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남동해역 제4기 해저기인 자연재해 특성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남동해역 제4기 해저기인 자연재해 특성연구"

Copied!
108
0
0

Teks penuh

남해와 동해의 단층, 사면 등 해저의 자연재해 요소 분포 및 지각변동 설명. 양산 단층의 대륙붕 확장과 제4기 활동 특성. 따라서 대륙붕에서 확인된 단층계는 양산단층 대륙붕의 확장으로 해석된다.

CONTENTS

양산단층의 대륙붕 연장과 4기 활동특성 1- 서론

사면사태의 분포와 활동특성 2-1. 서론

List of Figures and Tables

The inset is the magnified portion of the profile indicated by a rectangle to show fault structure. The left inset is the magnified portion of the profile indicated by a rectangle to show fault structure. The inset is the magnified portion of the profile indicated by a rectangle to show fault structure.

양산단층계의 단층 중에서 양산단층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양산단층은 선형으로 한반도 동남해안까지 190km에 걸쳐 있으며 대륙붕 쪽으로 뻗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진은 양측 단층이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륙붕 지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지질조사국과 여러 연구기관에서는 활단층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해안을 따라 지진파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그림 2-3). 따라서 해외 연구기관에서는 해양탐사(탐사기반)를 통해 해저사태에 의해 형성된 해저지형 및 퇴적물의 특성을 규명하여 생성메커니즘, 지반공학적 특성 및 유변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해양 지질 및 지구 물리학 탐사 장비와 실험 분석 장비의 개발로 해저 사면 연구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Fig.  2-1.  Research  approach  of  IEVG  to  elucid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ismogenic  zone  and  the  generation  processes  of  large  earthquakes
Fig. 2-1. Research approach of IEVG to elucid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ismogenic zone and the generation processes of large earthquakes

우리나라의 경우 제4기 해저 단층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므로 한반도 주변 해역 전체에서 제4기 단층의 분포 및 운용 특성을 규명하고 발생을 모델링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 단층의 지진. 해저 기반시설의 파괴, 해저사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쓰나미의 발생 등 자연재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전 세계적인 추세인 다국적·다학제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인 접근도 시도되지 않았다. . 이러한 기준자료 부족과 다학제적 연구는 4주기 지진, 단층활동, 쓰나미, 해수면 변동 등 환경요인의 변화와 해저사면 발생 예측 및 피해 예방에 대한 연구에 한계가 있다.

Table  2-1.  List  of  studies  conducted  by  KIOST  that  commenced  before  2018  to  study  offshore  faul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able 2-1. List of studies conducted by KIOST that commenced before 2018 to study offshore faul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퇴적층의 단층 구조 탐색에 적합하다: (1) 제4기 해저면 퇴적물은 바다에 퇴적되어 물로 포화되어 육지와 같이 표토풍화대를 형성하지 않으며, (2) 붐, 스파크 등의 음원은 100Hz 위의 고주파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고해상도의 탄성파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a) 한반도 주변의 지각판을 보여주는 지도(Lee et al., 2011에서 수정). 한반도의 남동쪽 대륙붕은 일본 열도가 분단된 올리고세 후기에서 마이오세 초기에 이르는 초기에 역호 단층에 의해 형성되었다(e.g., Kim et al., 2015). SIG Pulse M2 점화 플러그가 음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탄성파 측면은 기본적으로 E-W 방향으로 설정됩니다. 음향 인프라는 일반적으로 해저 다중 반사 위에서 잘 인식됩니다. 국부적으로 낮은 Pleistocene 단위 내의 불연속적이고 짧은 불규칙한 반사경도 함께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하천 퇴적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결함 F1에서 R2의 수직 변위는 타격 방향에서 크게 변하지 않지만 R2의 수직 변위는 변합니다. 양산 단층의 대륙붕 확장으로 파업 변위의 증거. Riedel 전단기와 그 반대 전단기의 배열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두 개의 전단기에 의해 만들어진 예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발생합니다(예: Woodcock and Schubert, 1994).

무루리아판의 움직임이 동북아시아의 운동학적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무루리아판의 서쪽과 남쪽 경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예, Petit and Fournier, 2005). 이 측정 과정에서 일부 높이 값은 평균값과 편차가 커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낙동강 하류에 강한 고자력이상이 나타나고, 조사지역 남쪽에 비교적 낮은 자기이상이 나타난다.

Fig.  3-1.  (a)  Map  showing  the  tectonic  plat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modified  from  Lee  et  al.,  2011)
Fig. 3-1. (a) Map showing the tectonic plat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modified from Lee et al., 2011)

사면사태의 분포와 활동특성

제4기 해저 산사태 및 MTD의 퇴적 특성 및 시기. 울릉분지의 서쪽과 남쪽 사면에는 해사면과 MTD의 발달이 대비된다. 이러한 상반된 발달 양상은 두 사면의 눈사태 발생률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쪽 사면에는 작은 말발굽 모양의 눈사태 흉터와 해저 계곡이 있어 눈사태에 의해 운반된 비교적 적은 양의 퇴적물을 나타냅니다. 한편, 남쪽 경사면의 대규모 산사태는 많은 양의 퇴적물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조건은 울릉 분지의 서쪽 사면에 작은 사면 산사태를 일으킬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남쪽 대륙붕을 거쳐 남쪽 상부에서 중앙 사면까지 많은 양의 모래 및 규산질 퇴적물이 퇴적되었음을 나타낸다. 울릉분지의 서쪽과 남서쪽 사면에서는 바다를 향한 침하와 MTD의 발달이 서로 대비된다. 이러한 대조적인 개발 패턴은 두 사면 사이의 눈사태 발생률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편, 남서쪽 사면의 대규모 눈사태 흔적은 많은 양의 퇴적물이 눈사태에 의해 재활성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Fig. 3-21. Physiography of the Ulleung Basin and adjacent areas in the East Sea.
Fig. 3-21. Physiography of the Ulleung Basin and adjacent areas in the East Sea.

목표 달성도

대외 기여도

논문발표실적 (SCI 등재 학술지)

추가연구사업의 추진

기대효과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continental margin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from deep seismic sounding data: evidence for rifting influenced by a hotter than normal mantle. Back-arc rifting on the Korean Plateau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separation of the southwestern Japan arc from the Korean margin. Characterization of recent sediments of the BIG'95 debris flow at the margin of the Ebro, western Mediterranean Sea, from different seismic reflection data.

Shallow gas in the central part of the mud shelf of the Korea Strait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Structural evolution of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and tectonic implications. Slope stability and geotechnical sediment properties of the south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Surface water changes recorded in Late Quaternary marine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Baltic Sea (Sea of ​​Japan). The surface texture of the Saharan Debris Flow deposit and some speculations about submarine debris flow processes. Contemporary velocity and stress fields of the Amurian plate from thin-shell finite element modelling.

Land-ocean connectivity over orbital and millennial timescales recorded in late Quaternary sediments of the Sea of ​​Japan.

Gambar

Fig.  2-1.  Research  approach  of  IEVG  to  elucid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ismogenic  zone  and  the  generation  processes  of  large  earthquakes
Fig.  2-2.  (top)  Uninterpreted  and  (bottom)  interpreted  boomer  seismic  reflection  profile  across  the  Wairau  Fault
Fig.  2-3.  Active  faults  offshore  California  (Fisher  et  al.,  2009).
Fig.  2-4.  Study  sites  of  COSTA  (Continental  Slope  Stability)  project  (Canals  et  al.,  2004)
+7

Referensi

Dokumen terkait

THE PROPOSED IMPROVED GENETIC ALGORITHM IGA The existing Genetic Algorithm balances the load in cloud computing by assigning tasks to the virtual machines.. But it is not effectiv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