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Copied!
20
0
0

Teks penuh

(1)

다문화 구성원을 중심으로 *

이 병 문

**

․ 이 효 민

***

1)

[국문요약]

다문화사회를 맞아 다양한 다문화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경찰에서도 다문화 치안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 치안 활동은 다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범죄예방과 실질적 사회 정착을 지원하여 친밀감을 형성하고 자긍심을 부여하여 공 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활동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구 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식을 목적에 맞게 제고시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Ⅰ은 채택되었다. 다문화 치안활동 은 목적에 맞게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성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귀속성과 애착성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 였다. 이는 다문화 치안활동을 다양하게 경험할수록 지역사 회 구성원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선호도 와 자부심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 의 다문화 정책인 다문화 치안활동이 지역사회에 동화를 지 원하는 동화주의 정책인 것을 시사한다.

* 논문투고일 2014. 11. 21., 논문심사일 : 2014. 12. 24., 게재확정일 : 2014. 12. 31.

** 부산지방경찰청, E-mail: [email protected]

*** 영산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경찰학박사, E-mail : [email protected]

(2)

주 제 어 : 다문화 치안활동, 다문화 정책, 공동체 의식, 동 화주의, 다문화사회

목 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의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Ⅰ. 서 론

최근 한국사회로 다양한 나라에서 결혼이주자, 이주가정의 자녀, 고용 허가제 노동자, 유학생, 재외동포, 미등록이주자 등이 유입되면서 서로 다 른 문화권을 가진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다양한 문화권을 가진 사람 들의 증가는 새로운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 다.

다문화 구성원의 증가로 인하여 각 정부부처에서는 다양한 정책이 만 들어졌고 시행 중이다. 많은 정책은 다문화 구성원에게 경제활성화 지원 과 인재유치, 사회통합, 차별방지와 문화 다양성 존중, 안전한 사회구현, 국제사회 협력을 구현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다문화 사회를 맞이하여 경찰도 많은 정책을 시행 중에 있다. 이 중 대표적인 활동이 다문화 치안활동이다. 다문화 치안활동으로 외국인 도 움센터 운영, 외국인 범죄예방교실 운영, 외국인 운전면허 교실 운영, 다 문화 간담회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경찰청, 2013: 305-307).

이러한 다문화 치안활동의 목적은 범죄예방과 국내생활 정착에 도움을 주며 친밀감 및 유대감과 같은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켜 지역사회 안전망 을 구축하는 것이다. 다문화 구성원들의 경찰활동 참여로 경찰과의 접촉 을 통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다문화 치안활동은 이웃 지향적 경찰활동 중 하나이다. 이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경찰과 지역주민사이의 의사소통 방식을

(3)

개방하고 공동체 의식을 조장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일체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Oliver, 1998: 48-49). 경찰은 결국 다문화 치안활동을 통해 다문화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을 개방하고 공동체 의식 을 강화시켜 공동체인 지역사회를 성장시키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치안활동이 목적에 맞게 다문화 구성원 의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다문화 치안활동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려고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치안활동을 경찰백서에서 대표적으로 제시한 외 국인 도움센터, 외국이 범죄예방교실, 외국인 운전면허교실, 기타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으로 한정하여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을 측정하였 다.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 치안활동

다문화 치안활동은 다문화정책의 한 종류이다. 다문화정책(Multicultural policy)을 오경석 외(2007)는 “특정의 소수자 집단이 무시되거나 차별받 는 것을 방지하고, 차이에 근거한 정치ㆍ사회ㆍ경제적 갈등을 해소하며, 인간으로서의 보편적 권리를 향유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의 제 도적 개입”으로 정의하고 있다.

다문화 정책은 차별적 배제주의,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로 구분한다 (Castles & Miller, 2003; 정장엽, 2014). 이러한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정 책에는 차별과 배제의 입장과 동화와 포섭의 입장으로 나뉠 수 있다. 차 별과 배제의 입장을 차별적 배제(differential exclusion)라고 하며 이민자 를 내국인이 꺼려하는 직종의 노동시장과 같은 특정 영역에만 받아들이 고, 복지, 국적, 시민권, 선거권 등과 같은 사회적ㆍ정치적 영역에는 제한 하는 것을 말한다(박외병, 2013: 31). 동화와 포섭 입장의 동화주의의 기 본방향은 다문화구성원들의 동화를 지원하고 제도적으로 내국인과 평등 하게 대우하려고 하는 것이며 다문화주의는 소수자의 동등한 가치를 인

(4)

정하고 이를 보존하는 것을 지원하며 적극적 조치 등 우대조치를 마련하 는 것을 말한다(정장엽, 2014: 25).

경찰의 다문화정책은 다른 정책들을 각 지방청별로 실시하고 있지만 외국인 도움센터, 외국인 범죄예방교실, 외국인 운전면허교실 등이 대표 적으로 전국에서 실시 중이다.

외국인도움센터는 체류외국인의 증가로 경찰에 대한 외국인의 편안한 접근 채널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센터의 역할은 외국인 범죄신 고 및 민원접수 창구로 외사요원과 연결을 통해 범죄신고 및 민원내용 처리, 관계기관 통보 등을 하는 것이다.

외국인 범죄예방교실은 외국인에 의한 범죄 및 외국인 대상 범죄를 예 방하여 사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다. 체류외국인들이 국내 법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법질서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맞춤형 범 죄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외국인 운전면허교실은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등에게 무 료로 운전면허 교육을 실시하여 운전면허를 취득하게 하여 실질적인 사 회정착을 돕는 것이다. 기타 다문화 치안활동에는 다문화 간담회, 경찰 체험 등이 있다.

다문화 치안활동은 외국인들이 범죄신고 및 민원내용 처리 등을 쉽게 해주고, 국내의 법과 범죄예방에 대한 교육, 운전면허 취득 등과 같이 한 국생활에 적응을 위한 활동과 관련된 복지서비스가 대부분으로 이는 다 문화 정책의 종류 중 동화주의라 할 수 있다. 동화주의는 내국인과의 평 등하게 대우하여 동화를 중요시하며 다문화 구성원의 공동체 의식을 제 고시키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치안활동의 대표적 사례를 통해 다문화 치안활 동을 경찰과 체류외국인 및 지역사회 등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친밀감 및 유대감을 형성하여 다문화 구성원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켜 지역사 회 안전망을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결국 다문화 치안활동은 지역주민사이의 의사소통 방식을 개방하고 공동체 의식을 조 장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일체의 프로그램(Oliver, 1998: 48-49)인 이웃 지 향적 경찰활동의 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5)

2. 공동체 의식

Davidson & Cotter(1986: 608)은 공동체 의식을 사람들과 주거지, 직 장, 학교, 사회적ㆍ정치적ㆍ종교적 등과의 특별한 애착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소속감이 그 핵심적 위치에 있다고 보았다. 즉 공동체를 집단에 대 한 애착이나 구성원이라는 의식이라 할 수 있다. McMillan &

Chavis(1986: 9)는 공동체 의식(sense of community)라는 호칭을 사용하 며 구성원들이 느끼는 소속감, 구성원들이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고 생각하는 느낌, 구성원들이 함께 하여 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될 거라 는 믿음, 구성원들이 같이 공유하고 또 공유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정의 하였다. 이는 소속감과 같은 집단에 대한 애착보다 더 나아가 서로 집단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구성원들의 욕구가 충족되고 공유된 정서적 연계까지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공동체 의식의 측정항목을 도출한 신영선(2012:

4)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자들의 공동체 의식을 ‘공동체 구성원의 소 속감 및 연대감과 공동체 발전을 위한 구성원들의 집합의지로 규정하였 다. 공동체 의식을 공동체에 소속되어 있다는 구성원들의 의식 더불어 그 공동체 내부에서 상호작용하는 구성원들의 연대감과 이 공동체를 발 전시키려는 의지로 규정한 것이다. 이러한 정의로 구성요소를 귀속성과 애착성, 교류성으로 구분하였다. 결국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의하는 공동 체 의식은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생활과 관련된 귀속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선호와 같은 애착성뿐만 아니라 이웃들 간의 정서적 연계, 또는 정 서적 친밀감과 같은 이웃과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교류성이 포함되는 개 념라고 할 수 있다.

3. 활동경험과 공동체 의식

지역주민과 같이하는 활동경험은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한 연구들이 많다. 많은 연구들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청소년의 봉사활동은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김선숙ㆍ안재진, 2012; 박재숙, 2010; 문성호ㆍ문호영, 2009).

(6)

이들 연구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높 아지고 사회적 연대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봉사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류활동도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웃과의 활동과 공동체 의식간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도 있다. 이라영 (2009: 80)의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웃과의 상호작용 특성, 사용시설 및 교류장소, 환경만족도 특성, 등을 포함하는 상 호작용 요인이 있으며 이 중 공동체 활동 참여 정도에서 공동체에 대해 시 간, 관심, 돈 등을 투자한 사람의 공동체 의식이 더 높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의 경험에 의한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연구도 있다. 전영실(2007)의 연구에서 자율방범활동에 참여한 대 상자의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주민간의 유대가 강화되었고, 주민과 경찰과 의 관계도 향상된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주민이나 지역사회 조직과 함께하는 활동은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인 효과가 있다는 것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자율 방범활동과 같은 경찰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도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목적으로 다 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다문화 치안활동과 공동체 의식간의 관 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의 설계

1) 연구가설 및 모형

이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다문화 치안활동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측정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다문화 구

(7)

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Ⅰ :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 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Ⅱ :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귀속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Ⅲ :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교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Ⅳ :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애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 1> 연구의 모형

독립변수 종속변수:

공동체 의식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

귀속성 교류성 애착성

2) 연구방법 및 표본구성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과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과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 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설문조사는 부산지역의 다문화구성원으로 한정하였다. 부산지 역에 광범위한 다문화 구성원의 설문조사를 위해 강서, 금정, 기장, 남부, 동래, 동부, 부산진, 북부, 사상, 사하, 서부, 영도, 연제, 중부, 해운대 경찰 서 등 부산경찰청 산하의 총 15개 경찰서와 부산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와 같은 다문화 관련 시설의 협조를 요청하였다. 경 찰서 외사계에 근무하는 실무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내용을 설명한 후 관 할지역의 설문지 배포를 부탁하였고, 관할 지역의 다문화 센터 등에서도

(8)

부산지역의 다문화 시설 이용객의 협조를 얻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설계를 위해 자료수집은 각각의 경찰서에 35-50매, 다문화 시설에 15-20매를 배포하여 총 1000매를 배포하였다. 이 중에서 852부(85.2%)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신뢰성이 없거나 결측 값이 많은 설문지 60부를 제외하고 총 792부를 최종 실증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2. 변수의 측정

1) 측정문항

독립변수인 다문화 치안활동은 경찰에서 다문화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결혼이주자, 이주 가정의 자녀, 고용허가제 노동자, 유학생, 재외동포, 미등 록이주자, 귀화허가를 받은 자를 대상으로 범죄예방과 실질적 사회정착을 지원하여 친밀감을 형성하고 자긍심을 부여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 는 경찰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다양한 다문화 치안활동이 지역마다 실시되 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백서에서 제시한 대표적 다문화 치안활동인 외국인 도움센터, 외국인 범죄예방교실, 외국인 운전면허교실, 기타 다문화 치안활동으로 유형화 하였다. 설문문항들은 모두 참여경험을 묻는 질문으 로 ‘참여경험이 있다’에 대하여 ‘예’, ‘아니오’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각 변 수는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공동체 의식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느끼는 지역사회에 대 한 귀속성, 지역사회 이웃과의 교류성, 마을에 대한 애착성을 말한다. 귀속 성은 지역사회에서의 삶,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기 여 등으로 측정하였고, 교류성은 이웃과의 조력, 대화, 선호도 등으로 측정 하였으며, 애착성은 지역사회에 대한 선호도, 자부심 등으로 측정하였다.

공동체 의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영선(2012)의 척도를 활용하였다. 설문 문항들은 모두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편이다’를 2점, ‘보통이다’를 3점, ‘그런 편이다’를 4점,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측정하 였다. 각 문항들은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문항에 대한 동의의 정도가 높다 는 것을 나타낸다.

(9)

항목 요인분석

애착성 귀속성 교류성

나는 우리 마을에 오랫동안 살기를 원한

다. .870 .192 .189

나는 우리 마을이 살기 좋은 곳이라 생각

한다. .866 .220 .171

나는 우리 마을을 좋아한다. .768 .330 .181 나는 우리 마을에 자부심을 느낀다. .754 .227 .301 내가 노력하면 우리 마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10 .748 .244

나는 우리 마을에 관심을 가진다. .330 .747 .163 나에게 우리 마을에 사는 것이 중요하다. .319 .741 .221 우리 마을에는 우리만의 정신ㆍ질서가 있

다. .078 .727 .032

나는 우리 마을의 구성원이라고 느낀다. .408 .503 .332 우리 마을에는 나를 걱정해주는 이웃이 있

다. .199 .112 .821

나는 필요하면 우리 마을에서 대화할 사람

을 바로 찾을 수 있다. .252 .102 .743

변수 Cronbach's α

공동체 의식

귀속성 .830

교류성 .743

애착성 .901

2) 타당도와 신뢰도

신뢰도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각 요인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살펴본 결과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도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송지준, 2010: 105) 최소가 .743으로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표 1> 탐색적 요인분석

타당도와 분석결과는 <표 2>와 같다.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요인별 요인적재량은 0.4 기준으로 하여 모두 0.4 이상으로 측정되어 적절히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KMO 값이 0.901로 변수 선정이 꽤 좋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 탐색적 요인분석

(10)

구분 빈도(명) 비율(%) 다문화

유형 (결측=3)

결혼이주자 333 42.0

외국인 근로자 179 22.6

유학생 203 25.6

이주가정의 자녀 20 2.5

귀화허가를 받은 자 54 6.8

성별 남성 281 35.5

이웃들이 고통을 당하면 내 마음도 아프

다. .145 .372 .714

고유값

(Eigen Value) 3.218 2.855 2.170 설명력(%) 26.814 23.793 18.081

총 설명력(%) 68.689 - -

측정변수 척도 순화과정을 통해 일부항목을 제거하였다. 이론 구조에 맞 지 않게 적재된 문항을 제거하였다. 귀속성에서 ‘나는 우리 마을에서 편안 함을 느낀다’의 항목이 제거되었다. 교류성에서는 ‘위급한 상황이나 문제가 있다면 우리 마을 사람들은 서로 도울 것이다’라는 문항과 ‘나는 이웃들을 좋아한다‘ 문항을 제거하였다.

Ⅳ. 연구의 결과

1. 기술통계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표 3>과 같다. 다문화 유형은 결혼이주자가 가장 많은 333명으로 전체의 42.0%를 차지하고 있다.

성별을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50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결혼여 부, 최종학력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표 3>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1)

(결측=2) 여성 509 64.3

연령 (결측=2)

10대 12 1.5

20대 465 58.9

30대 241 30.5

40대 57 7.2

50대 15 1.9

결혼여부 (결측=3)

미혼 258 34.1

기혼 499 65.9

최종학력 (결측=21)

고등학교 졸업 이하 432 54.5

전문대학 재학 및 졸업 114 14.4 대학교 재학 및 졸업 145 18.3 대학원 재학 및 졸업 이상 80 10.1

변인 없다 있다 전체

다문화 치안활동

외국인 도움센터 392 (49.6)

399 (50.4)

791 (100) 외국인 범죄예방 교실 464

(58.7)

327 (41.3)

791 (100)

각 변수별 세부항목의 무응답(결측)을 제외하였음.

2) 다문화 구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

<표 4>는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에 대한 응답결과이다. 외국인 도 움센터 참여경험 여부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791명이고 참여경험이 있 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399명(50.4%)이다. 외국인 범죄예방 교실 참여 경험 여부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791명이며 참여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327명(41.3%)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운전면허 교실 참여경 험 여부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791명이며 이 중 참여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사람은 321명(40.6%)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타 다문화 치안활 동 참여경험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787명이며, 참여경험이 있다고 응답 한 인원은 99명(12.6%)이다. 기타 다문화 치안활동에는 다문화 간담회가 대부분인 96명을 차지하였다.

<표 4>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 기술통계

(12)

외국인 운전면허 교실 470 (59.4)

321 (40.6)

791 (100) 기타 다문화 치안활동 688

(87.4)

99 (12.6)

787 (100)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

오차 β t p 통계량

다문화 치안활동

상수 .036 88.993 .000 R=.108 R²=.012 수정된 R²=.010 F=9.108, p=.003 공동체

의식 .078 .108 3.018 .003**

각 변수별 세부항목의 무응답(결측)을 제외하였음.

2. 가설의 검증

다문화 구성원이 경험하는 다문화 치안활동 많을수록 공동체 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의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 경험의 합은 다양한 다문화 활동의 참여경험을 나 타내는 변수를 나타낸다. 검정결과, t값은 3.018(p=.0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수준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즉 다문화 치안활동을 다양하게 참여할수록 공동체 의식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모형은 F값이 p=0.003에서 9.108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 며, 회귀식에 대한 R²=.012로 1.2%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이를 정리하 면 <표 5>와 같다.

<표 5>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p<.01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귀속성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Ⅱ의 검정결과는 <표 6>과 같다. 검정결과, t값 은 .464(p=.6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나 가설 Ⅱ는 기각되었다. 즉 다문화 치안활동을 다양하게 참 여할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귀속성을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

오차 β t p 통계량

다문화 치안활동

상수 .039 84.060 .000 R=.017 R²=.000

수정된 R²=-.001 F=.215, p=.643 귀속성 .084 .017 .464 .643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

오차 β t p 통계량

다문화 치안활동

상수 .044 69.175 .000 R=.093 R²=.009 수정된 R²=.007 F=6.896, p=.009 교류성 .096 .093 2.626 .009**

<표 6> 다문화 치안활동이 귀속성에 미치는 영향

** p<.01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교류성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Ⅲ의 검정결과는 <표 7>과 같다. 검정결과, t값 은 2.626(p=.009)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Ⅲ은 채택되었다. 즉 다문화 치안활동을 다양하게 참여할수 록 지역사회의 이웃들과의 교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 모형은 F값이 p=0.009에서 6.896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²=.009로 0.9%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표 7> 다문화 치안활동이 교류성에 미치는 영향

** p<.01

마지막으로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애착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Ⅳ의 검정결과는 <표 8>과 같다. 검정 결과, t값은 4.176(p=.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Ⅳ는 채택되었다. 즉 다문화 치안활동을 다양 하게 참여할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회귀모형은 F값이 p=0.000에서 17.442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 식에 대한 R²=.022로 2.2%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14)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

오차 β t p 통계량

다문화 치안활동

상수 .045 72.722 .000 R=.147 R²=.022 수정된 R²=.020

F=17.442, p=.000 애착성 .098 .147 4.176 .000**

<표 8> 다문화 치안활동이 애착성에 미치는 영향

** p<.01

Ⅴ.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맞아 다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경찰에서 실시 하고 있는 다문화 치안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 치안활동은 다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범죄예방과 실질적 사회정착을 지 원하여 친밀감을 형성하고 자긍심을 부여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결국 다문화 치안활동은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 의 식을 제고하고자 하는 활동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구 성원의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공동체 의식을 목적에 맞게 제고시키 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주요내용을 발견하였다. 우선, 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Ⅰ은 채 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들과 같이하는 활동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결국 다문화 치안 활동은 목적에 맞게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성이 실 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다문화 치안활동과 공동체 의식 하위요인인 귀속성, 교류성, 애착 성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치안활동 참여경험이 귀속성을 제 외한 교류성과 애착성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는 다문화 치안활동을 다양하게 경험할수록 이웃과의 관계가 좋아지고 이 웃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며 지역사회 구성원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지 역사회에 대한 선호도와 자부심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5)

이러한 결과는 경찰의 다문화 정책인 다문화 치안활동이 지역사회에 동 화를 지원하는 동화주의 정책인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지역사회에 대하여 구성원이라는 느끼는 정도와 관심이나 편안함 등과 관련된 귀속성을 증가 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다문화 치안활동 시 이러한 귀속성을 높 여주기 위해 기존의 활동과 더불어 다른 경찰활동 참여방법인 자율방범대 활동이나 방범간담회 등의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나 구성원 이라는 느낌을 제고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한정 된 표집을 하여 대표성에 대한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지역의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표집을 통해 대표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16)

참 고 문 헌

경찰청(2013). 「경찰백서」, 경찰청.

김선숙ㆍ안재진(201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 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 구」, 43(1): 339-363.

문성호ㆍ문호영(2009).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효과에 관한 비 교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1(1): 101-120.

박외병(2013). “한국외사경찰의 다문화정책 정향성과 다문화 수용성에 관 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재숙(2010).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 체 의식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4): 157-182.

오경석ㆍ김희정ㆍ이선옥ㆍ박홍순ㆍ정진헌ㆍ정혜실ㆍ양영자ㆍ오현석ㆍ류 성환ㆍ이희수ㆍ강희복(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 점」, 한울.

이라영(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박사학 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영실(2007). “시민순찰활동의 운영실태 및 활성화방안”, 「형사정책연 구」, 18(3): 1247-1269.

정장엽(2014). “한국 다문화가족정책의 성격 분석: 동화주의 정책인가 다 문화주의 정책인가”, 「박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대학원.

송지준(2010).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 기사.

신영선(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공동체의식 측정항목 도 출 및 형성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Castles, S. & Miller, M. J.(2003).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3rd Ed. NY:

Guilford Press.

Davidson, W. & Cotter, P.(1986). “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ithin the sphere of c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17)

Psychology, 16: 608-619.

McMillan, D. W. & Chavis, D. M.(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Oliver, W. M. (1998), Community Oriented Policing: A Systemic Approach to Policing, Prentice Hall.

(18)

<ABSTRACT>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Policing of Korean Police on sense of community

-Focus on the Multi-cultural family of Busan-

Lee, Byoung Moon*1)ㆍLee, Hyo Min**2)

A variety of Multi-cultural policies has been provided by various fields, since Korean society enter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police also have been implementing Multi-cultural activities.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mean that police prevent crimes for Multi-cultural family and support effective settlement of them. It build friendship between police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gives self-confidence. Finally, These activities promote communal spirit.

This study practically reviewed that the experience on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improve the communal spirit of Multi-cultural family.

The result of this study adopted the first hypotheses that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communal spirit.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were verified that they enhanced communal spirit with the original purpos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n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 sub-factors of communal spirit such as the formation of membership and attachment.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y on the community membership will be increased, if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 various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These outcomes imply that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are melting pot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y to be the * Police officer, B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

** Professor, Youngsan University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19)

member of local community

Key Words : Multi-cultural police activities, Multi-cultural policy, Communal Spirit, Melting Pot, Multi-cultural Society

(2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