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여론 조사
Bebas
4
0
0
Teks penuh
(2) ‘모르겠다’라고 응답하는 경우 반드시 재질문하고 그래도 모르겠다고 하면 99)로 표기하세요 ※ 국정 지표 관련 1.. 선생님께서는. 국정을. 잘. ※ 올해 대선 관련 이명박. 수행하고. 대통령이. 있다고. 대통령으로서. 생각하십니까,. 잘못. 3. 여야 구분 없이, 다음 불러드리는 사람들 중에서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가장 낫다고 보세요? 한 명만.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말씀해 주세요. [보기 로테이션]. ① 매우 잘하고 있다. ① 박근혜. ② 다소 잘하고 있다. ② 유시민. ③ 다소 잘못하고 있다. ③ 김문수. ④ 매우 잘못하고 있다. ④ 이회창 ⑤ 손학규 ⑥ 한명숙. 2.. 선생님께서는. 지지하십니까?. 다음. 참고로. 중. 어느. 한나라당은. 정당을. ⑦ 정동영. 새누리당으로. ⑧ 정몽준. 당명을 바꿨습니다.. ⑨ 정세균. ① 새누리당. ⑩ 문재인. ② 민주통합당. ⑪ 안철수. ③ 자유선진당. ⑫. ④ 통합진보당. 적어주세요]. ⑤ 국민생각. 99) 없다/모르겠다 (읽지 말 것). 기타. 후보. [면접원. :. 구체적인. 이름을. ⑥ 창조한국당 ⑦ 진보신당. [아래 문항 4, 5, 6 제시 순서 로테이션]. ⑧ 미래연합 ⑨ 평화민주당. 4. 올해 12 월 대통령 선거에 새누리당 박근혜. ⑩ (☞읽지 말 것) 없다/비슷하다/모르겠다/무응답. 후보와 야권의 안철수 후보가 출마한다면, 누구에게. (☞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낫다고 생각되는 정당은. 투표하시겠습니까?. 어느 정당입니까?”). 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② 야권 안철수 후보. [면접원 안내문] *. 한나라당이라고. 새누리당으로. 응답할. 당명을. 경우. 바꾸기로. :. “한나라당이 결정했습니다”. 5. 올해 12 월 대통령 선거에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안내하고 재질문. 누구에게 투표하시겠습니까?. * 민주당이라고 응답할 경우 : “민주당, 시민통합당,. 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한국노총이. ②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민주통합당으로. 합당했습니다.”로. 후보가. 출마한다면,. 안내하고 재질문 * 미래희망연대라고 응답할 경우 : “미래희망연대는. 6. 올해 12 월 대통령 선거에 새누리당 박근혜. 새누리당과 합당했습니다” 안내하고 재질문. 후보와. *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이라고 응답할 경우 :. 누구에게 투표하시겠습니까?. “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통합연대 등이 통합진보당 으로 합당했습니다”로 안내하고 재질문. 민주통합당의. 손학규. 후보가. 출마한다면,. 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② 민주통합당 손학규 후보 7. 선생님께서는 이번 대선에 안철수 원장이 출마할 것으로 보십니까? ① 출마할 것이다 ② 출마하지 않을 것이다. - 2 -.
(3) 8. (문 7 의 ①응답자만) 현재로서는 안철수 원장이. 13. 선생님께서 올해 총선에서 지지하실 정당이나. 이번 대선에 나설 것인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후보를. 밝히지. 정책이나. 않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 어떻게. 보십니까?. 선택하실 현안은. 때,. 가장. 다음. 중. 관심있게. 지켜. 무엇입니까?. 볼. 중요한. 순서대로 2 개만 골라 주십시오. [보기 로테이션]. ① 대권 도전 의사가 있다면 빨리 나와서 검증을 받아야 한다. 1 순위 (. ),. 2 순위 (. ). ② 여론과 정치권의 변화를 지켜본 뒤 하반기에 결정해도 된다. ① 일자리 창출 ② 공교육 정상화와 교육 개혁. ※ 올해 총선 관련. ③ 남북교류 활성화 ④ 지역균형발전. 9.. 현재. 선생님께서. 거주하시는. 지역구의. 현역. ⑤ 서민경제 활성화와 물가안정. 국회의원이 올해 4 월 총선에 다시 출마한다면. ⑥ 부패척결과 정치개혁. 지지하실. ⑦ 양극화 해소와 보편적 복지확대. 생각이십니까?. 지지하지. 않으실. 생각이십니까? ① 지지할 것이다. 14.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4 월 총선을 앞두고. ②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 교육과 보육, 주거 등의 분야에서 복지를 강화하는 공약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양당의 복지정책 공약에. 10.. 선생님께서는. 국회의원으로는. 어느.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후보를. 지지할. ① 주요 정당이 모두 복지에 초점을 맞춘 만큼,. 정당. 생각이십니까?. 실제로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① 새누리당. ② 표를 얻기 위한 생색내기일 뿐 재원마련 등이. ② 민주통합당. 현실적이지 않아 기대되지 않는다. ③ 자유선진당 ④ 통합진보당. ※ 정당 쇄신 평가. ⑤ 국민생각 ⑥ 창조한국당. 15. 옛 한나라당은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바꾸기로. ⑦ 진보신당. 결정했습니다.. ⑧ 미래연합. 골자로. ⑨ 평화민주당. 새누리당의. ⑩ (☞읽지 말 것) 없다/비슷하다/모르겠다/무응답. 생각하십니까?. (☞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낫다고 생각되는 정당은. ① 잘하고 있고 많이 달라질 것. 어느 정당입니까?”). ② 노력은 하고 있으나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 한. 그리고 새로운 변화. 경제민주화와. 복지. 정강정책을 움직임에. 강화를. 발표했습니다. 대해. 어떻게. ③ 방향이 잘못됐고, 전보다 나빠질 것 11. 그렇다면 만일 올해 4 월 총선에서 여당인 새누리당 후보와 야당 후보가 1:1 로 대결한다면,. 16. 옛 민주당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통해 출범한. 누구에게 투표하시겠습니까?. 민주통합당은 재벌개혁과 무상교육, 무상급식 등을. ① 여당 후보. 골자로. ② 야당 후보. 민주통합당의. 한. 주요 변화. 정책을. 발표해. 움직임에. 대해. 왔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2. 선생님께서는 이번 4 월 총선에서 어느 당이. ① 잘하고 있고 많이 달라질 것. 원내 제 1 당이 될 것으로 보십니까?. ② 노력은 하고 있으나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 ① 새누리당. ② 민주통합당. ③ 방향이 잘못됐고, 전보다 나빠질 것. ③ 자유선진당. ④ 통합진보당. ⑤ 국민생각. ⑥ 창조한국당. ⑦ 진보신당. ⑧ 미래연합. ⑨ 평화민주당. - 3 -.
(4) <배경 질문> ※ 마지막으로 통계처리를 위해 몇 가지만 여쭈어 보겠습니다 DQ1. ○○님께서는 2008 년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셨습니까? ① 통합민주당 후보 ② 한나라당 후보 ③ 자유선진당 후보 ④ 기타정당 후보 ⑤ 무소속 후보 ⑥ 투표하지 않았다 ⑦ 투표권이 없었다 ⑨ (읽지 말 것)밝힐 수 없다/기억안남/무응답 DQ2. ○○님께서는 2010 년 지방선거 시도지사 선거에서는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셨습니까? ① 한나라당 후보 ② 민주당 후보 ③ 자유선진당 후보 ④ 기타정당 후보 ⑤ 무소속 후보 ⑥ 투표하지 않았다 ⑦ 투표권이 없었다 ⑨ (읽지 말 것)밝힐 수 없다/기억안남/무응답. DQ5. 실례지만 학교는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① 국졸이하 ② 중졸 ③ 고졸 ④ 대재 이상 DQ6-1. (SQ0=1 집전화의 경우) 핸드폰을 보유하고 계십니까? ① 그렇다 ② 그렇지 않다. OO. 님께서는. DQ6-2-1. (SQ0=2 휴대폰 전화의 경우) OO 님 댁에 집전화가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DQ6-2-2. (SQ0=2 휴대폰 집이신가요? 밖이신가요? ① 집 ② 밖. 전화의. ※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DQ3. ○○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농업/임업/어업 ② 자영업 (상업, 소규모 장사, 개인택시운전사 등) ③ 판매/서비스직 (상점점원, 세일즈맨, 방문 판매원, 미용사 등) ④ 기능/숙련직 (운전기사, 세탁, 선반, 목공, 기능공 등) ⑤ 일반 작업직 (현장직업, 일용노무직, 청소관리, 경비원 등) ⑥ 사무직 (차장이하 사무직, 초중고 교사, 6 급이하 공무원) ⑦ 경영/관리직 (5 급이상 공무원, 기업체 부장 이상) ⑧ 전문/자유직 (변호사, 의사, 건축사, 교수, 예술가, 종교지도자 등) ⑨ 가정주부 (가사와 육아만 하는 전업주부) ⑩ 학생 ⑪ 무직 ⑫ 기타 DQ4. ○○님 댁의 월평균 가구 총소득은 대략 어느 정도입니까? ① 70 만원 이하 ② 71-100 만원 ③ 101-150 만원 ④ 151-200 만원 ⑤ 201-250 만원 ⑥ 251-300 만원 ⑦ 301-400 만원 ⑧ 401-500 만원 ⑨ 501 만원 이상 - 4 -. 경우). 현재.
(5)
Dokumen terkait
다음 북한 관련 상황들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얼마나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6점 만점을 기준으로 응답해주십시오... 현 정부 들어 천안함, 연평도 사건 등 NLL북방한계선 주변 남북 군사 갈등이 발생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