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투고규정
제정 : 2018. 7. 1.
개정 : 2019. 1. 1.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이하 연구소라 함) 규정 제7장 제25조 학술지 발행 규정에 따라 본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선진국방연구(Journal of Advances in Military Studies: JAMS)(이 하 학술지)에 대한 투고방법 및 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규정은 선진국방연구(JAMS)에 투고하는 모든 논문에 적용한다.
제2장 논문 투고 일반사항
제3조(원고투고 시점) 원고는 상시투고 및 상시 심사로 진행되며 연 3회 발행일자(에 게재를 희망할 경우에 별도의 투고논문 모집공지에 따른 원고마감일까지 제출이 완료되어야 한다.
제4조(원고유형) 모든 원고는 다른 학회지에 미발표된 것으로 현재 타 학회지에 투고되지 않아야 하며 편집위원회에서 심사판정이 결정될 때까지 다른 학회지에 투고하지 않아야 한다. 투고 가능한 원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실증연구(empirical articles)
(2) 체계적 문헌ㆍ메타분석 연구(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ticles): 관련 연구고찰을 토대로 향후 연구 발전방향 제안 및 개념적 이론구조 도출
(3) 방법론ㆍ방법(methodologies and methods): 기존 방법(론) 개선 또는 새로운 방법(론) 적용, 최신 연구방법(론) 소개 및 활용
(4) 사례연구(case reports): 국방경영ㆍ방위산업ㆍ국방정책 및 방위산업정책ㆍ국방기술융합 내 다양한 사례(프로젝트 수행, 컨설팅 등의 결과ㆍ성과) 소개 및 실행성과
제5조(투고자의 자격과 의무)
(1) 연구소에 가입된 회원 및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되는 연구자이어야 하며, 후자의 자격은 「선진국방연구」 편집위원회가 판단한다.
(2) 투고논문은 다른 간행물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또한, 심사기간 동안 다른 학회에 중복 심사를 의뢰해서는 안 된다.
(3) 국내ㆍ외 논문을 표절한 원고투고를 금한다. KCI 논문 유사도 검사 결과 값이 평균 유사율 10%
이하가 되어야 하며 참고 수준을 넘어 기존 논문의 내용을 혼합해서 작성하면 표절로 본다(단, 전
문 용어, 상용 문구의 사용 등에 따라 유사도가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별도의 소견서를 제출하여 야 한다). 이에 대한 진위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판단한다.
(4) 투고논문의 내용으로 인한 책임은 투고자에게 귀속된다.
(5) (2), (3)항을 위반한 투고자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선진국방연구」 논문투고금지 등의 조치 를 받으며, 사후에 적발되어도 소급 적용된다.
(6) 게재 확정된 논문의 저자는 논문 유사도 검사 결과 및 저작권 위임 동의서를 「선진국방연구」에 E-mail이나 팩스로 반드시 제출하여야 한다.
제6조(투고절차) 모든 연구논문 투고는 학술지 홈페이지(https://journal.idap.re.kr)에 제공되는 온라인 투 고시스템을 통해 진행한다. 투고를 희망하는 연구자는 학술지 홈페이지에 제시된 투고 가이드라인 (Submission Guidelines)을 준수하여 논문투고규정 및 원고 양식(sample)에 맞게 작성되어야 한다.
(1) 심사용 논문은 파일(파일명)에 저자이름과 소속기관을 기재하지 않아야 하며, 이에 부합하지 않는 원고는 대해서는 접수하지 않는다.
(2) 모든 저자정보(국문ㆍ영문으로 성명ㆍ소속ㆍe-mail) 및 ORCID(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한다.
(3) 투고 시, 온라인 투고(submission)에 제시된 저자점검표(Author’s checklist), 연구윤리 서약서 (Research ethical compliance) 및 저작권 활용 동의서(Copyright transfer form)를 시스템에 업로드 하여 제출한다.
1) 투고과정에서 온라인 투고 시 저자점검표를 토대로 점검사항을 검토하고 투고 전 점검사항을 충 족해야 한다.
2) 연구윤리 서약서는 학회의 연구윤리 규정에 대한 준수 여부를 모든 저자가 서명으로 명시하여 제 출해야 한다.
3) 저작권 활용 동의서는 학회의 학회지 발행 규정에 의거하여 모든 저자의 동의를 포함하여 제출해 야 한다.
4) 논문표절(유사도) 검사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5) 1) ~ 3)은 온라인 시스템 상에서 제시된 항목에 대한 저자의 동의(agree)를 통해 진행되며, 최종 게재 후에는 모든 저자가 별도 양식에 서명하여 해당 자료를 업로드해야 한다.
④ 저자표기 관련하여 2인 이상의 공동연구인 경우에 제1저자는 책임저자이며, 교신저자로 구분하여 입력한다.
⑤ 심사진행 중인 원고에 대한 저자의 철회 요청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가 편집위원장에게 e-mail로 철회 사유와 함께 요청하여야 한다. 철회 확정 후, 접수된 원고는 온라인 투고ㆍ심사시스템에서 진행 관련 기록이 삭제된다.
⑥ 원고 투고 및 심사와 관련한 제반사항에 대한 문의사항은 편집위원장에서 문의할 수 있다.
제3장 원고 작성 일반지침
제7조(작성지침)
(1) 제출하는 원고(manuscript) 내 투고자의 소속이나 성명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제출한다.
(2) 원고는 맞춤법에 맞게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며, 전반적인 원고작성은 『논문투고규정』에 명시된 내용을 준수하여 진행한다.
(3) 한글 워드프로세스를 이용할 경우, 서체는 신명조, 글자크기는 10포인트, 줄 간격은 200%로 작성 하며, MS-Word의 경우에 한글서체는 HY신명조, 글자크기는 10포인트, 줄 간격은 1.5줄로 작성한다.
제8조(원고 구성 및 작성지침) (1) 원고의 구성
1) 원고는 논문제목, 국문초록(국문 핵심어), 본문, 표, 그림, 참고문헌, 영문초록(영문 Keyword), 부록의 순으로 구성한다.
2) ‘본문’은 서론, 이론적 고찰(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한계점, 참고문헌 순으로 구성한다.
① 서론은 전체적인 연구목적과 필요성을 명료하면서 간결하게 요약하여 제시하며 연구의 시사점 (학문적, 실무적 기여)과 연관된 내용을 포함한다.
② 연구방법은 연구설계, 연구대상,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 등에 대해서 추후 다른 연구자 들이 재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상세히 기술한다. 기존 방법 변형 또는 새로운 자료분석 방법을 적용 시, 분석조건(조건, 변수설정 등)과 결과표에 대한 설명을 세부적으로 기술한다.
③ 연구결과는 제시한 수치(값)에 대해 논리적인 관련성을 기술하며, 도표, 그림, 그래프 등의 도구를 활용한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요약하여 제시한다.
④ 논의 및 한계점은 단순 연구결과 요약을 지양하며, 학문적(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포함하여 기술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3) ‘참고문헌’은 미국 심리학회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의 citation style guide (6th ed)을 준수하여 작성한다. 본문 내 문헌의 인용도 APA 기준을 참고하여 명시한다.
4) ‘영문초록’은 250단어 이상(제목, 저자명 제외)으로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주요 연구결과에 대해 제시하며, 원고의 내용에 부합하는 영문 Keyword 5개 이내로 기재한다.
5) ‘부록’은 추가적인 연구결과 내용(material)이나 연구자가 판단하여 별도로 제시하고자 하는 항목에 국한하여 활용한다.
<참고문헌 인용예시(영문 표기)>
정기간행물 /학회지 논문
Bock, R. D., Gibbons, R., & Muraki, E. (1988). Full-information item factor analysi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2(3), 261–280.
doi.org/10.1177/014662168801200305
Cao, M., Drasgow, F., & Cho, S. (2015). Developing Ideal Intermediate Personality Items for the Ideal Point Model.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8(2), 252–275. doi.org/10.1177/1094428114555993
Raudenbush, S., & Bryk, A. S. (1986). A Hierarchical Model for Studying School Effects. Sociology of Education, 59(1), 1–17. doi.org/10.2307/2112482
학위논문
Close, C. N. (2012).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finding the Q-matrix for the DINA model in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combining theory with data. (University of Minnesota). Retrieved from http://hdl.handle.net/11299/121595
보고서 (정책, 연구, 용역 등)
Hansen, M. C., Norton, J. J., Gregory, C. M., Meade, A. W., Thompson, L. F., Rivkin, D., … Nottingham, J. (2014). O*NET® work activities project technical report. Raleigh, NC.
<참고문헌 인용예시(영문 표기)>
학술대회 발표자료
Kireyev, K. (2009). Semantic-based estimation of term informativeness. Proceedings of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09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on NAACL
’09, 530–538. doi.org/10.3115/1620754.1620831
Wang, X. Z., Zhou, J., Huang, Z. L., Bi, X. L., Ge, Z. Q., & Li, L. (2016). A multilevel deep learning method for big data analysis and emergency management of power system.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Analysis (ICBDA), 1–5. doi.org/10.1109/ICBDA.2016.7509811
저서: 단행본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저서: Book chapter
Blom, A. G., Jäckle, A., & Lynn, P. (2010). The Use of Contact Data in Understanding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Unit Nonresponse. In J. A. Harkness, M. Braun, B. Edwards, T. P. Johnson, L. E. Lyberg, P. P. Mohler, … T. W. Smith (Eds.), Survey Methods in Multinational, Multiregional, and Multicultural Contexts (pp. 333–354). doi.org/10.1002/9780470609927.ch18
제9조(학회지 전자출판 표준화 준수사항) 학회지의 전자출판을 위해 한국연구자정보(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KRI) 및 ORCID(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에 가입하여 모든 저자정보를 필수 적으로 등록해야 하며, 국문(영문) 초록 작성 시 다음 점검항목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1) 국문(영문) 초록의 점검항목
1) 목적ㆍ동기(purpose, motivation): 연구문제, 연구범위, 연구의 필요성 등 명시 2) 방법(methods): 연구대상, 연구문제 해결방안, 연구설계, 분석도구, 주요변수 등 명시 3) 결과(results): 특정 활용 자료(분석대상), 유의한 결과(영향관계), 핵심결과 해석 등 명시
4) 결론(conclusions):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문적ㆍ실무적 시사점 제시, 향후연구 제언 및 한계점 명시 5) 주요어(keyword): 향후 논문검색 시 활용되는 검색어(search terms)로 논문제목 내 단어(용어)와 중
복되지 않도록 기입해야 하며, 하나의 단어(single-word)는 모호하거나 단편적 정보만 제공할 수 있어 보다 구체적인 정보제공을 위해 복합단어 형태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6) 주요어(keyword) 작성 시, 기존 게재논문(archive) 검색을 통해 기존 archive 검색을 통해 동일 또는 유사용어 표현 확인 (연구자 간에 동일 영문에 대한 상이한 한글 명칭은 별도로 명시하여 학회 회원 외에 일반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한다.
(2)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을 원칙으로 하며 검색ㆍ연결가능한 DOI 코드를 기입하여 제출해야 한다.
제10조(기타 논문투고 방침)
(1) 게재확정 된 논문에 한하여 저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제 1저자를 우선 기재한다.
(2) 심사위원 또는 편집위원이 요청한 논문 수정에 대한 최대 허용 기간은 6개월로 한정하여, 해당 기 간이 초과할 경우에 게재거절(reject)로 처리한다.
(3) 투고 논문이 논문작성 규정에 위배될 경우, 심사진행 전에 편집위원회에서 연구자에게 보완을 요 구할 수 있다.
(4) 편집위원장이 논문을 제출한 경우 편집간사, 편집위원 중 최연장자 순으로 편집위원장의 업무를 대행 한다.
(5) 게재예정증명서의 발급은 심사위원 전원의 심사결과가 「소폭수정 및 위원장 수정확인 후 게재 가 능」 이상인 경우에, 투고자의 요청이 있으면 게재예정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부칙 <2018.7.1.>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발령한 날로부터 제정되어 시행한다.
부칙 <2019.1.1.>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의 개정은 연구소 운영위원회 및 편집위원회의 의결에 의하며, 발령한 날로부터 투고된 논문에 대하여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