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 2018 Congress 참석 출장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 2018 Congress 참석 출장보고서"

Copied!
23
0
0

Teks penuh

(1)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 2018 Congress 참석 출장보고서

□ 출장기간 : 2018년 8월 23일 (목) – 2018년 8월 23일 (화) (4박 6일)

□ 출장지역 : 핀란드(템페레)

□ 출장자 : 최지연 연구위원 (글로벌법제연구실)

□ 출장과제 : 글로벌법제전략연구사업(Ⅷ)

□ 출장목적 :

◦ 2018년도 글로벌법제전략연구사업(Ⅷ)의 사업 내 수시과제 “글로벌 법제논의의 현황과 전망 -보편적 복지로의 기본소득 법제화를 중심으로-”의 수행을 위하여 핀란드 템페레(Tempere) 에서 개최되는 Basic Income Earth Network 2018 Congress(BIEN 2018 Congress)에 참 석함

◦ 동 공무국외여행의 성과를 정리하여 기본소득의 최근 국제적 논의 내용을 이슈브리프에 담 아 국내에 전달하는 한편, 기본소득제도의 법제화에 관하여 현재 국가 주도 실험을 진행중인 핀란드의 입법례를 바탕으로 북유럽 및 세계 각국의 사례에서 도출되는 주요 쟁점 및 향후 전망을 분석하고, 우리 정책 설계 및 법제에 대해 제언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발굴하여 이를 연구보고서에 반영함

□ 출장일정 (계획서 제출시 일정표를 근거로 확정된 방문기관(전문가) 및 업무수행 내용 등 요약작성)

월 일 (요일)

출발지 도착지 방문

기관 업무수행내용

접촉 예정인물 (직책포함) 8월

23일 (목)

인천 (10:20)

헬싱키

(13:55) - - 출국

헬싱키 (16:05)

템페레

(16:40) - - 이동 (헬싱키 -> 템페레)

8월 24일

(금)

핀란드 템페레

BIEN 2018 Temper

e Univ.

- [Plenary] “인권으로서의 기본소득” 주제발표자 Philip Alston 뉴욕대 로 스쿨 교수 발표 참관 및 헌법적 가 치와 기본소득의 관계에 대한 플로 어 토론

- Philip Alston, NYU Law School

- Guy Standing, SOAS

- [Session A2] Perspectives on the politics of Basic income

- Lukas Korpelainen - Rasmus Jensen Schjodt

(2)

월 일 (요일)

출발지 도착지 방문

기관 업무수행내용

접촉 예정인물 (직책포함)

& Heiner Salomon - Leandro Ferreira

- [Session B2] Perspectives on the Politics of Basic Income (part 2)

- Hermann Aubie and Hyeonsu Seo

- Miranda Fleischer - Jamie Cooke and

Charlie Young - [Session C1] Financing a Basic

Income

- Andrew Saxe - Daniel Torres - Alexander de Roo - [Plenary] The ethics and economics of

basic income revisited

- Louise Haagh, University of York, Chair of BIEN

8월 25일

(토)

핀란드 템페레 BIEN 2018

- [Session D2] Public Support for Basic Income (Part 1)

- Joe Chrisp - Ville-Veikko Pukka - Leire Rincon Garcia - [Session E1] Experimenting with Basic

Income (Part 2)

- Anna Dent - Wendy Hearty - Heikki Hiilamo - [Session F1] Experimenting with Basic

Income (Part 3)

- Bettina Duerr - Karl Widerquist - [Session G3] Basic Income at Work

(Part 4)

- 서정희/강남훈

- Andrew White - Reima Launonen

- 기본소득 실험에 대한 라운드테이블

- Jamie Cooke, Royal Society of the Arts(RSA), Scotland - Loek Groot, Utrecht

U n i v e r s i t y (Netherlands)

- Renana Jhabvala, SEWA Bharat (India) - Olli Kangas, KELA –

(3)

[8월 24일]

o 개회식

○ Pertti Koistinen, Chair of the LOC, 환영사

○ Karl Widerquist, Vice-Chair of BIEN: Congress 법인화 등기, 새 회원 가입, 내후년 회의 개최지 선정 등 현안 설명

○ Liisa Laakso, Rector of the University of Tampere, 환영사, 템페레 대학 소개

○ Tarja Halonen, 핀란드 전 대통령(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 북유럽 복지와 기본소득에 대한 신념 피력

월 일 (요일)

출발지 도착지 방문

기관 업무수행내용

접촉 예정인물 (직책포함) Finnish Social Insurance Institution (Finland)

- Kwame MacKenzie, Ontario Basic Income Project (Canada)

8월 26일

(일)

핀란드 템페레 BIEN 2018

- “기본소득이 금융화논리를 거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주제발표 참관

- Lena Lavinas, Federal University of Rio de Janeiro

- [Session H4] The Right to Basic Income (Part 2)

- Carmen Garcia Perez - Thiago Santos Rocha The Basic Income Path to a Healthier

Society

- Evelyn Forget, University of Manitoba

8월 27일

(월)

템페레 (14:40)

헬싱키 (15:25)

- 회의내용 정리

- 이동 (템페레 -> 헬싱키) 헬싱키

(17:30) - - 출국

8월 28일

(화)

- 인천

(11:50)

- 입국(인천공항) - 국외출장 정리

(4)

o Plenary Session 1:기본소득을 인권으로 간주해야 하는가?

○ Philip Alston, NYU

- 시민권/정치권 등이 아닌 인권으로서의 기본소득= 1.노동권 (labor right) + 2. 사회연금을 받을 권리 (right to social security) + 3. 적절한 생존기준을 보장받을 권리 (right to adequate standard of living)

- populism은 인권의 종말을 이야기하지만 양극화와 자본주의/신자유주의 팽배에 더욱 인권이 필요하며, 강력한 연대를 구성할 필요가 매우 중대함

○ Guy Standing, BIEN and SOAS, Tarja Halonen, 핀란드 전 대통령의 토론: 

연대 없이 변화 없음

o Session A2: Perspectives on the politics of asic income

○ Lukas Korpelainen A Green Youth’s solution for BI

- 기본소득에 핵심사회보장을 포함해야 함을 여러 장점(현실반영. 현행보장을 제공하면서 나아 갈 길을 제시함. 정치적으로 현실적임. 현행 보장 포함. 개인당 보장. 보장공제율을 낮춤)을 들어 주장

○ Rasmus Jensen Schjodt & Heiner Salomon, Stimulating the cost and impact of the gradual introduction of a universal basic income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 기본소득 도입의 정치적 배경/이유로 현실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함(에티오피아, 인도, 나이지 리아의 경우로 분석- 아동수당, 노인수당, 장애수당 도입시 빈곤율 감소 나타남)

○ Leandro Ferreira, Basic Income implementation dilemma: a public policy approach

universidade federal do ABC, Sao Paulo city council – Eduardo Suplicy’s office

o Session B Perspectives on the Politics of Basic Income (part 2)

○ Hermann Aubie and Hyeonsu Seo “기본소득이 핀란드, 한국, 영국의 당면한 복지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국가간 비교의 배경: 초국가간 정책을 명확히 하는 것에 도움이 됨

- 세 국가의 차이점: 실업급여, 아동수당, 선거제도와 정치상황, 영국과 핀란드 보편복지, 최근 문제로 지적/ 한국 보편지급으로 시행 앞두고 있음. 핀란드의 노동계는 기본소득을 반대하는 입장: 기본소득이 이미 잘 정착 된 사회보장체계를 악화한다고 여김

○ Miranda Fleischer, Building Blocks for a basic income

- 기본소득 도입의 당위에 대한 주장은 있으나 방법에 대해서는 없기 때문에 기본소득을 소득 세와 연동할 것을 주장함

○ Jamie Cooke and Charlie Young, Pathways to a basic income: the UK

(5)

Opportunity Fund

- 영국 정부는 아직 기본소득을 정부 정책으로 삼지 않았고, 통합수당(Universal Credit)을 지 지하는 반면, 대중과 정책입안자들은 기본소득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느낌. 복지국가에 대한 고전적인 견해와 기본소득을 조화하는 것 이 관건이며, 이는 대중에 대한 교육으로 해소해야 함

o Session C1 Financing a Basic Income

○ Andrew Saxe, “A mathematical model of entropic wealth inequality as a case for UBI”

-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어 부유세로 기본소득을 충당하는 것을 제안함 – 부의 불평등 현상 교 정, 유일한 방법임. 이에 대한 반대의견으로 피케티등의 주장은 부유한사람이 더 부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

- 결과=재능*노력으로 이해하는 경우 불평등이 게으름의 소산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결과=재능*우연이라는 점을 이해한다면 불평등도 상황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음.

○ Daniel Torres, “How to pay for basic income”

- 기존의 사회보장을 줄이거나 대체하는 방법으로 자금을 조성하지 않고 자본 조달 가능함. 캐 나다의 경우 기본소득 도입에 $44billion 필요한데, 행정비용 등으로 (예를 들어 기본소득을 지급함으로써 금고형에 처하는 범죄를 줄이고 형무소 운영 비용을 줄여 기본소득을 지급함) 가능함.

○ Alexander de Roo, “A realistic basic income policy needs two pillars” (how to address the Trilemma)

- 어른 모두를 위한 기본소득의 경우 세금인상 10%가 병행되어야 하지만, 모든 가족을 위한 가족수당의 경우 세금 인상 없이(가족세금혜택과 소득세특례 없앰) 가능함. 이는 하지만 결 국 세금인상을 걱정하는 정치인을 위한 모형으로, 실제로 개인에게 돌아가는 소득은 세금 인 상 없는 경우 줄어듬.

o [Plenary] The ethics and economics of basic income revisited (devil’s deals and some ways to avoid them)

○ Louise Haagh:

- 기본소득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기본 개념에는 자원의 공유, 인재개발로서의 기본소득 (basic income as human development), 축적된 재화를 공유함으로써의 기본소득 (basic income as sharing economic accumulation) 등이 있음

[8월 25일]

o Session D2 Public Support for Basic Income (Part 1)

○ Joe Chrisp, Snowballing or wilting? Identifying Public Support for Basic

(6)

Income

Univ. of Bath,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 기본소득에 대한지지/반대 여론조사 전 세계에서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며, 한 기관에서 실시 한 여론조사도 조사대상에 따라(이민자, 시민권자, 등) 결과가 매우 달라진다는 점을 설명함.

영국조사에서 일반적으로는 49% 지지였다가, 세금인상 등이 제시되면 낮아짐. 또한 기본소득이 세금인상으로 연결되면 좌파정당의 지지가 높아지며, 기존 사회복지의 감소로 제시되면 보수층 의 지지가 높아짐

○ Ville-Veikko Pukka, “Methodological pitfalls of basic income surveys: the Finnish Case”

- 핀란드사람들은 현행 사회보장의 변화를 가져오는 기본소득에 반대하는 입장이며, 청년과 무 직자가 기본소득의 강력한 지지층을 이룸. 디지털경제의 도입으로 노동시장이 더욱 유연해진 다면 기본소득에 대한 지지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함

○ Leire Rincon Garcia, Multidimensional support for basic income: a conjoint analysis

Univ. of Barcelona

- 다층위: 금액, 조건, 자금, 수급자, 법적요건 등에 따라 조사 결과가 달라짐

o Session E1: Experimenting with Basic Income (Part 2)

○ Anna Dent, Basic income: radical idea to legitimate policy. Findings from an exploratory study“

- 핀란드, 온타리오, 네덜란드, 스코틀랜드의 사례연구 - 핀란드: 증거에 입각한 정책으로 실증적임

- 캐나다 온타리오: 빈곤퇴치에 집중했고, 유명정치인을 비롯 매우 다양한 인물들이 참여를 독 려함

- 네덜란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갈등이 있었으나(지방정부에서 실험 시작) 실현을 위한 지 속적인 타협이 이루어짐.

- 스코트랜드: 아직 실험 시작 전임. 연대와 독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대규모와 집중적인 사회변혁의 가능성을 기본소득에서 기대함.

- 한 국가의 사회보장제도가 국경을 넘어 다른 국가로 영향을 미치거나 비슷한 것이 도입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나 기본소득이 그런 경향을 보임. 그러나 국가와 지역에 따라 이해관 계가 다르기 때문에 실험도 조금씩 달라짐

○ Wendy Hearty, Piloting basic income in scotland: who, what, when, where and why?

- 지방정부차원에서 협력이 이행되었고(글래스고우 시, 에딘버러 시, 등등) 빈곤퇴치를 목적으 로 스코트랜드에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실험을 시작하기 위해 타당성조사 중.

- 실험에 예상되는 위험요소로는 실험참여지역으로 이주, 실험종료 후 소득감소, 부정적 기사

(7)

등이 있고 실험 성공을 위한 요소: 폭넓은 복지정책으로 실험 가능, 실험과 법제정책, 소득금 액 합의, 등을 들 수 있음

○ Heikki Hiilamo, Experimenting with basic income in Finland,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what can we learn?

- 핀란드는 기본적으로 실업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노동의욕저조에 대해 실험할 수 없 고, 캐나다와 미국도 나름의 제한이 있음.

- 실험은 정책입안자로 하여금 사람들의 행동양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이후 기본사 회보장제도 도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미가 있음

o Session F1: Experimenting with Basic Income Part 3

○ Bettina Duerr, Basic Income experiments: A political feasibility analysis - 실험이 기본소득의 정책화 가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institutional feasibility: whether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of a country would make the implementation of a basic income possible. (핀란드의 경우 입법을 포함하여 복잡한 기관적 맥락에서 기본소득을 도입함

- behavioral feasibility : robustness of the policy in the long term in terms of the behavior of individuals after implementation (핀란드의 경우 실업급여의 무조건성만 실 험함)

- strategic feasibility: support from political actors and its influence on likelihood of basic income being implemented (핀란드의 경우 다양한 이해 그룹이 자세한 계획에 대해 각각 다른 지원)

- psychological feasibility: legitimization of a policy proposal via public support (핀란 드의 경우 무조건성의 영향을 보일 수는 있으나 모든 행동이 고려된 것은 아님)

○ Karl Widerquist, The devil is in the caveats: a critical analysis of basic income experiments for researches, policymakers, and citizens

- 기본소득의 도입에 있어 실험이 항상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님.

- 실험은 streetlight effect를 가져옴 - attention을 한 곳으로 집중하여 다른 중요한 것들을 보지 못하게 할 수 있음. 노동시장의 근무요건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하지만 실험으로는 충 족하기 힘듬. 또한 실험은 미디어에 의해 잘못 해석되고 잘못 이용되기 매우 쉬움

- 미국에서 행해진 실험들은 실업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아서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 결국 기본소득 도입을 위해서는 정치력이 있어야 하며, 실험을 통해 정치력을 가질 수 있을 듯

o Session G3: Basic Income at Work Part 4

○ 서정희/강남훈: The necessity of basic income and a new universalism from

(8)

platform labor: the case of Korea

- 한국의 배달, 택시 등 플랫폼 노동의 맹점: 전통적 사회보장체계와의 부정함 - 노동자의 정의를 확대하는 방법과 사회보장 확대 적용을 제시

○ Andrew White, the rise of the superstar digital economy and the case for a universal basic income

- 디지털경제가 불평등을 심화함 (접근성 증가, 자동화, 인터넷/기술 기업의 시장 장악) - 기본소득도입의 가능성

- (1) 행정비용감소. 노동시장불안정 감소로 건강우려관련 비용 감소 - (2) 자연자원이용(알래스카)또는 조세대신 자본이용 등 기존 제도 이용

- (3) Jaron Lanier인터넷에 기여하는 만큼 요금을 받는 구조 – 사용자가 구성하는 내용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기업에 이윤에서 일정기여분 받는 제도

○ Reima Launonen, Work that really matters: basic income, meaningful work and renewal of welfare state

- 기본소득은 의미있는 노동과 복지사회건설이 초석이 됨. “의미있는 노동”이 필요하지만 ‘의 미있는’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음.

o Plenary session: Rountable on Basic Income Experiment: A debate on the role and future of basic income experiments around the world

○ Jamie Cooke, Royal Society of the Arts (Scotland)

○ Sarath Davala, India Network for Basic Income (India)

○ Evelyn Forget, University of Manitoba (Canada)

○ Loek Groot, Utrecht University (Netherlands)

○ Olli Kangas, University of Turku (Finland)

○ Moderator: Philippe Van Parijs, BIEN and UCLouvain (Belgium)

- 인도, 핀란드, 네덜란드, 캐나다(온타리오), 스코틀랜드의 기본소득 실험에 대해 소개함 - 인도의 경우 결과에서 사람들은 현실에서 탈피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변화는 실제로 일어

난다는 점을 확신하게 됨

- 네덜란드는 실험참가자들의 행동변화가 노동현장에서로 제한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가장 기대됨

- 기본소득실험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부분으로 인도와 핀란드 모두 정치적인 해석을 꼽았고, 스코틀랜드의 경우 영국의 통합사회보장제도와의 차별성에 대해 지적함

- 핀란드의 실험에 대해서는 2019년 말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이 끝날 것이며 이를 이용해 삶 의 질, 건강 등 넓은 범위에 대한 조사가 다시 시작될 것이고, 이후 실험 재개/확대에 대해 논의할 예정

(9)

[8월 26일]

o Plenary: Can Basic Income Resist the Financialization Logic?

○ Lena Lavinas, Federal Univ of Rio de Janeiro

- 양극화가 심각한 요즘 기본소득이 해답이 될 수 있겠는가. 아니면 금융화를 더욱 강화하기만 할 것인가. 자본주의와 금융화에서 지속적인 자금 소득은 경제를 지탱하기에 중요함.

- 금융이 잠식한 자본주의에서 기본소득이 차지할 자리는 무엇인가

- 금융화: 자본시장과 자본기관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 경제 정책을 세움. 경제에 영향을 주는 노동, 사회 등 정책에 영향을 주며 결국 국가의 독립성에도 영향을 줌.

- 가계부채문제가 심화 – 경제에 대한 규제완화

- 남아프리카의 경우 가계여유자금의 60%가 대출금 갚는 것으로 사용됨

- 브라질의 경우 많은 가정이 연봉보다 높은 액수의 대출 후에 파산함. 식료품 등을 사는 비용 도 대출의 이유가 되었음

- 현금소득을 지급함으로서 금융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함

- 기본소득지급이 금융화되어 담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식, 교통, 의복 등을 포함하 는 수준의 기본소득이 제공되고 의료, 교육, 거주가 보장되어야 함

o The right to Basic Income

○ Carmen Garcia Perez, Does the right to a basic income already exist? An overview of the European and Spanish legal framework

- 국제규범은 인권을 규정함. 국가의 집행은 다름. 기본소득을 집행하기에 국제법은 충분함 - 독일헌법재판소 판결(2010)(1BvL, 1/09, 125 BVERF) 1조와 20조, 인간다운 삶을 살 권리-

실업수당이 적절하지 않다. 1. 독일은 사회주이 국가임. 20. 인간다운 삶을 살 권리 - 스페인 long-term unemployment subsidy (2009, RDL 10/2009)

- 스페인: 실업수당과 기본수당 - ‘노동’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어려움

○ Thiago Santos Rocha, The Citizen’s Basic Income as a fundamental right in the Brazillian legal system.

- 브라질법제에서 기본소득에 대한 권리가 있는가. 있다면 어떤 권리인가.

- 기본소득을 보장하는 연방법이 2004년 제정되었지만 1조1항과 2조, 3조에 의해 집행기간, 금 액, 예산 등에 대한 조정권을 행정부에 주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행되지 않고 있음.

- 브라질기본소득법은 기초를 헌법상 천부권리에 두고 있어 제거할 수 없고(헌법 60조 4항 4 목) 직접적으로 적용 가능하다(5조 1항)

o Plenary 5

o The Basic Income Path to a Healthier Society

○ Evelyn Forget, U of Manitoba

(10)

- 1970‘s 캐나다 버전의 기본소득실험(민컴)이 있었음. 이후 정신과 상담 또는 진료 요구가 감 소함

- 진행되던 기본소득 실험의 취소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자살의 위험, 실제적 어 려움(집세 부담 등)이 있음.

- income insecurity: 불안정한 소득으로 (사회보장의 조건성도 해당) 야기되는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기본소득이 경감하거나 제거할 수 있음

- income inequality: 소득불공평은 스트레스, 질투 등으로 건강에 위협이 되고 이는 사회적 연대를 위협함으로 나타남.

- 기본소득은 착취를 제거, 임금불안정을 경감할 수 있지만, 임금불평등은 해소하지 못함. 불공 평을 다루기 위해서는 세금제도의 변경이 있어야 함.

- 기본소득은 소득하위의 사람들에게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연대를 강화 함.

○ 회의사진

(11)
(12)

[첨부 1] Congress Program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