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01
현물 원유가격 추이
[일간 원유가격 변동] [주간 원유가격 변동]
자료: Reuters, 한국석유공사
10월 셋째 주 국제유가는 이라크 내 지정학적 불안 고조와 OPEC 감산기간 연장에 대한 기대감 증대로 전주보다 상승하였고 달러가치 상승은 유가 상승폭을 제한함.
∙ 이라크 정부군이 쿠르드족 영향 하에 있는 Kirkuk로 진격하여 지역 정부청사와 인근 유전지대를 접수함에 따라 이라크 내 지정학적 불안이 고조됨(Reuters).
- 최근 쿠르드 독립 국민투표로 인해 촉발된 이라크 정부와 쿠르드 자치정부(KRG) 간 대립 끝에 이라크 총리 Haider al-Abadi는 쿠르드 자치영역 밖에 위치한 쿠르드족 지역을 장악하는 군사 작전을 수행할 것을 이라크 정부군에 명령함(10.16).
- 이라크 정부군은 국영 석유회사 North Oil Company에 의해 운영되는 Bai Hasan, Avana 유전 등 에서 쿠르드 페슈마가군을 몰아내고 Kirkuk 지역 내 모든 유전을 장악함(10.17).
※ 쿠르드 페슈마가군은 2014년 IS를 몰아낸 이래 동 유전지대에 주둔해 왔옴.
- 군사작전 이후 Bai Hasan과 Avana 유전에서 35만b/d의 생산차질이 발생함(10.18).
∙ OPEC은 현재 2018년 3월까지 예정된 감산기간을 2018년 연말까지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회원국 들의 동의를 구하는 중인 것으로 알려짐(Reuters, 10.20).
- 러시아 대통령 푸틴이 제안한 2018년 연말까지의 감산연장 안을 추진하기 위해 사우디와 러시아 의 에너지부 장관이 감산 참여국들의 의사를 타진하며 11월 말 총회 전까지 회원국 간의 공감대 를 형성할 것으로 전해짐.
- 11월 말 OPEC 총회에서 감산 연장이 결정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재고수준 및 수요 변화 등
1. 현물 유가
2017. 10. 13. ~ 2017. 10. 20.
658
에너지경제연구원 02 석유시장 상황에 따라 감산연장 결정시점이 내년 초로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됨.
∙ 유로화 대비 달러 환율은 10월 20일 기준 $1.1766/€로 전주(10월 13일)의 $1.1822/€에 비해 0.5% 하락(가치 상승)함.
∙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과 원유시추기 수는 모두 전주보다 감소함.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10월 13일 기준)이 전주(10월 6일)에 비해 107 만b/d 감소한 841만b/d를 기록했다고 발표함.
※ 허리케인 Nate로 인한 미국 해상유전에서의 일시적 생산차질(150만b/d)이 감소 원인임.
- 베이커휴즈(Baker Hughes)에 따르면, 미국의 원유시추기 수는 10월 20일 기준으로 전주(10월 13일) 보다 7기 감소한 736기를 기록함.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가 전주보다 감소하고 휘발유와 중간유분은 전주보다 증가함.
- 상업용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5.7백만 배럴 감소한 456.5백만 배럴을 기록함.
-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0.9백만 배럴 증가한 222.3만 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재고는 전주 대비 0.5백만 배럴 증가한 134.5백만 배럴을 기록함.
Nymex-WTI 선물 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Nymex 비상업순매수 및 유가] [WTI 월물별 선물 가격]
자료: Reuters, CFTC, Nymex
10월 17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10월 10일) 대비 $0.96/배럴(1.9%) 상승한
$51.88/배럴을 기록함.
∙ 10월 17일 기준으로 Nymex-WTI 선물유가 원월물(‘18.7월)과 현물과의 스프레드는 $0.36/배럴로 콘탱고(contango)를 나타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10월 17일 기준 Nymex의 투기성 자금에 의한 원유(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보다 12.5백만 배럴 증가한 429.5백만 배럴을 기록함.
∙ 헤지펀드 등 투기성 자금의 매수 포지션은 16.6백만 배럴 증가하였고 매도 포지션은 4.1백만 배럴 증가함.
2. 선물 유가
에너지경제연구원 03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9/22 9/29 10/6 10/1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471.0 465.0 462.2 456.5 -5.7 -1.2%
휘발유 217.3 218.9 221.4 222.3 +0.9 +0.4%
중간유분(난방유 등) 138.0 135.4 134.0 134.5 +0.5 +0.4%
중 유 36.3 36.6 35.8 34.6 -1.2 -3.4%
자료: EIA/DOE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9/22 9/29 10/6 10/1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6.17 16.03 16.26 15.44 -0.82 -5.0%
가동률(%) 88.6 88.1 89.2 84.5 -4.7 -5.3%
자료: EIA/DOE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9/22 9/29 10/6 10/1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9.52 9.24 9.48 9.14 -0.34 -3.6%
중간유분(난방유 등) 3.75 4.01 3.65 3.48 -0.17 -4.7%
중 유 0.33 0.37 0.36 0.53 +0.17 +47.2%
총석유제품 21.10 19.71 19.72 19.14 -0.58 -2.9%
자료: EIA/DOE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9/29 10/6 10/13 전주대비
9/29 10/6 10/1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7.21 7.62 7.48 -0.14 -1.8% 9.56 9.48 8.41 -1.07 -11.3%
휘발유 0.86 0.86 0.69 -0.17 -19.8% 9.85 9.74 10.03 +0.29 +3.0%
중간유분 0.07 0.09 0.11 +0.02 +22.2% 4.93 4.96 4.78 -0.18 -3.6%
중유 0.17 0.10 0.26 +0.16 +160.0% 0.49 0.43 0.43 0.00 0.0%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