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 인천광역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 인천광역시"

Copied!
6
0
0

Teks penuh

(1)

2011 2011 2011 20112011 2011 2011 2011 2011

2011년 2011년 6월 30일<년 6666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66월 6666월 월 월 30월 월 월 월 월 월 30일3030303030303030일일일일일일일일일<<<<<제 <<<<<제 6 호>제 6 제 제 제 제 제 제 제 제 6 6 6 6 호6 6 6 6 6 호호호호호호>호호호>>>>>>>>>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Monthly News of Communicable Diseases Monthly News of Communicable Diseases Monthly News of Communicable Diseases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발행처 : 발행처 : 보건정책과: : : : : 보건정책과: : : : 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보건정책과

우 우 우 우 우 우 우 우우

우) 우) 405-750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구월동1138) ☏ 032-440-2743 홈페이지 http://www.incheon.go.kr) ) ) ) ) ) 405-750 ) ) ) 405-750 405-750 405-750 405-750 405-750 인천광역시 405-750 405-750 405-750 405-750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구 남동구 남동구 남동구 남동구 정각로 남동구 남동구 남동구 정각로 정각로 정각로 정각로 29(정각로 정각로 정각로 정각로 정각로 29(29(29(구월동29(29(29(29(29(29(구월동구월동구월동구월동구월동구월동1138) 구월동구월동구월동1138) 1138) 1138) 1138) ☏ 1138) 1138) 1138) 1138) 1138) ☏ 032-440-2743 ☏ ☏ ☏ ☏ ☏ ☏ ☏ ☏ 032-440-2743 홈페이지 032-440-2743 032-440-2743 032-440-2743 032-440-2743 032-440-2743 032-440-2743 032-440-2743 032-440-2743 홈페이지 홈페이지 홈페이지 http://www.incheon.go.kr홈페이지 홈페이지 홈페이지 홈페이지 홈페이지 홈페이지 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http://www.incheon.go.kr

◆ 국내 감염병 발생동향 (‘11. 6. 28 현재 ) ◆

◆ 국내 감염병 발생동향 (‘11. 6. 28 현재 ) ◆

구분 감 염 병 전월(5월) 현황 당월(6월) 현황 2011년 현황

전국 인천 전국 인천 전국 인천

총계 7,058 883 5,482 646 29,089 3,093

1군

소 계 865 143 648 122 3,890 582

장티푸스 10 0 15 0 79 0

파라티푸스 3 1 6 0 38 3

세균성이질 16 1 6 0 89 5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3 0 4 0 13 0

A형간염 833 141 617 122 3,671 574

2군

소 계 5,916 718 4,580 500 24,040 2,390

백일해 5 0 4 0 17 2

파상풍 3 0 2 0 8 0

홍역 9 1 22 4 39 7

유행성이하선염 828 142 684 84 3,077 460

풍진 7 0 5 0 33 0

일본뇌염 1 0 0 0 1 0

수두 4,905 565 3,732 403 20,021 1,873

급성B형간염 56 7 36 7 274 37

산모B형간염 99 3 93 2 557 11

주산기B형간염 3 0 2 0 13 0

3군

소 계 275 21 248 23 1,135 120

말라리아 58 11 73 10 172 30

성홍열 77 1 48 1 246 19

수막구균성수막염 0 0 2 0 5 0

레지오넬라증 2 0 7 0 17 0

발진열 1 0 0 0 4 2

쯔쯔가무시증 25 0 24 2 122 3

렙토스피라증 1 0 0 0 3 0

브루셀라증 10 0 4 0 19 0

신증후군출혈열 12 2 15 2 72 5

CJD/vCJD 3 0 1 0 9 1

매독(1기) 54 6 47 5 321 51

매독(2기) 28 1 24 2 124 8

매독(선천성) 4 0 3 1 21 1

4군

소 계 2 1 6 1 24 1

뎅기열 1 1 4 1 18 1

보툴리눔독소증 0 0 0 0 1 0

※ 발생현황 : 전국 29,089건 / 인천 3,093건 ( 전국의 10.63% )

(2)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제6호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제6호

◆ 2011년 6월 주요 감염병 발생특징 ◆

◆ 2011년 6월 주요 감염병 발생특징 ◆

-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주 6주 11주 16주 21주 26주 31주 36주 41주 46주 51주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그림 1. 수두 최근 5년간 주별 발생현황

◆ 홍 역

◆ 홍 역

- 발 생 : 2011년 6월 28일 현재까지 전국 38명, 인천 7명의 환자 발생이 보고되었다.

이 중 6월에만 전국 21명, 인천 4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 감염경로 : 환자와 직접 접촉, 비인두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 태반을 통한 선천성 홍역 등 - 예 방 : 12~15개월(1차), 4~6세(2차)에 MMR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에는 홍역환자와 접촉한지 6일 이내에 면역글로불린을 접종하면 효과가 있다.

◆ 수 두

◆ 수 두

- 발 생

: 2011년 6월 28일 현재까지 전국 19,763명, 인천 1,844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6월에는 전국 3,474명, 인천 374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6월 인천의 발생이 높은 연령은 6세(15.5%), 7세(14.9%),5세(14.4%),8세(12.5%)로 학령기 아동의 발생 비율이 높다.

- 감염경로

: 감염자의 호흡기 분비물로 인한 인간 간의 전파 (가장 흔한 경우), 환자의 피부 수포, 발진 부위 직접 접촉 등

- 예 방

: 환자는 수포발생 후 가정에서 안정 가료하도록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반드시 손발을 씻고 양치질을 하는 등 개인위생을 강화한다. 수두에 노출되고 3일 이내에 백신접종 시에는 발병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유․소아는 병의원에서 예방접종을 받도록 한다.

(3)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제6호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제6호

- 5 10 15 20 25 30 35 40 45

1주 6주 11주 16주 21주 26주 31주 36주 41주 46주 51주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그림 2. 말라리아 최근 5년간 주별 발생현황

◆ 말라리아 ◆ 말라리아

- 발 생

: 2011년 6월 28일 현재까지 전국 172명, 인천 30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6월에는 전국 73명, 인천 10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6월 현재까지 인천 발생이 높은 지역은 고위험지역 강화군(12명/6월 3명), 위험지역 서구(6명/6월 3명)가 포함되었으나 비위험지역인 부평구(7명/6월 3명) 에서도 높은 발생을 보였다.

최근 5년간의 추세로 볼 때 향후 감염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감염경로

: 얼룩날개 암컷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면서 전염 드물게 수혈, 주사기 공동사용에 의해 전파됨

- 예 방

․ 모기 활동시간(저녁~새벽)에 외출 삼가

․ 외출 시 긴 옷 착용 (검은 옷은 모기를 유인하므로 주의) ․ 노출된 피부에는 모기 기피제 도포

․ 문과 창에 방충망 설치

(4)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유행 ◆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유행 ◆ (EHEC outbreak)

(EHEC outbreak)

Ⅰ. 유럽발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독일 정부는 지난 5월 둘째 주 독일북부 지역에서 장출혈성대장균(EHEC)에 의한 용혈성요독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 : HUS)환자가 최초 발생한 이후, 용혈성요독증후군(HUS)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EHEC) 환자 발생이 독일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6월 10일 기준, 독일포함 총 16개 국가에서 총 812명의 HUS환자, 2,443명의 EHEC환자 발생하였으며, 감염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녹두, 렌즈콩, 팥, 알팔파 등과 같은 발아(새싹)채소류로부터 전파 되었음을 보고하였다.

Ⅱ. 국내현황 및 인천시 현황

2000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2000년 1명, 2001년 11명, 2002년 8명, 2003년 52명, 2004년 118명, 2005년 43명, 2006년 37명, 2008년 58명, 2009년 62명, 2010년 56명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인천시에서는 발생이 증가하고 있지 않다[표 1].

[ 표 1 ] 장출혈성대장균감염 발생현황

기간(년) 전국소계 인천소계

2006년 37명 5명

2007년 41명 2명

2008년 58명 4명

2009년 62명 1명

2010년 56명 1명

2011년(6월까지) 12명 0명

Ⅲ. 질병의 특성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한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병원인자 및 독성 기전에 따라 현재 5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혈청형은 O157:H7으로 장점막에 심한 손상을 일으키고, 적혈구를 파괴하는 독소(Shiga-like toxin[Verotoxin] ; Stx1, Stx2)를 생성하여 용혈성요독증후군이나, 혈전성 혈소판감소증 등이 합병증으로 일어날 수 있다.

(5)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제6호 감염병관리 월간동향 제6호

Ⅳ. 전파경로

적은 수의 균으로도 감염이 가능하며, 대부분 소고기 가공식품, 햄버거, 우유, 샌드위치 등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파된다. 사람 간 전파도 가능하며 고아원, 학교 양로원내 유행이 될 수 있으며 소아, 노인에게서 호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Ⅴ. 임상양상

잠복기는 3~5일으로 장관하부의 출혈로 인해 환자의 90%이상에서 선홍색 혈변을 동반하고, 심한 복통이 있으며, 70%환자에서 대변내 백혈구가 관찰되고, 발열은 대개 동반되지 않는다. 환자의 2~8%에서는 용혈성빈혈, 혈소판 감소증, 신부전을 일으키는 용혈성요독증후군이 발생한다. 미국의 경우 용혈성요독증후군의 1/2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에 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설사 시작 3~5일 후 발생하며, 특히 소아, 노인에게서 호발하며 이로 인해 유아 중 2~7%가 사망하며, 고령자의 경우 50%의 사망률을 보인다. 이외에 동반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급성신부전, 혈전성 혈소판감소증 등이 있다.

Ⅵ. 진단

대변 배양만으로는 진단할 수 없으며, 선별검사로 발효 음성인 대장균을 항 O157 혈청으로 동정하며, 이어서 H형을 동정한다. 빠르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shiga toxin or toxin genes검사를 해볼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혈청을 통해 E. coli O157 LPS or toxin에 대한 ELISA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Ⅶ. 치료

탈수로 인한 수분교정 및 전해질교정과 같은 보존적 치료를 우선으로 하며, 항생제는 독소의 유리를 높여 용혈성요독증후군의 발생을 높이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대부분 자연 회복되나 합병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합병증에 대하여 집중치료를 한다.

Ⅷ. 예방 및 접촉자관리

환자와 음식, 식수를 같이 섭취한 접촉자는 마지막 폭로가능 시점부터 2일내지 8일간 발병 여부를 감시하고, 고위험군(식품업종사자, 수용시설종사자 등)은 검사결과 나올 때까지는 음식취급, 탁아, 환자간호 등을 금지하도록 한다. 설사증상 발생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지도하며, 주된 감염원인 소를 비롯한 가축 사육 목장에 대한 종합적 감시와 도축장 및 육류 가공처리 과정에 대한 오염방지책을 수립한다. 또한 위험 식품에 대해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육류 제품은 충분히 익혀 섭취하고, 날 것으로 섭취하는 야채류는 염소 처리한 청결한 물로 잘 씻어 섭취하며, 철저한 개인위생 (손 씻기 등)을 하도록 한다. 음식은 중심온도가 70℃이상 되도록 충분히 익히고, 날 음식과 익힌 음식은 분리하여 보관하고, 음식의 온도는 4℃이하 냉장보관 하거나, 65℃이상 뜨겁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접종은 아직 유용한 백신은 없다.

(6)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