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조사 : 사용자
CODE BOOK
자료번호 A1-2000-0035 연구책임자
조사년도 2000년
연구수행기관 한국노동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코드북 제작년도 2009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노동연구원 . 2000. 「 기업수준 노사관계 실태 및 의식조사 : 사용자 」. 자 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자료번호:
A1-2000-0035.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9. 「 기업수준 노사관계 실태 및 의식조사 : 사용자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q1
노조의 조직 형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기업별 노조 1 246 35.1 35.1
산별 노조의 지부 2 181 25.9 25.9
산업연맹/업종별 협의체 소속 기업별 노조 3 226 32.3 32.3
지역별 일반 노조 4 40 5.7 5.7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6 0.9 0.9
700 100.0 100.0
q1_1
(기업별 노조인 경우) 노조의 조직형태 변화 전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변화가 없을 것이다 1 199 28.4 80.9
산별 조직의 지부로 변할 것이다 2 28 4.0 11.4
산별 연맹이나 업종별 협의체 소속으로 변할 것이다 3 4 0.6 1.6
노조가 없어질 것이다 4 1 0.1 0.4
무응답 9 14 2.0 5.7
비해당 0 454 64.9
700 100.0 100.0
q2
사업장내 복수노조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예 1 26 3.7 3.7
아니오 2 672 96.0 96.0
무응답 9 2 0.3 0.3
700 100.0 100.0 문1. 귀 사업체의 노조는 현재 어떻게 조직되어 있습니까?
문1-1. 향후 2 - 3년간 귀 사업체 노조의 조직형태에 어떤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하십니까?
문2. 현재 귀 사업체의 사업장에 복수노조가 존재합니까?
q2_1
(복수노조 있는 경우) 존재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조직대상이 다르기 때문 1 13 1.9 46.4
합병이나 사업양도에 따른 병존 상태 2 8 1.1 28.6
무응답 9 7 1.0 25.0
비해당 0 672 96.0
700 100.0 100.0
q3
2007년부터 복수노조 허용에 대한 사업장의 상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허용되자마자 곧 생겨날 것이다 1 134 19.1 19.1
허용된다 하더라도 생겨날 것 같지 않다 2 552 78.9 78.9
무응답 9 14 2.0 2.0
700 100.0 100.0
q4
사업장 복수노조의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2007년까지의 유예기간을 풀고 즉시 시행되어야
한다 1 27 3.9 3.9
2007년까지 시간을 두고 대책을 세운 뒤 시행
되어야 한다 2 179 25.6 25.6
당분간 사업장 수준에서까지 복수노조를 허용할
필요성 못 느낌 3 392 56.0 56.0
사업장 수준에서는 복수노조를 절대로 허용해서는
안 된다 4 89 12.7 12.7
무응답 9 13 1.9 1.9
700 100.0 100.0 문2-1. (문2.에서 ①로 응답한 경우) 복수노조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3. 2007년부터 사업장 단위에서도 복수노조가 허용됩니다. 귀 사업장에서의 상황에 대해 어떻게 예측하고 계십니까?
문4. 현재 사업장에서 복수노조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q5
교섭창구 단일화의 필용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창구를 단일화할 필요가 없다 1 81 11.6 11.6
창구단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 612 87.4 87.4
무응답 9 7 1.0 1.0
700 100.0 100.0
q5_1
(단일화 이루어져야) 단일화 방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자율적 창구단일화, 실패시 사용자가 교섭 거부 1 199 28.4 32.1
자율적 창구단일화, 실패시 단순 다수대표제 교섭
실시 2 67 9.6 10.8
자율적 창구단일화, 실패시 과반수 대표제 교섭 실시 3 211 30.1 34.1
자율적 창구단일화, 실패시 비례대표 교섭 실시 4 127 18.1 20.5
단일화합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5 2 0.3 0.3
제3자의 조정을 받는다 6 1 0.1 0.2
비중을 똑같이 한다 7 1 0.1 0.2
없다 8 1 0.1 0.2
무응답 9 10 1.4 1.6
비해당 0 81 11.6
700 100.0 100.0
q5_2
바람직한 대표제 결정방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투표없이 조합원 수에 의해 결정하여야 한다 1 82 11.7 19.8
조합원들의 투표를 통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2 314 44.9 75.7
대표 대의원들이 투표로 결정 3 2 0.3 0.5
없다 8 1 0.1 0.2
무응답 9 16 2.3 3.9
비해당 0 285 40.7
문5-2. 대표제의 결정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하십니까?
문5. 복수노조가 허용되어 한 사업장에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존재한다면, 교섭창구 단일화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5-1. 교섭창구 단일화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q5_3
바람직한 투표방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중앙 노동위원회의 관장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1 13 1.9 3.9
기업내 조합원들이 자율적으로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2 301 43.0 91.2
무응답 9 16 2.3 4.8
비해당 0 370 52.9
700 100.0 100.0
q6
바람직한 노조의 조직형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기업별 노조 1 326 46.6 46.6
산별 노조의 지부 2 153 21.9 21.9
산별연맹/업종별 소속 기업별 노조 3 156 22.3 22.3
지역별 일반노조 4 59 8.4 8.4
무응답 9 6 0.9 0.9
700 100.0 100.0
q7
산별노조 결성시 단체교섭의 내용에 대해 지부노조의 자율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단체교섭내용과 쟁의 결정권은 산별노조 본조가
가져야 한다 1 57 8.1 8.1
산별노조에서 결정하고 지부에 일정정도 자율성
주어져야 한다 2 225 32.1 32.1
산별노조 최소한도 기준 결정 쟁의에 대한 지부
자율성 확보 3 314 44.9 44.9
산별노조 정치적활동 집중, 지부 교섭/쟁의에 관한
결정권 확보 4 96 13.7 13.7
무응답 9 8 1.1 1.1
700 100.0 100.0 문5-3. 투표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하십니까?
문6. 귀사의 노동조합은 앞으로 어떤 형태로 조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7. 산별노조가 결성된다면 단체교섭의 내용에 대해 지부 노조가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 하십니까?
q8
근로자 이해대표제의 변화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산별 노조 본조 결정권 확보, 이해 대표제 필요하지
않음 1 54 7.7 7.7
문제 해결능력 강화, 기존 노사협의회의 강화가 필요 2 542 77.4 77.4
조합원 복지에 기여하기 위해 새로운 노동자
협의제가 설립 3 83 11.9 11.9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20 2.9 2.9
700 100.0 100.0
q9
산별 노조건설의 걸림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기업별 체제를 강화하는 법규정 1 124 17.7 17.7
사용자단체의 저항 및 반대 2 205 29.3 29.3
기업별 노조의 무관심 및 반대 3 207 29.6 29.6
노동조합 최고 상급단체의 능력부족 4 98 14.0 14.0
없다 8 21 3.0 3.0
무응답 9 45 6.4 6.4
700 100.0 100.0
q10_1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1: 비정규직 권익보호 이루어 질것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55 7.9 7.9
대체로 그렇다 2 371 53.0 53.0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240 34.3 34.3
매우 그렇지 않다 4 18 2.6 2.6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15 2.1 2.1
700 100.0 100.0 문8. 산별 노조가 설립된 경우 사업장 차원에서의 근로자 이해대표제의 변화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 니까?
문9. 현재 산별 노조건설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입니까?
문10. 다음 질문사항에 대해 귀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문항에 V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비정규직의 권익보호가 기업별 노조보다 훨씬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q10_2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2: 노사분규 증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88 12.6 12.6
대체로 그렇다 2 397 56.7 56.7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196 28.0 28.0
매우 그렇지 않다 4 12 1.7 1.7
없다 8 3 0.4 0.4
무응답 9 4 0.6 0.6
700 100.0 100.0
q10_3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3: 근로자간 형평성 제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45 6.4 6.4
대체로 그렇다 2 394 56.3 56.3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242 34.6 34.6
매우 그렇지 않다 4 11 1.6 1.6
무응답 9 8 1.1 1.1
700 100.0 100.0
q10_4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4: 교섭비용 감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9 4.1 4.1
대체로 그렇다 2 179 25.6 25.6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377 53.9 53.9
매우 그렇지 않다 4 104 14.9 14.9
없다 8 2 0.3 0.3
무응답 9 9 1.3 1.3
2) 노사분규가 증가할 것이다
3) 근로자 간 형평성이 제고될 것이다
4) 교섭비용이 감소할 것이다
q10_5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5: 노동자들의 정치세력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12 16.0 16.0
대체로 그렇다 2 361 51.6 51.6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195 27.9 27.9
매우 그렇지 않다 4 20 2.9 2.9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11 1.6 1.6
700 100.0 100.0
q10_6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6: 근로자 복지 향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56 8.0 8.0
대체로 그렇다 2 359 51.3 51.3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258 36.9 36.9
매우 그렇지 않다 4 15 2.1 2.1
없다 8 5 0.7 0.7
무응답 9 7 1.0 1.0
700 100.0 100.0
q10_7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7: 기업차원의 노동자 이해대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35 5.0 5.0
대체로 그렇다 2 358 51.1 51.1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267 38.1 38.1
매우 그렇지 않다 4 15 2.1 2.1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24 3.4 3.4
700 100.0 100.0 5) 노동자들의 정치세력화가 이룩될 것이다
6) 근로자 복지가 향상될 것이다
7) 기업차원의 노동자 이해대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q10_8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8: 노동시장 유연성 감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42 6.0 6.0
대체로 그렇다 2 349 49.9 49.9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264 37.7 37.7
매우 그렇지 않다 4 19 2.7 2.7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25 3.6 3.6
700 100.0 100.0
q10_9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9: 노동조합의 교섭력 증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74 10.6 10.6
대체로 그렇다 2 444 63.4 63.4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156 22.3 22.3
매우 그렇지 않다 4 18 2.6 2.6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7 1.0 1.0
700 100.0 100.0
q10_10
산별노조와 교섭성사시 의견10: 기업의 구조조정 방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그렇다 1 87 12.4 12.4
대체로 그렇다 2 424 60.6 60.6
대체로 그렇지 않다 3 177 25.3 25.3
매우 그렇지 않다 4 6 0.9 0.9
무응답 9 6 0.9 0.9
8)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감소할 것이다
9) 노동조합의 교섭력이 증가할 것이다.
10) 기업의 구조조정을 방해할 것이다.
q11
단체교섭과정에서의 상태방 교섭태도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만족한다 1 28 4.0 4.0
만족한다 2 417 59.6 59.6
불만이다 3 216 30.9 30.9
매우 불만이다 4 31 4.4 4.4
없다 8 2 0.3 0.3
무응답 9 6 0.9 0.9
700 100.0 100.0
q12
불법파업의 주된 원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노조 및 조합원의 준법의식 결여 1 167 23.9 23.9
노조집행부가 일반 조합원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여 2 90 12.9 12.9
노조 상급단체의 직/간접적 개입 3 251 35.9 35.9
사용자의 태도 때문에 4 90 12.9 12.9
현행법이 쟁의행의를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어서 5 60 8.6 8.6
서로의 이해와 대화부족 6 7 1.0 1.0
없다 8 15 2.1 2.1
무응답 9 20 2.9 2.9
700 100.0 100.0
q13
불법파업의 주도자의 책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형사책임 1 87 12.4 12.4
민사책임 2 69 9.9 9.9
징계책임 3 191 27.3 27.3
형사+민사+징계 4 262 37.4 37.4
가능한 책임을 묻지 않는 것이노사관계에바람직하다 5 82 11.7 11.7
없다 8 1 0.1 0.1
무응답 9 8 1.1 1.1
700 100.0 100.0 문11. 단체교섭과정에서 나타나는 상대방의 교섭태도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문12. 불법파업의 주된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문13. 불법파업을 주도하거나 참여한 자는 어떤 책임을 부담해야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q14
파업이전 노동위원회 조절절차에 대한 의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반드시 필요한 제도다 1 236 33.7 33.7
필요하고, 실효성도 있다 2 217 31.0 31.0
필요하지만 실효성은 없다 3 218 31.1 31.1
불필요한 제도다 4 26 3.7 3.7
무응답 9 3 0.4 0.4
700 100.0 100.0
q15
노동쟁의 조정제도가 실효성이 없는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노동위원회 조정위원들을 신뢰할 수 없어서 1 28 4.0 11.3
조정위원들은 노조사 기업상황을 잘 몰라서 2 101 14.4 40.9
조정기간이 너무 짧아서 3 7 1.0 2.8
노조사 사측이 조정절차에 소극적으로 임하기 떄문에 4 100 14.3 40.5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5 4 0.6 1.6
조정기간이 너무 길어서 6 1 0.1 0.4
무응답 9 6 0.9 2.4
비해당 0 453 64.7
700 100.0 100.0
q16
제3자에게 분쟁조정 의뢰하는 것에 대한 의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찬성한다 1 29 4.1 4.1
찬성한다 2 382 54.6 54.6
반대한다 3 235 33.6 33.6
매우 반대한다 4 47 6.7 6.7
무응답 9 7 1.0 1.0
문14. 현행법은 파업 이전에 반드시 노동위원회의 조정절차를 거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 각하십니까?
문15. 현재의 노동쟁의 조정제도가 불필요하거나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16. 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는 대신에 제 3자(변호사, 노무사 등)에게 분쟁조정을 의뢰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q17
불법파업의 근절 방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노사간의 계속적 대화 노력 1 573 81.9 81.9
조합원에 대한 노동조합의 리더쉽 확보 2 33 4.7 4.7
불법파업 책임자들에 대한 사용자의 엄정한책임추궁 3 27 3.9 3.9
상급단체로부터의 노좆의 자주성 확보 4 25 3.6 3.6
정부의 엄격한 법집행 5 41 5.9 5.9
무응답 9 1 0.1 0.1
700 100.0 100.0 문17. 불법파업의 근절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