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현장 적용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현장 적용 연구"

Copied!
661
0
0

Teks penuh

(1)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현장 적용 연구 연구책임자 :. 백순근 (교육평가 ). 연 구 자 :. 차우규 (윤리 ) 최미숙 (국어 ) 박경미 (공통수학 ) 박선미 (공통사회 ) 이명희 (국사 ) 홍미영 (공통과학 ) 서지영 (체육 ) 양종모 (음악 ) 양윤정 (미술 ) 이소영 (공통영어 ) 원효헌 (교육평가 ). 연구 조원 :. 김광주 (교육평가 ). 한 국 교 육 과 정 평 가 원. (2) 머. 리. 말. 교육평가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가장 본질적인 기능은 학생 개개인이 성취해야 할 교 육 목표들을 어느 정도 달성했는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학생, 교사, 학부모 등 관련 당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교육적인 노력 및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교육평가의 본질적인 기능을 제대로 살리고 학교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는, 종래의 임의평가나 상대평가가 아니라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혹은 절대평 가)를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 연구는 98년 본원에서 수행한 고등학교 공통 필수 10개 과목(윤리, 국어, 공통수학, 공통사회, 국사, 공통과학, 체육Ⅰ, 음악Ⅰ, 미술Ⅰ, 공통영어)별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의 내용을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16개 고등학교에서 실험적으로 적용해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은 본원에서 98년도에 개발한 국가수준의 절대평가 시행 방안을 교육 현장에 실험적으로 적용하고, 적용의 문 제점을 발견하여 그 해결책을 강구함으로써 좀더 바람직한 절대평가 시행 방안을 마련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추가적인 목적은 98년도 보고서의 현장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예시적으로 개발하는 것, 수행평가의 시행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 수행평가 우수 사례를 개 발하여 일선 학교에 제공하기 위한 것 등이다. 그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연구와 함께 전문가 협의회, 실험학교 방문, 심층 면담,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 구 방법을 동원하였다. 최종 연구 산출물의 하나인 이 보고서에 제시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의 문제 점 및 개선 방안,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수행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그리고 수행평가 우수 사례 등이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교육평가의 본질적인 기능을 제 대로 살리고, 학교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협조를 아끼지 않은 교육부관계관들과 여러 협의 진·개발진·검토진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또한 바쁘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본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하는 바이다. 1999년 12월. 한 국 교 육 과 정 평 가 원 원 장. (3) - ii -. (4) 연구 요약. 이 연구는 199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본원 )에서 개발한 고등학교 공통 필수 10개 과목에 대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의 후속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은 본원에서 98년도에 개발한 국가수준의 절대평가 시행 방안을 교육 현장에 실험적으로 적용하고, 적용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해결책을 강구함으로써 좀더 바람직한 절대평가 시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 이다. 이 연구의 추가적인 목적은 98년도 보고서의 현장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예시적으로 개발하는 것과, 수행평 가의 시행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 수행평가 우수 사례를 개발하여 일선 학교에 제공하는 것 등이다. 그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연구와 함께 전문가 협의회, 실험학교 방문, 심층 면 담,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동원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각 교과목별로 성취기준, 평가기준, 등급화 방안, 평가도구 순으로 제시하였다. 그 리고, 예시적으로 개발한 학교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수행평가의 시행 실 태 및 문제점과 개선 방안, 수행평가 우수 사례를 각 교과목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요약과 함께 절대평가의 시행과 수행평가의 정착을 위한 정 책적인 제언을 하고 있다.. 【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 장은 98년도 본원의 연구보고서인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총 11권) 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전국 16개 실험학교에서 실험. - iii -. (5) 적으로 운영한 결과를 중심으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에 대한 현장 적용 연구 결과, 전국적으로 실시 할 경우, ① 전국에 있는 고등학교간의 학력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일선 학 교의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과 ② 학생들의 교육 성취도를 평가 할 때, 사전에 잘 설정된 교육 목표(교수·학습 목표와 평가목표)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절대평가의 근본 취지를 학교 교육 현장에 정착시킴으로써 교수- 학습 활동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 준의 수가 너무 많고 또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사실 제6차 교육과정은, 현행 학교 교육의 여건이나 실정(예: 학생의 수준, 학급당 학생 수, 시설·설비 수준, 교사의 전문성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상태에서 국가가 학생들이 성취해 주기를 기대하는 수준을 중심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그런 지적이 충분히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제6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내 용이 많고 어렵다는 지적은 지극히 당연한 지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개선 해 나가야 할 것이다. 등급화 방안과 관련해서는 많은 학교에서 성적 부풀리기를 하고 있는 현 상 황에서 보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등급화 방안을 따를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 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러한 지적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를 전국적으로 시행하지 않고 일부 학교에서만 시행하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는 국가 공통 의 기준을 가지고 있음에 비해 성적 부풀리기를 하는 학교에서는 임의적인 기 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 학교에 유리하게 기준을 설정할 가능성이 높기 때 문이다. 그러나 전국 공통의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한다면, 임의적인 기준 활용에 따른 성적 부풀리기 현상은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국가 공통의 절대평가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평가도구와 관련해서는 일선 학교에서 평가도구 및 문항을 개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즉, 일선 학교에서 새로운 평가 도구 및 문항을 개발하려고 해도 교과담당 교사의 수가 많지 않고, 문항 개발에 투여. - iv -. (6) 할 만큼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평가 도구 및 문항을 개발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다. 자신의 능력상 양질의 평가 도구나 문항을 개발할 자신이 없다고 양해를 구하는 교사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나 시·도교육청수준에서 다양한 평가 도구 및 문항을 제작, 컴퓨터화된 문제은행을 구축하여 정보통신망에 탑재하고 교사들이 쉽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다소 도움을 주고자 연구진들은 99년 7월에 고등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총 10권) 라는 책자를 발간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 【 학 교 수 준 의 성 취 기 준 및 평 가 기 준 (예 시 ) 】 국가수준에서 개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국가 공통 의 잣대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그것들은 지역이나 학교의 특 성이나 단위 학교 학생들의 현실적인 성취수준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있 기 때문에 단위 학교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 왜냐하 면 학생들의 실제적인 성취수준이 매우 높은 학교(예: 과학고등학교나 외국어 고등학교)에서는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성취기준이나 평가기준의 수준이 너무 낮을 수 있고, 반대로 학생들의 실제적인 성취수준이 매우 낮은 학교에서는 국 가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수준이 너무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학교의 교육 여건이 열악하여(예: 과학실험실이 없다거나 체육관이 없는 경우 등)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내용을 제대로 가르치기 어려 운 학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98년도 본원의 보고서에 제시된 국가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근거로 하여 학교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방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국에서 중간수준의 교육여건과 중간 수준의 학생들이 다니는 가상의 특정 학교 를 상정하고, 그 학교에서 직접 활용 할 수 있도록 개발한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을 각 교과별로 예시하 였다. 특히,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특성 및 활용 방안을 각 교과. - v -. (7) 별로 제시하여 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98년도에 제6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국가수준에서 개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단위 학교 차원 에서 학교의 여건과 실정에 알맞은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교수 - 학습 활동과 평가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수 행평가 의 시행 실태 및 문 제점과 그 개 선 방안 】 이 장의 내용은 일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 식 및 시행 의지를 분석하고 수행평가의 시행 실태 및 시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초·중·고등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초·중·고등학교 학생 및 학부모의 수행평 가에 대한 인식 및 의견을 분석하기 위해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수는 전국의 교사 2614 명, 학생 1214명, 학부모 1024명이었으며, 설문조사는 1학기 시험이 끝난 7월 중 순에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수행평가 시행 횟수와 반영 비율, 시행 방법과 절차, 시행 효 과에 대한 지각 등은 학교나 교과목에 따라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 평가 확대 시행 정책의 기본적인 입장이 학교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점진적으 로 실시하는 것이었으며, 평가 방법의 다양화·전문화·특성화를 지향하는 것이 었기 때문에 시행 실태 분석의 결과는 매우 고무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수행평가를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수행평가를 제대로 실시하기 위해 ① 1인당 담당 학생수 축소, ② 교사의 재량권·자율권 확보, ③ 수행평가 관련 자료 및 도구의 보급, ④ 수행평가 비율 및 횟수의 하향 조정, ⑤ 교사의 업무량 축소, ⑥ 평가의 공정성 확보 방안 마련, ⑦ 홍보·연수 강화, ⑧ 수행평가의 점진적 시행, ⑨ 교과목 특성을 고려한 수행평가의 시행, ⑩ 교육과정상의 내용 축소, ⑪ 도서관 등 시설 및 설비의 개선, ⑫ 보조 교사제의 도입 등을 요구하였다. 학생과 학부모들의 요구 사항들도 교사들의 요구와 거의 비슷하였다.. - vi -. (8) 결국, 수행평가를 제대로 확대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여건을 개선하기 위 한 행·재정적인 지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활동이나 평가 활동에 있어서 단위 학교나 개별 교사의 재량권·자율권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수행평가 우수 사례 】 수행평가 시행 실태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학교 방문을 통한 교사와의 심층 면담, 그리고 각종 강연이나 협의회 등을 통해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본 결 과,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행평가 확대 시행에 대한 정책의 필요성이나 기 본 취지 등에 대해서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특징이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보다는 다른 학교 교사들이 실제로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일선 고등학교에서 특정 교사가 실제로 시행하고 있는 수행평가 사례 중에서 다른 교사들에게 소개할 만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일부분 의 사례들을 각 교과별로 제시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것은 현장에서 실제로 특 정 교사가 실시한 것들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현장감 있을 뿐만 아니라 수 행평가의 정착에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그대로 제시하였다. 수행평가 실천 사례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거의 모든 학교 모든 교사들이 나 름대로 시행하고 있는 수행평가 사례들을 모두 우수 사례로 소개하고 싶을 정 도로 다양하고 수준이 높은 것이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교수- 학습 활동과 평가 활동을 개선하고 그 질(質)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수많은 교사들에게 찬 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수행평가를 제대로 확대 실시하기 위해서 는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는 등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발 적으로 국가 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을 신뢰하고 그들에게 더 많 은 재량권과 자율권을 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 v ii -. (9) 【 제. 언 】.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함께 절대평가의 시행과 수행평가의 정착을 위한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절대평가의 시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국 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의 여건과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 육 내용을 줄이고 그 수준을 낮추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 교육 현장에서 임 의평가나 상대평가를 지양하고 절대평가를 지향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단위 학교에서는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개 발하여 활용할 것을 홍보함과 동시에 행·재정적인 지원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수행평가의 정착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첫째, 수 행평가 확대 시행 정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단위 학교나 교사의 재량권·자율권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수행평가를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개발·보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절대평가와 수행평가 등 모든 교육평가 활동의 바람직한 시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교수- 학습활동과 평가활 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사무적·행정적 업무를 경감시켜주는 등 교육여건을 개 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 1인당 담당 학생수와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기 위해 모든 행정 당국들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절대평 가와 수행평가 등 모든 교육평가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 력해야 할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에 대한 교육평가 교육도 강화해야 할 것이 다.. - v iii -. (10) < 차 례 > 머. 리. 연 구. 말 요 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5. 4. 기대 효과 및 산출물. 7. Ⅱ .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9. 1. 종합. 9. 2. 윤리. 17. 3. 국어. 28. 4. 공통 수학. 44. 5. 공통 사회. 51. 6. 국사. 63. 7. 공통과학. 77. 8. 체육. 86. 9. 음악. 99. 10. 미술. 110. 11. 영어. 120. - i -. (11) Ⅲ . 학 교 수 준 의 성 취 기 준 및 평 가 기 준 (예 시 ). 127. 1.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의 필요성 및 개발 절차. 127. 2. 윤리. 139. 3. 국어. 162. 4. 공통수학. 188. 5. 공통사회. 207. 6. 국사. 238. 7. 공통과학. 258. 8. 체육. 281. 9. 음악. 312. 10. 미술. 336. 11. 공통영어. 357. Ⅳ . 수행평가 시행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 방안. 378. 1. 실태분석을 위한 방법. 378. 2. 수행평가 반영 비율 및 시행 횟수. 382. 3. 수행평가 시행 방법 및 절차. 388. 4. 수행평가 시행 효과에 대한 지각. 413. 5. 수행평가의 시행과 관련된 요구 사항. 430. V . 수행평가 우수 사례. 440. 1. 들어가는 말. 440. 2. 윤리. 441. 3. 국어. 449. 4. 공통수학. 460. 5. 공통사회. 467. 6. 국사. 481. 7. 공통과학. 499. - ii -. (12) 8. 체육. 509. 9. 음악. 527. 10. 미 술. 542. 11. 영어과 수행평가 우수사례. 555. Ⅵ . 요약 및 제언. 57 1. 1. 요약. 571. 2. 제언. 574. 참. 고. 문. 헌. 579. 영. 문. 초. 록. 5 83. < 부록 1> 연구 관련 주요 활동. 587. < 부록 2> 「고등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내용. 589. < 부록 3> 설문지 (교사, 학생, 학부모). 591. < 부록 4> 실험학교 방문 보고서 (요약). 604. < 부록 5> 각 교과별 회의록. 618. - iii -. (13) <표. 차. 례>. < 표Ⅱ- 3 - 1> 영역당 성취기준의 수 ( 98 보고서 제시). 31. < 표Ⅱ- 5 - 1> 영역별 성취기준 개수. 53. < 표Ⅱ- 6 - 1> 국사과 98·99학년도 1학기 성적 분포. 67. < 표Ⅱ- 7 - 1> 공통과학의 성취기준 개수. 78. < 표Ⅱ- 8 - 1> 영역별 비율 적용의 예. 94. < 표Ⅱ- 9 - 1> 음악과 시수와 '98년 개발된 성취기준의 수. 99. < 표Ⅱ- 9 - 2> 98년 보고서의 성취기준 진술의 예. 100. < 표Ⅱ- 9 - 3> 교과서 단원 체계와 교육과정 영역 체계. 102. < 표Ⅱ- 9 - 4> 미국 캘리포니아 주 성취기준의 영역 구분. 103. < 표Ⅱ- 10- 1> 98년도 개발된 미술과 생활 중영역 11의 성취기준. 111. < 표Ⅱ- 10- 2> 98년도 개발된 회화의 중 영역 21의 성취기준. 113. < 표Ⅱ- 10- 3> 회화와 조소의 성취기준 활용의 예. 114. < 표Ⅱ- 10- 4> 98년도 개발된 미술과 평가기준의 상,중,하 수준 구분 근거. 115. < 표Ⅲ- 2- 1> 학교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윤리 내용 영역별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1). 145. < 표Ⅲ- 2- 2> 학교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윤리 내용 영역별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2). 146. < 표Ⅲ- 2- 3> 학교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윤리 내용 영역별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3). 146. < 표Ⅲ- 3 - 1>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수(예시). 171. < 표Ⅲ- 5 - 1> 공통사회(상) 교육과정과 교과서와의 관계 분석. 214. < 표Ⅲ- 8 - 1> 체육과 수업 및 평가 계획서(예시 1). 286. < 표Ⅲ- 8 - 2> 체육과 수업 및 평가 계획서(예시 2). 287. < 표Ⅲ- 8 - 3>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수(예시). 288. - iv -. (14) < 표Ⅲ- 9 - 1> 국가 수준과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비교. 313. < 표Ⅲ- 9 - 2> 국가 수준의 평가기준. 314. < 표Ⅲ- 9 - 3> 학교수준의 평가기준. 316. < 표Ⅲ- 9 - 4> 학기별 영역 선택 방식의 예. 317. < 표Ⅲ- 9 - 5> 1학기에 이수할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의 예. 319. < 표Ⅲ- 9 - 6> 2학기에 이수할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의 예. 320. < 표Ⅲ- 9 - 7>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활용의 예. 322. < 표Ⅲ- 9 - 8> 평가기준 요소 종류의 활용. 324. < 표Ⅲ- 9 - 9> 211시창 중 평가요소 리듬·음정의 상/ 중/ 하 진술 내용 활용의 예. 324. < 표Ⅲ- 9 - 10>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선택 영역과 수. 326. < 표Ⅲ- 10- 1> 미술과 교과서 제재 분석 (괄호안은 게재 교과서 수). 337. < 표Ⅲ- 10- 2> 1학기 미술과 수업 및 평가 계획서 (예시). 338. < 표Ⅲ- 10- 3> 2학기 미술과 수업 및 평가 계획서 (예시). 338. < 표Ⅲ- 10- 4> 국가수준의 성취기준 재구성의 예시. 339. < 표Ⅲ- 10- 5>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수(예시). 341. < 표Ⅲ- 11- 1>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영역 17개. 359. < 표Ⅳ- 1> 설문조사를 위한 표집 및 응답한 대상 수. 380. < 표Ⅳ- 2> 초등학교의 크기에 따른 각 시·도별 표집 학교 수*. 381. < 표Ⅳ- 3> 학교급별 교과목 성적 산출 시 수행평가 반영비율. 383. <표Ⅳ- 4> 중·고등학교에서의 각 교과목별 성적산출 시 수행평가 반영비율. 383. < 표Ⅳ- 5> 고등학교의 학교 크기에 따른 수행평가 반영 비율. 384. < 표Ⅳ- 6> 고등학교의 학급 크기에 따른 수행평가 반영 비율. 385. < 표Ⅳ- 7> 각 학교급별 수시평가 시행 실태(중간·기말 고사 제외). 385. < 표Ⅳ- 8> 중·고등학교 각 교과목별 수시평가 시행 실태. 386. < 표Ⅳ- 9> 각 학교급 및 지역별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수행평가 반영 비율. 387. < 표Ⅳ- 10> 각 교과별 적정 수행평가 반영 비율(중·고등학교). 388. < 표Ⅳ- 11> 수행평가 실시시 겪게 되는 어려움(학교급별, 지역별). 389. < 표Ⅳ- 12> 수행평가 실시시 겪게 되는 어려움(학교규모별). 390. < 표Ⅳ- 13> 수행평가 실시시 겪게 되는 어려움(학급 규모). 391. - v -. (15) < 표Ⅳ- 14> 중·고등학교 수행평가 실시 시 겪는 어려움(담당 교과목별). 392. < 표Ⅳ- 15>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행평가 방법. 393. < 표Ⅳ- 16> 수행평가 적용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중·고등학교 교과별). 394. < 표Ⅳ- 17> 성적 산출을 위해 사용하는 평가 방법. 395. < 표Ⅳ- 18> 성적 산출을 위해 직접 사용하는 방법(중·고등학교 교과별). 397. < 표Ⅳ- 19> 채점기준표 작성 방법. 398. < 표Ⅳ- 20> 채점기준표 작성 방법(교과별). 399. < 표Ⅳ- 21> 모범답안 사전 작성 여부(학교급별). 400. < 표Ⅳ- 22> 모범답안 사전 작성 여부(교과별). 401. < 표Ⅳ- 23> 수행평가 실시시 교차 채점 여부. 402. < 표Ⅳ- 24> 수행평가 실시시 교차채점 여부(교과별). 403. < 표Ⅳ- 25> 수행평가 실시 시 교차채점 실시 여부 (학교 규모별). 404. < 표Ⅳ- 26> 수행평가 문항 개발 방법. 405. < 표Ⅳ- 27> 수행평가 문항 개발 방법(교과별). 406. < 표Ⅳ- 28> 수행평가 문항 개발 방법 (학교 규모별). 407. < 표Ⅳ- 29> 수업계획서의 공개 여부. 408. < 표Ⅳ- 30> 수업계획서의 공개 여부(교과별). 409. < 표Ⅳ- 31> 평가계획서의 공개 여부. 410. < 표Ⅳ- 32 > 평가계획서 공개 여부(교과별). 411. < 표Ⅳ- 33> 동학년 협의회나 교과 협의회 실시 횟수. 412. < 표Ⅳ- 34> 동학년 협의회나 교과 협의회 실시 횟수(교과별). 413. < 표Ⅳ- 35> 동학년 협의회나 교과협의회 실시 빈도(학교 규모별). 413. < 표Ⅳ- 36> 수행평가 결과의 활용. 414. < 표Ⅳ- 37> 수행평가 결과의 활용 (교과별). 415. < 표Ⅳ- 38> 교육 목표 구현에 있어서 수행평가의 기여 정도. 416. < 표Ⅳ- 39> 교육목표 구현에 대한 수행평가의 기여 정도(교과별). 416. < 표Ⅳ- 40> 교육방법 개선에 있어 수행평가의 도움 정도. 417. < 표Ⅳ- 41> 교육방법에 있어 수행평가 도움 정도(교과별). 418. < 표Ⅳ- 42- 1> 수행평가 적용 후 학생들의 수업태도 변화 (교사 대상). 419. - vi -. (16) < 표Ⅳ- 42- 2> 수행평가 적용 후 학생들의 수업태도 변화 (학생 대상). 419. < 표Ⅳ- 42- 3> 수행평가 적용 후 학생들의 수업태도 변화 (학부모 대상). 420. < 표Ⅳ- 42- 4> 수행평가 적용 후 학생들의 수업 태도 변화(교과목별). 421. < 표Ⅳ- 43 - 1> 학업 성취도 향상에 대한 수행평가의 기여 (교사 대상). 422. < 표Ⅳ- 43 - 2>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수행평가의 기여 정도(교사 대상). 422. < 표Ⅳ- 43 - 3> 학업성취도에 대한 수행평가의 기여 (학부모 대상). 423. < 표Ⅳ- 45> 수행평가의 지속적 실시를 통한 수업의 개선 여부. 424. < 표Ⅳ- 46> 수행평가의 지속적 실시를 통한 수업의 개선 여부(교과별). 424. < 표Ⅳ- 47> 수행평가의 확대 실시가 국가 교육발전에 기여 여부. 425. < 표Ⅳ- 48> 수행평가의 확대 실시가 국가 교육발전에 기여 여부(교과별). 426. < 표Ⅳ- 49> 수행평가의 확대 실시 여부. 426. < 표Ⅳ- 50> 수행평가의 확대 실시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교과별). 427. < 표Ⅳ- 51- 1> 수행평가 실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교사 대상). 428. < 표Ⅳ- 51- 2> 수행평가 실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학생 대상). 428. < 표Ⅳ- 52> 수행평가 실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교사 대상). 429. < 표Ⅳ- 53> 평가원에서 출판한 자료들의 도움 정도. 430. < 표Ⅳ- 54> 수행평가 정착을 위해 개선해야 할 문제점. 431. < 표Ⅳ- 55> 수행평가 정착을 위해 개선해야 할 점(교과별). 432. < 표Ⅳ- 56> 수행평가에 대한 연수 실시시 가장 필요한 내용. 433. < 표Ⅳ- 57> 수행평가 연수시 가장 필요한 연수(교과별). 433. < 표Ⅳ- 58> 개방형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 내용 분석 (빈도순). 434. < 표Ⅳ- 59> 개방형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내용 분석 (빈도순). 436. < 표Ⅳ- 60> 개방형 질문에 대한 학부모들의 응답 내용 분석 (빈도순). 438. < 표Ⅴ- 2- 1> 고등학교 윤리과 평가 계획(1). 441. < 표Ⅴ- 2- 2> 구술 시험의 채점 기준. 443. < 표Ⅴ- 2- 3> 주제별 조사 발표법에 대한 채점 기준. 444. < 표Ⅴ- 2- 4> 신문 기사 스크랩 포트폴리오에 대한 채점기준. 445. < 표Ⅴ- 2- 5> 실천 일기 쓰기 포트포리오에 대한 채점 기준. 446. < 표Ⅴ- 2- 6> 자기 직업에 대한 연구 보고서의 채점 기준. 447. - v ii -. (17) < 표Ⅴ- 2- 7> 윤리 사상가에 대한 연구 보고서의 채점 기준. 448. < 표Ⅴ- 4 - 1> S고등학교의 평가 방법 및 비율. 460. < 표Ⅴ- 4 - 2> S고등학교의 과제물 예시 및 채점기준. 461. < 표Ⅴ- 4 - 3> S고등학교의 발표 채점기준. 462. < 표Ⅴ- 4 - 4> S고등학교의 수업 태도 채점 기준. 462. < 표Ⅴ- 7 - 1> S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학 평가 계획표. 499. < 표Ⅴ- 7 - 2> 학교수준의 수업 목표와 평가기준 예시. 503. < 표Ⅴ- 8 - 1> 연간 수업 및 평가 계획. 509. < 표Ⅴ- 8 - 2> 1학기 세부 수업 및 평가 계획. 510. < 표Ⅴ- 8 - 3> 개인별 성취도. 511. < 표Ⅴ- 10- 1> 부천 B 고등학교 미술과 학기별 평가 계획. 542. < 표Ⅴ- 10- 2> 학생 생활 기록부에 수행평가 반영의 예. 543. < 표Ⅴ- 10- 3> B고등학교 미술과 연간 수업 및 평가 계획. 544. < 표Ⅴ- 10- 4> B학교의 회화 단원 수업 목표. 545. < 표Ⅴ- 10- 5> 고무 판화 채점 기준표. 546. < 표Ⅴ- 10- 6> 연구 보고서의 채점 기준표. 547. - v iii -. (18) < 그 림 차 례 >. [그림Ⅱ- 5- 1] 교사와 학생이 함께 작성한 ○○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58. [그림Ⅱ- 8- 1] 영역별 비율에 따른 학기별 프로파일 작성의 예. 95. [그림Ⅲ- 1- 1] 교육목표와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과의 관계. 129. [그림Ⅲ- 1- 2]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개발 절차. 130. [그림Ⅲ- 1- 3] 학교수준의 평가기준 개발 절차. 135. [그림Ⅲ- 4- 1] 바람직하지 않은 성취기준의 통합. 188. [그림Ⅲ- 4- 2] 바람직한 성취기준의 통합(I). 189. [그림Ⅲ- 4- 3] 바람직한 성취기준의 통합(II). 189. [그림Ⅲ- 5- 1] 성취기준 재구성의 사례(Ⅰ). 208. [그림Ⅲ- 5- 2] 병렬적 성취기준 통합 방식(Ⅰ). 209. [그림Ⅲ- 5- 3] 성취기준 재구성의 사례(Ⅱ). 209. [그림Ⅲ- 5- 4] 병렬적 성취기준 통합 방식(Ⅱ). 209. [그림Ⅲ- 5- 5] 성취기준 재구성의 사례(Ⅲ). 210. [그림Ⅲ- 5- 6] 위계적 성취기준 통합 방식. 211. [그림Ⅲ- 8- 1] 성취기준 수정의 예. 284. - ix -. (19) (20) Ⅰ . 서론. 1. 연 구의 필요 성 및 목적 이 연구는 199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본원 )에서 개발한 고등학교 공통 필수 10개 과목에 대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의 후속 연구라 할 수 있다1) . 1996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시작되었던 고등학교 공통필수 10개 과목(①윤리, ②국어, ③공통수학, ④공통사회, ⑤국사, ⑥공통과 학, ⑦체육, ⑧음악, ⑨미술, ⑩공통영어)에 대한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개발 연구 는, 1998년 본원의 설립과 함께 연구과제의 이름을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 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로 변경하여 본원의 연구진들이 연속적으로 수 행함으로써 거의 마무리된 상태였다2) . 즉, 본원에서 개발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 거한 평가 기준3) 및 평가 도구들이 일선 학교에서 제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 즉 현장 적용 가능성 여부에 대한 연구만 남아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함께 각 시·도 교육청별로 한 개 고등학 교씩 총 16개의 실험학교를 운영하면서, 본원에서 개발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 1)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상대평가와 대비되는 것으로 절대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하 고 있으나, 국가수준에서 절대평가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평가해야 하기 때문에 이 보고서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라는 용어와 국가수준의 절대평가 라는 용어를 같은 의미로 상황에 따라 혼용하 여 사용하고 있다. 2) 98년에 본원에서 발간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에 해당하는 보고서는 총 11권(①총론 ②윤리, ③국어, ④공통수학, ⑤공통사회, ⑥국사, ⑦공통과학, ⑧체육, ⑨음악, ⑩미술, ⑪공통영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에 배포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보고서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3) 이하 본 연구에서 말하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혹은 절대평가 기 준 이란 ① 성취기준(achievement standards), ② 평가기준(assessment standards), 그리고 ③ 등급화 방안(grading system) 모두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 - 1 -. (21) 한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들을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과 함께, 학교 현장에서 이들을 적용할 때 생기는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그 해 결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성 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근거로 하여 특정 학교의 여건이나 실정에 맞도록 수 정·보완한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을 예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단 위 학교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아울러, 학교 현장에서의 수행평가(遂行評價: perform ance as ses sm ent ) 시행 실태 및 시행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4). 왜 냐하면, 고등학교 공통필수 10개 과목에 대한 절대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 구 에서 예시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의 대부분이 수행평가를 위한 것들이어서 절대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의 현장 적용 연구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수 행평가가 제대로 시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5). 특히, 각 교과목별 수행평가 우수 사례를 현장에서 발굴·제공함으로써 수행평가 도구들의 현장 활용 가능 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요컨대, 이 연구는 본원에서 고등학교 각 교과별로 개발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들을 전국 16개 고등학교에서 실험적으로. 4) 교육부(1998)의 교육비전 2002: 새 학교문화 창조 등에서 학교 교육현장에 수행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도 수행평가를 적용하기 위해 연구·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 교 교육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 는 경우가 많이 있고, 상급 기관에서는 수행평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현장에 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교육현장에 수행평가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수 행평가에 대한 현장 적용 실태 및 적용상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그러한 문제점 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5) 이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들은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수행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기 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행평가를 시행하는 방법과 절차, 수행평가 도구(혹은 문 항) 제작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자세한 지침,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예시 평가 도 구(혹은 문항)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10개 교과별(①윤리, ②국어, ③수학, ④사회, ⑤역사, ⑥과학, ⑦체육, ⑧음악, ⑨미술, ⑩영어)로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라는 책자(총 10권(서울: 교육진흥연구회))를 99년 7월에 발간하여 현장에 배포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 2 -. (22) 적용해 봄으로써, 활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공통 필수 10개 과목에 대한 학교 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예시적으로 개발·제공함으로써 절대평가 기준의 현장 적용 가능성 을 높이고자 하였다. 아울러,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에 기여하기 위하여 수행평 가 우수 사례를 발굴·제공함과 동시에 수행평가의 시행 실태 및 문제점을 분 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 연구내용 이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 .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이 부분은 전국 16개 실험학교에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 구 개발 연구 의 내용을 실험 적용한 다음 그것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강구하 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 공통필수 10개 과목(윤리, 국어, 공통수학, 공통사회, 국사, 공통과학, 체육, 음악, 미술, 공통영어)의 각 과목별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 각 교과별 교육과정과 성취기준과의 관련성 검토 -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진술상의 문제점 검토 - 평가기준의 상/ 중/ 하 구분의 타당성 검토 2) 각 교과별 평가 도구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 개발된 평가 도구들의 현장 적용 가능성 검토 - 개발된 모범 답안 및 채점 기준표의 타당성 검토 3) 등급화 방안에 대한 현장 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 검토 나 . 학 교 수 준 의 각 교 과 별 성 취 기 준 및 평 가 기 준 (예 시 ) 이 부분은 98년도에 국가수준에서 개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일선 학교. - 3 -. (23) 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한 부분이다. 학교 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예시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 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필요성 2)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절차 3) 학교수준의 각 교과별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예시) 다 . 수행평가의 시행 실태 및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행평가의 시 행 실태 및 문제점 분석과 함께 그 개선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시행 의지 분석 - 수행평가 본질 및 특성에 대한 이해 - 수행평가에 대한 시행 의지 -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이해 - 문제점 및 개선 방안 2) 수행평가 현장 적용 실태 분석 - 수행평가의 적용 비율 분석 - 사용하고 있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실태 분석 3) 학생 및 학부모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및 의견 분석 - 수행평가 본질 및 특성에 대한 이해 - 수행평가의 시행에 대한 의견 -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라 . 수행평가 우수 사례 학교 교육 현장에서 각 교과별로 수행평가 우수 사례를 발굴·제공함으로써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 4 -. (24) 3. 연구 방법 및 절차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 .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 절대평가 및 수행평가와 관련되는 국내외 문헌 분석 및 정리 2) 전국 16개 시·도에서 한 학교씩 총 16개 실험학교 운영6) - 서울사대부속고등학교 (서울). - 경남고등학교 (부산). - 영남고등학교 (대구). - 부평고등학교 (인천). - 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 - 대전고등학교 (대전). - 울산신정고등학교 (울산). - 포천고등학교 (경기). - 임계고등학교 (강원). - 금천고등학교 (충북). - 천안여자고등학교 (충남). - 전주고등학교 (전북). - 나주고등학교 (전남). - 안동여자고등학교 (경북). - 진해고등학교 (경남). - 서귀고등학교 (제주). 3) 현장 방문 및 심층 면담 (수행평가 현장 적용 실태 및 문제점 파악) - 초·중·고등학교 방문 및 교사와의 심층 면담 - 시·도 교육청 및 시·군·구 교육청 방문 및 담당자와 심층 면담 - 학부모와 학생들과의 심층 면담 4) 설문조사 (수행평가 현장 적용 실태 조사 및 문제점 파악) - 초·중·고등학교 교원용 설문지 제작 및 조사 실시 (초등 교원: 1,000명, 중학교 교원: 1,000명, 고등학교 교원: 1,000명) 6) 실험학교 운영을 위해 2~3월에 걸쳐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에 대한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으며(< 부록 1> 연구관련 주요활동 참조), 연구원들이 1~2학교의 자문교수로 참여하면서 학교방문, 담당자와의 질의 응답 등을 통해 실험학교와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부록 4> 실험학교 방문 보고서 참조).. - 5 -. (25) - 학부모 및 학생용 설문지 제작 및 조사 실시 (학생 : 초·중·고 각각 300명, 300명, 400명으로 총 1,000명) (학부모 : 초·중·고 각각 300명, 300명, 400명으로 총 1,000명) 5) 전문가 협의회 및 집중 작업 (< 부록 5> 각 교과별 회의록 참조) - 실험학교 운영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을 위한 협의회 - 수행평가 실시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을 위한 협의회 - 각 교과별 수업 및 평가 계획서 작성을 위한 협의회 및 집중 작업 - 각 교과별 평가문항 개발 및 검토를 위한 협의회 및 집중 작업 -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책 발간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및 집중 작업 -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의 업무 관련자와의 협의회 등 (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과의 긴밀한 협조 관계 유지) 나 . 연구 절차 연구일정 (월) 연구내용 연구 실행계획서 작성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연수 수행평가에 대한 기초 연구 전문가 협의회(개발진, 검토진 포함) 실험학교 담당자와의 협의회 실험학교 방문 및 자문 수행평가 시행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 중간보고서 작성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발간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수행평가 우수 사례 발굴 최종 보고서 작성 보고서 수정·보완 보고서 인쇄. - 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26) 4. 기대 효과 및 산출물 이 연구의 기대효과 및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 가 . 기대 효과 이 연구는 1996년부터 시작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 발 연구 를 마무리한다는 점과 함께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를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경우, 현실적으 로 검토하거나 개선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가수 준의 절대평가의 시행과 관련하여 정책 결정자의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 2) 국가수준에서 개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개발한 학교수준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예시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배포되어 있는 98년도 보고 서의 현장 활용 가능성을 높임과 동시에 학교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을 촉진할 수 있다. 3) 학교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학교수준에서 절대평가를 제 대로 실시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지금까지 관행으로 되어 온 상대평가에서 유래되는 교육적 폐해를 해소·완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4) 고등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라는 책자를 발간·배포함으 로써 학교 교육 현장에 수행평가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5)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평가의 시행 실태 및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수행평가의 확대 실시와 관련하여 정책 결정자의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 - 7 -. (27) 6) 수행평가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일선 학교에 제공함으로써 일반 교사들이 수행평가를 제대로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나 . 연구 산출물 본 연구를 통해 보고서 최종 보고서 1종과, 각 교과별로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라는 책(총 10권)이 산출되었다7) .. 7) 99년 7월에 총10권으로 발간된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는 외부출판사(교 육진흥연구회)에 의해 출판되어 시판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부록 2 > 「고등학 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의 내용 참조).. - 8 -. (28) Ⅱ . 국가 교육 과정 에 근거 한 평가 의 문제 점 및 개 선 방안. 이 장은 98년도 본원의 연구보고서인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총 11권) 의 내용을 전국 16개 실험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한 결과를 중심으로 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에 대하여 제시한 것이다.. 1. 종합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에 대한 현장 연구 결과, 1996년 연구를 시작하 면서부터 추구했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하였다. 즉,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를 전국적으로 제대로 실시할 경우, ① 전국에 있는 고등학교간의 학력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일선 학교의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과 ② 학생들의 교육 성취도를 평가할 때, 다른 학생들의 성취도와 서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잘 설정된 교육 목표(교 수·학습 목표와 평가목표)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절대평가의 근본 취지를 학교 교육 현장에 정착시킴으로써 교수- 학습 활동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8년도 본원에서 개발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의 운영 방안은 원칙적으로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동일한 성취기준, 평가기준, 그리고 등급 화 방안을 활용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 대평가가 제대로 시행될 경우 전국의 고등학교를 서열화할 수 있고(학교간의 학력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고), 일부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성적 부풀 리기 현상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실험학교 운영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참고로, 교육부에서 1996년도부터 장기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연구, 즉 국. - 9 -. (29) 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개발 연구를 시행하게된 직접적인 이유 중의 하나도 일 선 학교의 성적 부풀리기 현상을 막음과 동시에 학교간의 학력격차를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허경철 외, 1996). 그리고,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는 학생들간의 상대적인 서열을 중시하 지 않고,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교육 목표나 내용(혹은 평가 영역, 주로 각 교 과목의 중영역)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절대평가 의 근본적인 취지를 충분히 살림으로써 일선 학교의 교수- 학습 활동을 개선하 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 동안 상대평가에 의해 야기된 교수- 학습 활동의 부실화를 방지하고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수- 학습 활동의 내실화와 학교 교육을 정상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해오고 있는 교육부가, 학교간 의 학력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에 대해 다소 소극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고, 최근에는 전국 공통의 절대평가를 시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거의 없다는 사실이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를 전국적으로 시행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교육내용과 관련해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 내용이 너무 많고 너무 어렵기 때문에 제6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의 내용이 너무 많고 어렵다는 지적이 많이 있었다. 참고로, 제6차 교육과정은 원칙적으로 교과 내부의 논리 (혹은 이론적인 논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현재 살아가고 있는 학생들의 수행수준(혹은 학력수준)에 근거하여 개발된 것은 아니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6차 교육과정은 현행 학교 교육의 여건이나 실정 (예: 학생의 수준, 학급당 학생 수, 시설·설비 수준, 교사의 전문성 등)이 제대 로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가가 학생들이 성취해주기를 기대하는 수준을 중 심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의 내용이 너무 많고 너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따라서 제6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내용이 많고 어렵다는 지적은 지극히 당연한 지적이라 고 할 수 있겠다. 비록 지역이나 학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국가 교육과정에 근 거한 평가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실험학교에서 제기하고 있는 문제. - 10 -. (30) 점과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문제점 을 제기한 일부 실험학교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의 시행 취지를 오해하거나 연구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는 것을 지적해두 고자 한다.. 가 .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성취기준의 수준이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 리고, 학교간 학생들의 수준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설정되어 있어서 일부 학 교 학생들의 경우 학습 의욕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예컨대, 학습 부진학 생과 학습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 모두 동일한 성취기준을 적용하여 가르쳐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준차이를 제대로 고려할 수가 없어서 학습동기를 저해 하고 다양한 개인차를 배려하지 못하게 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리고, 본원의 연구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의 수가 너무 많아 주어진 법정 수업 시수 내에 성취기준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러한 지적들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등학교 공통필수 10개 과목의 내용이 지역차나 학교차를 고려하지 않고 국가 공통 으로 구성되어 있 을 뿐만 아니라, 내용이 너무 많고 그 수준이 지나치게 높다는 일반적인 지적과 관련 있다. 결국 성취기준의 수가 너무 많고 수준이 너무 높다는 지적이나, 지 역차나 학교차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다는 것은 결국 현행 제6차 교육과정 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내용이 너무 많고 너무 어렵다는 지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 정 개정 작업을 통해서 점진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역차나 학 교차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다는 지적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의 기본 취지 중의 하나가 국가 공통 의 절대평가를 시행하여 지역차나 학교차를 분명히 드러내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에 불가피한 일이라고 하겠다.. 나 . 평가기준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발된 평가기준의 수준이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었. - 11 -. (31) 다. 그래서, 일부 학교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든 평가영역에서 하 를 받 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평가기준에 대한 지적 사항은 상/ 중/ 하를 구분하는 기준이 다소 모호하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특히, 어떤 평가영역에서 중 수준 의 의미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자의적인(?) 해석을 낳게 하는 부분들도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상 / 중/ 하로 구분된 평가기준에 맞추어 그에 적절한 평가문항 및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러한 지적들은, 앞서 언급한 성취기준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6차 교육과정 의 수준이 너무 높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며, 일부 현장 교사들에게는 익숙하 지 않은 평가기준이라는 개념이 새로 도입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교육과정과 관련된 문제는 앞으로 교육과정 개정작업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을 보다 분명하게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노력함과 동시에 현장 교사들에 대한 연수활동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평가기준이 라는 새로운 개념의 도입과 함께 지금까지 성공/ 실패 와 같은 이분법적 평가에 익숙해져 있는 교사들에게 평가영역에 따른 상/ 중/ 하 수준 구분과 같은 다분법 적 평가를 새롭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이해와 함께 새로운 적응기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대한 연수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 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든 평가 영역에서 하 를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은 국가 공통 의 절대평가를 시행하게 되면 학교간 학력 격차 때문에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다 . 등급화 방안과 관련하여 많은 학교에서 성적 부풀리기를 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보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등급화 방안을 따를 경우 실험학교의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러한 지적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를 전국적으로 시행 하지 않고 일부 학교에서만 시행하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제기될 수 있는 문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는 국가 공통 의 기준을 가지고 있음에 비해 성적 부풀리기를 하는 학교에서는 임의적인 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 학교에 유리하게 기준을 설정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12 -. (32) 그러나 전국 공통의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한다면, 임의적인 기준 활용에 따 른 성적 부풀리기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국가 공통의 절대평가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수/ 우/ 미/ 양/ 가 등급과 현행 학교에서 생각 하고 있는 수/ 우/ 미/ 양/ 가 등급이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는 지 적이 있었다. 예컨대, 보고서에 제시된 등급화 방안에 따르면 모든 평가영역에 서 중 수준(그 과목을 배우는 고등학교 학생이 충실한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서 성취해야 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수준)의 성취도를 보이면 기말에 받게되는 종합 성적은 미 가 되는데, 그 정도 수준이면 일선 학교에서는 수 나 우 가 된 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 비록 100점 만점의 점수를 기준으로 수/ 우/ 미/ 양/ 가 등급을 판정하기는 하지만, 각 학교 각 교과별 시험의 난이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선 학교의 평어는 결국 임의적인 기준에 의한 평어 판정이라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전국의 모든 학교에서 국가 공통의 기준에 의해 평어 판정을 하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다. 아울러, 개별 학생에게 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때 각 평가영역별(주 로 각 교과목의 중영역)로 상/ 중/ 하수준을 드러내는 프로파일을 만들어 주는 것 은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라는 지적이다. 다만, 이러한 작업을 도와 줄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에 업무가 가중되는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 다. 그러므로, 등급화 방안 즉, 평가영역별 상/ 중/ 하 수준을 환산점수로 바꾸어 종합 성적을 산출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함께 평가 영역별 상/ 중/ 하 프로 파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선 학 교에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라 . 평가도구 및 문항과 관련하여 본원의 연구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항들은 대체로 그 수준이 높아서 일부 학교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지적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제6차 교육과정의 내용이 너무 많고 너무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교육과정의 개정을 통해 점차적으 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 13 -. (33) 그리고, 일선 학교에서 평가영역별 평가기준에 따라 그에 적절한 평가도구 및 문항을 개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즉, 일선 학교에서 새로운 평가 도구 및 문항을 개발하려고 해도 교과담당 교사의 수가 많지 않고, 문항 개발에 투여할 만큼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평가 도구 및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다. 자신의 능력상 양질의 평가 도구나 문항을 개발할 자신이 없다고 양해를 구하는 교사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나 시·도교육청수준에서 다양 한 평가 도구 및 문항을 제작, 컴퓨터화된 문제은행을 구축하여 정보통신망에 탑재하고 교사들이 쉽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참고 로, 앞서 언급하였듯이 연구진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다소 도움을 주 고자 1999년 여름에 고등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총 10권 (서 울: 교육진흥연구회)) 라는 책자를 발간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 아울러, 1999년도 학교생활기록부의 개정에 따라 고등학교의 경우 학기별로 성적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98년도 보고서에서 학년별로 성적을 기 록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을 학기별로 성적을 기록하도록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98년도 보고서에 제시된 등급화 방안에 따라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를 기록할 때 동(同)석차가 지나칠 정도로 많이 나오게 된다는 지적이 있으나, 국 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는 기본적으로 절대평가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특 별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절대평가를 전국적으로 시행하게 된다면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 기재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 . 기타 사항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를 전국적으로 실시하기에 앞서 몇 가지 고려해 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의 개발 논리에 대한 심도 깊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즉, 교과 내부의 논리에 근거할 것인가 아니면 현재 살아가고 있는 학생의 수준에 근거하여 개발할 것인가를 다시 한 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학생의 수 준에 근거하여 개발할 경우에는 국가수준에서는 방향만 제시하고(예: 총론) 각. - 14 -. (34) 론이라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들은 각 시·도교육청이나 지역교육청의 실정 에 맞도록 자체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우리 나라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교과서 를 개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현장에서 가르치고 평가할 때 는 국 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하기 어렵다. 오히려 교사의 임의적인 기 준에 의해 가르치고 평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국가 교육과 정이 이렇게 활용될 바에는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할 때,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할 것이 아니라 차라리 현행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전국에서 중간 정 도의 학생들에게 적합하리라 예상되는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을 개발하여 보급 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극단적으로 말하여 아무도 사용하지 않거 나 일부만 사용하도록 개발하기보다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둘째, 학교간의 학력격차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재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로 전국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대학수학능력시험(400 점 만점) 모의 고사에서 학교평균이 가장 높은 학교와 가장 낮은 학교의 점수 차이가 255점 정도 된다는 것은 우리 나라의 학교간 학력 격차가 얼마나 큰가 를 잘 보여주고 있다(조선일보 98. 9. 3.)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를 시행하게 될 경우 학교간 학력격차가 분명하게 드러날 가능성이 많은 만큼, 제 대로 된 절대평가를 전국적으로 시행하기에 앞서 결정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그 예로 있는 그대로의 학교간 학력 격차를 인정할 것인지, 아니면 고교 평준화 정책과 관련하여 여전히 학교간 학력격차를 무시할 것인지에 대한 국가차원에 서의 정책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고교 평준화 정책을 고수하여 학교간 학력 격차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절대평가를 시행하는 것 자 체가 상호 모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정책을 수립할 때, 최근 일선 고등학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적 부풀리기 현상도 대학입학 전 형자료로 내신성적을 활용할 때 공식적으로 학교간 학력 격차를 인정하지 않도 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게 되어 있는,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 기 재의 폐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다.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는 기본적으로 절대평가를 지향하는 것이므로, 현행 학교생활기록부에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를. - 15 -. (35) 기재하는 것과는 그 기본 입장이 상충된다. 따라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 가를 시행하거나, 시행하기 위한 하나의 준비 작업으로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를 기재하는 것을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소위 교육 선진국이라고 하는 모든 나라에서는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저해하는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를 학교생활기록부(혹은 성적표)에 기재하지 않고 있다 (허경철 외, 1997; 윤병희 외, 1996). 이러한 노력은, 고등학교 교육은 대학입시 를 위한 준비기관이라거나 대학입학전형자료 중의 하나인 내신성적을 제공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넷째,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에 대한 직전교육과 재교육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부 학교 교사들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가 곧 수행 평가라고 오해하거나 거꾸로 수행평가를 하면 그것이 곧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 한 절대평가가 된다고 생각할 정도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사실, 많은 교사들은 예비교사 시절에 교육평가 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나 평 가 도구 개발 방법 등에 대해 재대로 교육받을 기회가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교육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나 기법에 대해서 현직 교사들에 대한 재교육 기회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에 대한 직전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 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성취기준이나 평가기준 등을 개발할 때 수도권 지역에 있는 교수들이나 교사들뿐만 아니라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있는 교수나 교사들을 대거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성취기준이 나 평가기준 등의 개발진을 선정할 때도 일부 대학출신들(학부 기준)이 편중되 는 것을 막고 다양한 수준의 교수나 교사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 16 -. (36) 2 . 윤리 1998년도 보고서인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 고등학교 윤리 내용을 현장 적용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분석된 문제점을 성취기준, 평가기준, 등급화 방안, 평가 도구 등으로 나누어 구체적으 로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기로 한다.. 가 .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1998년도에 개발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 고등학교 윤리 에서 제시한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은 실험 학교의 운영 결과, 많 은 장점들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문제점도 적지 않게 드러났다. 그 중 문제 점만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크게 성취기준 내용의 과다 , 학생들의 수준에 비 해 너무 높게 설정된 성취기준 , 지나치게 인지적 영역에 치중된 성취기준 , 구 체성이 결여되거나 부족한 성취기준 , 성취기준 진술의 획일성 , 그리고 성취기 준과 평가기준이 별도로 작성되어 함께 연결해서 보기 어렵다는 점 등으로 정 리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실험 학교 운영에서 나온 각각의 문제점을 상세히 언 급한 후, 이를 어떻게 극복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도 함께 언급하였다.. 1) 성취기준 내용 의 과다 문제 윤리과의 경우, 성취기준은 소영역마다 총괄적인 성취기준 1개와 하위의 성취 기준이 2- 5개씩 개발되어 있다8). 따라서 1개 소영역당 2시간씩 배당되므로 시 간당 2- 3개씩의 성취기준을 지도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실험 학교 운영 결과, 이러한 성취기준은 그 내용에 있어서 지나치게. 8) 고등학교 윤리과 교육과정은 전체 50개 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수 단위 수는 6 단위이다. 그리고 1단위 이수 시간을 17시간으로 하면, 50개 소영역을 102시간에 다루게 된다.. - 17 -. (37) 세분화된 것이며 그 숫자에 있어서도 많은 편이라는 지적이 대부분이다. 사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성취기준 을 구성함에 있어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을 자의적으로 삭제하거나 약화시켜 해석할 수 없다. 결국 성취기준 내용의 과다 문제는 교육과정의 내용 과다 문제 와 관련이 크며, 이러한 문제는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에서 도덕과 교육과 정 내용의 축소 방안에 따라 이미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9). 이처럼 성취기준 내용의 과다 문제는 제시된 하위적인 성취기준을 통합적으 로 진술하거나 교사 수준에서 의미있는 성취기준을 선택함으로써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2) 성취기준이 학생 수준에 비해 높게 설정된 문제 제시된 윤리과 성취기준이 학생 수준에 비해 전반적으로 너무 높다는 것이다. 16개 실험 학교 중 일부에서는 지역별, 계열별, 수준별 편차를 고려하여 성취기 준을 차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국가 공통의 단일한 절대 평가기준을 제공한다는 연구의 기본 취지와 상치(相馳)되는 제안이 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이 연구의 기본 취지와 상치된다 하더라도, 성취기준 수 준이 너무 높아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정적 자아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면 이것은 충분히 수정될 필요가 있다.. 3) 성취기준이 인지적 영역에 치중된 문제 윤리과의 특성상 정의적 영역 강조, 도덕적 실천의 중시, 인지·정의·행동적 요소의 통합적 접근 등이 지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개발된 성취기준에 서는 인지적 영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교과의 특성과는 달리 인지적 영역에 지나치게 치중된 데에는 현실적으로 정의 적이고 행동 실천적인 영역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과 정의적이고 행동 실천적 영역 평가시 발생하기 쉬운 객관성 및 신뢰성 시비를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1년 동안의 평가 연구 과정과 현장 실험 적용 과정에서 정의적이고 9) 6차 교육과정 하에서는 1개의 소영역당 2시간이 할애되어 있었지만, 제7차 교육과정 에서는 1개의 소영역당 거의 4시간을 할애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절반 정도로 축소하였 다.. - 18 -. (38) 행동 실천적 영역 평가에 대한 노하우가 많이 개발되었고, 모든 평가를 점수화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라는 교과 전문가들 사이의 공감대가 형성되어감에 따라 좀더 자유롭게 정의적이고 행동 실천적 영역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진 것 이다.. 4) 성취기준의 구체성 결여 문제 실험 학교 적용 결과에 의하면, 제시된 성취기준 중 일부는 지나치게 포괄적 이고 추상적이어서 명확하고 구체적인 윤리과 교수·학습의 내용을 제대로 제 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사실 국가 수준에서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목적은 교육과정상의 목표와 내용이 뜻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한정하고 거기에 포함된 의미를 학생들이 달성해야 할 능력과 특성의 형태로 진술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그들이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지를 명료하게 제시하기 위해 서이다. 그런데 이것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추상적이 된다면, 성취기준 본래의 역할 을 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성취기준을 좀더 명료 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그들이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지를 분명히 제시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5) 성취기준 진술의 획일성 문제 실험 학교 적용 결과에 의하면, 제시된 성취기준은 대부분 - 을 이해할 수 있 다 , - 을 설명할 수 있다. - 하려는 자세를 가진다 등으로 진술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획일적인 진술은 교육 목표에 맞는 다양한 윤리과 수업을 유도하기 보 다는 단조롭고 부적합한 수업을 유도하기 쉽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취기준의 진술 형태를 다양하게 수정하여 윤리과 성격 및 목표에 부합한 수 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6) 성취기준 제시 방식의 문제 실험 학교 적용 결과에 의하면,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이 별도로 제시되다 보니 함께 연결해서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편집상의 문제로 학교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영역에서 성취기준과. - 19 -. (39) 평가기준을 함께 제시하였다.. 나 . 평가기준과 관련하여 1998년도에 개발된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 고등학교 윤리 에서 제시한 국가 수준의 평가기준은 실험 학교의 운영 결과, 많 은 장점들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문제점도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문제점만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크게 평가기준의 지나친 상세화와. 개수의. 과다 , 상/ 중/ 하 구분 준거의 모호성 , 구체성이 부족한 평가기준 , 교과의 논리 와 학생 수준 사이의 불일치 , 그리고 상/ 중/ 하 구분의 대상의 차이 등으로 정 리된다.. 1) 평가기준의 지 나친 상세화와 개수 의 과다 문제 1998년도에 제시된 평가기준은 성취기준과 일대일 대응으로 개발되어 평가기 준 개수가 성취기준 개수와 동일하다. 그러다보니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성취한 것은 모두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라는 오해가 생기게 되었고, 이 러한 오해는 자연히 학교 현장에서 평가를 위한 평가, 평가를 위해 교수- 학습이 방해를 받는 현상, 즉 수단이 목적이 바뀌는 전도(顚倒) 현상 등을 발생하게 되 었다. 사실 개발된 평가기준을 학교 현장에서 모두 활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 다. 얼마든지 학교나 교사 수준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다.. 2 ) 형 식 적 이 고 추 상 적 인 상/ 중/ 하 구 분 문 제 윤리과 평가기준은 학생들이 성취할 것으로 기대되는 정도를 상/ 중/ 하 세 가 지 수준으로 구분하여 진술함으로써 평가 과정에서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작성한 것이다. 1998년 연구는 몇 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수준 구분을 시도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당히 모호한, 즉 수준을 구분하기 위한 형식적인 구분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준에 사용된 용어들이 추상적이어서 각각의 기준이 함의하는 바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전달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았다. 예를 들어, 상/ 중/ 하를 구분하는 데 있어서 체계적 , 종합적 , 개략적 , 부분적 ,. - 20 -. (40) 단편적 , 피상적 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단어는 교사들에게 서 로 다르게 인식되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상/ 중/ 하의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3) 교과의 논리와 학생 수준 사이의 불일치 문제 평가기준에서 상/ 중/ 하 수준을 구분함에 있어서 윤리과에서 추구하는 훌륭한 인격 의 논리적인 위계를 우선적으로 따를 것인지, 아니면 학생들이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중심으로 할 것인지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고등 학교 윤리는 보통 교육의 최종 단계에서 학습하는 것이므로, 이의 목표는 윤리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사람의 수준으로 정해지고, 이에 근거해서 평가기준도 만들어지게 된 다. 그러다보니 상수준은 대체로 일반 학생들이 도달할 수 없는 매우 높은 수준 에서 설정되는 경우가 많고, 실제의 학생 수준과는 커다란 괴리가 발생하게 된 다.. 4 ) 상/ 중/ 하 구 분 대 상 의 불 일 치 문 제 1998년 연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