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창용·손유미·이재열·김민석·김혜정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현황 제1절 K-CESA 진단 참여 대학과 학생 현황 제2절 K-CESA 진단 결과
제3절 진단 참여 학생 특성 분석 제4절 소결
제3장 표준화 데이터를 활용한 핵심역량 차이 분석 제1절 표준화 데이터 구축
제2절 K-CESA 표준화 데이터 기초분석 제3절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핵심역량 차이 분석 제4절 소결
- 본 연구는 10개년 장기 계획의 5차 연도 연구 사업으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K-CESA)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선·개발로 환원하여 대학교육의 질 향상 노력을 지원하고자 함.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현황을 통해 본 특징, 표준화 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차이 분석, 서술식 수행형 진단 채점 분석, 자기관리역량 신규 문항 개발 등을 통하여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교육훈련 프로그램 연계 등 고등교육의 경쟁력 강화와 우수인재 양성 등의 인적자원 개발 노력에 기여하고자 함.▸
·주제어: K-CESA, 핵심역량, 교육성과, 성과지표, 역량 진단 도구
제4장 K-CESA 서술식 수행형 진단 채점 분석 제1절 서술식 수행형 진단 채점 분석
제2절 ELMO(Embeddings from Language MOdels) 기반자연어 처리
제3절 소결
제5장 자기관리역량 신규 문항 개발 제1절 문항 개발의 개요 제2절 문항 개발의 과정 제3절 예비검사 제4절 본조사 제5절 소결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 제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0)
Ⅰ. 배경 및 목적
Ⅱ. 주요 내용
□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와 사회경제적 변화, 대학교육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됨.
대학생의 지속적인 기초역량의 향상과 새로운 역량의 개발은 새로운 기술 및 시장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한국 경제 성장 동력을 확충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임.
□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K-CESA(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는 고등교육기관(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세계에서 성공적인 성취를 이루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진단하는 표준화된 진단도구임.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교육훈련 프로그램 연계 등 진단 결과 활용에 대한 대학의 요구에 부응하여 고등교육의 경쟁력 강화, 우수인재 양성 등의 인적자원 개발 노력에 기여하고자 함.
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는 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현황을 통해 살펴본 참여 대학과 학생의 특징, 2) 표준화 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차이 분석, 3) 서술식 수행형 진단 채점 분석, 4) 자리관리역량 신규 문항 개발을 수행함.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 문제은행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개발
현재 진단도구는 약 10년 전에 개발됨에 따라 진단 문항을 최신화하고, 모든 영역에서 신규 문항을 추가 개발하여 문항 풀 (Pool)을 확대해서 검사의 측정 오차를 줄이고 타당도를 높여야 함.
□ 인공지능 기반의 K-CESA 진단체제 구축
현재의 채점 방식은 많은 인력, 시간, 비용이 필요함. 인공지능 기반의 채점 시스템을 개발하여 중·장기적으로 적용이 필요함.
□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K-CESA 진단 영역 개발
최근 새로운 기술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새로운 지식과 인재상에 대한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이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역량 프레임에 대한 고민 필요
□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핵심역량 활용성 제고
대표성 있는 표준화 데이터를 구축하여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대학 교육체제의 혁신에 기여 연관부처: 교육부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