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구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대학 진로·취업 현황
제1절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참여 효과 제2절 대학 진로·취업 유형 분류 제3절 유형별 대학 진로·취업 현황 제4절 소결
제3장 대학별 진로·취업 모형 개발 제1절 전문대학 진로·취업 모형
대졸 청년들의 취업 문제 해소를 위하여 2016년 부터 시행해온 대학 진로 취업 컨설팅 사업의 효과를 검증하고, 대학의 특성에 맞는 진로 취업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여 컨설팅 사업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한 연구임▸
·주제어: 진로교육, 취업지원, 대학 컨설팅, 효과성 분석
제2절 4년제 대학 진로·취업 모형 제3절 소결
제4장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추진 방안 제1절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개요 제2절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절차 제5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향후 추진 방안
대학 진로·취업 지원 컨설팅 효과성 분석 및
표준모델 개발 연구
Ⅰ. 배경 및 목적
Ⅱ. 주요 내용 및 결과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 해소를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대학 진로 취업 컨설팅 사업의 수행이 요구됨.
체계적인 진로 및 취업 교육의 수행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2016년에 ‘대학 진로지도 및 취·창업 지원 시범대학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2017년과 2019년에도 대학 취업지원 컨설팅 사업을 수행하였음.
기존 컨설팅 사업의 수행 결과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교의 특성에 맞는 진로 및 취업 지원 모형의 구축과 이를 통한 실질적인 취업 지원 방안의 도출이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됨.
□ 컨설팅 사업의 효과 파악을 위하여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고, 실증 분석 및 사례 조사를 통해 새로운 컨설팅 모형을 개발함.
대학 진로 취업 컨설팅 사업의 효과 검증은 이중 차분 분석을 통해 컨설팅 참여대학과 비참여 대학의 차이를 비교함.
잠재계증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우수대학을 식별하고, 우수대학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수행함.
1. 연구내용
2. 연구 결과
이중차분회귀분석을 통한 컨설팅 사업 효과성 분석에서 대학 진로·취업 지원 컨설팅은 취업률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으나, 진로 취·창업 관련 개설 교과목 수와 수강인원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우수대학 식별을 위한 잠재계층성장모형 분석에서는 ‘고-유지’, ‘중상-유지’, ‘중하-하락’, ‘저-유지’의 4개 집단으로 구분되며, 로짓분석을 통해 설립유형과 대학 소재지가 식별요인으로 구분됨.
전문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모형은 진로설정, 직무역량 개발, 취업지원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별로 지원모형을 수립하고 진로역량개발을 지원하도록 구성함.
4년제 대학은 학과 구조에 따라 학문 중심 학과 구조와 직업 중심 학과 구조로 구분되고, 학교 규모에 따라 중소규모 대학과 대규모 종합대학으로 구분되며, 이들 학과 특성과 학교 규모에 따라 진로·취업 지원 모형을 구분하여 제시함.
□ 지속적인 컨설팅 성과 분석과 진로·취업 성공 요인 탐색
취업률 향상으로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개선에서 취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
□ 진로·취업 지원 우수 사례 수집과 보급
취업률 우수 대학에 대한 식별을 바탕으로 우수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우수 사례에 대한 체계적 수집과 보급을 통해 대학의 진로 취업 지원에 활용할 수 있도록 DB화 하는 방안이 필요함.
연관부처: 교육부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 컨설팅 효과 분석
(이중차분석) 우수대학 면접조사
(우수요인분석) 컨설팅 모형 도출
(전문가협의회) 취업률 우수대학
(잠재계층 성장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