報 臺北: 華文書局影印本, 1968, 408卷, 1876年 7月; 이하萬國公報, 〇卷, 〇年 〇月로 표기), p.4555.
경제적인 파탄을 가져왔다. 부유한 자들이 아편흡연으로 가난해지거나 거지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았고 빈곤한 자들은 아편 흡연으로 가정의 모든 소유물들을 팔아야 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심지어 아편 흡연을 위해 부인이나 자식들을 賣買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편흡연은 개인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사회적으 로도 큰 문제를 안겨 주었다. 아편은 중독성이 강하여서 금연하기가 쉽지 않았고 가격이 높아서 일반인들은 쉽게 구입할 수가 없었다. 그 리하여 많은 이들은 아편구입을 위해 절도, 사기, 매춘 등의 방법을 통 해서 자금을 모으기도 했다. 이것은 사회의 불안정과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불신의 풍조를 가져왔다. 동시에 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 사 이에도 아편흡연이 전파되어 외국인들의 인식속에 중국과 중국인에 대 한 나쁜 인상을 주었다.
아편수입의 증가로 막대한 銀이 국외로 유출되게 되었고 은값의 증 가와 물가의 폭등현상을 야기시켰다. 아편은 폭리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많은 이들이 아편을 재배하게 되었고 많은 토지들이 아편 재 배 토지로 변하였다. 관료들은 아편무역을 통해 상인들에게 뇌물을 받 았고 아편흡연으로 행정처리를 게을리 하게 되고 효율이 저하되었 다.20)
이처럼 근대 중국의 아편의 만연과 아편흡연은 중국인과 중국 사회 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근대 중국 사회에서 아편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 19 세기 말 중국에 온 서양 선교사들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선교사들은 본국의 선교단체와 교회에 중국의 아편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 보고 하였다. 북경에서 의료 선교 활동을 하였던 영국 선교사 더전(John.
Dudgeon)은 “거의 모든 거리와 골목에 아편 판매점이 있고 큰 거리에 는 2∼3개의 아편 판매점이 있다.” 라고 보고하고 있다.21) 蘇州에서 선 20) 付娟, 論阿片貿易合法化對中國近代禁煙的影響 (四川師範大學學報 2006
-6), pp.133-134참조.
21) Chinese Recorder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69),
교를 하던 두보스(DuBose)는 1877년 제1차 선교사회의에서 “蘇州와 上海에 모두 7000여개의 아편 판매상이 있었다.” 라고 말하였다.22)
선교사들의 보고에 의하면 당시 아편을 흡연하는 인구 비율은 상당 히 높게 나와 있다. 미국 선교사 보링(S. L. Balwin)은 “당시 福州에는 40%의 남성이 아편을 흡연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23) 두보스도 소 주에서 10명의 남성 중 평균 8명이 아편을 흡연하고 있다고 보고 있 다.24) 또한 중국 각지를 관찰한 그레이브(R. H. Grave) 의료 선교사는 당시 전 중국에 25%이상의 남성이 아편 중독자라고 말하였다.25) 당시 사람들의 통계에 의하면 약 45%의 남성과 2%의 여성-대도시는 70%
의 남성-들이 아편을 피운다고 말하고 있고 어떤 이들은 대략 1/3의 성년남성이 아편을 흡연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26)
더전은 북경에서 5년 여 동안 모두 600여명의 아편 흡연자를 치료하 였는데 그 중 40%이상이 官僚계층이었다고 보고하였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아편 흡연자중 관료들의 가족과 노비의 비율이 70∼80%로 가 장 높았고 왕실의 내관들이 50%, 만주 旗人들이 30∼40%였고 지식층 과 군인들이 20∼30%로 나와 있다. 그는 덧붙여 말하기를 중국인들의 아편 흡연의 원인은 아편을 통해서 통증을 없애고 내적인 공허함을 해 소하고자 함이라고 보고하고 있다.27)
이러한 상황에서 선교사들은 아편이 인체와 국가에 끼치는 피해를 논하면서 아편무역을 비판하고 아편금연을 선전하는 문장들을
萬國公 報
상에 발표하게 되었다. 1868년 발행된
萬國公報
의 前身인
敎會 新報
에서 이미 아편에 관한 문장들이 발표되었고
萬國公報
로 개명 된 이후에는 아편과 관련된 문장들이 더욱 많아졌다.28)p.69. 以下Chinese Recorder로 略稱.
22) GCR, 1877, p.352.
23) Chinese Recorder, 1868, p.33.
24) GCR, 1877, p.366.
25) Chinese Recorder, 1869, p.204.
26) 姚賢鎬, 中國近代對外貿易史資料 第二冊 (北京: 中華書局, 1962), p.862.
27) Chinese Recorder, 1869, p.204.
萬國公報
에 발표된 최초의 아편폐해에 관한 문장은 1874년 9월에 실린 婦女勸禁飮文 라는 문장인데 이 문장에서 아편의 피해에 대해 이렇게 서술하고 있다.아편의 피해는 극히 심하다. 아편 흡연자들은 아편이 해롭고 이로움이 없다는 것을 모르지 않는데 이미 아편에 깊이 중독되어 있어서 그 피해 에서 헤어나기 어려운 것이다. 그렇다면 아편을 피우지 말라고 만류하는 사람이 없어서 그런 것인가? 아니다. 이미 주위의 사람들이 아편을 피우 지 말라고 수 없이 권유하였다. 하지만 아편 흡연자들은 비록 아편의 피 해를 잘 알고 있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29)
여기에서 보듯이 아편 흡연자들은 아편의 피해를 잘 알고 있지만 그 중독성이 너무 강하여서 빠져나오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더전은
萬國公報
상에 禁煙說略 과 續禁煙說略 이라는 문장을 발표하였는데 아편이 중국인들에게 주는 위험성에 대해 분석을 하고 있다. 또한 더젼은 아편흡연으로 인한 정신상의 중독이 신체의 중독보 다 더욱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30)영국인 윌리암스(Williamson Alexander)는 아편흡연으로 인한 사회 에서 발생되는 폐단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28) 萬國公報는 1874년부터 매 주 2000부씩 발행되었다. 중국내 활동하고 있는 서양 선교회들은 거의 모두萬國公報를 구독하였고 서양 상인들과 외교관들 도 널리 구독하였다. 또한 중국의 지식인들, 紳士계층, 관리들도 萬國公報를 구독하였다.
한편 萬國公報상에 중국신도들이 발표한 아편관련 문장은 약 80여 편이 되었다. 이 문장들의 주요 내용은 아편의 피해를 묘사하는 것과 아편의 금연을 권하는 것이었고 일부 문장은 아편금연 약의 제조법에 관한 것들도 있었다(黃 智奇, 亦有仁義-基督敎傳敎士與鴉片貿易的鬪爭, pp.50-51 참조). 본고에서는 萬國公報에 발표된 서양인들의 문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29) 婦女勸禁飮文 (萬國公報 304卷, 1874年 9月), p.103.
30) 德貞, 禁煙說略 (萬國公報 325卷, 1875年 2月), p.808. 더젼은 일찍이 敎 會新報에도 施醫信錄論鴉片煙 라는 문장을 발표하였다. 그는 이 문장에서 중 국인들의 아편흡연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시하고 중국인들이 아편을 금연하고 아편재배를 중지하기를 희망함을 밝히고 있다.
아편에 중독되면 덕행을 추구하지 않고 五倫을 중시하지 않으며 결국 은 형제가 멀어지고 부부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친구들 사이에 반목이 생 겨서 서로 신뢰하지 못하게 된다.31)
그리고 士農工商 계층의 아편흡연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아래와 같 이 분석하고 있다.
선비(士)는 士農工商의 으뜸인데 일단 아편을 흡연하게 되면 위로는 왕의 법을 거슬리고 아래로는 부모의 마음을 저버리게 된다. 서가의 책 들을 읽는 것에는 관심이 없고 침상에서 아편을 피우는 데에만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임금을 섬기는 것은 충성스럽지 못하고 형제 사이 가 멀어지고 부부사이에 갈등이 생긴다. 道를 수양하지 않고 五倫을 논하 지 않게 되니 어찌 선비라고 할 수 있겠는가? 상인(商)들이 고향을 떠나 서 곳곳을 다니는 것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일단 아편에 중 독되게 되면 지출이 늘어나고 최종적으로 신체를 傷할 뿐만 아니라 金錢 에도 피해를 끼친다. 농민(農)과 공인(工)들이 종일토록 힘들게 노동하는 것은 부모를 봉양하고 처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이다. 이들은 평소에 많은 저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절약을 해야 된다. 하지만 아편을 흡연하기 시작하면 원래 풍족하지 않은 가정 형편이 설상가상으로 더욱 어려워지고 결국에는 몸이 쇠약해지게 되어 일을 할 수 없게 되고 부모 들은 굶어죽고 처자식은 흩어지게 된다.32)
독일 선교사 페버(Faber Ernst)는 아편흡연으로 인한 관료들의 효율 저하와 군인들의 기강 해이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관료들이 아편을 흡연하면서 사무 처리에 영향을 주고 병사들이 아편 을 흡연하면 전투능력을 상실하고 의지가 나약해진다.33)
이상의 문장에서 보듯이 근대 중국 사회의 전체 구성원들이 아편흡 연으로 인해서 각자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 다.
31) 韋廉臣, 勸戒鴉片煙論 (萬國公報 423卷, 1877年 1月), pp.3342-3343.
32) 위와 같음.
33) 花之安, 自西伹東,淸除阿片流弊總論 (萬國公報 698卷, 1882年 7月), pp.9154-9158.
근대 중국에 활동하던 선교사들은 아편흡연으로 인한 각종 피해의 상황을 친히 목도하였고 이러한 아편의 피해상을 사람들에게 알려주어 야겠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한편 19세기 말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서구열강이 중국을 침략해 불평등조약을 체결하였고 그 결과로 아편의 유입이 더욱 증가되었으며 동시에 기독교와 선교사들도 같이 중국에 진출하게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아편무역을 행하는 서양 국 가들과 기독교 선교사들을 동일시하게 여겼고 선교사와 기독교에 대해 반감을 가졌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아편무 역을 자행하는 서양의 정치세력과 상인들과는 다르다는 인식을 중국인 들에게 알게 하고자 하였다.
선교사들은 오직 영혼을 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먼 여정을 거쳐 중국 에 와서 기독교를 전하고 조금도 惡意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런데 중국 민간에서는 선교사들과 목사들이 아편을 판매하는 길을 열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 도대체 무슨 말인가? 지금 영국정부에 아편재배와 아편판매 금 지를 請하니 이후에 중국인들이 서양의 선교사들은 선교에만 전념하고 아편판매와는 상관이 없음을 알게 하려는 것이다.34)
19세기 말 중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선교방식에 있어 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35) 비록 선교사들 사이에 선교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공통적으로 아편은 인체에 유해하고 아편무 역은 중국에 큰 피해를 주고 성경의 원리에도 어긋난다고 여기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선교사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 아편의 피해를 알리고 아편무역을 반대하며 아편금연을 돕는 활동을 하였다.
34) 大英國事,譯請禁鴉片大略 (萬國公報322卷, 1875年 1月), p.607.
35)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의 영혼구원에 목적을 두고 순수하게 기독교를 전하는 방식을 취하였고 또 다른 일부 선교사들은 직접적인 기독교 전파보다 는 출판, 교육, 의료, 문화 등의 간접적인 방식을 통하여 기독교를 전하고자 하 였다. 중국학계에서는 前者에 속하는 선교사들을 보수파 선교사, 後者에 속하 는 선교사들을 자유파 선교사라 칭하고 있다. 보수파선교사와 자유파선교사에 관한 내용은 王立新, 美國傳敎士與晩淸中國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08), pp.17-33 참조.
2. 아편무역의 찬반논의
19세기 말 중국내 서양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선교활동이 어려운 것 은 서구 열강의 중국에 대한 아편 무역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 였다. 중국인의 서양에 대한 적개심과 반감은 선교사들이 전파하는 기 독교에도 이어졌다. 즉 소위 기독교 국가라고 하면서 아편무역을 자행 하는 서양 국가들에 대해서 반감을 가졌고 서양인인 선교사들과 그들 이 전하는 기독교에 대해서도 동일하였던 것이다.
당시 한 중국인이 보링목사에게 말한 내용은 이러한 중국인들의 의 식을 반영하고 있다.
당신들은 우리들에게 도덕을 가르치지만 당신들의 많은 동포들은 결코 도덕적이지 않다……당신들은 우리들에게 아편을 피우지 말라고 권고하 면서 당신 나라사람들은 어째서 우리나라에 아편을 파는 것인가?36)
영국 선교사 뮬레(A. E. Moule)는 “비록 선교사들이 중국인들을 위 해서 많은 학교와 병원을 설립하였다 해도 아편무역으로 인해 중국인 들은 이것들이 결코 선량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 다. 이처럼 아편무역은 중국에서의 선교 활동에 큰 장애를 가져왔다.”
고 지적하고 있다.37)
더전도 “만약 아편무역을 철폐하지 않는다면 서양 선교사들과 상인 들 모두 중국에서 밝은 미래를 보장받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 다.38)
萬國公報
의 편찬자 알렌. 영(John. A. Young)은 論鴉片煙之害 라 는 문장에서 선교사들이 환영받지 못하는 이유를 말하고 있다.36) Chinese Recorder, 1868, p.33.
37) GCR, 1877, p.352.
38) Chinese Recorder, 1868, p.51.
중국인은 아편이 단지 외국에서 왔지 어떠한 나라에서 왔는지는 자세 히 모른다. 故로 아편을 싫어하는 중국인들은 외국인을 증오하고 외국인 이 전하는 종교도 싫어하는 것이다. (중국인들은) 선교사들이 아편을 싫 어하고 아편을 흡연하는 이들을 결코 용납하지 않는 것을 모르고 있다.
중국인들은 외국인들이 아편으로 중국인들을 害하여서 몸을 약하게 만들 고 외국인들과 경쟁을 못하게 하여 중국영토를 점령하려고 한다고 생각 하고 있다.39)
기독교를 중국에 전파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교사들과 아편을 판매 하는 서양인들의 차이를 인식시켜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 중국인들에 게 아편의 피해를 알리고 아편무역을 반대하는 문장들을 발표하였다.
더전은 아편무역이 근절되지 않는 원인에 대해서 중국에서 아편을 금지하는 자들도 아편을 흡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동 시에 그는 아편근절을 위해서는 아편재배 금지와 아편 수입금지 두 방 면에서 진행되어야 한다고 여기었다.40) 영국이 아편무역을 금지하지 않는 원인 중의 하나가 중국인들 스스로 아편재배를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는 만약 영국이 인도에서 재배되는 아편을 중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단순히 중국에 이익이 되 고 인도에게는 손해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과 영 국 양국이 공동으로 아편금연을 도모해야지 만이 아편근절의 희망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41)
한편 알렌은 論鴉片之害 문장에서 아편재배와 수입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오히려 밀무역의 성행 등 부작용만 일으킬 것이라고 보 고 있다. 아편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국가에서 重 稅를 부과하는 등의 정책을 서서 관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알렌은 철저한 아편금연에 대해서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아편을 완전 히 근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게 보면서 단지 국가에서 어느 정도 제어 하는 것이 그나마 이상적이라고 여기었다.42)
39)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58卷, 1875年 10月), p.1836.
40) 德貞, 禁煙說略 (萬國公報 325卷, 1875年 2月), p.808.
41) 위와 같음.
20세기 초 영국 선교사 로날드(MacGillivray Ronald)는 論鴉片爲中 國之大害 라는 문장을 발표하였다. 그는 우선 당시 중국과 영국에서 일부사람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는 아편반대 운동에 대해 긍정적인 평 가를 하고 있다.
서양의 열심 있는 자들이 禁煙會를 설치하여 아편문제를 연구하고 있 고 최근에 듣기로는 영국내에서 더 왕성해졌다는 말을 들었다. 또한 近日 중국의 뜻이 있는 선비들 중에서도 禁煙會를 發起하였다는 말을 들었다.
심히 기쁜 일이다.43)
동시에 청조가 아편무역을 통해서 부당하게 수입을 얻는 것에 대해 비판을 하고 있다. 즉 청조가 명분상은 아편금연을 하면서도 실제로는 종용을 하고 있고 그것을 통해 국고 수입을 올리고 있는 것에 대해 강 한 비판을 하였다.
중국 정부의 마음을 추론해보건대 실제로는 금연의 의도가 없는 것 같 다. 아편의 수입세금을 통해서 국고를 보충하려고 한다.44)
그는 청 정부는 금연의 의지가 없고 표면적으로는 금연을 내세우지 만 실제로는 부당하게 이익을 얻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그는 일부 지방관들의 아편금연의 노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 를 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없이는 아편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고 말하고 있다.45)
Ⅲ. 아편무역 반대와 아편 금연에 대한 소개
42)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58卷, 1875年 10月), p.1836.
43) (英)季理斐(譯), 東吳范述, 社說論鴉片爲中國之大害 (萬國公報 207冊, 1906年 4月), p.24139.
44) 위와 같음.
45) 위와 같음.
1. 아편 무역반대의 논리
萬國公報
에서는 영국 의회의 중국에 대한 아편무역 금지에 관한 토론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 소식들을 전하고 있다. 大英國 事, 譯請禁鴉片大略 이라는 문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인도에서 생산되는 아편은 중국에 주로 수출되었고 인도의 아편은 기 본적으로 동인도 화시에서 생산되는 것이었다. 이것은 영국이 중국의 아 편문제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중국의 아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국의 지배하에 있는 동인도회사의 아편생산문 제를 해결해야 한다.46)
중국에서 귀국한 선교사들은 중국의 아편문제에 대해서 깊은 이해 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중국에서 직접 보고 들은 아편흡연의 피해 를 영국사회에 보도하고자 했다. 교회와 선교사들의 요구하에 영국 下 院에서 인도에서 중국으로 아편을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자는 의론이 생겨났다.
萬國公報
에는 이 상황에 대한 보도를 하고 있다.비록 당시 일부 의원들이 의회상에서 아편금지에 대해 노력을 하였 지만 대다수의 의원들은 인도의 입장에서 아편문제를 옹호하려고 하였 지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아편무역이 초래한 피해를 인식하지 못했 다.47)
일부 의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하면서 아편무역 금지에 대해 반대를 하였다. 어떤 이들은 아편무역이 인도에 큰 이윤을 자져다 주 고 있고 어떤 이들은 아편이 중국인들에게 반드시 피해만 준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어떤 이들은 아편의 피해는 중국 스스 로가 초래한 것이라고 주장하였고 아편을 단지 有害한 식품으로만 보 지 말고 酒類와 같은 것으로 보자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다.
현재 영국이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편을 통해 얻는 수익이 적지 않 46) 大英國事, 譯請禁鴉片大略 (萬國公報 322卷, 1875年 1月), p.606.
47) 黃智奇, 亦有仁義 -基督敎傳敎士與鴉片貿易的鬪爭, p.90 참조.
다…… 인도에서 아편을 재배하는 것과 중국이 아편을 구입하는 것은 결 코 인도가 중국에게 강요해서 그런 것이 아니다. 或者는 영국과 인도의 잘못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그것이 아니다. 실제로는 중국 상인들이 스 스로 구입하는 것이다.
아편의 피해는 서양의 술로 인한 피해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하나 는 동쪽에 하나는 서쪽에 있을 뿐이지 兩者의 피해는 같다고 할 수 있 다.48)
이 문장의 결론 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중국에서 아편의 피해에서 벗어나는 것은 단지 한 가지 방법뿐이다.
기독교를 전하여 기독교를 신봉한 자들은 아편을 끊게 해야 하고 아편을 흡연하는 자들에게는 결코 세례를 행해서는 안 된다. 기독교를 신봉하는 자가 많아지면 아편을 흡연하는 자들도 줄어들 것이고 아편은 저절로 없 어질 것이다.49)
위 문장에서는 아편과 술을 동급으로 취급하고 있는데 兩者는 동급 으로 비교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기독교를 통해서 중국인들이 아편의 피해로부터 해방되기를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선교사라는 직 업의 특징상 주장할 수 있는 내용이겠지만 다소 주관적이고 편협한 의 견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1877년과 1890년에 상해에서 제1차, 2차 선교사 대회가 열렸다.50) 1877년 제1차 선교사대회에 참가한 선교회는 29개였 고 선교사들은 모두 126명이었다.51) 1차 선교사 회의상의 토론의 주제 는 모두 23가지였는데 그 중 하나가 아편에 관한 문제였다. 아편문제 에 관한 토론에서 영국선교사 5명이 참가하였는데 이것은 미국 선교사 3명보다 많은 숫자였다. 이것은 영국이 아편무역과 직접적인 관련이
48) 大英國事下議院議印度鴉片事 (萬國公報 380卷, 1876年 3月), p.1387.
49) 위와 같음.
50) 여기에서 소개하는 회의는 순수하게 아편금연을 목적으로 개최된 회의는 아 니었다. 회의 중 아편금연과 아편무역 반대에 관한 내용들이 포함이 되어서 그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51) 이들 중 미국국적이 72명, 영국국적이 49명, 독일 국적이 1명, 선교회에 속하 지 않은 자가 4명이었다.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영국 선교사 존 그리피스(John. Griffith)는 직접적으로 아편무역을 행하는 자들을 지적하며 비판하였다. 그는 아편무역은 결코 도덕적이 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모든 선교회들은 아편 흡연자를 절대로 교회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52) 이 대회에서 다음 과 같은 4개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1. 아편흡연은 신체를 심히 손상시키는 사회적인 악행이다.
2. 비록 현재 아편무역이 허용이 되어 있지만 이것은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 영국에게도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중국인들의 심중에 아편을 증오 하는 마음이 크고 또한 중국의 기독교 전파에도 큰 장애가 된다. 본 대회 에서는 속히 아편무역이 중지되기를 깊이 희망하는 바이다.
3. 본 대회는 아편무역을 철폐하였을 때의 발생되는 상업적 곤란을 충 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우리들은 하나의 신념을 가지고 있다. 즉 '도덕상 의 원칙이 정치적, 경제적의 이익보다 앞설 수 없다'는 것이다.
4. 본 대회에서는 각 기독교 국가들이 합심하여 영국정부와 영국인들 을 각성시키고 아편무역을 중지시킬 것을 요구한다.53)
이 내용에서 보았을 때 당시 선교사들은 아편문제에 대해 비교적 일치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아편흡연과 아편무역은 큰 잘못 된 것임을 인식하였고 아편무역을 폐지하였을 때 오는 복잡성을 알았 지만 그것을 해결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종 교적, 도덕적인 신념을 가지고서 아편무역을 반대하였던 것이다.
13년 뒤에 열린 1890년 제2차 선교사대회에서는 1차대회 때처럼 아 편문제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다.54)
2차 선교사대회의 아편문제의 토론은 주로 더젼이 작성한 使用鴉 片的禍害 라는 문장을 듣고 토론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이 할애되었다.
더젼은 이 문장에서 오직 영국정부가 먼저 아편무역을 금지해야지
52) GCR, 1877, p.365.
53) GCR, 1877, pp. 472-473 ; 于恩德, 中國禁煙法令變遷史, p.118 참조.
54) 총 14일의 회의 기간 중 단지 하루 중 오후 시간을 이용하여 아편문제를 논 의하였다.
만이 중국정부가 아편을 금지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중국은 원 래 아편의 생산지가 아니었고 또한 아편에 미혹된 국가도 아니었지만 외국과의 불평등조약 이후 아편이 중국에 범람하였고 아편을 제어할 수 없게 되었다고 지적하였다. 아편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영국과 중국이 같이 아편금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그는 영국국회와 미국대통령 및 중국의 총리아문에 선교대회의 견해를 전달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55)
중국에서 뿐만 아니라 1888년 영국 런던에서도 선교사회의가 개최 되었다. 이 회의는 영국, 미국 등의 교회와 선교단체가 주축이 되어서 개최된 회의였다.56) 이 회의에서 아편 무역 반대에 대한 문제가 주요 논쟁 중의 하나였다. 이 회의 상에서 아편문제에 대해 발언한 선교사 는 모두 16명이었는데 그 중 단지 인도에서 온 커스트(R. N. Cust) 선 교사만이 영국의 아편 무역을 지지하였다. 그는 아편 무역을 금지하는 것은 단지 중국에 해로울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인도의 아편 생산을 변호하면서 “아편 재배와 생산은 정부가 허락한 합법적인 것이 며 그들은 세금까지 정부에게 내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커스트의 이 러한 발언은 당시 영국 국회가 아편 무역을 찬성하고 지지하는 입장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커스트의 의견에 대해 영국 선교사 허드슨 테일러(J. H. Taylor)는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나는 코스트 선 교사가 제안한 것에 대해 조금도 고려할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영 국은 그 잘못된 행위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그는 덧붙여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내가 깊게 체험한 것은 영국이 중국에서 일주일간 아편무역을 행하는 잘못된 행동은 선교사들이 일 년 동안 중국에서 행하는 선한 일을 다 망
55) GCR, 1890, p.335.
56) 이 회의에 참가한 영국인은 모두 1316명으로 53개의 교회 단체에서 참가하였 다. 그 외에 캐나다 9개의 단체 30명, 유럽 교회 18개 단체 41명 및 미국 57개 단체 189명이 참가하였다. 이 회의에 관한 내용은 黃智奇, 亦有人義 -基督敎 傳敎士與阿片貿易的鬪爭, pp.89-95를 참조하였다.
쳐놓는다는 것이다.57)
회의에 참석한 대부분 선교사들은 아편은 중국인들에게 해롭고 중 국인들이 피해를 입는 것은 영국정부의 책임이라고 지적하였다. 대부 분의 선교사들은 영국의 부도덕한 행위를 지적했고 議案을 통과시켰 다. 그 주요 내용은 1. 영국 정부가 인도를 통해서 아편을 제조하고 판 매하는 것을 비판하고 2. 오직 영국 정부가 아편 무역을 근절하는 것 을 인정해야 만이 아편무역이 완전히 근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3.
영국의 모든 기독교도들에게 神에게 간구할 것을 호소하였고 4. 수상 에게 이 안건을 제출할 것 등이었다.58)
비록 이 회의를 통하여 영국 정부가 아편 무역 정책을 수정하는 데 까지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이 회의는 영국 교회와 신도들의 적 극적인 반응을 얻었다. 영국 貴格會는 1890년 상해에서 열린 2차 선교 사대회에 보낸 편지에서 “1888년 선교사 회의 이후 많은 교회들이 매 월 첫 째 수요일 아편 무역을 폐지하기 위한 기도회를 열기로 했다.
이 기도회에 참가한 이들은 모두 3038명에 달했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국회의 決議案이 약간의 진전을 보인 것도 1888년 런던 선교회의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59)
또한 이 회의에 참석한 선교사 브롬홀(Broomhall)은 영국에서 “基督 敎徒同盟”을 성립하여서 영국의 교회들에게 아편 반대에 관한 소식을 선전하였다. 1889년 “기독교도동맹”은 영국 교회들에게 “아편이 중국에 끼친 폐해”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었다. 이 편지는 영국 전국의 15개 의 교회 지도자들의 서명과 지지를 얻었다.60) 1891년 영국 각 지역의 57) 이상의 내용은 Johnston James, ed, Report of the Centenary Conference of Protestant Missions of the World, held in Exter hall 9-19, June, Vol 1, (London: 1888), pp.130-133. 黃智奇, 위의 책, pp.91-92에서 재인용.
58) 이상의 내용은 Johnston James, ed, Report of the Centenary Conference of Protestant Missions of the World, held in Exter hall 9-19, June, Vol 1, p.471.
黃智奇, 위의 책, p.92에서 재인용.
59) GCR, 1890. p.704.
60) A. J. Broomhall, Hudson Taylor & China Open Century, Book-7, It' is
아편 반대 협회, 교회 단체, 선교단체 등은 영국정부에 모두 3352통의 아편 무역을 반대하는 청원서를 제출하였다.61)
국내외의 강렬한 금연의 여론 하에 청조는 光緖 32년 (1906년)에 아 편 흡연을 금지하는 조서를 반포하게 된다. 동시에
禁煙十條章程
을 반포하여 1908년부터 1917년까지 10년 기간 이내에 아편을 근절하겠다 는 계획을 세웠다. 점진적으로 아편의 재배와 흡연을 근절시키려고 하 였던 것이다.62) 1907년에는 영국과 中英禁煙條約 을 맺어 중국의 아 편근절 효과에 따라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영국이 인도산 아편의 중 국수출을 완전히 중지할 것을 결의하였다.63)영국정부도 1906년 아편무역을 철회시켰다. 이것은 국제적인 여론의 압력, 영국 국내의 아편무역에 대한 비판 등도 있겠지만 선교사들의 아편의 피해를 알리는 보도와 아편무역 반대 활동도 상당한 작용을 하 였다고 할 수 있다.64)
2. 아편 금연 방식의 논리
선교사들이 중국인들의 아편금연을 도와준 것 중에서 戒煙所65)를 설치한 것이 가장 구체적인 방법이라고 하겠다. 선교사들은 계연소는 아편금연의 의지가 약한 중국인들을 도와주는 비교적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서양 선교회들은 중국 곳곳에 계연소를 설 Not Death to Die, (London: Morgan & Scott, 1988), pp.74, 187 참조.
61) 노재식, 19세기 말 서양인들의 근대 중국 아편흡연에 대한 인식과 아편금연 활동에 관한 연구 -중국 內地會의 입장을 중심으로 , p.431 참조.
62) 朱籌朋編, 光緖朝東華綠 第5冊 (北京: 中華書局, 1958), p.127.
63) 于恩德, 中國禁煙法令變遷史 (臺北: 文海出版社影印本, 1973), p.115.
64) 노재식, 19세기 말 서양인들의 근대 중국 아편흡연에 대한 인식과 아편금연 활동에 관한 연구 -중국 內地會의 입장을 중심으로 , p.434 참조.
65) Chinese recorder에 아편 금연 장소를 Opium Refugee Hospital로 기록하고 있 다. 그리고 중국 학계에서는 이것을 戒煙所라 명하고 있는데 본문에서는 이것을 따라서 戒煙所라 표기하려고 한다.
립하여 중국인들의 아편 금연을 도왔다. 그 중 중국내지선교회(China Inland Mission)가 설립한 계연소가 가장 두드러졌고 기타 선교회들도 내지선교회를 따라서 계연소를 설립하였다. 예를 들어 영국 浸禮會는 1891년에 山西省에 내지회를 본받아서 계연소를 설립했고66) 1890년대 이후 연합장로회가 四川省에, 영국의 웨슬리 선교회가 湖北省에 계연 소를 설립했다. 미국 장로회는 山東省 齊南에, 미국 循道會는 福州에, 캐나다 장로 선교회는 湖南省에 각각 계연소를 설립했다.67)
이러한 선교회와 선교사들의 도움 하에 아편흡연자들이 아편을 금 연하고 또한 기독교를 받아들인 자들도 있었다. 그 중 福建省의 林振 珍과 山西省 太原의 席勝魔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데 석승모에 행적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석승모는 원래 秀才 출신이었다 가 후에 기독교에 귀의한 후 아편금연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68) 그 는 원래 아편을 흡연하였다가 후에 금연을 하게 때문에 아편의 폐해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석승모는 중국인의 아편 금연을 적 극적으로 도와주었다.69) 또한 그는
萬國公報
에 아편 금연에 관한 글 들을 발표하였다. 대표적인 문장은 1880년 발표한 戒煙 이라는 문장 인데 그는 이 글에서 먼저 아편의 피해를 지적하고 있다.아편의 폐해는 작게는 개인의 몸을 쇠하게 하고 크게는 국가를 기울게 한다. 또한 아편의 피해는 가까이는 州府에, 멀리로는 온 천하에 미치게
66) Mac. Gillivary, A century of Protestant Missions in China 1807-1907 (San Francisco: Chinese Materials Center, 1979), p.80.
67) China Mission Hand Book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6), p.96.
68) 席勝魔(1836-1896)의 본명은 席子直으로 山西省 平陽府 사람이다. 1851년 秀 才가 되었고 1879년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다음해에 이름을 席勝魔로 改名하였 다. 席勝魔에 관한 연구서는 Mrs. H. Taylor, Pastor His: Confucian Scholar and Christian (London: Morgan & Scott, 1923)이 있다. 이 책은 중국어로 번 역되어서 홍콩에서 출판되었다[戴存義著, 劉翼凌譯, 席勝魔傳 (香港: 福音證 主協會, 1993)]. 이 외에도 査時杰, 中國基督敎人物小傳 (臺北: 中華神學院出 版社, 1983), pp.22-25에서도 席勝魔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69) Mrs. H. Taylor, Pastor His: Confucian Scholar and Christian, p.193.
된다. 개인의 福이 아편의 흡연으로 다 날아가 버린다.
그리고 그는 중국인들에게 교훈하기를 “속히 아편의 惡에서 빠져나 와 上帝의 힘으로서 재앙을 면하여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70)
계연소는 비록 중국인들의 금연을 어느 정도 도와주었지만 아편을 완전히 금연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즉 아편을 금연하고 다시 아편을 흡연하게 된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1896년 통계에 의하면 계연소에서 금연을 교육받은 이들은 모두 1088명 이었지만 그 중 단지 170명만이 일 년 사이에 다시 아편을 흡연하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 다.71) 중국내지선교회 소속인 휘처치(Whithchurch)선교사는 어느 마을 을 방문하였을 때에 작년에 금연을 치료 받은 자들이 다시 아편을 흡 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72) 이러한 상황의 원인을 선 교사들은 첫째로는 금연자들의 의지가 강하지 않고 둘째로는 금연을 돕는 중국인들이 眞心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내지선교회 선교사 피터(W. G. Peat)는
Chinese Recorder
에 “나는 의지가 확고 하지 않은 자들이 임의대로 戒烟所를 운영하는 것을 반대한다. 가능하 다면 戒烟所는 선교사들이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라고 보도하였 다.73) 그의 발언은 당시 계연소를 돕는 중국인들의 신앙이 깊지 않고 그들에게 계연소의 책임을 맡기는 것이 문제가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선교사들이 계연소를 설립한 목적은 아편흡연자들을 도와 아편을 끊게 하고 궁극적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이고자 함이었다. 하지만 점차 로 선교사들은 아편금연과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것은 큰 연관성이 없 다는 것을 깨달았다. 계연소를 통해 진정하게 기독교롤 받아들인 자는
70) 席勝魔(席子直), 戒烟 (萬國公報 606卷, 1880年 9月), p.7520.
71) China Mission Handbook(Shanghai: American Prebysterian Mission Press, 1896), p.327.
72) Opium Refugee Work, China's Millions (Lomdom: Morgan & Scott, 1898), p.40.
73) Opium: It's Medical, Moral and Church Aspects, Chinese Recorder, 1893, p.184.
얼마 되지 않았고 금연을 하였다가 다시 아편을 흡연하게 된 경우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당시 일부 상인들은 이윤을 얻기 위해 모르핀(嗎啡)을 아편의 대체물로 판매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인들도 모르핀의 작용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고 단지 그것이 아편을 대체할 수 있다고 여기었다. 하 지만 모르핀은 마약의 일종이고 심지어 아편보다 더 심한 작용을 끼 칠 수도 있음을 알지 못했다. 사람들은 모르핀을 금연의 한 방법이라 고 여기었고 마약의 일종이라고 여기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선교사들 도 그렇게 인식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젼은
萬國公報
상에 論鴉片之弊 라는 문장에서 모르핀의 작용에 대해서 지적하면서 모르핀 의 작용과 성분 및 인체에 끼치는 작용에 대해 논하였다.74)Ⅴ. 결 론
18세기 말부터 발생한 중국사회의 아편문제는 19세기 후반에 가서 는 더욱 심각해졌다. 아편의 흡연은 개인의 건강을 해치는 것으로 끝 나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자손의 건강에까지 악영향을 미쳤다. 아편 흡연자는 처음에는 소일거리로 시작하였지만 일단 중독이 되면 활력과 性的 기능이 쇠약해지고 몸이 극단적으로 말라갔다. 즉 정신과 신체가 쇠약해지면서 마침내 폐인이 되다시피 한 것이다.
아편의 흡연은 개인의 가정과 경제상황의 악화는 물론이고 가족의 해체라는 결과까지 몰고 올 수 있었다.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이라도 아편 중독자가 있는 경우 한 사람의 수입이 크게 줄게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아편구입으로 인해 막대한 지출이 발생하게 되었다. 궁핍한 가 정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보통의 가정의 경우도 이로 인해 가산이 탕진되고 부인과 자식이 흩어져 가족이 이별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 74) (英)德貞, 論阿片之弊 (萬國公報 632卷, 1881年 3月), p.6141.
였다. 아편흡연자들은 부유한 일부층을 제외하고는 결국에는 가산을 탕진하고 아편을 구하기 위해 사기와 절도행각까지 하거나 거지로 전 락하기도 하였다.75)
천진조약 이후 중국에서 아편재배가 가능하게 되면서 농촌사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아편재배지역이 증가하면서 식량생산지역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심각한 식량부족 사태가 유발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근대 중국사회의 아편문제에 대해 서양 선교사들은 깊은 관심을 가지고 그들이 보고 들은 바를 萬國公報와
Chinese Recorder
상에 발표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아편피 해에 대한 인식, 아편무역의 반대, 아편금연의 활동에 관한 내용들은 당시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지적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 국과 영국사회에 아편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다시 한 번 인식시키고 아편금연과 아편무역 폐지를 추진하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하지만 그들이 아편무역을 반대한 원인은 아편무역으로 인해 중국 인들이 서양 국가들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동시에 기독교와 선 교사들에게도 반감을 가졌기 때문에 기독교 전파에 장애가 되었기 때 문이었다. 즉 그들이 아편무역을 반대한 궁극적인 목적은 중국에 기독 교를 전파하는 장애물을 없애기 위함이었다. 또한 일부 문장에서 보이 듯이 그들은 아편금연을 단지 종교적인 힘과 노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였고 종교적인 힘에 의지하면 쉽게 아편금연을 성공할 수 있다고 낙관하였다. 여러 선교회들이 계연소를 세워서 아편흡연자 들의 금연을 도와주었지만 그 최종적인 목적도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함이었다. 하지만 선교사들은 아편금연과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것은 큰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결국 아편금연은 단순한 종교적인 힘과 수양에 의존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가 결합 되어서 완성된다는 점을 선교사들은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75) 박강, 아편과 20세기 중국 (서울: 선인출판사, 2010), p.47.
(中文摘要)
西方人对近代中国鸦片的认识
-以
万国公报
和
教务杂志
的内容为中心-卢 在 轼
鸦片问题是中国近代严重的社会问题之一. 来华传教士为了维护传教利 益, 从一开始就对鸦片吸食和鸦片贸易坚持反对的态度. 尤其是1860年代以 后, 基督教在中国有了大的发展空间, 来华传教士的数量也上升. 中国鸦片 泛滥的状况引起了进入中国内地传教士的关注. 于是, 他们利用创办各种刊 物作为手段, 对中国鸦片问题进行了猛烈的批评. 其中, 中文报刊
万国公 报
和英文期刊
教务杂志
(Chinese Recorde
r)刊载了大量反对鸦片问题 的文章, 对中国鸦片问题的原因、
严重危害的情况、
劝戒烟的方法等问题 给予了深刻深讨.
万国公报
是宣传禁烟方面的影响最大的刊物.
万国公报
原名
中国教会新报
, 1868年9月由美国传教士林乐知创办于 上海, 1874年改名为
万国公报
, 1889年由英美传教士在华基督教组织-广 学会接办.
万国公报
是一份新闻报道、
中外时事评论、
中西学介绍与研 究的综合性的期刊. 该刊在华的40余年里, 在宣传基督教教义同时, 也对促 进中西文化的交流做了一些工作.
万国公报
自创刊起就对鸦片问题予以 关注, 进入1870年代以后, 鸦片问题成为
万国公报
所关注的重要问题之 一.
万国公报
和
教务杂志
登载的鸦片文章充分认识到鸦片在华流毒的危 害性, 所以对吸食鸦片人提出了进行批判. 它们认为鸦片不仅是醉人的奢侈 品, 还是有害的毒品. 鸦片会伤害身体、
败坏道德和社会. 同时,
万国公报
和
教务杂志
认为基督教在中国难以传播, 是鸦片贸易的缘故. 中国人向 来就憎恶西方人, 因为被西方国家打败, 还被强制输入, 看到那些基督教国家, 就对基督教很反感. 因此,
万国公报
和
教务杂志
上极力宣传反对鸦 片贸易. 同时, 还介绍鸦片禁止的方法.
万国公报
和
教务杂志
的反鸦片言论不仅表明了传教士对鸦片问题的 基本态度, 对广大华人信徒甚至对基督教有很大反感的中国人都产生了重 要的影响, 而且19世纪末由传教士占主导的禁烟活动的开展, 打开了坚实的 舆论基础.
万国公报
和
教务杂志
是较有影响的综合性刊物, 对近代中国反鸦片 运动发挥了一定的作用, 但也存在着明显的局限性. 它们在宣传反鸦片的同 时, 鼓吹基督教教义, 还强调上帝制造万物, 宣扬基督教的救世教义. 这两 份期刊上登载的反对鸦片和鸦片贸易的文章的最终目的仍是基督教在华的 传播.주제어: 만국공보, 교무잡지, 아편, 선교사, 아편무역 關鍵詞: 萬國公報, 敎務雜誌, 鴉片, 傳敎士, 鴉片貿易
Keywords: Wanguo gongbao, Chinese Recorder, Missionary, Opium trade (원고접수: 2011년 9월 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10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10월 19일, 게재 확정: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