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무연구팀 공고 제2023-002호
교무처 관련 규정을 개정함에 있어 그 내용을 대학 구성원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3년 9월 1일
교 무 처 장
(직인생략)
제1호 「동신대학교 학칙」 일부개정(안) 교무연구팀
1. 개정이유
가.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LiFE 2.0)시행 후속조치 나. 단과대학 신설 및 통합
2. 주요내용
가. 단과대학 신설 : 미래라이프대학 나. 단과대학 통합
- 공과대학과 에너지융합대학을 통합하여 에너지·공과대학으로 함
- 통합 전 공과대학과 에너지융합대학 소속 학과는 통합된 에너지·공과대학으로 소속학과 를 변경함
다. 학부 폐지 : 글로컬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라. 모집단위 재편성
- 글로컬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 헬스케어복지학과, K-남도문화학과, 한국어교원학과를 미래라이프대학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 헬스케어복지학과, K-남도문화 학과, 한국어교원학과로 함
3. 부칙<88차 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학칙은 202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이 개정 학칙에 따라 통합 전 해당 단과대학 소속 재적생은 통합된 단과대 학 소속의 재적생으로 본다. 다만, 학생이 통합 전 단과대학 소속으로의 재적을 희망 할 경우 이를 인정한다.
4. 관련부서 협의 및 위원회 심의사항(의견수렴 사항) 가. 2023년 하계 보직자 연찬회의(2023. 08. 17.) 나. 처장단회의(2023. 08. 29)
다. 학교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 및 온라인 의견수렴(2023. 09. 01.)
5-1. 신구조문 대비표 (본문)
5-2. 신구조문 대비표 (별표) (다음장 연속)
현행 개정(안)
제2조(편제) ① 본 대학교는 공과대학, 에너지융합대학, 한의과대학, 보건복지대학, 사회문화대학, 글로컬융 합대학, 대학원, 사회개발대학원, 교육대학원을 둔다.
<개정 2013.07.02., 2015.09.01, 2016.06.01., 2017.09.28., 2023.03.01.>
제2조(편제) ① 본 대학교는 에너지·공과대학, 한의과대 학, 보건복지대학, 사회문화대학, 글로컬융합대학, 미래 라이프대학, 대학원, 사회개발대학원, 교육대학원을 둔 다. <개정 2013.07.02., 2015.09.01, 2016.06.01., 2017.09.28., 2023.03.01., 2023.00.00.>
부칙<88차 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학칙은 202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이 개정 학칙에 따라 통합 전 단과대학 소속의 재적생은 통합된 단과대학 소속의 재적생으로 본 다. 다만, 학생이 통합 전 단과대학 소속으로 재적을 희 망하는 경우 이를 인정한다.
- 변경 전 -
[별표 1] <개정 2012.9.25, 2013.03.01, 2013.07.02, 2014.05.07, 2015.06.24., 2016.06.01., 2017.05.30., 2017.09.28., 2018.06.26., 2019.04.01., 2020.09.01., 2021.07.01., 2022.06.28., 2023.09.01.>
편제정원표(제3조제1항관련)
대학 모집단위명 2024
학년도 입학정원
2023 학년도 입학정원
2022 학년도 입학정원
2021 학년도 입학정원
2020 학년도 입학정원
2019 학년도 입학정원
편제정원
공과대학
건축학과 30 30 30 90
산림조경학과 20 20 30 70
건축학부 건축공학과
50 50
산림조경학과
정보통신공학과 20 30 30 80
컴퓨터공학과 30 30 30 90
디지털콘텐츠학과 25 20 30 30 105
토목환경공학과 30 30 30 30 120
컴퓨터학과 40 40
소계 145 150 170 180 645
에너지 융합대학
배터리공학과 30 20 25 30 105
신재생에너지학과 20 27 35 82
기계공학과 21
(21) 30 30 81
(21)
전기공학과 49
(9) 69
(9) 78 60 256
(18)
전기자동차학과 20 25 25 70
에너지경영학과 14
(14) 20 20 54
(14)
사물인터넷학과 20 20 40
정보보안학과 25 35 40 100
소계 79
(9) 189
(44) 260 260 788
(53) 한의과
대학
간호학과 159 147 135 130 571
한의예과 40 40 80
한의학과 40 40 40 40 160
응급구조학과 30 30
소계 229 187 175 170 40 40 841
보건 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90 90 70 70 320
방사선학과 60 60 50 50 220
보건행정학과 30 30 30 40 130
뷰티미용학과 40 42 42 42 166
사회복지학과 40 45 50 50 185
상담심리학과 40 40 40 40 160
식품영양학과 30 30 30 35 125
안경광학과 20 30 30 30 110
언어치료학과 30
(10) 30
(10) 30 30 120
(20)
운동처방학과 40 45 45 45 175
작업치료학과 30 40 40 45 155
제약공학과 30 30
반려동물학과 30 30 60
바이오화장품학과 25 20 45
바이오헬스케어 학부
반려동물학과
45
45
제약·화장품학과
소계 505
(10) 532
(10) 502 507 2,046
(20) 사회문화
대학
관광일본어학과 30 30
중국어학과 20 30 50
한국어교원학과 20 1 21
q 2024학년도 모집단위 조정내용<신설 2023.09.01.>
가. 학과 폐지
Ÿ 공과대학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에너지융합대학 기계공학과, 신재생에너지학과, 에너지경영학 과, 전기자동차학과, 정보보안학과, 사회문화대학 중국어학과
나. 학과 신설
Ÿ 공과대학 컴퓨터학과(40명), 한의과대학 응급구조학과(30명), 사회문화대학 국제한국어학과(20명), 글로 컬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10명), 헬스케어복지학과(20명), K-남도문화학과(10명), 글로컬융합대학 국제학부 글로벌경영전공, 호텔투어리즘전공, IT전공 (71명)
다. 모집단위 명칭 변경
Ÿ 공과대학‘건축공학과’를‘건축학과’로, 보건복지대학‘제약·화장품학과’를‘바이오화장품학과’
로 함
라. 모집단위 입학정원 조정 및 모집유보
Ÿ 입학정원 조정: 전기공학과(-20명), 작업치료학과(-10명), 안경광학과(-10명), 운동처방학과(-5명), 뷰티미 용학과(-2명), 사회복지학과(-5명), 경찰행정학과(-10명), 소방행정학과(-10명), 군사학과(-10명), 호텔관 광경영학과(-10명), 경영학과(-20명), 생활체육학과(-5명), 간호학과(+12명), 디지털콘텐츠학과(+5명), 배 터리공학과(+10명), 바이오화장품학과(+5명), 태권도학과(+5명)
Ÿ 모집유보 인원: 전기공학과(9명), 언어치료학과(10명) 마. 모집단위 재편성
Ÿ 사회문화대학 한국어교원학과를 글로컬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한국어교원학과로 함
대학 모집단위명 2024
학년도 입학정원
학년도2023 입학정원
학년도2022 입학정원
학년도2021 입학정원
학년도2020 입학정원
학년도2019 입학정원
편제 정원 국제어문학부
관광일본어학과
40 40
중국어학과 한국어교원학과
경찰행정학과 45 55 55 55 210
관광경영학과 30 30
군사학과 30 40 40 35 145
도시계획학과 20 20 30 30 100
뮤지컬·실용음악학과 30 30 30 30 120
생활체육학과 40 45 45 45 175
소방행정학과 30 40 40 45 155
유아교육학과 40 40 40 40 160
항공서비스학과 30 30
호텔경영학과 30 30
호텔관광경영학과 30 40 70
호텔항공관광 경영학부
관광경영학과
60 60
항공서비스학과 호텔경영학과
공연예술무용학과 30 30 30 90
태권도학과 35 30 30 95
경영학과 20 40 1 61
국제한국어학과 20 20
소계 370 450 441 431 1,692
글로컬 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 10 10
헬스케어복지학과 20 20
K-남도문화학과 10 10
한국어교원학과 20 20
국제학부
글로벌경영전공
71 71
호텔투어리즘전공 IT전공
소계 131 131
총 계 1,459
(19) 1,508
(54) 1,548 1,548 40 40 6,143 (73)
· ( ) 모집유보 인원
- 변경 후 -
[별표 1] <개정 2012.9.25, 2013.03.01, 2013.07.02, 2014.05.07, 2015.06.24., 2016.06.01., 2017.05.30., 2017.09.28., 2018.06.26., 2019.04.01., 2020.09.01., 2021.07.01., 2022.06.28., 2023.09.01., 2023.00.00.>
편제정원표(제3조제1항관련)
대학 모집단위명 2024
학년도 입학정원
학년도2023 입학정원
학년도2022 입학정원
학년도2021 입학정원
학년도2020 입학정원
학년도2019 입학정원
편제 정원
에너지
·공과 대학
건축학과 30 30 30 90
산림조경학과 20 20 30 70
건축학부 건축공학과산림조경학과 50 50
정보통신공학과 20 30 30 80
컴퓨터공학과 30 30 30 90
디지털콘텐츠학과 25 20 30 30 105
토목환경공학과 30 30 30 30 120
컴퓨터학과 40 40
배터리공학과 30 20 25 30 105
신재생에너지학과 20 27 35 82
기계공학과 21
(21) 30 30 81
(21)
전기공학과 49
(9) 69
(9) 78 60 256
(18)
전기자동차학과 20 25 25 70
에너지경영학과 14
(14) 20 20 54
(14)
사물인터넷학과 20 20 40
정보보안학과 25 35 40 100
소계 224
(9) 339
(44) 430 440 1,433
(53) 한의과
대학
간호학과 159 147 135 130 571
한의예과 40 40 80
한의학과 40 40 40 40 160
응급구조학과 30 30
소계 229 187 175 170 40 40 841
보건 복지 대학
물리치료학과 90 90 70 70 320
방사선학과 60 60 50 50 220
보건행정학과 30 30 30 40 130
뷰티미용학과 40 42 42 42 166
사회복지학과 40 45 50 50 185
상담심리학과 40 40 40 40 160
식품영양학과 30 30 30 35 125
안경광학과 20 30 30 30 110
언어치료학과 30
(10) 30
(10) 30 30 120
(20)
운동처방학과 40 45 45 45 175
작업치료학과 30 40 40 45 155
제약공학과 30 30
반려동물학과 30 30 60
바이오화장품학과 25 20 45
바이오헬스케어 학부
반려동물학과 45
45
제약·화장품학과
소계 505
(10) 532
(10) 502 507 2,046
(20) 사회
문화
관광일본어학과 30 30
중국어학과 20 30 50
한국어교원학과 20 1 21
q 2024학년도 모집단위 조정내용<신설 2023.00.00.>
가. 단과대학 신설 Ÿ 미래라이프대학 나. 단과대학 통합
Ÿ 공과대학과 에너지융합대학을 통합하여 에너지·공과대학으로 함
Ÿ 통합 전 공과대학과 에너지융합대학 소속 학과는 통합된 에너지·공과대학으로 소속 학과를 변경함 다. 학부 폐지
Ÿ 글로컬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라. 모집단위 재편성
Ÿ 글로컬융합대학 평생교육학부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 헬스케어복지학과, K-남도문화학과, 한국어교원학 과를 미래라이프대학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 헬스케어복지학과, K-남도문화학과, 한국어교원학과로 함
대학 모집단위명 2024
학년도 입학정원
학년도2023 입학정원
학년도2022 입학정원
학년도2021 입학정원
학년도2020 입학정원
학년도2019 입학정원
편제 정원
대학
국제어문학부
관광일본어학과
40 40
중국어학과 한국어교원학과
경찰행정학과 45 55 55 55 210
관광경영학과 30 30
군사학과 30 40 40 35 145
도시계획학과 20 20 30 30 100
뮤지컬·실용음악학과 30 30 30 30 120
생활체육학과 40 45 45 45 175
소방행정학과 30 40 40 45 155
유아교육학과 40 40 40 40 160
항공서비스학과 30 30
호텔경영학과 30 30
호텔관광경영학과 30 40 70
호텔항공관광 경영학부
관광경영학과
60 60
항공서비스학과 호텔경영학과
공연예술무용학과 30 30 30 90
태권도학과 35 30 30 95
경영학과 20 40 1 61
국제한국어학과 20 20
소계 370 450 441 431 1,692
글로컬 융합 대학
국제학부
글로벌경영전공
71 71
호텔투어리즘전공 IT전공
소계 71 71
미래 라이프
대학
에너지리사이클링학과 10 10
헬스케어복지학과 20 20
K-남도문화학과 10 10
한국어교원학과 20 20
소계 60 60
총 계 1,459
(19) 1,508
(54) 1,548 1,548 40 40 6,143 (73)
· ( ) 모집유보 인원
제2호 「동신대학교 학칙 시행세칙」 일부개정(안) 교무연구팀 (국제교육원)
1. 개정이유
- 원활한 유학생 관리를 위하여 교육국제화인증제를 유지하는 지표 관리 범위에서 한국어트 랙의 졸업요건 기준 일부 완화
2. 주요내용
가. 제36조의2(졸업사정 기준) 제6항 1. 한국어트랙 :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는 한국어능 력시험에서 TOPIK 4급 이상“또는 본교 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DS-TOPIK 4급 이상을 취득”추가
3. 부칙<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개정 규정은 2023년 00월 00일부터 시행하되, 제36조의2 제6항은 2021학년 도 2학기 입학자부터 적용한다.
4. 관련부서 협의 및 위원회 심의사항(의견수렴 사항)
가. 국제교육원·교무처 의견수렵(2023. 08. 17., 2023. 08. 23.) 나. 국제교육원·대학원 의견수렵(2023. 08. 29)
다. 학교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 및 온라인 의견수렴(2023. 09. 01.) 5. 신구조문 대비표 (본문)
현행 개정(안)
제36조의2(졸업사정 기준) ① 졸업사정은 4년 8학기 이 상을 등록하고 130학점(한의학과 168학점)이상 취득한 자와 학칙 제5조 제2항의 조기졸업신청자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개정 2014.01.09., 2015.02.27., 2016.02.26., 2017.02.28., 2021.04.30., 2022.01.01., 2022.12.05.>
② 재학중 성적의 평균평점이 1.75이상이어야 한다.
③ 제2전공(다전공, 융합전공, 부전공 중 택1) 또는 소 단위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6.11.07.,
제36조의2(졸업사정 기준)
① ∼ ⑤ (현행과 같음)
현행 개정(안) 2017.02.28., 2019.01.20., 2022.12.05., 2023.09.01.>
④ 졸업논문, 졸업종합시험, 실험실습보고서, 실기발표, 번역, 캡스톤디자인 등 각 학부(과)․전공별로 요구한 사 항의 심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개정 2019.04.01.>
⑤ 제2전공 이수자는 소속 학과에서 요구하는 제4항을 충족하면 졸업이 가능하다. <개정 2019.04.01.>
⑥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어능력시험 성적 또는 영어시 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취득하여야 하며, 다음의 기 준을 충족해야 한다. <신설 2021.09.01.>
1. 한국어 트랙 :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는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TOPIK 4급 이상
다만, 해외 대학 및 기관과의 협정을 근거로 유치한 유 학생의 경우 협정에 따른다.
2. 영어 트랙 : IELTS 6.0, TOEFL(IBT 85점, PBT 560점, CBT 220점), TOEIC 800점 이상의 영어성적 중 한 가지 이 상을 취득
⑥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어능력시험 성적 또는 영어시 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취득하여야 하며, 다음의 기 준을 충족해야 한다.
1. 한국어 트랙 :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는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TOPIK 4급 이상 또는 본교 국제교육원에 서 시행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DS-TOPIK 4급 이상을 취득<개정 2023.00.00.>
다만, 해외 대학 및 기관과의 협정을 근거로 유치한 유 학생의 경우 협정에 따른다.
2. (현행과 같음) 부칙<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개정 규정은 2023년 00월 00일부터 시행하되, 제36조의2 제6항은 2021학년도 2학기 입학 자부터 적용한다.
제3호 「교원인사규정」일부개정안 교무연구팀
1. 개정이유
가. 특정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전문분야 인사 활용의 필요성 대두 2. 주요내용
가. 제21조(교원의 임무) 특임교수의 임용 및 임무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따로 정함
3. 부칙<30차 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23년 00월 00일부터 시행한다.
4. 관련부서 협의 및 위원회 심의사항(의견수렴 사항) 가. 교무처회의 (2023. 08. 10.)
나. 처장단회의(2023. 08. 29)
다. 학교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 및 온라인 의견수렴(2023. 09. 01.)
5. 신구조문 대비표
현 행 개정(안)
제21조(교원의 임무) ① 교원은 교육ㆍ지도, 학문연구, 산학협력을 동시에 수행하되, 필요한 경우 교육ㆍ지 도, 학문연구 또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 에 관한 법률」제2조제5호에 따른 산학협력만을 전 담할 수 있다.
② 교원의 임무는 임용 및 재임용시 계약에 의해 부 여하며, 재임용 및 기타 필요시에 새로운 임무를 부 여할 수도 있다. <신설 2011.8.30>
③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임용 및 임무 등에 관한 세 부사항은 따로 정한다. <신설 2012.5.15>
제21조(교원의 임무) ① ∼ ③(현행과 같음)
④ 특임교수의 임용 및 임무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따로 정한다.<신설 2023.00.00>
부칙<30차 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23년 00월 00일부터 시행한 다.
제4호 「특임교수에 관한 규정」제정안 교무연구팀
1. 제정이유
특정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전문분야 인사 활용의 필요성 대두 2. 주요내용
가. 제2조(정의) 특임교수라 함은 국가기관, 연구기관, 공공단체 또는 산업체 등 각 분야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인사 중 대학발전을 위하여 총장이 부여하는 특별임무 등을 수행하 는 교원을 말한다.
나. 제3조(구분) 특임교수는 특임 전임교원과 특임 비전임교원으로 구분한다.
다. 제4조(임무)
1) 특임교수는 총장이 부여하는 임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주당 6시간 이내에서 정해진 책 임시수 이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특임교수의 임무와 관련한 복무사항에 관하여는 총장의 지휘·감독을 받아야 한다.
라. 제5조(자격)
1) 사립학교 교원임용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2) 국가, 공공기관, 산업체(연구기관) 등 해당 전문분야에서 25년 이상 근무한 자로 고위 공 직자 또는 임원급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자
3) 제2호에도 불구하고 대외협력 강화, 산학협력 등의 분야에서 대학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총장이 인정하는 자
마. 제8조(임기) 특임교수의 임기는 계약으로 정하되, 연임할 수 있다.
바. 제10조(보수) 보수는 계약에 의하여 따로 정한다.
3. 부칙<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23년 00월 00일부터 시행한다.
4. 관련부서 협의 및 위원회 심의사항(의견수렴 사항) 가. 교무처회의 (2023. 08. 10.)
나. 처장단회의(2023. 08. 29)
다. 학교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 및 온라인 의견수렴(2023. 09. 01.) 5. 규정 제정(안) 전문
(다음장 연속)
특임교수에 관한 규정 제정(안)
제정 2023. 00. 00.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동신대학교(이하“본 대학”이라 한다) 교원인사규정(이하“인사규정”
이라 한다) 제3조 및 제21조의 규정에 의하여 특임교수의 임용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 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특임교수라 함은 국가기관, 연구기관, 공공단체 또는 산업체 등 각 분야에서 근무 한 경력이 있는 인사 중 대학발전을 위하여 총장이 부여하는 특별임무 등을 수행하는 교 원을 말한다.
제3조(구분) 특임교수는 특임 전임교원(이하“전임교원”이라 한다)과 특임 비전임교원(이하
“비전임교원”이라 한다)으로 구분한다.
제4조(임무) ① 특임교수는 총장이 부여하는 임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주당 6시간 이내에서 정 해진 책임시수 이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특임교수의 임무와 관련한 복무사항에 관하여는 총장의 지휘·감독을 받아야 한다.
제5조(자격) 특임교수의 자격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1. 사립학교 교원임용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2. 국가, 공공기관, 산업체(연구기관) 등 해당 전문분야에서 25년 이상 근무한 자로 고위 공직자 또는 임원급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자
3. 제2호에도 불구하고 대외협력 강화, 산학협력 등의 분야에서 대학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총장이 인정하는 자
제6조(신규임용 등) ① 전임교원의 신규임용은 인사규정 등에 의함을 원칙으로 하되, 교원인사 위원회의 심의와 총장의 제청으로 이사장이 임용한다.
② 비전임교원의 신규임용은 강사 임용 규정 등에 의함을 원칙으로 하되, 교원인사위원 회의 심의를 거쳐 총장이 임용한다.
③ 총장은 본 대학에서 정년퇴직한 전임교원 중에서 제5조에 의한 자격이 있는 자를 비 전임교원으로 임용할 수 있다.
④ 신규임용 절차는 공개채용 또는 특별채용 할 수 있으며, 세부사항은 총장이 따로 정 한다.
⑤ 특임교수의 소속은 학과(전공)을 배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총 장이 소속을 정할 수 있다.
제7조(재임용) ① 특임교수의 재임용 절차는 인사규정 등에 의함을 원칙으로 하되, 재임용 근 무평정을 실시하며 그 결과 우수한 자에 대하여 교원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전임교원 은 총장의 제청으로 이사장이 재임용하며 비전임교원은 총장이 재임용한다.
② 재임용은 계약만료 2개월 전에 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8조(임기) 특임교수의 임기는 계약으로 정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9조(임용계약) ① 임용계약은 계약 당사자간 개별 체결한다.
② 임용계약은 서면으로 작성하되, 다음 각호의 계약조건을 정하여 행한다.
1. 직무내용 및 책임강의시간 2. 임용기간
3. 급여 4. 근무조건
5. 기타 계약조건 등
제10조(보수) 보수는 계약에 의하여 따로 정한다.
제11조(면직) 특임교수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임용기간 중에도 면직할 수 있다.
1. 채용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2. 관계 법령 및 제 규정을 위반하거나 정당한 사유없이 계약상 의무를 태만히 한 경우 3. 직무 내외를 불문하고 본 대학의 명예를 손상하거나 특임교수로서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한 경우
4. 신체·정신상의 사유로 임무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5. 기타 본 대학 교원으로서 부적정하다고 인정된 경우
제12조(기타) 이 규정에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본 대학의 관련 제규정을 준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기타 세부적인 사항은 총장이 따로 정한다.
부칙(제정 2023.00.00.)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23년 00월 00일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