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도 제 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연구보고서 요약서 2017 25
주제 : 『 EBS EBS EBS 랑 랑 랑 놀자 놀자 놀자 』 』 』 숲 숲 숲 에서 에서 에서 함께 함께 함께 그레이트볼 그레이트볼 그레이트볼 찾아가기 찾아가기 찾아가기
-
-- 생활 관련
생활 관련생활 관련 EBS
EBSEBS 콘텐츠
콘텐츠콘텐츠 와
와와 놀이 활동
놀이 활동의 만남을 통한 인성 역량 강화 -놀이 활동 의 만남을 통한 인성 역량 강화 -
의 만남을 통한 인성 역량 강화 -소속기관 직위 성명
연구의 필요성
1
더불어 성장하는 즐거운 수업을 꿈꾸며
더불어 성장하는 즐거운 수업을 꿈꾸며 더불어 성장하는 즐거운 수업을 꿈꾸며
보는 TV
것을 좋아한다
수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학습 자료로 영상 매체를 활용하면 좋겠다.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영상을 시청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기를 통하여 내용을 이해하면 서 영상이 주는 의미를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공부는 어렵다?
학년 학생들의 특성상 몸으로 배운 2
것을 기억한다 학습에 필요한 놀이를 .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즐거운 배움을 이어나가도록 해야 한다 특히 놀이를 .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은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하겠다.
초등학교 학년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하면서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 도달에 적절2 , 한 영상을 찾아 함께 보고 영상의 내용을 토대로 다시금 함께 즐겁게 놀면서 생각을 나누어 나가는 ,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인성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목표
2+
그레이트볼 찾아가기그레이트볼 찾아가기그레이트볼 찾아가기강강 화화 인인 성성 생활 관련
생활 관련생활 관련
콘텐츠 EBS 콘텐츠 EBS
EBS 콘텐츠활용
활용활용
공감적 이해☀ 공감적 이해
☀ ☀ 공감적 이해
험께 보기
놀이 활동 놀이 활동
놀이 활동적용
적용적용
☀ ☀ ☀ 즐거운 배움즐거운 배움즐거운 배움
험께 놀기
량량 역역
학생 참여형 학생 참여형학생 참여형 수업수업수업
『
EBS EBS EBS
랑 랑 랑놀자 놀자 놀자
』 』 』숲 숲 숲
+
함께 의 가치
앎 을 실천 으로 연결
☘학습 영상과 연계,
시킬 수 있는 놀이 구안하기
함께 놀면서 체득
☘ 하기
☘저학년 학생들의 생 활과 연결되는 영상으 로 공감하기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누기
인성 역량 강화인성 역량 강화인성 역량 강화
인성 역량 강화 콘텐츠
EBS 콘텐츠
EBS
EBS 콘텐츠놀이 활동
놀이 활동놀이 활동
그레이트볼 그레이트볼 그레이트볼 G R E A T Ball G 성실 (inteG
rity)R 책임 (
R
esponsibility)E 협동 (coop
E
ration) A 배려 (cAring) T 소통 (Talking)E-E-E-놀자놀자
놀자 숲 숲 숲
실천 과제
3
『E-놀자숲」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교육 환경 조성하기 실천과제 1
실천과제 1
가. 『E-놀자숲」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여건 조성
나. 『E-놀자숲」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교사의 노력
다. 생활 관련 EBS 콘텐츠 분석 세부 실천 과제
세부 실천 과제세부 실천 과제
『E-E-E-놀자놀자놀자숲숲숲」」」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모형 개발하기 실천과제 2
실천과제 2
가. 교육과정 분석 및 인성 실천요소 추출(교과 내 교육과정 재구성)
나. 『E-놀자숲」주제 중심 프로젝트 구안
다. 『E-놀자숲」수업모형 개발 세부 실천 과제
세부 실천 과제세부 실천 과제
『E-놀자숲」프로그램 적용으로 인성 역량 강화하기 실천과제 3
실천과제 3
가. 『E-놀자숲」교과 속 그레이트볼 찾아가기
나. 『E-놀자숲」주제 중심 프로젝트 속 그레이트볼 찾아가기
세부 실천 과제 세부 실천 과제세부 실천 과제
연구 결과
4
연구문제1.「「E-
「
E-E-놀자놀자놀자숲숲」숲
」」프로그램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생활 관련 EBS 콘텐츠와 놀이 활동의 만남을 통한 실천 체험 중심의 인성 교육이 되기 위해 ‧ 프로 그램을 구안하였다. 『E-E-놀자E-놀자놀자숲숲숲」」」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를 살펴 선행 경험이 적극적으로 동원 될 수 있는 생활 관련 EBS 영상을 함께 이야기 나누며 공감하고, 놀이 활동을 통해 체험해 보면서 알게 되는 실천요소들이 학생들의 생활 삶으로 다시 ,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었다.
연구문제2.「「E-
「
E-E-놀자놀자놀자숲숲숲
」」」
프로그램을 적용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은 어떻게 할 것인가?여건 조성측면에서는 콘텐츠 활용 안내장을 배부하여 콘텐츠의 교육적인 효과에 대한
EBS EBS
관심을 갖고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의 노력측면에서는 놀이 관련 EBS 다큐멘터리를 통 하여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확대되었고 평소 연구회 활동 수업성찰 수업 컨설팅을 통해 꾸준히 , , , 전문성을 키워나갔다 또한 . 생활 관련 EBS 콘텐츠로 봉구야 말해줘‘ , (딩동댕 유치원, 배움 너머 깨미랑 부카채카 수학나라 아라별 놀이대장 찾아라 를 학생들의 능력 수준 생활과 맞, , ), ’ , , 는 영상 자료들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재구성시 자료 활용을 용이하게 하였다.
연구문제 생활 관련 3. EBS 콘텐츠와 놀이 활동을 활용한「「
「
E-E-E-놀자놀자놀자숲숲」숲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안하고 적용할 것인가?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인성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교육과정을 재구
2015 성
하였다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생활 관련 . EBS 콘텐츠와 놀이 활동을 활용하여 인성 실천요소와 연계시켰다.
연구문제4.「「E-
「
E-E-놀자놀자놀자숲숲」숲
」」프로그램을 어떻게 운영해야 인성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까?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2 SS-S--PPP---TTT(SSSee---PPPlay---TTThink) 교수학습모형을 구안 적용하였다, . ‘함께 보고 함께 놀면서 생각 나누는 과정, ’ 속에서 학생들의 배움 통하여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실천요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방안들을 적용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 생활, 관련 EBS 콘텐츠와 놀이 활동의 만남을 통한 『E-E-E-놀자놀자놀자숲숲숲」」」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인성 실천 요소가 변화되어 인성역량이 강화되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