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農村 人口 移出이 農業勢動力에 미치는 影響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農村 人口 移出이 農業勢動力에 미치는 影響"

Copied!
19
0
0

Teks penuh

(1)

地理學論業, 第9 號, 1982年 12月, pp.81,-..,99.

農村 人口 移出이 農業勢動力에 미치는 影響 -事앤I 地域間 比較짧究-

((目

1 序 論

(1) 昭究目的

(2) 없究方法 및 資料

2. Á 口移出

i (爛動機및 過程

(2) 移出形態

金 基

次》

3. Á 口移出의 社會經濟的 影響 (1) 農村經濟 A 口의 構成 (2) 農業勞動力 및 農業機械化 (3) 土地利用 및 農民의 意識構造

4. F터 ~b. ÄffiI

1. 序 論

(1) 鼎究目的

開짧途上國은 大部分 資本이 賞困한 반면 豊 富한 勞動力을 지니고 있다. 이들 國家의 經濟 成長過程에 있 어 서 λ、的資源(human resources) 에 對한 投資는 物的資源(material resources) 이1 對한 投資와 함께 緊要하고, 또한 A的資源의 地 域間, 塵業部門間에 의 適正한 配置는 重要한 意

味플 가지고 있다 1)

大部分의 國家는 經濟發展 過程에 서 都市化 ( urbanization) 를 겪 게 된 다. 都市化는 傳統社會 로 옮겨 지 고, 農村的 經濟體制로 부터 都市的

經濟體制로 轉換되는 社會에서 볼 수 있는 經濟 成長 및 社會變動의 本質的 훨困이 되고 있다 2) 都市化는 또한 社會의 經濟的 與件變化에 따른 人口의 移動, ~p 都市에로의 人口集中 過程으록 도 定義될 수 있다 3)

開發途上國의 經濟成長에 있어서 都市에로의 A 口移動은 1 次塵業으로부터 2-3次塵業에로의 部門間 A 口移動의 過程中에서 發生하며 4) 이는 塵業λ、口 構造의 變化를 유발한다. 따라서 開發 途上國에 있어서 A 口移動現象과 社會經濟의 發 達은 密接한 關係가 있게 띈다 5)

人口移動이 社會·經濟에 미치는 영향은 地理 學을 포함한 여 러 學門 分野에 서 重몇한 關心事

1) Herrick, B.E. 1965, Urbaη Migr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Chile M.I.T. Press. pp.3-5.

2) Bose, A. 1972 “西部 및 東南亞細亞에 있어서의 都市化 過程," Leo Yakobson and Ved Prakash eds., Urbanization aηd Natioηal Development, Á 口 問題없究所譯, p.93.

3) 都市化 過程이 란 간단하게 都市成長 (the growth of cities) 이 라 定義할 수 있 i 나 좀더 크게 社會的 變動 (societal change) 의 과정 이 라 할 수 있 다. “이 미 주어 진 環境에 서 -定水準의 生命과 안전 을 얻 기 위 한 λ‘

口 配列方式”이라 定義한 Lamtard의 견해는 좀 넓다. 그러나 이 定義는 社會의 空間的 再組織 (spatial reorgoniza tion) 의 개 념 상의 의 미 플 가지 고 있 다. 한 국가의 都市化의 結果는 全 A 口 中에 차지 하는 도시 거주자의 比率로써 都市化水準을 측정하는 것이 一致된 의견이다. (T.G. Mcgee: 1972. “촉진제냐 암이냐”

Leo Yakobson and Ved Prakash eds. op. cit. pp. 181-182. ).

4) Shaw, R.P. 1974 “A conceptual model of rural-urban transition and reproductive behaviour,'’ Rμral Sociology, Vol. 39, p.70.

5) Todaro, M.P. 1969, “A model of labour migration and employment ín less developed countries,''' Americaπ Economic Revieα1, Vol. 59, p. 139.

(2)

가 되어왔다 6)

특히 地域間 A 口移動은 地域性의 變化에 對 한 人間의 反應이무로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重훨한 意味를 지난다 7)

우리 나라는 1960年代 以後 經濟開發이 本格化 되 면서 急激한 社會經濟的 變化-傳統的 農業社 會로부터 塵業社會에 로의 轉換과 國民經濟의 跳 鍵-를 겪어왔다. 이 期間동안 두드러진 社會現 象 中의 하나는 地域間 人口移動이 었고, 特히 農 村으로부터 大都市에로의 人口移動이 두드러졌 다 8) 이는 韓國의 近代化 過程에서 2-3次塵業 의 입지가 大都市에 集中되면서 國民生活의 모

든 便益(facili ties) 이 주로 大都市에 偏重된 것 에

기인한다.

農村으로부터의 A 口移出은 農業勞動力의 流出 을--意味하고9) 農村의 社會經濟에 變化를 유발한 다. 人터移出에 따른 農村의 社會經濟的 變化는

6) 다음 둔헌을 참초할것.

地理學 分野를 포함한 國內의 여 러 學門分野에 서 구준히 짧究되 어 왔다 10) 그러 나 從來의 昭 究에 있어서는 農村이 都市의 相對的 觀念으로

使用되 어 農村 • 都市라는 地域 區分에 따라 全

體農村을 等質地域(homogeneous region) 으로 간 주하여 農村의 社會• 經濟的 變化現象을 설 명 하 여 왔다. 그러 나 農村과 都市와의 關係, 特히 人

口의 移動性 (mobi1ity) 은 A 口移出地域의 立地的 特性 및 住民의 意識構造와 關聯되 어 說明되 어 져야 한다 11) 이는 人口移出의 動機, 形態 및 影響등은 地域의 立地性(locational context) 과 관련되 어 地域間에 相異하게 나타나기 때 문이 다.

本 船究의 目的은 첫째, 昭究地域에서 立地的 特性에 따라 나타나는 農村 A 口移出의 移出 過程 및 形態를 說明하고, 둘째 이에 따라 農 業勞動力과 聯關되 어 農村에 미 치 는 社會經濟 的 影響을 밝히는데 있다. 各 農村의 狀況을 地

金 仁. 1976, “國土의 都市化와 都市體系 空間構造의 변천 (1976-2001), " 地理學 14號, pp.41-57.

金炯國. 1973, "都市規模分布와 都市化 政策 都市問題 第8 권 제 4 호 pp.52-74.

Berry, B.].L. 1961, “City size distribu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Friedmann,]. and Alonso, W. eds. Regional Deνelopmeπt and Plaηηiπg, M.I.T. Press (1969), pp.573-588.

Hirshmann, A.O. 1958, The Strategy of Ecoπomic Development, Yale University Press.

Myrdal, G. 1957, Economic Theory and Underdeveloped Regions, M.I.T. Press.

OECD (Organization of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1979, Migration, Growth aηd Deνelopm­

ent, Paris.

Ckun, B. and Richardson, R.W. 1961 “Regional income inequality and internal population migration"

Friedmann, j. and Alonso, W. eds. op. cit, pp.303-318.

、Nilliamson , j.G. 1965 “Regional Inequality and the Process of National Development" Ecoηomic Deve- lopment aηd Cultural Change, Vo1. 13, pp. 2-84.

7) Stephen, E. White, 1980, “A Phi1osophical Dichotomy Migration Research", Professioηal Geographers, V 01. 32, p. 6.

8) 農村人口는 1967년부터 이해의 16, 078千名을 고비로 하여 1979년에는 10, 883千名으로 12年間 1967年度의 약 32% 에 해 당하는 5.2百萬名이 감소되 었우며 이 는 年平均 약 3.2%의 감소율이 다. (農水塵部 : 農林統計報,

1970,1980).

9) 全體 就業A 口 中 農業A 口의 比率은 1966년 55.7%에 서 1979년 34.0%로 감소한다. (農水塵部: 農林練計年 報, 1970, 1980).

10) 다음 둔헌을 참조할것.

金安濟, 1980, “農村 • 都市變換過뚫과 地域開發政策 環境論護, 第6 號 pp.1-28.

柳佑益, 1981, “農村A 口의 都市指向移動이 農村地域에 미치는 影響 地理學論養, 第 8 號, pp.33-43.

Dege E. 1981 “南韓 農業地域의 發達에 있 어 서 地域的 및 部門內的 隔差 地理學, 第 24號, pp.79-87.

Koo, H. and Barringer, H.R., 1977, “Cityward migration and socio-economic achievement in two Korean cities," Rural Sociology, Vo1. 42, pp.42-55.

Mangap Lee and Barringer, H.R., 1978, Rural-Urbaη Migratioπ aηd Social Mobility: Studies of three 8cuth Koreaη Cities, Papers of the East-West Population Institute.

Renaud, B.M. 1973, “Conflicts between national growth and regional income equality in a rapidly growing economy: The Case of Korea," Ecoηomic Deνelopmeηt aηd Cultural Change, Vo1. 21, pp.

429-443.

11) Harris, R.S. and Moore E.G. 1980, “An historal approach to mobi1ity research," Professoηal Geog- rapher s V 01. 32, p. 28

(3)

域의 特性에 따라 評價하여 農村과 都市와의 關 係를 理解하는 것이 韓國農村에 對한 問題플 천 착하는데 보다 근접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 이다.

(2) 鼎究方法 및 資料

A間의 空間行態(spatial behaviour) 中의 하나 인 地域間 A 口移動 12) 은 現在 居住地域 (origin) 의 社會經濟構造와 轉出對象地 (destination) 의 機能 및 接近度 (accessilility)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人口移出의 影響은 農村의 立地的 特性,

즉 自然 修件 및 地域中心地의 階層, 機能, 接 近度에 따라 地域間 相異하다 13) 이 에 따라 本 짧究에 서 는 서 로 다른 地域을 比較 昭究함으로써 -農村의 人 口 移出 및 그것 이 수반하는 社會經濟的

影響·의 共通性과 相異性을 究明하고자 하였다.

人口移動에 關한 從來의 昭究는 主로 센서스 資料블 토대 로 總體的 分析(macro-analysis) 을 시도함으로써 A 口移動의 ~般化된 패턴을 說明 하는데 치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昭究方法으 로써는 人口移動의 主體인 個人과 小集團(家口) 의 행동패턴이 明廳하게 說明되기 어려우며 14) 또한 說明 過程에서 生態學的 誤覆(ecological fallacy) 가 말생 되 기 쉽 다 15) 왜 냐하면 人 口 移動 의 動機와 形態는 移住者 (migrant) 가 屬해 있는 全體社會의 복지 (welfare) 나 經濟水準보다는, 個 人의 社會經濟的 地位나 家口의 經濟水準 그 자 체에 브다 큰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16) 이에 따 라 本昭究에 있어서는 農村의 常住人口와 移出 人口의 社會經濟的 變數-個A의 性, 年敵, 敎 育, 職業-를 比較 分析하여 A 口移出에 關한

說明을 시도하였다.

都市에 로의

A

口 移出은 農村의 社會經濟構造 特히 農業勞動力에 影響을 미 친 다. 農村社會는 家口라는 個別的 單位블 바탕으로 成立하고 있

다17) Á 口移出이 農業勞動力의 流出이라는 測面 에 서 農家는 가장 直接的인 影響을 받는 最小單 位의 集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農家 의 不足勞動力, 觀地規模, 農機械, 農業從事者

敎育水準 등 社會經濟的 變數間의 關係를 分析

함으로써 人口移出이 農業勞動力에 미치는 影響 을 說明하고자 한다.

本 昭究을 途行하는데 있어 서 立地的 特性과 中心都市와의 憐接性 관계 를 검 토한 후 農業이 탁월하게 나타나는 다음 네지역 9개里를 짧究地 域으로 選定하였다. 18) (그림 1 쫓照、)

蘇策地域 : 京離道 始興합G 蘇策몹 中林里(家口

數 : 160戶)

利川地域 : 京驚道 利)I i 那 相沙面 新똘里, 京

沙 2里, 후田里(家口數 : 185戶) 中原地域: 忠淸北道 中原郵 蘇台面 홈良里,

加좁里, 別뽑里(家口數 : 166戶) 寧越地域 : 江原道 寧越那 下東面 玉東里, 禮

密 2里(家口數 : 145戶)

冊究資料에 있어 서 觀存 賢料 中 本 짧究目的 에 適合한 資料는 매우 賞弱하여 各 지역에서 家口調홈, 里長과의 面談 등을 포함한 現地調흉 (field research) 플 通해 陽究에 必、몇한 資料를 魔集하였다. 現地調홉는 利川地域에서 鍵備짧養 를 實施하여 設問紙를 修正한 後 1981年 10月 20 日부터 82年 2 月까지 各 地域에서 行하여 졌 다. (표-1 參照、)

1. 調훌 豪口數

地域Il

==

蘇泰 i j ","利)""1 11 I 1 .-h= 中原 I | I:&cbI' 寧越 I | 合計

調훌家口 I ,'I;I'l'J'l" j 'r'J/ l1 j 1=rleJ j

全 家 口 (戶)

j 160i 185 166 1451 656

設問家 口 (戶) I 991 130: 1391 1221 490 (5'0) \c62. 9)\c70. 3)\(83.

7끼 (84. 1)1

(74.7)

家 族 數(名 4311

64t 7271 4961 2,295

12) Jakle, A. 1976, Human Spatial Behaviuor: A Social Geography, Duxbury Press, pp.147-148.

13) Okun, B and Richardson, R. W. op. cit., p.304.

14) Bcse, A., op. cit, p.121.

15) Colledge, R.G. 1980, “A behavioural mobility and migration research," Professioηal Gecgraphers, Vol.

32, p.15.

16) Andrei Sìmic, 1973, rThe Peasant Urbanites: A Study of Rural-Urbaη Mobility SerbiaJ, Seminar Press p.75.

17) Wolf, E. R. 1966, Peasants, Prentice-Hall, p.l77.

18) 各 觀統計資料와 面長과의 面談을 通하여 地域을 選定하였다.

(4)

그힘 1. 흙究地域

o lk끼

!

이천지역 //

(/

--“

J ·녕

}

~

·요L

----

??J·hhLL

··람

hr Em r

v---.꾀-.

·」꾀하깜.老

끼·.

L

ν1 이간ιL·γ--쉰펠/μμυ

’ ---.

r

?)

·‘

.

、.--.해

-‘<’

1

1iI

‘‘---/

.

-、ι7y L‘---”、(1l끼---\ \、、、、이‘ν내、 ’「 JιIL끼,캐뻐짜μtj\、\ ιι

/

cii

‘” J

·//

-//

-\--팎“”·모·”·「

ι1서서:”.

lT

·) in

(녁

1 ι””앙

\

、、、 ~ 、.ι·.·싸시.꾀”””u·;

”꾀끼

/·J·피----?、→

η‘·”--강펀

Uμ

…”

·낸

.→·.γ:ν·

---j

至,

ν /---내이

[

\//

-농 명$ ---」

n l

·”·꽤

T

i

---4

E l1--μ

숙」」사、. ”

fLJ

미「다πμj 「

ι、

파·펴

‘ 、나

嚴(/

\ j

””

·3

섹””팍각

l

”쉰

lι!

i

~

ν···깐

·---;

/

洞/

·“,

---”“.낀녁

i/

\”:·ι·ν.

9

ν .·앓

j

.“

·’

~ 사“ 쉰 ·r·시;

--ι””

소래지역

보깅

펴 觀 객

l y1

훌훌

1

/·,

/ -

4

딩”

·/

/

1 -- /

\

ll

|I

|

|

|ι||----μ

)

lA

내 끼싸

1

l

시 히 γνivv 1」끼 ” μl 쩌

Jl

L:

Jμιι

r 、니

( ι

μ 넨.간 ι 웹

ι

쉰뜸 짜 기 지 qR

//

갚·년 ι1?) ιf→~ ι.

‘.

j

---넌···댄퍼

”“

---k「이시” U ·r··”\끼\

••

,•

μ.“\ F

··?/jlyL.[·k·.、 --간

/-;

/

γ

·L l

J

-?

~·페

ι\

~f

3

\

」←L----업J

1JI

〉\/\니》備7 A---l lllj--ll

/

~、r」rτηj ι

/(

*η 」、、 빼”

、·~

·、

/

l /

-’

、//↓\/\

\

|4

:

」니|

영월지역 중원지역

(5)

2.

農村 人口 移出

本 章에서는 移出入口의 性 (sex), 年觀 (age), 敎育年限 (education) 및 敎育받은 地域, 職業

(occupation) 등을 分析, 農村 常住人 口 의 그것

과 비교함으로써 A 口移出의 動機 (motive), 過 程(process) 및 형 태 (pattern) 를 說明하고자 한 다.

(1) 移出動機와 過程

農村人口는 보다 나은 社會經濟的 地位블 얻 거 위 해 都市루 移出한다. 따라서 移出動機는 經濟的 動機와 社會的 動機 19) 가 가장 큰 比重을 차지 한다. 開짧途上國에 서 敎育은 社會經濟的 地 位를 높이는페 重흉흉한 수단이며 이에 따라 社會 的 動機中 敎育이 차지 하는 比重이 매 우 크다 20)

敎育은 바로 A的資源의 形成이 며 生塵者로서 의 能力과 消費者로서 의 能力에 對한 同時 投資

플 意味한다 21) 따라서 敎育은 低所得에서의 脫 皮手段, 즉 學門을 寫한 것이라기 보다는 戰業 을 얻기 馬한 手段이 되는 것이다 22) 이러한 敎 育을 寫한 社會的 壓力은 經濟的 動機에 의 해 影響을 받게 되고 農村A 口는 더 나은 社會• 經 濟的 地位플 얻기 寫해 보다 良質의 敎育언 都 市敎育을- 願、한다. 왜냐하면 農村)、口에 있어서 의 都市敎育은 都市 就業活動의 中間段階로 간 주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2'3 차 산업에의 취업’과 ‘都市敎

育’이 移出動機에 重훨한 몇因으로 作用함에 따 라, 移出의 過程은 이러한 動機에 의해 크게 영 향을 받는다. 移出過程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 른 몇因은 轉出地域 (origin) 의 地域性이 다. 각 地域은 各各의 고유한 (unique) 地域性을 가지고 있고, 그 地域性은 住民의 空間行態에 큰 영 향 을 미 친 다. 地域性 中 特히 中心都市와의 관계 는 주민의 轉出地(destination) 선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開發途上 國에 있어서,A.口移出의 動機와 地域控은 移出 過程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移出動機에 따른 轉出地의 選擇은 〈표 -2) 와 같이 나타난다. 蘇策, 利川地域에 서 移出據定家 口 가 모두 서 울大都市로 ~方的으로 指向하고 있으나 中原, 寧越地域은 移出動機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中原에서 經濟的 理由 로 轉出하는 27 家口 中 大都市를 選擇하는 家

口는 12 家口 (44.4%) 이고 中小都市를 選擇하는 家口는 9 家口 (33.3%) 로서 大都市指向的인 反 面, 社會的 理由로 移出하는 家口中 大都市를 選 擇하는 家口는 2 家口(12.5%) 인데 비해 中小都 市를 選擇하는 家口는 14家口로 (87.5%) 中小 都市指向的임을 블 수 있다. 寧越地域에서는 經 濟的 動機로 移出하는 12 家口中 7 家口 (58.3%) 가 서 울 • 大都市를 3 家 口(25%) 가 中小都市를 선택하고 社會的 動機로 移出하는 2 家口는 모 두 中小都市를 選擇한다. 이 地域에 서 도 中原地 域과 마찬가지 로 經濟的 動機는 大都市 指向的

표. 2 移出動機와 轉出地選擇(家口單位: 戶)

늑::---쁜렐|蘇 泰|利 川 j 中 原|寧 趣

~動雙~I經濟的理由|社會的理由l짧的理由|社會的顧|經濟的理由!社會的理由|羅的理由!社會鍾굶

轉出地 l,ln::1R 1-I:J~IIl III!.L 13 1-I:J-'OtP=l J~n::1A 1-I:J~P=l I"!.L 13 1-I:J~IIl I~n:: 1F11-1:J-'OtlIl ill!.L 13 1-I:J-'OtP=l I

大 都 市*

3

I

4

I

13

I

4

I

12

I

2

I

7

I

中 小 都 市** 0 1 0 1 0 1 0 1 9 1 14 1 3 1

其他캄ß 部 01 01 01 01 21 01 11

未 定 1 o 1 11 01 41 01 1 :

*.

서 울大都市 (Seoul Metropo1itan) 와 쏠山, 大邱, 大田융 指稱한다.

** .

中原地域에서는 忠州, 淸州, 寧越地域에서는 提J[[, 原 1'1、l 가 주로 나타났다.

19) 本 맑究에 있어서 經濟的 動機는 ‘직엽변경’과 ‘農業의 未子’로, 社會的 動機는 ‘자녀의 교육을위해’와 ‘家 族親知가 있어서’로 大別되어 나타나고 있다.

20) Friedmann, J. 1965 Regioηal Deν elopment Policy, M.I.T. Press p.89.

21) Kindleberger J,C and Herrick B. op. cit, p.102.

:22) Friedmann J. op. cit, pp.91-92.

(6)

이고 社會的 動機는 中小都市 指向的임을 알 수 있다.

이는 中原과 寧越의 非常住A 口의 居住地域 과 목적 을 보면 보다 明確히 드러 난다. <표 -3) 에서 農村A 口는 두 地域 모두 “敎育은 中小都 市에서, 就業은 大都市에서”라는 形態를 따고 移出함을 보여준다. 이는 A 口移出에 있어서 段 階的

A

口 移動(step migation) 이 나타나고, 이 는

~次的 移出動機와 密接한 關係가 있음을 의 미 한다.

표 3. 非常住 目 的과 居住地域

(單位: 名)

寧 越

就 業|敎 育

늦굽的~ 뺀첼호-볕

轉出地 ~i 就 業

j

敎 育

서 울

大都市

151 61 中小都市 81 321

中原: X2-Test=15.12(~P(0. 05)) df=l

寧越 : XLTest=7.22 (츠 P(0.05)) df=l

中小都市가 經濟的 動機보다 社會的 動機의 轉出地로 選好된다는 것은 혈으로 中小都市가 經濟的 動機로 移出하는 A 口를 課引하는 吸收 力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진술될 수 있다. 이 는 다시 말해서 서울을 비롯한 大都市로의 과도 한 集中投資로 因해 서 고용기 회 가 큰 大都市가 就業A 口의 流入에 유리하게 作用하고 있는 반 면 地方 中小都市는 沈潤되 어 就業λ‘ 口 를 吸收 하지 못하고, 就業A 口보다는 敎育A 口를 受容 할 都市的 與件이 農村에 相對的으로 유리 하게 作用한다는 뜻이다.

以上의 論議에 서 移出過程을 〈그림 2) 과 같이 시사할 수 있을 것이다.

1) 農村A 口의 移出過程中 就業을 目的으로 할 경 우는 大都市 指向的 즉 飛地的 移動을 하며 ,

2) 敎育을 目 的으로 할 경 우는 憐接 中心都市 내 지 는 小都市 指向的 즉 -→次的 移動을 하고,

3) 全國的 스케일로 총괄해 볼때 우리나라의 都農 A 口移動 패턴은 農村-(憐接都市)-大都市 로 이어지는 大都市 수렴형의 단계적 이동 형태 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이는 -‘次的 動機와 밀

〈그림

2>

훌村A口移出의 段階樓型

太헤3꺼i通If!J뼈I'S

"H

(딛 'fD

X 힘JjII~양i[(

j용村

c~.t쫓딩에~) (중w 딩的)

m

며1 小il!1I1î 야 R

$tH

4 5

접한 관련을 맺으며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에서 都市敎育이 農村 A 口移出에 주요한 因子로 作用하고 있음을 보았다. 도시교육이 職 業을 얻기 위한 手段으로서 社會• 經濟的 壓力 을 받아 이 루어 질때 , 都市敎育을 받은 農村A

口는 고용기회가 많은 都市를 居住地로 선택하 여 農村으로 되 돌아오지 않음을 의 미 한다. 그라 고 그들은 家族 中 農村 잔존인구에 對해 도시 에로의 吸引力을 갖게 된다. 이는 船究地域에서 家口單位로 도시교육율과 비상주 언구율23) 의 관 계 에 서 잘 나타난다. 利川, 中原, 寧越地域이 각각 R=O. 45

,

O. 37

,

O. 56으로 두 변수간의 관계 가 유의하다. (~plO. 05) 이는 A 口移出에서 都 市敎育→都市就業→農村A 口吸iJ l 의 性格을 때는 連鎭移出 (chain migration) 이 나타남을 보여준 다. 利川, 寧越地域에 비 해 中原地域이 相關關 係가 낮은 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郞 利川, 寧越地域에서 行해지는 도시교육은 이 마 移住費用(migration cost) 을 부담한 교육이 었 지 만, 中原地域은 通學으로 이 루어 진 都市敎育 으로, 都市 就業을 하기 寫한 移住費用의 부담 이 人口移出을 억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는 도시 교육을 마천 個A의 행 동은 그들의 교육 받은 지역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 여준다.

(2) 移出形態

發展理論에 서 는 모든 人間은 同~한 生塵力을 지닌다고 假定한다. 그러나 λ、間의 勞動力은 그 社會의 技術水準과 個A의 敎育, 年觀에 따라 서로 다르다 24) 이러한 차이는 각 個A의 勞動 23) 都市敎育率=家族中 都市敎育年限數/家族全體敎育年限數

非常住A 口率=非常住 家族數/家族數

24) Kindleberger, C.P. and Herrick, B., Economic Deνelopmeπt, McGraw Hill, pp.97-98.

(7)

地城l옳숨훗뺏1

0"-'4

I

5"-'9 110"-'14115"-'

19:Z0"-'24125"-'29130"-'혜35~39;40~4쐐"-' 49 1 50 '" 54 1 55 얘 91

60'" 1

蘇泰 | 좋훌꽤 ~Iv5: gj ?3: ;l?1g: 3| 15; §| 13: g! §: #| lg: §| ?3: a| 양: 5| 양: S| 5: ;{ 6: 3i 13: 5| 9;: $ f1J}"1 좋짧;1혈靜lv1g: §| 13: 뿔뿔f;: g| ?5: 3| ?3: Z| ?3: ;| 5: a| 5: 2| 3: ;l g: 3l t;: $

原 | 좋鐵 a { ?3: ;| ?5: 551g: 3| 12: 3| 3: :| ?3: @| ?5: F 3: gl 5: §l 8: 3| ?3: 31Afijg總 寧越 | 좋앓꾀 Z ! ?; ;j ?5: aj l;: a| 13: ;| 3: §l 3: 5| ?:: 3| ?3: 3| ?3: a| S: 3l s: a! 3: all8: 3l 9g: @

生훌훌性에 서 로 다른 影響을 주게 되 고, 勞動力 의 差異는 各 個A의 行動에 다르게 반영된다.

그러 묘로 앞에 서 論한 인구移出의 動機와 過程 은 勞動力流出의 意味를 가지는 A 口移出의 형 태에 반영되어 A 口移出은 개인의 社會, 經濟水 準에 따라서 선 별 성 (selectivity) 을 떠 게 된 다 25)

가. 年觀 選BU性(age selectivity)

陽究地域 家口構成員의 年顧分布와 全國의 그 것과 比較하면 〈표 -4) 와 같다.

全國과 陽究地域과의 年觀別 構成比 分布가 큰 差異를 보이는 것은 바로 A 口移動形態、의 年 顧選몽U性 (age selecti vity) 을 반영 하는 것 이 다.

全國의 年顧層보다 構成比가 낮은 年顧層은 蘇 泰地域이 0"-'14세 , 35"-'49세 利川地域이 0"-'14 세, 25"-'44세 中原地域이 0"-'14세 25"-'39세, 50

"-'59세 , 寧越地域이 0"-'9세 25"-'44세 , 年敵層 으로 나타난다. 네 지 역 이 共通的으로 0"-'14세

(寧越은 0"-'9세 ) 年顧層에 서 構成比가 낮은 것 은 國家가 질시한 家族計劃政策의 成功과 出塵 力을 지닌 年觀層A 口의 移出에 기인한다 26) 轉 出 A 口의 年觀層은 蘇蘇地域을 제외하고 거의 같게 나타난다. 蘇蘇地域에 서 全國年離層보다 낮은 年觀層이 35"-'49세 年觀層으로서 다른 地

域보다 바교적 高敵에서 나타나는 것은

10"-'15

년전 서울市에의 接近度가 낮았을 때 이미 移出

한 흔적으로 思料된다.

家口員中 非常住A 口의 年顧分布를 브면 蘇薰

地域에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20"-'24세, 25"-'29) 세 年觀層에 서 높게 나타난다. 그러 나 全體的으 로 非常住A 口의 比率은 2.6% 로 매우 낮다. 이 는 蘇蘇의 特珠한 位置的 與件 則 서울과 仁川 의 通動園에 屬해 있어 非農業部門 (2, 3次 塵業) 의 就業A 口가 農村에 常住하면서 大都市地域으 로 通動하기 때문이다(<그럼 3) 참조) . 이 地域에

서는 通動A 口가 20"-'34세의 年顧層에 集中되어 있어 通動A 口에 있어서도 선별성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利川地域은 20

r、

J24세 年顧層에 非常

住A 口率이 가장 높으며 (5.6%) 15"-'29세 年購

層에 全體非常住A 口

12.4%

중 10.3%가 集中되 어 있다. 中原地域은 20"-'24세 年敵層에 非常住

A、口率이 가장 높으며 (4.5%) 非常住A 口 8.4%,

中 7.4%가 15"-'24세 年顧層에 集中되어 있다.

寧越地域은 20"-'24세 年顧層에 非常住A 口 率이 가장 높고

(2.8%)

全體 非常住A 口

9.2%

6.8

%가 15"-'29세 의 年觀層에 分布한다. 이 상 3개 地域의 非常住A 口는 就業, 敎育의 對象地域

(都市)이 遠距離에 있는 關係로 蘇菜와 같이 通 動에 依存하기 보다 移出을 擇한 것으로 思料된

다.

以上의 年觀構造 分析에서 農村A 口中 勞動生 塵性이 높은 30-40代年觀層의 r5 有比가 全國의 같은 年顧層의 A 口構成比에 비해 훨씬 낮다는 것은 단적으로 農村A 口의 年觀 選別的 移動이 농후함을 입증한다. 또한 非常住A 口의 年顧構‘

25)

Sim뺨n

Alan, 1979, Social

Chaηge aπd Interηal

Migration, IDRC-TC6e, pp. 43-70.

參照·

26) 柳佑 ft, op. cít, p. 36.

- 8 7 -

(8)

5. 學歷別 A 口構成홈 (單뾰 : %)

|옳강쫓빨:1 無

蘇 ~ \75.8 43.9

非常住 A 口 0.0 0.2

}常住 A 口 j 이O.

1 44.5

非常住 A 口 0.0 2.5

|常住 A 口 j?62

56.4

非常住寧越 0.0 1.0

60.1

非常住 A 口 0.0 1.2

24.0 38.7

* .

學歷區分에 서 國退와 國在, 中退와 高在, 大退와 大쭈에 포함시켰다.

造는 現在도 젊은 年顧層 (20"-'30세)이 계속 移 出하고 있음을 시 사한다.

나. 敎育 選別性(education selectivity)

船究地域 家口構成員의 學歷別 A 口構成比는 全國의 그것과 對比하면 〈표-5) 과 같다.

全國의 學歷別 A 口構成比보다 낮은 學歷水準

은 蘇葉

利川地域이 無學과 大후, 中原

• 寧越 地域이 無學, 高쪼, 大후로 나타난다. 無學이 4地域 모두 낮은 것이 未就學兒童 (0"-'7세)의

A

口減小에 依한 것임을 감안할 때 農村에셔 높은 敎育水準을 지닌 A 口는 이미 家口單位로 移出

한 것을 알 수 있다.

家口員中 非常住A 口의 學歷水準을 보면 蘇菜 地域의 경 우 高후이 가장 높고 高후이 상의 學歷 水準을 가진 非常住人口는 全體 非常住A 口 2.5

% 中 2.1% 를 차지한다. 이 地域에서는 常住A

|

후|高 후|大 추 l 計

I

14.7

I

5.0

I

100.0

<\7: 全國 構成比 보다 낮은 學歷層〉

大在 및 專門大學은 各各 國후, 中후, 高쭈,

口 中 通動A 口의 學歷水準이 高후이상에 칩중 되어 있어 實質的언 常住A 口, 耶 蘇蘇地域 內 에서 經濟活動을 하는 A 口의 敎育水準은 훨씬 낮아짐을 알 수 있다. 利川地域에서는 非常住A

口 12.3% 中 高후 以上의 )、口가 6.7% 로 가장

높고 國후, 中후이 각각 2.5% , 3.1%블 차지 한 다. 中原地域에서는 非常住A 口 8.4% 중 高후以 上의

A

口 가 5.6%로 가장 높고 國후, 中후 01 각각 1. 0%, 1. 9%를 나타낸다. 寧越地域에서는 非常住人口 9.3% 中 高후以上人口가 4.6%를 차 지하고 國후, 中후A 口가 각각 1.2%, 3.4%를 차지한다.

이는 연구지역에서 學歷水準이 높은 人口가 이미 移出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農村의 生 活與件이 向上되 지 않는 한 敎育水準이 높은

A

口는 앞으로도 계속 選別的으로 移出할 것임을

표 6. 常住• 非常住A 口의 性別分布 (單位 : 名)

1끓歐~밸I~-짧 ---쫓센 利

[

\~좋표 i 非常住 | 常 住 ! 非常住

性5]lj---1_"_'_~'~~=--'

-

I 222(53)\ 7(86)

I

299 \ 57 1

女 1 188(56)1 4(36)

I

263 1 22

I

§:a | Z6

1

z:3 | :;

蘇泰 : X2=0. 38( 드p(0.05)) 中原 : X2=4. 6 1C능P(0.05)) (X 2=16. 96(~P(0. 05)) df=l

df=l

利川 : X2=9. 88( 능p(0.05)) 寧越: X2=6.18(~P(0. 05)

df=l df=l

* : (

)안의 수는 通動人口를 非常住人口에 포함시킨 숫자임.
(9)

시사한다.

다. 性別 選別性(Sex Selectivity)

끓자究地域의 常住, 非常住A 口의 性別分布는

〈표-6) 과 같다. 이러한 性別構造와 A 口移出과 의 關係에 서 選別性 與否를 分析하기 寫해 X2-

"Test 結果 네 地域 모두 95% 신뢰 수준에 서 有 意한 것으로 나타나(蘇菜地域은 通動A 口 包含) 男子가 女子보다 移出性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상 A 口移出의 形態에 關한 고찰에서 個A 의 敎育程度, 年敵層, 性別이 選別的 A 口移出 을 유도하는 근본 愛素임을 보았다. 이는 人口 移出이 勞動生塵性이 높은 A 口階層과, 移出로 인 해 발생 하는 기 회 비 용 (opportunity cost) 을 부 담할 수 있는 계층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移出 形態의 地域間의 差異는 蘇菜地域을 除 外하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A 口移出 의 대상지역이 分化되지 않고 서울大都市로 集 r 中하기 때문언 것으로 思料펀다.

3.

人口移出이 農業勞動力에

마치는 影響

地域間 A 口移動의 影響은 地理學者들 뿐 아 니 라 他學門 特히 地域經濟學者들의 重要한 관 심사이다. 이는 지역간 A 口移動이 A的賢源 즉 勞動力의 空間上 再配置를 意味하묘로 經濟成長 過程 中 중요한 한 部分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에 關한 昭究로는 從前의 一般均衝理論27) 을 비

판하여 累積的 因果領環(Cumulative Causation) 을 主張한 G. Myrdal의 연구와 -‘般행衝理論을 옹호하여 發展시 킨 A.O. Hirshmann(l957)

,

B.

Okun(l962)

, J.G.

Williamson의 船究가 代表的

이다 28)

앞 章에서 農村 人口移出이 選別性을 띠고 나 타남을 보았다. 이러한 A 口블 收容하는 地域은 良質의 노동력을 취득할 수 있게되어 資本의 累 積과 成長을 보게 되지만 29) 農村은 이에 반해 相對的으로 낮은 生廣力을 지 닌 人 口 層으로 構 成되어 都市• 農村間의 발전잠재력의 차이는 커 지케 된다. 本 章에서는 以上의 가설을 전제로 農村에 미치는 사회 • 경제적 影響을 論議하고자 한다.

(1) 農村의 A 口 構成

1970年代 韓國經濟는 미 증유의 好況을 누렸 다.

이 期間 中 韓國은 급격 한 社會經濟體制의 變化 를 겪었고 이에 따라 農村人口는 加速的으로 都 市로 移出하였다 30) 앞 장에서 人口移出이 選別 性을 며고 이루어지는 것을 이미 브았다. 이에 따라 농촌의 人口構成에 있어서 젊고 생산성이 높은 經濟活動人 口 는 걷-소하고 相對的으로 유 • 노년층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었다.

한펀, 農村에서 移出하지 못한 A 口는 農村內 에 서 部門間, 郞 農業部門으로 부터 非農業部門 으로 移動하려 한다. 물론 農村에 서 2 , 3 차塵業 의 意義는 매 우 크다. 限定된 土地資源、下에 서 는 農業所得의 增加는 限界가 있오무로 農家所得을 增大시키기 위해서는 農業外所得을 높여 주어야

27) 이 理論에 의 하면 國內에 서 經濟훨素의 이 동 (fator mobility) 은 지 역 간의 격 차릎 깜소시 키 고, 지 리 학적 二 重構造와 空間的 成極化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Richardson, H., 1969, Regional Economics, p. 288.) 28) Myrdal은 “ ... 經濟生動이 확장되어 가는 地方 및 地域은 그 나라의 다른 部分에서 純 A 口移動을 받아들이

고… 이러한 움직임은 급격하게 성장하는 地域社會에 有¥IJ 하고 그 밖의 地域社會에 不利한 경향이 있다.

이 러 한 움직 임 무로 지 역 간 不平等은 증대 된 다… "(Myrdal, op. cit., pp.23-28) 라고 하면서 종래 의 一般均衝 理論을 비판한다. 이후 Myrdal의 理論은 “발전이론으로 완천치 못하고 비현질적이며 "(Hishmann , op. cit.,

pp.56-69) “成長據點 (growth pole) 出現의 不可避性을 인식하지 못했고, 누적적 인과순환이 언젠가는 변환

(turning poin t) 를 맞게 되 는 강한 혐 의 출현 을 생 각하지 뭇했 고"(Williamson , op. cit. p.6, “균형 (equilib- rum) 과 평등 (equity) 을 혼동함무로써 엘반균형이론을 잘봇 이해 했다"(Okun B. op. cit, p.304) 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29) 都市地域에서도 否定的인 영향이 적지 않다. 異質的인 배경을 가지고 있는 A 口의 同化作用이 A 口流入단

계에 나타나, 기존의 교육체제, 社會集團, 經濟構造가 인구의 대량유업에 의해 흔들리며 이에 따른 비용 은 도시 가 부담해 야 한다. (Hathaway, D.E. “Migration from agriculture; the historical record and its meaning," Friedmann, J. and Alonso, W. eds. op. cit. p.480.

:.30) 農村人 口 는 1973년 14 , 644千名 으로 부터 1979년 10 , 833千名 무로 6년 간에 약 27.5%에 해 당하는 3 , 761千名 이 이출하여 연명균 약 4%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農水塵部農 : 林械計年報, 1980)

- 8 9 -

(10)

그립 3. 年樞別 λ 口합成

〈남〉 〈여〉 〈남〉 /며\

.1

"15-

뚫홉통근인구

70-7

覆籍 섭|상주인구

65- 6

慶짧농업인구

55- 59 60-64

麗평학샘

50- 54

.훌 2.3 차산업행}

45-49

40- 44

머무직혹은未詳

55- 59 .ìO- 51 25- 29 0- 2:1

5- 19 10-14 5- 9 0- 4

.

(%' 10 0 10 10 0 IO (%)

소래: N=431 이천: N=641

〈남〉 〈어〉

(%) 10 0

흥원: N=727

75 - 70-74 65- 69 0-64 55- 59 50-54 5-

491

40-44 35- 39 30- 34 25- 29 20- 24 15- 19 10- 14 5 - 9 0- 4 IO

〈남〉 〈여〉

-0 0

10 (%) 영월: N=496

(11)

한다는 것은31) 자명한 사실이다. 더군다나 農業 에 서 貨金으로 나타나는 勞動의 限界生塵性이 農業部門에 서 非農業部門에 서 보다 낮기 때 문 에 32) 農業A 口는 언제든지 農業部門으로부터 移 動하여 非農業部門에 취 업 하려 한다. 昭究地域 에서 常住A 口의 部門別 就業A 口의 연령構成比 는 〈그림 3) 과 같다.

蘇짧地域에 서 非農業部門에 의 就業A 口 는 20

"""'24세 , 25"""'29세 年觀層에 서 가장 탁월 하고

(6.5%, 5.8%), 全 年顧層에 골고루 分布하고

있다. 이 地域의 非農業部門의 就業A 口는 大部 分 서 울大都市에 로의 通動A 口 이 다. 利川地域 은 20"""'24세 , 25"""'29세 年敵層에 각각 3.0%, 1. 2% 로 가장 우세하고 전 연령층에 미약하나마 골고루 나타난다. 中原地域의 경 우 非農業部門 에의 就業λ、口가 미약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利 川地域과 좋은 對比가 된다. 두 지 역 모두 地域 中心地(利) 11 몸, 忠州市)로 부터 市內버스가 運 行되며, 通動團에 屬해 있다. 中原地域의 경우 中心地에 로의 時間距離(time dirtance) 는 45分으 로 利川地域의 20分보다 벌어 接近度는 보다 낮 다. 그러 나 中心地의 크기 는 中原地域이 利川地 域에 비해 훨씬 크다 33)

이러한 것을 볼때 두 地域의 相異性은 다음 진술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이는 忠州市가 배 후지역에 對해 農村A 口의 吸收力을 지니지 뭇 하는데 反해, 利川뭄은 서울 大都市의 영향을 받으며 忠州市에 비해 急激한 成長을 보임에 따 라 農村A 口 블 2, 3 차 塵業部門으로 흡수시 키 는 기능을 지니는 것에 기인하며, 둘째 農村에서 거 리 (distance) 가 住民의 中心地에 로의 접 근도 (accessi blity) 에 상당한 영 향을 미 치 고 있음을 보여준다.

寧越地域은 全體A 口의 3.9% 가 2, 3 차 산업에 종사하고 그 中 20 ,...,., 29세 의 年搬層에 2.2% 가 集中되고 있으며, 鍵業에 종사하는 2, 3次 塵業 人口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럼 4) 에서 보면 同一學歷水準의 人口中에 서 2, 3 차 산업에 종사하는 A 口의 비율은 교육 받은 기간이 걸어질수록 높아집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農業으로 부터의 選別的 A 口移出로 勞動生塵性이 높은 A 口가 移出함에 따라 農業 勞動力은 낮은 生塵力을 지닌 人口로 構成된다.

〈그림 4) 에 서 보면 農業從事者의 年觀層은 蘇 菜地域이 30"""'34세 50"""'54세 , 55"""'59세 , 60셰 이 상 연 령 층, 利川地域이 45"""'49세 , 50"""'54세 , 20"""'24세 40"""'44세 , 中原地域이 60"""', 50,...,.,54 세, 45"""'49세, 20"""'24세 연령층, 寧越地域이 50

"""'54세 , 25"""'29세 , 20,...,.,24세 , 55,...,., 59세 연 령 충 으로 주로 構成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農業勞動力이 人口移出로 말미암아 고령화를 면 치 못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한편 利)11, 中原, 寧越地域에서는 20,...,., 24세의 젊은 年敵層에서 農業從事者가 높게 나타난 다. 그러 나 이 年職層을 性別로 區分하여 보면

〈그럼 3 參照、〉 농업 종사자 中 男子가 각 地域에 서 5.0%, 4.3%, 4.0% 이 고 女子가 0.8%, 1. 8

%, 2.0% 로써 男子가 월등히 우세하다. 이 年 顧層에 서 女子는 無職이 높게 나타나며 利川地 域에 서 는 2 , 3次塵業從事者로 나타난다. 이 는 이 연령층에서 農業從事者로 나타난 男子는 學業을 마치고 2, 3次塵業部門에의 고용기회를 찾지못해 季節的으로 農業에 從事하는 잠재 적 失業A 口 엄 을 시사한다. 蘇짧地域은 30"""'34세의 年擺層에 農業從事者가 우세하며 이는 이 地域이 近였農 業地域으로, 商業作物의 執培가 탁월하게 나타 나고 農業所得이 높아 노동생 산성 이 높은 年敵 層의 A 口가 農業에 就業하고 있는 것으로 思料 펀다.

또한 農業從事者의 學歷水準을 보면 蘇菜, 利

) 11, 中原, 寧越地域에서 國후A 口의 비율이 全 體A 口 의 29.2%, 26.4%, 35.7%, 42.6% 로 가 장 높고, 學歷이 높아질수록 農業從事者의 비율 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31) Chinn, D. 1978, “Rural poverty and the structure of farm household income in developing countries,"

Ecoηomic Deνelopment aπd Cultural Change, Vol. 26, p. 300.

32) 1975年度의 質金水準은 全직 종을 100으로 할때 農村• 水훌業은 62.32-로 나타난다. (경 제 기 획 원 , 韓國의 社 會指標 1980)

33) 利川둠의 A 口數는 25千名인데 비해 忠州市의 A 口數는 113千名이다. (경제기획원 (1980); 인구 및 주태센서 스 장정보고).

- 9 1 -

(12)
(13)

(2) 農業勢郵力의 機械化

農業/\口의 移出은 米쫓을 짧主로 하는 우리 나라 營農형태에서 계절적인 農業勞動力의 不足 現象과 農業貨金의 上昇을 諸짧하고, 이 의 解決 策으로 農業機械化가 훨求된다. 韓國의 營農機 械化는 營農規模, 我培作物, 그外 農村의 社會經 濟的與件을 감안하여 동력 경 운기 를 中心으로 한 기계화가 추진되고 있다 34)

本 節에서는 農村A 口移出이 農業勞動力에 미 치는 影響을 究明하기 위해 家口單位로 分析을 시도하였다. 農業勞動力과 관련되는 주요변수로 서 親地規模 (X1), 부족노동력 (X2 ) , 농기계보유 치 (X3 ) , 農業종사자 敎育水準 (X

4

) 35) 을 추출하 여 이들변수간의 상관관계플 산출하였다.

이들 변수간의 相關關係는 〈표-7) 과 같다.tfj:

作面積과 不足勞動力間의 相關關係指數는 각각 0.83, 0.91, 0.86, 0.71 로서 全 地域에 서 特作 面積이 넓 을수록 勞動力不足이 심 하다. 農機械 와 親作面積間의 相關關係指數는 利川地域에 서 0.71 로 높은 相關關係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 나 蘇歲, 中原, 寧越地域에 서 는 0.39, 0.44, 0.30으로 相關關係가 매 우 弱하다.

農機械와 不足勞動力間의 相關關係指數는 利 川地域에서 0.60으로 두 變數間에는 높은 相關 關係가 있으나 蘇짧, 中原地域은 0.23, 0.25로 相關關係가 미 약하고 寧越地域은 0.10으로 두 變數間에 는 l짧係가 없게 나타난다.

家口當 親地規模가 비교적 큰 利川地域에서는 親作規模, 不足勞動力, 農機械의 變數間에 나타

蘇泰地域

7. 相빼빼係 MATRIX

蠻數 Xl X2 X3

1.00 0.83* 0.39*

1. 00 0.23*

CN=86) 1. 00

X ,

0.11 0.12 0.25*

1.00 0.91* 0.71* 0.29*

1.00 0.60* 0.27*

CN=107) 1. 00 0.34*

& 1. 00

中原地域

I X1 I 1. 00 0.86* 0.44* 0.26*

X

2 1.00 0.35* 0.20*

X

S CN=133) 1. 00 0.18*

£ l

1. 00

寧越地域

X1 I 1. 00 O. 71 * O.

30걱

0.22*

X2 I 1. 00 O. 10 O. 02 X3 CN=110) 1. 00 0.09

X4 1. 00

*; Significant at 95% Level.

나는 높은 相關關係는 이 地域에서 家口의 執地 規模가 클수록 勞動力의 부족이 심 하고, 이 에 따 라 農機械가 受容됨을 의미한다. 즉 A 口移出로 인한 勞動力의 不足은 親地面積이 넓 은 上位階 }합의 農家에 農業機械化블 읍청發하고 農機械는 地域內에 서 內部擬散을 通해 유휴노동력 윤 發生 시킨다. 이 유휴노동력은 農業으로부터 流出하 여 다시 地域內에 農業勞動力 不足을 듭청중쫓시 키 고 동일한 과정으로서 農機械가 勞動力의 대치 수단으로 受容되는 것이다.

34) 이영열, 주경로, 1978, “선형 동력경운기 개량에 關한 연구 農조利用찍究. p.52.

35) 본 맑究에서는 다음과 같은 方法으로 변수값을 산출하였다.

%Jf{1p面積; X1=C1+CZ

C1 ; 親作 짧面積 C2 ; 觀作 田面積 不足勞動力 ; X2=L1-Lz

L1 ; 作物별 재배에 필요한 -年間勞動時間

Lz; 家族의 연령, 성벌에 따른 1 년간 보유 노동력(단위 : 시간)

(資料) 산엽개받 위원회 ; 農業勞動調호, (인구문제연구소, 1971, 이농인력이 농촌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책 p.32에서 再引用)

農機械 保有碩 ; X3= εMiPi

Mi; 各 농커계의 보유렛수(動力에 限함) Pi; 80년도 농커계 구입가격

(資料) 농업기계조합, 農機械 연감 (1980).

農業從事者 敎育水準 X4=E/A E; 農業 從事者 總、敎育水準

A; 農業 從事者數

- 9 3 -

(14)

그러 나, 中原地域은 農機械가 勢動力 대 치 수 단으로서 의 意味가 매 우 弱하며 寧越地域은 없 다. 이는 이 지역에서 농기계가 노동력부족과는 무관하게 수용됨을 의미하며 이것은 農家가 農 機械블 受容할 필요성 과 또한 受容할 수 있는 經 濟力을 가지지 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思 料펀다. 이 地域에서는 親地規模의 협소 등 諸 愛因들록 인해 農機械는 農業에 괄목할만한 效 用의 증가블 가져다 주지 뭇한다. 또한 선별적 인구 이 출로 인한 農業勞動力의 高敵化로 因해 農家는 農機械購入등의 農業授資에 對한 뱃가플 바괄만한 긴 시간적 여유가 없다. 또한, 農機械 가 農業從事者의 敎育水準과의 상관관계 가 약하 거 나 없다는 것은 (0.25, 0.34, 0.18, 0.10), 이 미 농기겨1 가 農業生塵性向上과는 관계가 없음을 시 사한다. 이 러 한 요인들로 인해 農家는 農機械 受容의 必要性을 느끼 지 못한다. 또한 小農經濟 에 있어서 農機械에 따르는 費用은 非農業所得이 이미 약한 상태에서는 農業所得의 增大로써 부담 을 해야하며, 이는 土地利用의 集約度플 높여 單 位土地當 生塵性을 높여 줌으로써 가능해 진다.

그러나. 다른 여러 要因들에 의해 이미 集約化 펀 土地 fiJ用下에 서 더 이 상의 集約化는 거 의 不 可能하다. 이 에 따라 小農은 農機械블 受容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없는 것이다. 이들 地域 에 서 는 季節的안 勞動力의 不足現象을 一時的인 露橫勞動이 나 農機械의 貨借, 農業勞動力 中 家 族勞動의 비율을 높염으로써 해결하려 하고, 이 에 따라 農機械는 農業生塵性의 向上보다는 다 만 ~時的이 고 特珠한 意味'þ!p 종래 의 重勞動 을 대치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

蘇英地域은 農機械를 受容할 經濟力은 있다.

그러나 都市에의 기대감과 商業作物이 主로 我 培되는 土地利用으로 인해 大型農機械는 受容이 되지 않고 이로 인해 農機械는 勞動力대치의 의미블 매우 약하게 지니게 되는 것으로 思料된 다.

農機械 수용이 單純히 農業勞動力不足에 대 한 해결책으로 認識되고 受容이되면 勞動力대치 수

단이외의 의미를 가지지 못하게 된다. 왜냐하면 農村에서 非農業部門이 취약하여 현재의 農村人 口移出이 離農=離村向都的의 性格을 따는 限,

農機械의 受容은 農村의 發展濟在力에 아무런 영 향을 주지 못하고 단순히 피 상적 인 農業技術 의 現代化를 意味하기 때문이다. 이것 또한 韓 國全體 農村에서 農機械가 원활히 受容되지 봇 하는 理由 中의 하나이 다.

(3) 土地利用 및 憲識構遭

앞의 船究에 서 農業으로부터 地域間, 部門間 A 口移出로 農業勞動力은 45세 이상의 높은 연 령층과 중졸 이하의 낮은 교육수준을 지닌 A 口 로 主로 構成됨을 보았다. 단순히 農業從事者의 人디數만을 볼때 部門間 A 口移出을 수반한 農 村 A 口移出은 農業에서의 과잉노동력을 해걷하 는데 기여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移出人

口의 勞動力의 質的인 面에서 볼때 새로운 技術,

敎育水準을 지 니 고 있는 勞動力은 이 미 농촌에 서 流出되 어 있는 상태 이 다. 또한 農業勞動力의 高顧化는 肉體的 能力(physical capability) 을 낮 추게 되 고36) 農業勞動力의 不足現象을 유발한 다. 또한 農民은 새로운 영농방식에 대한 수용 태세가 소극적이 되어 이러한 影響은 농촌의 로 지 이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韓國 農業의 特徵은 小農經濟體制이다37) 인구 의 移出은 農 家口當 親地規模플 다소 상승시 킨다 38) 그러나 執地面積의 總代的 不足과 土地개 핵에 따른 大農의 몰락과 小農의 증대, 그 이외 의 社會的 喪因에 의 해 韓國農業은 小農經濟體

8. 執地規模別 農象構成 Jt (單位 ; %)

~地規模

地域l 蘇 泰 利 川 l 中 原|寧 越

m갱 Tω 「꼬

7 0 0

-m -

Uμ|사께꺼비‘‘‘,에끼l쩌꺼!히이Il--du-­

”“

야ω

uu 3 2

-m -

에씨」이ll셰익시씨|이익1끼」[이1-

M

m

mμ πω

9

-m -

찌씨1이의시거l찌꺼비씨lm꺼기씨씨---­앓 7ω μ

0 0

-m - ---지- 맨 뼈 없 빼 없 샘

-- Lm

셔 서‘ 얘 Jη

1M { -

36) Hathaway, D.E. op. cit. p.475.

37) 金俊補, 1973, r農業 經濟學 序說」 高麗大學校 出版部 p.63.

38) 戶當 籍地規模는 1978년 1.00ha로 1965년의 O.91ha에 비해 증가했다.

(15)

(單{{L; %)

9. 작물별 식부면적 구성비 변화

蘇 素 l f$3;E; }

利 시l | 1$ai#; I

中 原 ! 13§1;a; |

寧 越 | 1$1;a; l

1.9

\71.2 0.9

\70.8 4.8

\74.4 6

4 -4 8 -1 3 -4 2

-n

강 -Mω 강 -끼“

% 53.3

\751.0 57.6 57.7 35.0 45.8 11. 9 13.5

35.6

\729.6

옮u 를 뱃어나지 못하고 있다 39)

연구지역의 경지 규모별 농가구성비는 〈표-8) 과 같다. 1ha 以下의 執地를 가진 農家가 각 지 역 에 서 全體 農家의 67.8%, 35.5%, 49.7%, 77.4% 플 차지하고 있어 利川地域을 제외한 다른 農村地域은 半이 상을 곱하고 있다. 親地規模 2ha

이 상의 農家는 蘇蘇, 寧越地域에 서 나타나지 않 고 利川地域만이 각각 26.0%, 6.1% 를 나타내 고 있다. 盧業社會로 전환하기 위해 國家가 政策的 으로 實施한 低米價政策, 農村人口의 移出로 인 한 農業勞動力不足에 따른 農業質金의 上昇이 資本主義 市場經濟에 서 나타나는 農塵品과 工塵 品의 價格差의 증가, 子女의 都市移出에 따른 敎育費의 증가등으로 인해 農家의 經營收支는 二重, 三重의 壓追을 받게 된다. 이러한 經營收 支下에서는 農家는 執地規模를 확대시킬 수 있 는 經濟力을 가질 수 없케 된다. 더군다나 주로 農家의 勞動力不足으로 發生되 는 음성 적 인 小作 行寫41) 는 높은 貨借料를 바탕으로 공공연히 행 해지고 있어 農家의 親作規模의 확대까지도 저 해되고 있다 42)

이에 따라 農家는 제한된 경지규모 內에서 그 들의 經營收支를 개선하기 위해 農業的土地利用 의 형태에 변화를 주게 된다.

|特用作物 i

8.6 15.8 8.5 12.3

1.5 7.8

菜藏類

11. 8

\77.6 12.4

\711. 7

11. 3 25.7 4.1

\72.1 16.3! 4.7 20.3 \72.6

3.0 3.4

19.4 6.8 1. 6 I 3.0 I

o.

3

?18.8 \72.6 11. 2 15.6

I

0.2

出處: 各部 統計 年報 1970, 1980 (1977) 船究地域의 1969年과 1977, 1979年度의 土地利 用의 變化 〈표-9) 를 보면 勞動集約的언 特用作 物, 鏡菜類, 果實類등 商業作物의 我培面積比率 이 上昇하고, 米顆을 除外한 食種作物(쫓類, 雜 觀, 훌훌類, 豆類)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다. 特 히 맥류의 경우 全地域에서 다른 作物에 비해 급 격한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맥류의 재배기 간인 農閔期에 農業에 從事하는 것보다 地域中 心地, 흑은 대 도시 로 季節的으로 移出하여 막노 동이라도 하는 것이 農業에 從事하는 것보다 수 익성이 높아 加速的으로 맥류 我培가 감소되는 것으로 思料된다. 蘇菜地域은 미곡의 식부면적 비율이 감소하는 대신에 藏菜類의 식부면적비율 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特徵的이다. 이 는 이 지역이 서울大都市에의 接近性이 높아 비 널하우스등의 소채재배가 米觀載培보다 收益性 이 높은것에 기인 한다.

小農은 勞動이 集約的으로 授下되 는 商業作物 의 比率을 높임으로써 單位土地當 土地生塵性을 높여 農家의 증가된 지 출을 충당하려 한다. 그러 나 集約的 토지이용은 급격한 地力의 소모를 가 져오고 수확체감의 法則이 作用하게 된다 43) 또 한 食量作物의 식부면적 감소는 國家의 식량생 산의 감소를 초래 하고 이 는 外國으로부터 의 食 39) 朱 奉圭, 1980, r土地經濟學」 서 울 大學校 出版部 pp.61-64

40) 農塵物價格의 對 勞質 패 리 티 율은 1975년 을 100으로 하여 1979년에 는 56%수준£로 떨 어 진 다. (농수산부 ; 農林緣計年報 (1980))

41) 1965년부터 1979년까지 農家戶數의 감소율은 연명균 0.9%로 農村A 口의 감소율보다 낮음(농수산부 ; 農林 純計年報 (1980)) 이 이를 의미한다.

42) 張東燮, 1980, r現行 土地制度의 不合理性과 解決構想」 農業經濟맑究 第22集. p.10.

43) 金俊補, op. cit, p.124.

(16)

10. 훌民의 훌훌흙造(가장 시급한것) (單位: 戶) 地域I ;t:!;' :::!Jt: 1.:r.1I 11,1 ...1-. =- I

區分

|

蘇 泰

|

j|l } 中 原 j 寧 越

農塵物價格 18 55 62 44

(18.2)* (45.5) (44.6) (39.6)

71 45 46 36

子 女 敎 育

(71.7) (37.2) (33.1) (32.4)

1 11 28 22

勞 動 力 不 足

| (1. 0) (9.1) (20.1) (19.8)

8 4 1 4

農 村 機 械 化

| (8.1) (3.3) (0. 7) (3.6)

1 6 2 5

土地制度改善{ (1. 0) (5.0) (1. 4) (4.5) 99 I 121 I 139 I

應 答 家 口 I (100~0)1 (1ÔO~O)1 (1ÔÖ~ 이

(100.0)

* ; (

)는 %

量作物의 輸入을 초래 한다 44)

이 와 같은 營農條件의 惡化와 土地規模의 영 세 화는 農民의 土地에 對한 受훌을 、펴喪시 키 고 結果的으로 農村으로부터 의 移出과 部門間의 移 出을 촉진시켜 결국 Myrdal이 지적한 바와 같 이 農村의 社會經濟는 더욱 불리한 與件에 놓이 게 펀다.

現在 農村 住民들이 바라고 있으며 가장 시급 하게 개 선되 어 야 할 사항으로 있는 것은 〈표-10) 과 같다. 利川, 中原, 寧越地域에 서 는 各各 全 體 農家의 45.596, 44.696, 39.696 , 71.796 가 농 산물 價格現實化, 蘇蘇地域에 서 는 農家의 71. 7

%가 子女敎育을 가장 시급한 것으로 선택했다.

農塵物價格 現實化가 제 1 JI頂位로 나타나는 것은 農家의 惡化된 經營收支에 기 인한다. 蘇짧地域 에 서 農塵物價格 現實化가 2J1直位로 나타나는 것 은 非農業所得이 높아 農塵物價格에 대한 認識 이 相對的으로 弱한 것에 기 인한 것으로 思料띈 다. 제 2 JI頂位로 시급한 것은 子女 敎育으로서 각 각 71.796 , 37.296 , 33.196 , 32.496로 나타난다.

이 는 農村住民들이 世代內(in tra -genera tion) 에 서 획득치 못했떤 社會, 經濟地位를 敎育을 通 해 子女들에 게 (inter-generation) 요구하고 있 는 것을 意味한다. 또한 이것은 農民들이 經濟力이 있다면 敎育을 寫해 언제든지 子女블 都市로 전 출시킬 잠재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제 3

JI直位로 農業勞動力 不足이 나타나고 이 외 에 農L 業機械化와 土地制度改善 등 農業自體 發展에 對 한 愈求는 미약하다. 이는 農村A 口의 선별적이 출의 結果로써 農民은 과거 의 農業制度, 관습 및 農業 技術의 變化에 對해 소극적이며, 意識 1 構造는 社會의 변화에 대해 비탄력적이고 경직 성을 따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4.

結 論

以上의 分析에서, 農村 人口移出과 그에 따른 農業勞動力의 變化는 다음과 같다.

1) 移出 A 口의 轉出地(destination) 選擇에 있어 서 移出動機와 居住地의 地域性이 중요한 흉월因 으로 作用한다. 이에 따라 移出過程에서 段階的

A 口 移出(step-migration) 과 연쇄 이 출 (chain-mig-

ration) 이 나타나고 있다.

2) 이러한 성격을 딱는 인구이출의 形態에 았 어 서 選別約

A

口 移出(selecti ve- mi gra tion) 이 나 타난다. 득히 연령, 교육, 성별 선별성이 뚜렷 하다.

(3) 農村內에 서 經濟活動人口는 年顧, 敎育 選別性을 떠며 部門間(農業部門→非農業部門)移 動을 한다. 이 部門間 A 口移動은 地域中心地악 기능과 캡근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4) 利川, 中原, 寧越地域에 서 는 20"-'24세 의 年顧層은 學業을 마치 고 非農業部門에 廣-購擬會 를 찾지 못해 季節的으로 農業에 從事하는 잠재 적 失業A 口로 나타난다. 地域間, 部門間 A 口 移出로 말미 암아 農業은 낮은 勞動生塵性을 지 니는 /\口層에 依해 經營되고 있다.

(5) 親地面積이 넓 은 利川地域에 서 農機械는 農業勞動力의 대치의미를 가지면서 受容되나 다 른 地域은 勞動力 대치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蘇짧地域은 都市에의 기대감 때문언 것으로 思 料되 며 中原, 寧越地域은 農機械블 受容할 必흉흉 性과 그 能力을 所有한 A 口層이 두럽지 못한 것에 기언한다.

(6) 이 러 한 農業勞動力의 構成은 農業의 發展

44) 변 형 윤, 1980, 韓國 經濟의 該斷과 反省, 知議塵業社 1980 pp.86-87.

Grotewald A. and Sublett M.D. 1967, “The effect of import restriction on land use: the United Kin-- gdom compared with west Germany," Eoηomic Geography, Vol. 43, pp. 46-70. 參照

(17)

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廣業Á r::t의 섭i敵化 와 學歷71<準의 지하는 농엽에의 大規模投資의 장에요인이 퍼고 있다. 짧民틀이 2시1 플에게 (in ter-genera tiol1) 廣菜줬本流出씌 성 격 을 따 는 都市敎育을 원하게 됨에 따라 農業의 발전 잠재 력은 더욱 약화될 것이다.

以上의 陽究에 서 各 昭究地域은 立地的 特性에 따라 A 口移出과 그에 따른 社會經濟的 變化가 相異함올 보았다. 農業으로부터의 勞動力의 流 出은 農業에서의 過剩λ‘口를- 흡수시키면서 農村 의 점을 럴어주었다. 그러나 選別性과 離農=離 村의 성격을 따는 人口의 大都市指向的 移動은 中小都市와 農村 서비스 中心地의 침체와 몰락,

農村 • 農業의 寶展港在力의 상실 이 라는 空間的

地域的 問題플 讓發하면 서 地域間의 격 차를 심 화시 켜 왔다. 經濟發展段階에 서 工業化는 당연 하다. 그러나, 鍵工業生塵의 확대는 일정한 수 준에 이 르면 勞動集約的에 서 資本集約的으로 變 換플 하게 되 어 그 이 상의 展購增加를 유발하지 못하고 또한 農業에서 需要가 뒷받침되지 못하 면 2 , 3 차산엽 은 자본동원의 限界를 가져 온다. 따 라서 도시 에 서 工業�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