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조직-바이오치아 재생연구소 소식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경조직-바이오치아 재생연구소 소식지"

Copied!
7
0
0

Teks penuh

(1)

경조직-바이오치아 재생연구소 소식지

Newsletter

제1402호

소식지 목차 1. 연구소 소개

2. 연구소 조직 및 구성원 3. 연구실 탐방: 김재영 교수 4. 최신연구동향: 이영균 교수

발행인: 신홍인

펴낸이: 경북대학교 경조직-바이오치아재생연구소

펴낸일: 2014년 2월

(2)

1. 연구소 소개

의학 발전에 따른 21세기 인류수명의 연장 및 국 민 의 식 과 삶 의 질 향 상 으 로 인 해 의료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가 날로 증가 하고 있으며, 손상된 장기에 대한 치료 및 기능회복을 위한 인공장기의 수요가 급격히 증 가 되 고 있 다 . 과 학 기 술 부 지 원 나노바이오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인 “바이오 치아 조직재생 기초기반연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연구부, 교육행정부, 대 외 협 력 팀 , 총 무 팀 의 4 개 의 조 직 이 협력하여 경조직 및 바이오치아 개발 연구를 통하여 의·치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영역 개척 및 연구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더불어 국민보건 향상에 공헌하고자 본 연구소는 2007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경조직-바이오치아 재생연구소는 조직공학 및 기 초 의 학 연 구 분 야 의 가 교 역 할 을 현재까지 충실히 해오고 있다.

특 히 관 련 연 구 분 야 의 융 합 이 절 실 한 경조직 및 바이오치아 재생 연구 분야에서 다 양 한 연 구 결 과 를 공 유 하 며 , 함 께 토의함으로써 연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도적인 연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우리 경조직-바이오치아 재생연구소는 해외 전문가 및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대학의 연구역량을 강화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소 사업 내용

1. 치 아 구 성 세 포 의 줄 기 세 포 확 립 및 치 계 유 래 줄 기 세 포 에 의 한 치 아 , 치주조직, 골조직의 조직공학적 재생 기법 개발

2. 치아를 포함한 경조직의 재생을 위한 기반 연구결과 생산

3. 치아 발생에 필요한 구강상피조직과 간엽조직의 특성 분석

4. 치아뿌리 형성 및 Hertwig sheath의 특성 분석

5. 치주인대 구성 세포의 특성 분석

6. 치조골의 형성 기전 이해 및 치아와의

상관성 이해

(3)

2. 연구소 조직 및 구성원

성명 직급 전공분야 전화번호 E-mail

신홍인 교수 구강병리학 053-660-6820 [email protected]

서조영 교수 치주과학 053-420-5955 [email protected]

박의균 교수 재생의학 053-420-4995 [email protected]

안창현 부교수 구강악안면방사선학 053-600-7422 [email protected]

김재영 조교수 발생생물학 053-420-4998 [email protected]

이영균 조교수 생화학, 골생물학 053-420-4997 [email protected]

이헌진 조교수 미생물, 분자유전학 053-660-6832 [email protected]

정재광 조교수 구강내과학 053-600-7322 [email protected]

김용건 조교수 치주과학 053-600-7524 [email protected]

최영애 Post-doc 재생의학 053-420-4996 [email protected]

손원주 Post-doc 발생생물학 053-420-4999 [email protected]

김효정 연구원 생화학 053-420-4999 [email protected]

강지현 연구원 식품영양학 053-420-4999 [email protected]

임지원 박사과정 재생의학 053-420-4996 [email protected]

산지브 뉴파엔 박사과정 발생생물학 053-420-4999 [email protected]

김주앙 박사과정 재생의학 053-420-4996 [email protected]

장형섭 현장실습교육과정생 생명공학과 053-420-4996

채영미 조교 생화학 053-420-4999 [email protected]

조혜성 조교 병리학 053-420-4993 [email protected]

(4)

3. 연구실 탐방 두개안면발생 연구실 김재영 교수

두개안면 기관의 형태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이

를 이용한 재생기법을 연구함.

두개안면 조직 특이적인 신호전달물질 및 전 달체계 발굴

•기능분석을 위한 다양한 체외배양 시스템

김재영 교수의 두개안면발생연구실 (Lab of Craniofacial Development)에서는 치아를 포함한 두개안면 부위의 다양한 기관의 형태형성을 이해하기 위한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다각적으로 구명하고 이를 토대로 조직재생 및 유전자 치료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연구하고 있습니다.

발생 중인 생쥐 배아를 이용하여 두개안면 부위의 조직특이적인 신호전달물질을 발굴하고 발현양상 을 조직수준에서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신호전달 체계를 다양한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 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두개안면 부위의

형태형성과정에 관여

하는 기본적인 신호전

달물질의 기능을 보다

폭넓고 심도 있게 확인

하기 위하여 유전적인

요소와 진화적인 요소

를 함께 연구하고 있습

니다.

(5)

4. 최신 연구 동향 이영균 교수

뼈와 혈관 사이의 communication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Ralf Adams 연구팀은 최근 발표된 Nature 논문을 통해 뼈 형성을 유도하 는 endothelial cell 의 subtype 을 규명하였다 (Nature 2014, 507(7492):323-8).

이 보고에 의하면 bone 의 metaphysis 에는 CD31 과 endomucin 의 발현이 동시에 높이 관찰되는 CD31

hi

Emcn

hi

혈관세포가 존재하며 이는 다른 조 직은 물론 bone 의 periosteum 이나 diaphysis 에 서는 잘 볼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다.

저자들은 이 혈관세포를 type H endothelial cell 이 라 고 명 명 하 였 으 며 bone 조 직 에 서 osteoprogenitor 세포들은 이 type H 혈관세포 주 위에만 선택적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 다.

흥미롭게도 이 type H 혈관세포들은 4주령 마우스 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70 주령의 마우스에 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으로써 peak-bone mass

뿐만아니라, irradiation 이후에 새롭게 생성되는 혈 관은 대부분이 type H 세포로 구성되어 이들이 bone 에서 neo-angiogenesis 를 매개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type H 세포의 본형성과 혈관 형성 작용은 HIF1a 단백질이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HIF1a 의 분해를 유도하는 단백질이 혈관특이 적으로 결핍된 마우스나 HIF1a 분해 과정 inhibitor 에 의해 혈관과 bone 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임 으로써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에 따른 골다공증의 기작을

잘 설명하고 있으며 노년기의 골다공증 치료의 새로

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5. 연구소 기기 소개

사용관련문의: 본 장비는 사용 전에 충분한 교육이 필요하며, 사용 관련 문의는 연구소 조교에게 문의 바랍니 다(053-420-4993,조혜성)

ND-2000 spectrophotometer

NanoDrop의 New Technology

1. Sample을 측정 표면 위에 직접 Pippeting하고 2개 Optical Fibers(광 섬유)사이의 표면장력에 의해 Measurement Column이 형성되어 쉽게 Sample을 측정가능하다.

2. 5초안에 측정이 이루어지며 분석된 Spectrum Data를 PC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NanoDrop ND-2000의 사용순서

1. 윗 덮개를 열고 아래 측정대위에 0.5또는 1ul의 sample을 떨 어뜨린다.

2. 윗 덮개를 닫으면 표면장력에 의해 sample이 흡착되고, 0.05-1mm path length가 형성됨으로써 정량이 이루어진다.

3. 정량이 완료된 후 덮개를 열고, 간단하게 위아래 덮개를 닦아 준다.

http://www.dm4you.com/product

NanoDrop ND-2000 의 장점

1. 소량의 Sample로 정량하기 때문에 귀중한 Sample의 낭비를 줄임.

2. Cuvette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이 간편하고 시간과 비용을 줄임.

3. 재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

4. 어떤 기계도 따라올 수 없는 최대 농도 측정범위:15,000ng/ul 5. UV/Vis analysis 를 포함하는 넓은 파장범위(190-840nm)

6. Spectrophotometry기능 뿐 아니라 Nucleic Acid, Protein 및 형광- Dye의 정량가능.

7. Compect한 Size는 공간활용을 향상시켜줌.

8. 간편하게 Clean up가능.

(7)

6. 연구소 성과 2013년 9월~ 2014년 2월

연구논문

Date Title Author Journal

2013.10 Contribution of mesenchymal proliferati on in tooth root morphogenesis

Sohn WJ, Choi MA, Yamamoto H, Lee S, Lee Y, Jung JK, Jin MU, An CH, Jun g HS, Suh JY, Shin HI, Kim JY.

Journal of Dental Res earch 2013.10 The role of interleukin-17 in bone meta

bolism and inflammatory skeletal diseas

es. Lee Y. BMB Rep.

(review) 2013.10 MicroRNA-124 regulates osteoclast diffe

rentiation. Lee Y, Kim HJ, Park CK, Kim YG, Lee H

J, Kim JY, Kim HH. BONE

2013.11 Identification of microRNA-Size, Small R

NAs in Escherichia coli. Kang SM, Choi JW, Lee YK, Hong SH,

Lee HJ. CURRENT MICROBIO

LOGY 2013.11

The effects of minimally invasive laser n eedle system on suppression of trabecul ar bone loss induced by skeletal unloadi ng.

Ko CY, Kang H, Ryu Y, Jung B, Kim H,

JeongD, Shin HI, Lim D, Kim HS. Lasers Med Sci.

2013.12 Does skeletal surgery for asymmetric ma ndibular prognathism influence the soft tissue contour and thickness?

Lee ST, Mori Y, Minami K, An CH, Par

k JW, Kwon TG. J Oral Maxillofac Sur g.

2013.12 Morphological and cellular examinations of experimentally induced malocclusion i n mice mandibular condyle.

Jung JK, Sohn WJ, Lee Y, Bae YC, Choi

JK, Kim JY Cell and Tissue Rese

arch 2013.12 MYOD mediates skeletal myogenic differ

entiation of human amniotic fluid stem cells and regeneration of muscle injury.

Kim JA, Shon YH, Lim JO, Yoo JJ, Shin

HI, Park EK. Stem Cell Res Ther.

연구비 수혜

연번 과제명 연구지원기관 연구과제 사업명 연구기간 시작일 종료일 1 3차원 세라믹지지체의 in vitro 줄기세포 반응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20130501 20140430 2 SMOC1에 의한 사람골수간엽줄기세포의 골모세포분화 조절기전연구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 20130501 20140430 3 점막의 기능적 분화에 관여하는 중간엽신호전달체계의 발생생물학적 기작구명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지원사업 20130901 20140831 4 중간엽 줄기세포 분화 조절 마이크로 RNA를 이용한 골다공증 치료기술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20130801 20140731

표지그림

Neupane S et al., Developmental regulations of PERP in mice molar morphogenesis. Cell Tissue Res.

2014 (in process)

Kim JA et al., MYOD mediates skeletal my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amniotic fluid stem cells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