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출장노트 (중국 창춘)
부서 : 도시모니터링센터 과제코드 :2023-CR-04
출장자 : 이민규 작성일 : 2023년 05월08일 게시요망일 : 2023년 05월18일
제목 : [국외출장노트] 제17회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참석과 지린대 학교 동북아학원, 동북아연구원 교류 관계 구축
1. 출장목적
◦ 본 출장은 중국 창춘시에서 개최되는 ‘제17회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참 석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되었던 한중 지방정부 간 교류협력 재개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하고, 9월에 개최 예정인 ‘한중 지방외교 30년 국제 포럼’ 참석 도시 섭외와 발표 구성을 논의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이와 함 께,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동북아연구원을 방문하여 2018년 논의하였던 교류협력 관계 구축 방향을 재차 논의
◦ 창춘시 샹그릴라 창춘호텔에서 개최된 ‘제17회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에 참석하여, 한중 각 지역 국제교류협력 담당자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 고 교류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 중국 이치(中国一汽) 자동차 회사, 창춘시 (성향)규획전람관(长春市城乡规划展览馆), 한중국제협력시범구(中韩国际合 作示范区) 등 시찰을 통해, 중국의 한중 경제협력 방향과 지린성 현황을 이해. 그밖에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동북아연구원을 방문하여 서울연구 원-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간 협력 방안 논의
2. 출장개요
지역 방 문 기 관 업무수행내용
창춘
• 창춘시 인민정부 환영만찬 참석
• 제17회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참석
• 주중 대한민국대사관 답례만찬 참석
• 중국 이치 자동차
• 창춘시(성향)규획전람관
• 한중국제협력시범구
• 중국 이치 자동차 회사 방문, 발전사 파악
• 창춘시(성향)규획전람관 방문, 도시 발전사 파악
• 한중국제협력시범구 방문, 경제협력 현황 파악
• 지린대학교
•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동북아연구원 방문 - 동북아학원 국제교류 현황 파악
- 서울연구원-동북아학원 교류협력 방안 논의
3. 출장내용
3.1 ‘제17회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참석
◦ 주최, 주관, 후원
- 주최: 대한민국 주중국대사관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 중국 창춘시 인민정부(中国长春市人民政府) : 중국 지린성 외사판공실(中国吉林省外事办公室) - 주관: 중국 외교부 외사관리사(中国外交部外事管理司) - 후원: 중국 창춘시 외사판공실(中国长春市外事办公室)
◦ 주제
-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지방교류를 위한 미래지향적 한중관계’
◦ 참석자
- 서울연구원: 이민규
- 한중 지방정부 국제교류협력 담당자 400여명
◦ 프로그램
일자 시 간 주 요 일 정 비 고
4.18.
(화)
09:00~17:00 참가자 등록, 호텔 체크인
18:30~20:00
창춘시 인민정부 환영만찬
- 창춘시 장즈쥔(张志军) 서기 만찬사 - 주선양 총영사관 최희덕 총영사 만찬사
2층 대연회청
4.19.
(수)
09:00~09:30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개막식
- 주선양 총영사관 최희덕 총영사 개회사 - 창춘시 왕즈롄(王子联) 시장 축사
- 시도지사협의회 김상광 소장 축사 - 중국 외교부 외사관리사 천리(陈立)사장 축사
2층 대연회청
09:30~09:50 기념 촬영 및 휴식 09:50~10:20 티타임
10:20~12:00
창춘시 시정 홍보 - 창춘시홍보(부시장)
- 중한(창춘)국제합작시범구 홍보(시범구 서기) 기조 강연
- 지린대학 공공외교학원 함명식 교수
2층 대연회청
12:00~14:00 오찬
14:00~16:20
지린성 對한국 교류현황 브리핑 및 한중 지방정부 사례발표
- 지린성 對한국 교류현황(지린성 외판 부주임) - 전북 군산시 발표(군산시 부시장)
- 산시성 대한국 교류현황(산시성 외판 주임) - 한국 행정안전부 사례발표(행안부 지방행정정책관) - 닝샤회족자치구 對한국 교류현황(닝샤 외판 부주임) - 전라남도 장흥군 한중 우호교류 증진방안(장흥군 부군수) - 후난성 對한국 교류현황(후난성 외판 부주임) - 경상남도 對중국 교류현황(경남산둥사무소 수석대표) - 산둥성 대한국 교류현황(산둥성 외판 부주임)
2층 대연회청
16:20~16:50 한국 문화 체험(한지공예) 주중한국
문화원
16:50~17:00 회의 총평 김상광
참사관 18:30~20:00
주중 대한민국대사관 답례만찬
- 주선양 총영사관 최희덕 총영사 만차사 - 창춘시 리웨이수(李炜姝) 부시장 만찬사
2층 대연회청
◦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시사점 - 도시외교 트렌드 부합
: 자매·우호도시 체결을 통한 양자 형태에서 도시 네트워크(도시 간 국제기구, city network) 구축을 통한 다자형태로 전환
- 다자외교 장점 발현
: 짧은 기간 많은 지방정부 관계자와 인적 네트워크 구축 가능 : 자 도시의 주요 정책, 국제교류협력 계획 등 공유 가능
: 다자외교 내 양자외교 실시 가능 - 한중 지방정부 국제교류협력 한계 노출
: 문제해결 중심이 아닌 여전히 관계 구축과 홍보가 중심 : 투자와 관광객 등 유치가 중심
◦ 한중 지방외교 30년 국제포럼 방향 설정 - 발표 구성
: (원칙) 홍보가 아닌 국제교류협력 정책과 사례 중심
: (PPT 구성) ①도시 정책과 국제교류협력 현황, ②對한국(對중국) 지방외교 시기별 특정과 주요 정책, ③우수정책
- 섭외 도시 확정
[주요 사진]
<사진 1> 환영만찬 <사진 2> 환영만찬
<사진 3>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사진 4>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사진 5>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사진 6> 한중 지방정부 교류회의
3.2 창춘시 주요 산업과 한중 경제협력 지역 시찰 ◦ 시찰 기관과 지역
- 중국 이치 자동차 회사 - 창춘시(성향)규획전람관 - 한중국제협력시범구
◦ 한중(지린성) 경제협력 시사점
- 지린성(창춘시) 산업 구조와 향후 발전 방향 고려
보, 의료, 바이오 등), 소비재, 문화·관광업 등 6가지 산업 설정 - 한중국제협력시범구를 주요 플랫폼으로 경제협력 추진
: 중국 측은 시범구 내 한국기업 유치를 희망, 한국은 동북아물류 거점 확보와 향후 남북한 협력의 교두보 마련 등 고려, 양측의 이 익이 교차하는 지점 존재
- 한중국제협력시범구 플랫폼 활용 관련 유의할 점
: 중국의 경제(기술)발전으로 기존의 경제협력 모델(한국: 기술과 자본, 중국: 노동력과 시장) 한계 명확해짐, 새로운 경제협력 모델 모색 필요
: 시범구의 주요 목적과 방향이 한중 경제협력 모색이 아닌 한국 기업 유치(동북진흥 등과 관련)에 집중되어 있는 만큼, 시범구 진 출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효과 전면적 고려 필요
: 시범구 진출과 관련하여 하드웨어(토지 제공 등)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규제 완화 및 제도적 혜택(관세, 무역 장벽 등)에 대한 정 부 간 지속적인 협상 필요(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경제외교가 필 요한 부분)
: 공장 외 생활과 관련된 인프라 조성에 대한 논의 필요(창춘시에 서 접근성이 떨어지며, 가족 단위 정착에 대한 애로 사항 많음)
[주요 사진]
<사진 7> 홍치문화전람관 <사진 8> 홍치문화전람관
<사진 9> 창춘시규획전람관 <사진 10> 창춘시규획전람관
<사진 11> 한중국제협력시범구 <사진 12> 한중국제협력시범구
3.3 서울연구원과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간 교류협력 관계 구축
◦ 주요 참석자
- 서울연구원: 이민규 - 지린대학교 관계자:
: 현춘희(부교수), 김재훈(공공학원 강사) 등
◦ 장소
-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 샹그릴라 창춘호텔
◦ 주요 내용
- 서울연구원-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교류협력 방안
: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주최 포럼, 세미나, 초청 특강 등 참석 : 서울연구원 한중 도시외교, 동북3성 관련 연구 참여 등 검토 - 한중 경제협력 모델 구축, 지린성 대한국 교류협력 현황 등 논의
[주요 사진]
<사진 13> 지린대학교 현춘희 부교수 <사진 14> 지린대학교 동북아연구중심
<사진 15> 지린대학교 동북아연구원 <사진 16> 지린대학교 김재훈 강사
자료 제공 및 문의처:
도시모니터링센터 이민규 연구위원 (02-214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