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전자파 갈등 예방 가이드라인
2017. 06.
미래창조과학부
제
1
조(
목적) 「
공동주택 전자파 갈등 예방 가이드라인」
은「
전기통신 사업법」
제69
조의2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대규모 주택단지에 의무적 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이동통신구내중계설비(
이하“
이동통신설비”
라 한다)
의 전자파 안전성 진단과 환경친화적 설치 등에 관한 원칙과 절차를 제시하여 이동통신설비 설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 안전성 우려 또는 미관 침해와 관련된 갈등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2
조(
적용범위) ①
이 가이드라인은「
전기통신사업법」
제69
조의2
제1
항제2
호에 따른500
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이 있는 주택단지(
이하“
대규모 주택단지”
라 한다)
에 대하여 적용한다.
②
대규모 주택단지 이외의 공동주택 등에 설치되는 이동통신설비에대하여 필요한 경우 이 가이드라인의 제
5
조,
제6
조 및 제7
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제3조(이동통신설비의 설치장소 선정 및 공개 등)
① 「
전파법」
에 따라 할당받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기간통신 사업자(
이하“
이동통신사업자”
라 한다)
는 이동통신설비의 설치장소 및 설치방법 선택 시 주택단지 내 전파음영 해소뿐만 아니라 전자파 노출이 저감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통신사업자 상호간에 안테나 설치대 등을 공동으로 사용하여 설치 장소가 최소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② 「
주택법」
제2
조제10
에 따른 사업주체가 이동통신설비의 설치장소를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도록 견본주택 또는 사이버견본주택이 전시되는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게시할 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1.
대규모 주택단지 내에 설치되는 이동통신설비의 개수2.
제1
호의 이동통신설비가 설치되는 구체적인 위치(
대규모 주택단지가 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동의 번호
)
제4조(이동통신설비의 환경친화적 설치) 이동통신사업자는 자연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이동통신설비의 안테나설치대 및 송
·
수신설비를 위장하거나 은폐하여 설치하는 등「
무선설비 공동사용 및 환경친화적 설치 명령의 기준과 절차」
별표2
환경친화형 무선국의 설치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제5조(전자파 강도 측정)
①
이동통신사업자는「
전파법」
제47
조의2
제3
항에 따른 전자파 강도 측정뿐만 아니라,
제2
조의 범위에 대해서는 다음 각 호의 장소에서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를 제공하여야 한다.
1.
이동통신설비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경우,
최상층 가구의 거실과베란다
2.
이동통신설비가 지상에 설치된 경우,
최근접 최하층 가구의 거실과베란다
3.
공동주택단지 내 어린이집,
노인정,
놀이터4.
지하 주차장②
제1
항의 전자파 환경 측정은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주민 입주 전 전자파 측정 전문기관에 측정 의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③
이동통신사업자는 전자파 강도 측정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한다.
제6조(측정결과보고서 제출 및 공개)
①
이동통신사업자는 제6
조제1
항의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를[
별표]
에 따른‘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보고서’
로작성하여 해당 대규모 주택 단지의 관리사무소
(
이하“
아파트 관리 사무소”
라 한다)
에 제출하여야 한다.
②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제
1
항의‘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보고서’
를 해당 아파트 운영 홈페이지 등에 게시하거나,
입주민이 자료열람이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제7조(주민설명회)
①
대규모 주택 단지 입주 이후 기 설치된 이동통신 설비를 대상으로 전자파 민원이 제기되는 등 필요한 경우에 해당 주택단지의 입주자 대표회의 등 주민 대표 또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제5
조제2
항의 전문기관에게 주민설명회를 요청할 수 있다.
②
전문기관은 주민설명회 요청을 받은 후 입주자 대표 등과 일정을조율하여 주민설명회를 진행하여야 한다
.
③
전문기관은 주민설명회를 진행할 때 다음 각 호를 준수하여야한다
.
1.
입주자 대표 및 민원인 입회하에 단지 내 설치된 이동통신설비에대한 전자파 강도를 비교측정하고
,
측정결과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2.
입주자가 추가적으로 전자파 강도 측정을 요구하는 경우 이에응할 것
3.
전문 기술 용어의 사용은 지양하고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사용하여 상세히 설명 할 것
4.
입주민이 특정 사항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한 설명을 요구하는경우 이에 응할 것
5.
이동통신설비의 전자파에 대한 국내외 관리제도,
과학적 연구결과 등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할 것
별표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보고서 양식
○○○ 아파트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보고서
2017. 5. 00.
I. 목적
II. 전자파 환경 측정 개요 1. 측정방법
- 측정방법은 국내 전자파 강도 측정기준인 국립전파연구원 고시 “전자파
강도 측정기준”을 기본으로 측정하며, II-1의 각 측정 장소별 2개 지점에 대해 이동통신사업자별 주파수 대역을 6분간 측정함
2. 측정장비
- 측정에 사용된 장비별 사진과 모델명, 주파수 범위를 기재
<측정장비 예시>
구 분 측정 안테나 고주파 스펙트럼 분석기 휴대형 RF 스펙트럼 분석기
장비 예시
주파수 범위 30 ㎑ ~ 3000 ㎒ 9 ㎑ ~ 3.6 ㎓ 100 ㎑ ~ 3 ㎓ o 전기통신사업법 제69조의2에 따라 각종 재난상황에서 국민 안전보장
및 효과적 재난 관리를 위하여, 500세대 이상 아파트 등 대규모 건축물 등에는 의무적으로 이동통신설비 설치하여야 하며, OOO아파트는 이동 통신설비 의무 설치대상에 해당
o 본 보고서는 OOO아파트에 의무적으로 설치된 이동통신설비로 인한 아파트 내 전자파 환경에 대한 안정성 진단과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공개함
III.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1. 측정 장소
- 00동 00호, 00동 00호(옥상에 설치될 경우 옥상 층) - 00동 00호, 00동 00호(지상 화단에 설치될 경우) - 00동 어린이집, 놀이터
- 00동 노인정 - 00동 주차장
2. 측정장소별 사진
최상층 가구 최하층 가구
어린이집 놀이터
노인정 주차장
3. 측정 장소별 전자파 강도 최대측정값
구 분 최대 측정값 최대 측정값
주파수대역(㎒) 인체보호기준
(V/m) 기준값 대비 (%) 최상층 댁내
최하층 댁내 어린이집
놀이터 노인정 주차장
※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권고기준*과 동일한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을 채택하고 있으며, 기지국 등 무선국 시설자는 인체보호기준을 준수하여 설비를 설치‧운용하도록 의무 부과
* 열적현상(1℃ 상승)이 발생하는 전자파 세기 기준의 1/50 수준(안전계수)으로 기준 설정
4. 측정 장소별 이동통신 사업자별 측정값
□ 최상층 댁내
사업자 서비스 주파수대역
(㎒) 인체보호기준
(V/m) 측정값
(V/m) 기준값 대비 (%)
SKT LTE
874~884 40.53 1810~1830 58.49 2130~2140 61 2620~2640
2660~2670 61 LGU+ LTE 884~894 40.88
2110~2130 61 2640~2660 61 KT LTE 950~960 42.36
1830~1860 59.30 2150~2160 61
□ 최하층 댁내
□ 어린이집
□ 놀이터
□ 노인정
□ 주차장
IV.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및 분석
환경친화형 무선국의 설치기준 및 인정사례
「무선설비 공동사용 및 환경친화적 설치 명령의 기준과 절차」별표 2
1. 건물 옥상 및 벽체에 설치하는 경우
1) 공통사항
① 안테나는 인접도로에서 보이지 않도록 건물의 조형요소를 활용하여
위장하거나 은폐할 것
② 송ㆍ수신설비, 전원설비 등은 인접도로에서 보이지 않도록 건물과 조화
로운 색채, 재질, 형태의 가림막으로 은폐하거나 건물 내부에 설치할 것
2) 유형별 사례
① 개별 은폐형: 건물 옥상의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이 인지되지 않도록
건물의 색채, 재질 및 형태를 고려하여 은폐
< 설치사례>
② 개별 위장형: 건물 옥상의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을 기존 구조물의
색채, 재질 및 형태 등 건축요소와 조화를 이루는 구조물로 위장
< 설치사례>
③ 펜스 은폐형: 건물 옥상에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을 건물과 동일한
색채, 질감 및 형태의 펜스 또는 광고판 등으로 은폐
< 설치사례>
④ 벽체 위장형: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이 인지되지 않도록 건물 벽체와
유사한 색채, 질감 및 형태의 조형적 요소로 건물의 일부처럼 위장
< 설치사례>
⑤ 벽체 매립형: 건물 벽체 내부에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을 매립하여
보이지 않도록 설치
< 설치사례>
2. 지상의 옥외시설물, 지형지물 형태로 위장하는 경우
1) 공통사항
① 안테나는 옥외시설물 및 지형지물 등의 조형적 요소를 활용하여 위장
할 것
② 송ㆍ수신설비, 전원설비 등은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색채, 재질, 형태의
가림막으로 은폐하거나 지하에 매설할 것
③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전원설비 등을 수용하는 지상의 시설물에 설
치하는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무선국으로 인지되지 않도록 할 것
2) 유형별 사례
① 가로등 형: 가로등을 활용하여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을 위장
< 설치사례>
② 조형물 활용형: 시계탑, 스피커 등의 가로시설물 및 조형물을 활용하여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을 위장
< 설치사례>
③ 소나무 위장형: 소나무 형태의 인공구조물로 안테나, 송ㆍ수신설비
등을 위장하는 형태로서, 나뭇가지를 충분하게 설치하여 안테나, 송ㆍ수신 설비 등의 노출을 최소화
< 설치사례>
④ 바위 위장형: 바위 형태의 인공구조물로 송ㆍ수신설비 등을 위장하는
형태로서, 안테나설치대는 가로등, 소나무 등의 형태로 위장
< 설치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