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spatial distributions of PAHs in surface sediment from the coastal area of Busan surveyed in 2007 and this study. Comparison of spatial distributions of PAHs in surface sediment from Ulsan Bay surveyed in 2008 and this study. Relationship of butyltin compounds (TBT vs DBT and DBT vs MBT) in surface sediment from the coastal area of Busan.
Spatial distributions of TOC, TN, medium grain size and heavy metals in surficial sediment from the coastal area of Busan. Spatial distributions of TOC, TN, medium grain size and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 from Ulsan Bay.
제 목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1. 연구개발의 필요성
연구개발의 목적
해양생태계건강지수(Marine Ecosystem Health Index)는 해양생태계 건강정보의 실질적인 공급을 위해 해양생태계 관련 정보를 체계화, 단순화, 일반화하고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응하는 해양생태계 변화를 진단·평가하는 기술개발을 기반으로 한다. 해양오염의 다양화.지수: MEHI)를 본 연구의 최종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연구내용 및 범위
연구개발의 결과 1. 수질
퇴적물
분석된 퇴적물 오염 자료와 생물독성 자료를 바탕으로 퇴적물 오염 평가 지수를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퇴적물 지수를 산출하였다. 부산해안에서는 부산항, 감천항, 다대포항에 모든 유기오염물질이 높은 수준이다. 울산만의 경우 중금속과 유기오염물질 모두 내만과 온산공단 인근에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선진국(캐나다 CCME, 미국 NOAA, 호주 ANZECC)의 환경권장사항에 따른 부산해 및 울산만 표층퇴적물의 유기오염물질 농도 비교, 부산해역에서 PAH 화합물, Lindane, DDT 화합물 3~57% 피크, dieldrin, endrin, PCB 화합물 및 TBT가 권장 하한을 초과했습니다. TBT의 경우 권장하한치(ANZECC low ISQG) 57%, 최고치 22%를 초과하는 부산해상 주요 오염물질로 확인되었다. 해양퇴적물의 오염현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캐나다 퇴적물질지수의 도출방법을 적용하였다.
부산 연안지역에서는 4계절 동안 11~18종의 침범지표가 나타났으며, 그 중 Polydora ligni가 전계절 우세하였다. 또한 새롭게 선정된 연구지역인 부산해와 울산만을 대상으로 MEHI를 개발하였다.
SUMMARY
Tittle
Necessiti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1. Necessities of the Study
- Objectives of the Study
In addition, a set of practical indicators should be gener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a local coastal area and key issues. Indicator values should be presented as indices that allow understanding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practitioners, policy makers, environmental managers and other stakeholders. With a view to developing technical tools for assessing the health of coastal ecosystems and practical service of the health information, this project is currently driving a research goal to develop the Marine Ecosystem Health Index (MEHI) based on organizing, simplifying and generalize the holistic data of marine ecosystem.
Based on the previous study in Jinhae Bay and Gwangyang Bay, health assessment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emical pressure and biological reactions, and indicator criteria were also determined. Finally, the numerical expression tool applying the selected indicator and the criteria was generated for the integration of bay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this fiscal year, 2014, the selected indicators and the criteria established for the assessment of the ecosystem health of the coast of Busan and Ulsan Bay are reviewed to apply the assessment technique previously developed in Jinhae Bay and Kwangyang Bay for the past 4 years.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1. Research Period
-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Results
- Water quality
- Plankton
- Sediment
- Benthos
- GIS mapping and statistical approaches
- Ecosysten Health Intergration in 2014
- 경제적 필요성
- 사회 ž 문화적 필요성
- 연구원 발전적 필요성
-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연구개발의 연차별 목표 및 세부내용
- 당해년도 (2013 년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Chesapeake Bay 건강성 평가 최근 결과 및 관리 효과
- 국외 해상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사례 : Marine National Park Sanctuary (MNPS) - Jamnager 건강성 평가
- 남해특별관리해역 건강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2 단계 )
- 국내 전문가 그룹 공감대 형성
- 국제적 역량 강화
- 국내 해역환경 / 생태계 평가 및 관리 액션 피드백 설계
- 국내 타 해역 적용 검토 및 기술이전 방향 제시
- 조사 해역 (2014 년 ) : 진해만 ( 계속 ), 부산해역과 울산만
- 세부 분야
- 분야별 핵심 추진내용
- 추진 로드맵 (2 단계 , 6 년 : 2010-2015)
- 연구방법
- 연구결과 및 토의
- 연구배경
봄철 진해만에서는 영양오염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된 지표의 기본값을 이용하여 총 5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등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으며 1에서 5까지의 등급으로 표시되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유기오염물질(HB, 두꺼운 간균의 수)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Kuderna-Danish 농축기, K.D. 농축기를 이용하여 1~2ml 수준으로 농축하였다. 내만에서 외만으로 갈수록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울산만 PCB 오염도는 다른 지역(진해만, 광양만, 부산해)에 비해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반면 울산만의 경우 모화합물인 p,p'-DDT가 부산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조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부산해와 비교하여 일부 봉우리를 제외하고는 울산만 표층 퇴적물의 TBT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조선소와 인접한 다대포항 내부의 HBCD화합물의 오염분포를 살펴본다. B1-B4)은 낙동강 지역의 봉우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오염분포를 보인다. 그 결과 울산해역보다 부산해역에서 α/γ비가 높게 나타났다(Fig.
DTPE는 다대포항 내측 코너인 B15-1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는데, 이곳은 선박 활동이 활발하고 소규모 조선소가 인접해 있습니다. 이들 화합물은 부산보다 산업활동이 활발한 울산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만의 DTPE 농도는 외해보다 낮기 때문에 오염 분포가 다른 화합물과 반대입니다.
부산항, 감천항, 다대포항 정상부에서는 Pb가 경보기준을 초과하였다. As를 제외하면 울산 해역의 평균 중금속 농도가 가장 높거나 대체로 높았다. 그러나 입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개방 수역에서는 낮은 TOC 농도를 보였다.
유기오염물질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은 부산항과 울산만 정상에서 고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