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 안 학 교 의 실 태 와 활 성 화 방 안 에 관 한 연 구 - Daum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대 안 학 교 의 실 태 와 활 성 화 방 안 에 관 한 연 구 - Daum"

Copied!
91
0
0

Teks penuh

(1)敎育學碩士 學位論文. 대안학교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 udy on t h e Ca s e An aly sis of Alt er n at iv e S ch ool & it s A ct iv at ion S ch em e. 2 0 0 0 年.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一般社會敎育專攻 郭. 裕. 貞. (2) 대안학교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指導敎授. 柳. 鍾. 善. 이 論文을 敎育學碩士 學位論文으로 提出함. 2 0 0 0年. 6月.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一般社會敎育專攻 郭. 裕. 貞. (3) 郭裕貞의 敎育學碩士 學位論文을 認准함. 審査委員. (印). 審査委員. (印). 審査委員. (印).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 0 0 0 年. 6 月. (4) 국 문. 요 약. 현행 공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안교육과 같은 간접적 교육 개 선의 노력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 대안교육이란 교육의 주체인 교사·학부모·교육이론가 등이 자발적으로 연구 실천하는 교육운동이다. 이러한 운동은 기존의 학교가 충족시키지 못한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부 응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안학교 중에서 교육부 학력인정 고등학교 인가 를 받은 학교에 대한 대안교육 실천 활성화를 연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키 위해 간디학교·성지고등학교·세인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이념·교육목표·교육내용·교육방법 그리고 환경의 측면 에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위의 학교들은 교육이념과 내용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을 중시하고 쓸모 있는 인간관을 함양하고 자 한다. 둘째, 자신의 관심, 장래희망, 개별적 학습선택과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방법과 공동체 교육방식을 중시하고 있었다. 셋째, 실생활에 살아있는 교육내용, 지식보다는 사회성 교육에 비중을 두며, 자연친화적 교육환경 속에서 일과 공부를 함께 하는 통합적 교육을 추구하였다.. - i -. (5) 넷째, 작은 학교를 지향하며 생태적 삶의 가치를 존중하며 기숙사 생활 을 통해 서로의 믿음을 가진다. 다섯째, 대안학교 교사는 학생을 이해하고 이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과 투철한 사명의식을 가진 건실한 생활인이 되고자 한다. 이러듯 대안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학교별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 었으나. 아직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 관련법은 대안학교의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둘째, 대안학교 공통적 이념인 공동체적 가치를 실현할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의 부족을 들 수 있다. 셋째, 학생을 이해하고 헌신 할 수 있는 사명 의식을 가진 대안학교 교 사 양성 과정이 없는 문제를 들 수 있다. 넷째, 작은 규모의 학교를 지향하기 때문에 교육 재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키 위해 대안교육 실천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안교육을 이해하는 교사의 양성과 연수 제도를 확립하여야 한다. 둘째, 대안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사상을 정립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의 대안학교 규제개혁을 통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대안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결국 대안교육은 교육실천가의 의지, 정부의 행정적 지원과 제도개혁 그리고 교사의 자발적 실천의지가 병행될 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안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제도교육으로 유입될 수 있. - ii -. (6) 는 방안이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교육실천가와 교육관계자가 위와 같이 대안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이에 대한 자발적인 대안교육이 확 산된다면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현재 의 교육 풍토를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 iii -. (7) 목. 차. 국 문 요 약. ⅰ. 표. ⅴ. Ⅰ. 서. 목. 차. 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구성과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1. 대안교육의 기본철학과 이념. 5. 2. 서구 대안학교의 역사와 유형. 10. 3.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역사와 유형. 16. Ⅲ. 대안학교 실천 사례 분석. 25. 1. 간디학교의 실천 사례. 25. 2. 성지고등학교의 실천 사례. 32. 3. 세인고등학교의 실천 사례. 37. 4. 대안학교의 비교분석과 지향성. 41. - iv -. (8) Ⅳ. 대안학교의 활성화 방안. 54. 1. 대안학교를 이해하는 교사의 양성과 새로운 교사상의 정립. 55. 2. 대안학교 규제개혁을 통한 행정적 지원. 62. 3. 대안학교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노력. 65. Ⅴ. 결. 론. 69.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9. 2.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71. 참 고 문 헌. 73. 부. 록. 75. ABST RACT. 80. - v -. (9) 표. 목. 차. < 표 1>. 독일의 대안학교들간 공통적인 특징 비교. 14. < 표 2>. 대안교육 분야의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21. < 표 3>. 하루일과표. 29. < 표 4>. 성지고등학교 특성화 노력 방안. 32. < 표 5>. 교육목표 비교 분석표. 41. < 표 6>. 교육과정 이수단위 비교. 42. < 표 7>. 학생 및 교원현황. 42. < 표 8> 교육방식 비교 분석표. 45. < 표 9> 교육내용 특징비교 분석표. 46. < 표 10> 교육환경 비교분석표. 47. < 표 11> 교사의 자질 및 역할 비교분석표. 48. < 표 12> 수입 내역. 49. < 표 13> 대안교육 과정 교과목 편성예시. 67. - vi -. (10)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정부가 95년 교육개혁을 선포하고 일선 교육현장에 새 바람을 불어 넣기 위해 엄청난 예산을 투자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1) 공교육이라 는 큰 틀을 짧은 시간에 바꾼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21세기 새 천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새로운 천년은 인 류 역사상 최대 혁명의 시대가 될 것이다. 우리 국민에게는 다시없는 기회이며 세계의 주역이 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온 것인데, 이 주역 을 맡을 사람이 우리들의 청소년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주역인 청소년들이 획일적이고,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 창의성 있는 교육을 추구하기 위해 교육 개혁은 필연적인 것이다. 기존 의 교육 개혁은 경직되고 획일적인 교육체제 안에서만 노력하여 왔기 때문에 교육개혁의 한계에 부딪쳤고, 진정한 교육 개혁에 걸림돌이 된 것이다. 이에 학교 체제를 벗어난 교육 논의도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학교 체 제에서 부적응하여 탈락하는 청소년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안적 인 교육이나 학교 형태를 모색하려는 시도가 제도권 안팎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 동아일보, 1998. 1. 14일. 사회면 기사.. - 1 -. (11) 이 같은 현실에서 지식 위주의 학교 교육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교 육이념을 추구하는. 대안 (代案)교육 운동 이 교육전문가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조용히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 대안교육 (Alt ern ativ e Education )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 한 것은 1970년대 이후 사회운동 차원이였으나 그 뿌리를 내리지는 못 했다. 그러다가 전교조 파동을 계기로 기존의 학교 교육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면서 실현 가능한 교육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구체화 되었다. 현재 대안 교육을 추구하는 대안학교는 정규학교 등을 포함해 20여 곳에 이르고 대안교육에 관심이 많은 전문가와 시민단체가 대안교 육협의회를 구성하려는 단계에 와 있다.2) 그러나 대안학교 교육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에 교육내용, 교 육방법 시설등에 미흡한 부분이 많고, 또한 대안교육이 보편화 되지도 않았다. 대안교육이 우리의 교육 현실 속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 되기 위해서는 대안학교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그 학교 설립취지에 적합한 제반조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교육부는 교육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갑작스럽게 도입된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운영, 교사 양성체계, 교육재정의 확보 등,. 명. 확한 기준이 없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같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 제도가 바람직한 방향으 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도 심층적인 연구와 실천의 축적이 필 요하다. 또한 공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도 대안교육과 같은 간접적 교육개선의 노력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2) 동아일보, 1998.1.4일 사회면 기사. - 2 -. (12)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공교육의 보조 및 대안으로서 활발하게 논의되 고 있는 대안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 자 한다.. 2. 연구의 구성과 방법. 우리나라에는 많은 대안학교들이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많은 대안학교들 중에서 어느 학교를 연구의 대상으로 할 것 인가 어떤 기준에 의해 표본을 선정할 것인가에 하는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여러 대안학교들을 탐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대안학교 중에 교육부 학력인정을 받은 특성화 고 등학교 10개교 중 교육이념·교육목표·교육내용·교육방법, 그리고 환 경의 측면에서 본 연구자가 연구하려는 목적에 부합되는 공통점을 지닌 간디학교·성지고등학교·세인고등학교 3개교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 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방법, 구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제2장에서는 대안학교의 이론적 배경 으로서 대안학교의 기본 철학 및 그 이념과 특성을 살펴 보았다. 이로 부터 대안학교 운영의 필요성을 도출 하였으며, 우리나라 및 외국의 대 안학교의 제도도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간디학교, 성지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의 대안교육 실천 사례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분석을 근거로 대안학교 교육. - 3 -. (13) 과정 실천방안으로서 대안학교 교사의. 임용실태 및 대안교육을 이해하. 는 교사의 양성, 그리고 대안학교 교사의 새로운 교사상에 대한 요청에 대해 제언하고 정부의 대안학교 규제개혁을 통한 행정적 지원 및 대안 교육 교과과정의 개선 및 편성을 제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 는 이 논문을 요약하고 연구자의 주장 제언으로서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대안학교 및 교육에 관한 국내·외 각종 자료와 논문들에 대한 문헌조사 및 전화 설문조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 대안학교들. 은 대부분 교육 독지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고, 그들 나름대로의 교육 철학과 이념을 가지고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반향에서 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여러 대안학교중 교육부에서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된 간디학교, 성지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를 연 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 학교들의 교육 과정, 교사 임용 및 양성 과 정부의 행정적 지원, 교사들의 자기혁신 노력 등을 심층 분석하여 각각에 합당한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4 -. (14) Ⅱ . 이론적 배경. 1. 대안교육의 기본철학과 이념. 대안교육3) 운동은 19~20세기에 개발 중심의 근대적 가치가 생존경 쟁의 가치, 적자 생존의 가치로서 인간간의 유대를 단절하고, 공동체를 와해시키고, 자연환경과의 친화력을 약화시키고, 인간성을 비인간화 하 는 교육에 반발하여 나타난 운동이다. 이러한 움직임 중 대안학교는 정규학교나 비정규학교에서 교육 이념 및 운영방식의 독특성을 가지고 기존의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하는 대안적인 학교의 형태를 말한다. 즉, 지식 위주의 기존 학교교 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원에서 모색되고 있는 다양한 실천운동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대안교육이 지향하는 것은 현실이 안고 있는 문제 들을 극복한 새로운 학교, 새로운 교육, 새로운 사회라고 할 수 있다. 대안 교육의 공통된 철학적 바탕은 근대 문명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 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계몽사상 이후 도구적 이성과 기술적 합 리성을 근간으로 하여 전개된 서구의 근대 문명은 물질적 풍요의 대가 로 물질화를 통한 비인간화를 초래하는 한편 자연환경을 파괴하여 결국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교육 역시 인간의 현존재를 자연 상태로 보존하면서 동시에 인격을 형성하는 교. 3) 자연친화적이고 공동체적인 삶의 전수를 교육목표로 학습자중심의 비정형적 교육 과정과 다양한 교수방식을 추구하는 교육을 말한다.. - 5 -. (15) 육 이라는 고유의 성격을 잃어버리고, 스스로 상품화·물상화 되어 반 쪽 교육 - 온전한 이성을 지닌 인간이 아니라 도구적 이성만이 비대화된 인간을 양성한다는 의미에서- 으로 전락해 버렸다.. 본래 계몽주의 교. 육 이념은 인간의 자율성과 이성, 인간해방 등을 지향했으나, 이 같은 반쪽 교육 은 권위주의와 순응주의, 자아의 약화를 가져오게 되었다.4) Randle (1991)은 서구 근대 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데카르트의 기계론 적 세계관과 여기에서 비롯된 환원주의와 이원론에서 찾는다. 비록 이 러한 경향은 과학혁명과 산업혁명을 가능케 하기도 했으나, 반면 오늘 날의 교육이 인간의 부분적 특성을 기르는데 치우치게 되는 원천이 되 기도. 하였다. 그는. 이러한. 세계관의 대안으로 유기체론적 세계관. (holism )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비물질적인 영역도 중요시하는 동시 에 인간과 물리적 세계를 유기적 전체로 보려는 관점을 말한다. 인간과 자연을 주체와 객체의 분리된 관계로 파악하는 기계론적 세계관과 달리 여기에서는 인간을 우주적 생명의 근원과 연관된 존재로 본다.5). 대안. 교육의 뿌리는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유기체론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교육은 로크의 사상에서 비롯된다. 로크의 교육론은 매우 폭넓은 인간의 형성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러한 요소가 본격적으로 교육을 보는 관점으로 자리잡게 되는 것은 루 소에 이르러서이다. 아동의 발견자로 일컬어지는 루소는 교육의 목적을 성인의 삶의 준비가 아니라 자유와 행복으로 보았으며, 각 단계의 유년 시절은 그 나름의 독특함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각기 고유한 교육 목 적과 양식을 필요로 한다 고 하였다. 이러한 교육 사상은 이후 페스탈로. 4) 정유성, 인간다운 생각을 위한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994), p.49. 5) 한국교육개발원, 새학교구상 - 좋은 학교 조건과 그 구현 탐색 , 1996.. - 6 -. (16) 찌와 프뢰벨을 거쳐 듀이로 이어진다.6) 새로운 교육에 대한 꿈이 깊은 잠에서 깨어난 것은 1960년대 말쯤 지 구촌 곳곳에서 일어난. 위대한 거부 와. 저항과 새로운 시작 의 물결이. 산업 사회 전반의 틀을 뒤흔들면서이다. 하염없는 성장, 물질적인 풍요 에 대한 환상이 깨지면서 냉전 질서에 빌붙어 오래도록 살아남았던 권 위주의적인 사회 제도, 인간 관계는 그 바탕이 무너지게 되고, 이것을 가장 충실히 떠받쳤던 교육 또한 흔들리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이 틈새를 뚫고 거듭 사람다운 사람, 사회, 세상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교 육의 꿈을 찾고, 펼치려는 애씀이 곳곳에서 샘솟기 시작한다. 조금 뒤늦 게 우리 사회의 캄캄하고 얼어붙은 시기에도 풍성한 교육 이야기를 꽃 피웠던. 학교는 죽었다. 학교사회에서의 탈출. 억눌린 사람들의 교육. 같은 책들에 담긴 꿈들이 그것이다. 이들은 주로 새로운 교육에 대한 꿈이라기보다는 오랜 교육의 꿈 없는 잠, 이를테면 성장과 발전, 기회 균등, 업적주의, 학교주의와 같은 교육의 기존 이데올로기에 대한 날카 로운 비판이며 깨우침이었다.7) 이미 오랜 동안 꾸준히 이어져 온 나름대로의 새로운 교육의 꿈과 그 길을 찾는 모델들이 서구 산업 사회 곳곳에 있었다. 이를테면 우리들이 잘 아는 섬머힐, 발도르프 등의 학교 모델, 몬테소 리, 프레이네 등의 교육 모델처럼 새로운 교육의 꿈을 체계화한 사상가 들의 노력은 진작부터 제도 교육 안팎에서 나름대로 실현할 길을 찾아 나서 적잖은 열매를 거두기도 했다. 여기서 간단히 이들 학교 모델의 6) 한국교육개발원, 전게논문. 7) 우리 사회에는 주로 제도 교육, 학교 교육에 대한 문화적, 사회학적, 인류학적, 그 리고 정치 경제적 비판을 담은 위의 책들이 알려져 있지만 서구 사회에서는 심층 심리, 특히 비판적인 심리 분석에 바탕해서 개인의 삶에 지울 수 없는 흉터를 남 기는 교육 제도, 학교 교육을 비판하는 내용들도 많은 관심을 끌었다.. - 7 -. (17) 특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섬머힐 학교의 설립자인 닐은 한마디로 삶의 기쁨을 누릴 수 있 는 교육을 주장한다. 이러한 사상에 바탕을 두고 세워진 영국의 섬머힐 학교는 의무와 복종, 굴종이 없는 자율과 화합을 강조하는 반권위주의 적인 실험 학교의 본보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발도르프 학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주의 (人智主義) 사상에 바탕 을 두고 독일어권에서 비롯된 학교로서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대안 학 교의 본보기로 알려져 있다. 몬테소리는 우리 사회에 그 이름이 가장 많이 알려진 이탈리아 최초 의 여의사로서 특히 유아교육 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의 교육 사상은 한마디로 아동 중심 교육 사상인데, 어린이, 아동의 존재를 인간 의 원형으로 고유한 인격으로 그 존엄성을 발견하고, 이들의 창의적인 생산성에 바탕을 둔 자연스런 성장을 돕는 아동 중심의 교육 과정을 개 발하였다. 프랑스의 좌파 사상가 프레이네는 아동을 그 자체의 인격으로 존중 해야 할 뿐 아니라 학습과정 자체도 아동 스스로의 자발성과 창의성에 기초하여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학습 과정의 조직도 아 동의 삶과 아동의 본능에서 출발한 자연스러운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 한다. 먼저 교육의 대안적 바탕틀의 세계관, 인간관, 교육관을 보자면 생태 주의적 패러다임 (paradigm ) 이 눈에 띈다. 세계를 이루는 모든 구성물이 자기 생성과 자율적인 조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이 러한 생태계의 질서 안에 자리한 인간 또한 자연 생태계는 물론 사회 환경과 교류하며 자신 스스로를 비로소 형성해 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 8 -. (18) 그러므로 인간은 주체로서 스스로를 생성하고 자율적인 조정을 통해 인 간을 완성해 나가고, 교육은 단지 이런 과정이 자율적·자발적으로 일 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8 ) 또한 Randle은 대안 교육이념의 구체적 내용을 다음과 같이 여섯가지 로 제시하고 있다.9 ) 첫째, 지구를 보호하기 위한 협력이다. 이는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 문 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하나밖에 없는 지구를 보호하는 일이 우리 모두 의 공동 책임임을 깨닫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람들 사이의 모든 종류의 경계를 초월하여 서로 협력하고 보호하는 것이다. 이는 이념과 이익 추구를 위한 경쟁적 삶을 지양하고 상호 협력과 평화를 지향한다. 특히 여기서는 인간들 사이의 협력과 보 호가 자연을 보호하는 것과 본질상 동일 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 하다. 셋째, 자율성과 자신감, 그리고 독립성을 지닌 개인으로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성장을 교육의 중심으로 삼는다는 것은 아동이 그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서 현재는 물론 미래의 삶 까지도 행복하게 살도록 한다는 것이다. 넷째, 기술 공학과 삶의 양식을 이상과 같은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으 로 설계하고 이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사회를 지향하는 것이다. 기술 공학의 활용이 단순한 재정적 기술적 차원을 넘어선 중요한 문제를 내 포하고 있다는 점이 인식되면서, 자연과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적 기술 공학이 모색되기 시작하. 8) 정유성, 대안 교육이란 무엇인가 , 내일을 여는책, 1997, pp.25- 36. 9) Randle, D, (1991), T eaching Gr e en , London : Green print .. - 9 -. (19) 였다. 다섯째, 아동의 미래를 준비한다는 의미에서 정치 행위 (doing politics ) 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 보는 것이다.. 예컨대 모의선거처럼 실제 세계에. 서 이루어지는 정치 행위를 직접 해 봄으로써 권력의 이양이나 평등, 참 여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권리 의식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모든 변화의 바탕이 되는 영적 변화를 겪도록 하는 것이다. 과학에 바탕을 둔 서구의 물질 문명은 종교가 지닌 비물질적이고 내면 적인 삶의 차원을 억압하였지만, 최근 영적 진리의 중요성을 재확인하 는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2. 서구 대안학교의 역사와 유형 1) 서 구 의 대 안 학 교 의 역 사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된 외국의 대안교육운동들은, 1960년대 중반에 서 1970년대 초반사이에 공교육과 정부가 주도하는 교육정책에 대한 비 판과 반론을 제기했다. 이러한 의식은 기존의 교육을 대치하고자 하는 과감한 시도로서 대안학교설립 으로 나타났다.10) 외국의 대안교육운동은 매우 다양하고, 시대와 그 지역, 사회, 국가에 따라 논의 방향과 기준도 다르다. 1762년 5월. Emile 의 출간으로 기존교육에 대한 비판이 공식화된. 이래로,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들이 있었다. Lichtw ark (1852~1914)의 10) 송순재, 학교를 위한 삶인가, 삶을 위한 교육인가 , 는책, 1997년 5~6월, p.104.. - 10 -. 처음처럼 , 내일을 여. (20) 예술교육운동, 영국의 Reddie가 1889년에 설립한 Abbot scholm e학교, 독 일의. Liet z가. 1898년에. 세운. 전원학사운동 (Lan d- er ziehung sheim ),. Ker schen stiner의 노작학교 (Arbeit s schule) 등이 그것이다. 또한 St ein er가 그의 독특한 인지학적 세계관과 방법론을 기초로 1919년에 설립한 W aldorf Schule는 객관적 교재와 과정을 중시하였다. 제1차 대전 이후 프랑스에서 설립된 프레네 학교 (F r einet ) 역시 학생의 책임성과 협동작업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설정하여 새로운 대안학교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운동들이 출현하게 된 공교육 비판의 논거들로서 첫째, 기존 의 학교가 관료주의적 통제체제로서 일관하였으며, 둘째, 교육이 기존의 계층질서 (사회계층)를 재생산하는데 집중해 있었다는 것, 셋째, 교육구 조 자체가 공동체 의식을 배제하고 현대산업사회의 생산구조를 그대로 반영해서 경쟁과 효율성만을 부각시킨다는 것, 마지막으로 실증주의적 과학에 근거하여 교육함으로 인해 다면적이고 포괄적이며 다양한 안목 에서 교육할 수 없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20세기초에 일어난 이러한 대안교육운동에서 주목할 점은 첫 째, 교사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의 주체전환과 둘째, 자연과 조화를 이 루는 교육을 중시하였으며, 셋째, 학교교육을 국가발전이나 국가 정책과 는 거리를 둠으로써 비정치적 성격을 부각시켰다는 것이다.11). 대안학교는 1920년대를 전후해 획일적인 공교육 제도를 탈피해 보자 는 뜻에서 서구에서 탄생했다. 독일의 발도르프와 영국의 섬머힐이 대. 11) 전승필, 한국 대안학교의 실전 사례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5월, pp.9- 11.. - 11 -. (21) 표적인 대안학교다. 1919년에 처음 설립된 발도르프 학교는 교과서가 없고 학생은 수업을 듣고 싶을때만 듣는 무한적인 자율성과 창의적 교육으로 명성을 얻었 다. 이후 전세계적으로 6백여개의 대안학교가 생겨 났다. 1910년대에는 발도르프 보다 더 실험적인 자유대안학교 도 등장했다. 영국에는 1921년에 세워진 섬머힐과 함께 작은 것이 아름답다 의 저자인 슈마허의 사상을 토대로 82년 설립된 작은 학교 도 대안학교의 하나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 후반 자유학교 붐이 일어 미국 전역에 5백 20개교 가 활동 중인데 1967년 개교한 크롱라라학교 는 전교생 55명의 초미니 학교로 무제한적인 자유를 허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 서구 대안학교의 유형. 서구에서는 새로운 교육을 지향하며 또 실천하는 학교 유형이 매우 다양하다. 이를테면 독일만 해도 잘 알려진 발도르프 학교부터, 몬테소 리 학교, 자유연대 학교, 자유대안학교, 그리고 폰 헨티히에 의해 운영 되는 실험학교등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진 대안학교들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영국에는 고전적인 자유학교인 섬머힐 학교와 1982년에 설립되어 생태주의를 교육의 핵심 바탕으로 삼고 있는 하트랜드의 작은 학교, 그 리고 미국에는 다양한 형태와 이념적 지향을 지니고 있는 자유학교들이 있다. 국내에서도 1990년대 이후 다양한 대안학교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대안학교들은 그 역사적 배경과 설립목적이 저마다 다르며, 철학이나 이념적 기초, 추구하는 교육목표와 구체적인 교육 방식도 서 로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안학교들은 어느 정도 공통적인 요소. - 12 -. (22) 를 지니고 있는데, 비록 독일에 있는 대안학교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 기는 하지만, < 표 1> 은 그러한 공통적인 특성과 그들 사이의 상대적 차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미 언급한 대로 대안학교들은 추구하는 이념이나 형태가 매우 다양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소의 무리를 감내한 채 단순화한다면 다음 과 같은 네 가지로 유형화해 볼 수 있다.12) 첫째, 자유학교형 대안학교이다.. 영국의 섬머힐 학교가 이러한 유형. 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주된 동기는 종래의 학교교육이 지나치게 아 이들을 통제, 억압하며 교사 (어른)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비판하고, 아이들의 무한한 잠재 가능성에 대한 굳은 신념을 기초로 하 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유형의 대안학교는 공교 육제도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었던 1970년대에 미국에서 붐을 이루었으 며, 독일에서도 자유대안학교 라는 이름으로 1970년대에 처음 등장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섬머힐을 모방한 자유학교 형태는 많은 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물론 뚜렷하게 섬머힐을 닮지 않았다. 하더라도 아이들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유학교의 특징은 거의 모든 대안 학교들의 공통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12) 이종태, 대안학교의 운영 , 교육진흥 1998년 여름호, pp.23- 25.. - 13 -. (23) 〈표 1〉 독일의 대안학교들간 공통적인 특징 비교 특성. ←- - - - - - - - - - - -. 인간관. 영성적. 발달단계. 규정적. 교수 (학습)법. 교사 (교수법 ) 중심. 수업 참석. 참석 의무.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자율성. 교사 권위 개인의 독자적인 학습 가능성 감관 활용. 인. 정. 스펙트럼상의 비교 - - - - - - - - - - - - → 자유대안 비판적 , 프레네 합리주의적. 발도르프 몬테소리 몬테소리 발도프르. 발도르프. 프레네 발도르프. 자유대안 프레네 몬테소리. 프레네 몬테소리. 자유대한. 발도르프. 자유대안 프레네 몬테소리. 발도르프. 몬테소리 발도르프. 최소화. 자유대안. 아동의 창의성 (학습 법) 중심 비의무 (수업 기회만 제공) 국가 교육 과정 준용 자유대안 프레네 자유대안 프레네 몬테소리. 자유대안 오감을 통한 몬테소리 발도르프 학습 프레네. 교육환경. 어른중심. 문화. 고급문화 선호. 학생들의 학교운영 참여. 최소화. 학습 유형. 집단학습. 평가. 객관적 평가 및 시험 , 성적표 존재. 학습 방법. 단일성. 불인정 최대화 한두가지 감관에 집중. 몬테소리. 자유대안 프레네. 아동중심. 발도르프 몬테소리. 자유대안 프레네. 청소년의 생활문화 선호. 발도르프. 몬테소리. 발도르프. 시공 활용 시공의 규제 발도르프. 비규정적. 몬테소리 자유대안 프레네 발도르프 몬테소리 프레네 자유대안 자유대안 프레네 발도르프 몬테소리 자유대안 발도르프 프레네 몬테소리. 자유대안 프레네. 최대화 시공의 열림 개인학습 개인발전에 대한 주관적 서술평가 다원성. ※ 교육부, 대안학교 교육과정의 연구보고서 (1999년 6월 p .13)의 독일 자유대안학교의 이론가 중 한사람인 Borchert (1998 : 75)에서 인용한 것을 재정리. - 14 -. (24) 둘째, 생태학교형 대안학교이다. 이 유형의 전형은 지난 1982년에 설 립된 영국 하트랜드 지방의 작은 학교 라고 할 수 있다. 인도 태생의 평화운동가이자 생태주의자인 사티쉬 쿠마르에 의해 설립된 이 학교는 마을 안에서 소규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식 교육뿐만 아니라 의식주 에 관련된 기본적인 활동들을 교육내용으로 삼고, 마을의 다양한 생산 자들이 교사로 봉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섬머힐이 주로 아이들의 자 유스러움을 중시한다면, 이 학교는 생태와 노작, 그리고 지역사회와 학 교의 결합을 중시한다고 할 수 있다. 80년 이후 생태 위기에 관한 인식 이 확산되면서 이와 유사한 학교들이 영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 생겨 나기 시작했다. 셋째, 재적응학교형 대안학교이다.. 학교 부적응 학생을 주된 대상으. 로 하는 학교로서, 이는 주로 일반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거나 도저히 적응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하여 교육적 결실을 맺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유 이념 추구형 대안학교이다. 앞의 세 유형은 대안적 으로 추구하는 교육 목적이 비교적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에 비해 매우 독특한 교육 이념과 방식을 바탕으로 대안교육을 실천하는 학교들이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 (또는 슈타이너 학교)이다. 이 학교는 인지학이라는 독특한 철학을 체계화한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 상을 기반으로 1919년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현 재에는 세계적으로 60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령 전 교 육부터 중등교육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과정을 운영하며, 수업 방식이나 학급 운영 방식등이 매우 특이하다. 한편, 나름대로의 이상을 가지고 대. - 15 -. (25) 안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많은 학교들이 이 범주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3.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역사와 유형. 1) 우 리 나 라 대 안 학 교 의 역 사. 우리나라에서의 대안교육, 대안학교에 관한 논의는 1990년대 들어 활발 하게 전개되었다. 사회전반의 민주화 물결이 드높던 1980년대를 지나면서 특히 교육부문에서 교사운동, 학부모운동은 1990년대 초반 대표적인 주민 자치, 영역자치, 생활자치의 당사자 주도의 새로운 사회운동의 하나로 자 리잡게 되었다. 이를 통해 그동안 국가 주도의 공교육 체제에 대해 이렇 다할 대안을 제시하기는 커녕 제대로 된 비판조차 하지 못하던 교육 당 사자들이 목소리가 높아지고 자신들의 입장에서 교육개혁을 주장도 하게 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맥락에서 비로소 기존의 제도교육 체제를 넘어선 새로운 교육문화, 곧 대안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이른 바. 새로운 학교를 꿈꾸는 사람들 이 그저 학교를 벗. 어나 작은 집단을 이루어 조금씩 실험적인 교육현장을 만들어 가는 정 도였다. 물론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강고한 제도교육,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에서 오랫동안 인성교육이나 부적응아 교육에 노력해 온 거창고등 학교,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영산성지학교 등의 존재가 새삼 부각되었 다. 이후 대안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산되고 때마침 추진되던 정. - 16 -. (26) 부의 교육개혁 흐름과 만나면서, 1997년 말에는 제도교육 안에서 새로 운 교육을 가능케 하는 특성화고등학교 제도가 입법화 되었다.13) 외국에의 대안교육 운동이나 우리나라의 대안교육 모습은 많은 부분 들이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역사성에 있어서는 상이한 점이 있다. 한국의 근대사를 살펴보면 동학에서의 어린이에 대한 관심의 표명이 래 일제 통치와 해방후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명령하 달식 조치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60년대 초 교원노조운동이 일어나게 되었고, 이는 정치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 뒤로 군사정권은 우리의 교육 상 황까지 지배하였다.. 그러다가 1980년대 전교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 산되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 교육계 일각에서 부각되어진 대안 교육에 대한 관심은 1995년 8월 서울평화교육센타의 주최로 열린 대안 교육한마당 을 통해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대안교육 운동가들은 정부행정구조의 틀 밖에서, 곧 대중 저변에서 추구되고 있는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이상과 실천들의 흐름을 생생하게 살펴보고 서로를 확인함으로써, 서로간에 유대를 엮고 새로운 실천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된 것이다.14) 대안학교의 도입 배경은 국가교육과정의 확일화된 형식과 내용을 탈 피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관심과 능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제도이 다.. 따라서 이 제도의 도입은 우리사회의 학교에 대한 고정 관념을 탈. 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대안학교는 학교의 규모나 교육과정 운영, 학생의 학교 운영 참여 등에서 기존의 학교와는 상당한. 13) 교육부,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사 양성방안 보고서 , 1999년 봄월. 14) 전승필 전게논문, p.16. - 17 -. (27) 격차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안학교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 사회의 두세가지 흐름이 합류하면서 제도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흐름은 대안교육운동이다. 1980년대 이후 경직된 제도교육의 문 제가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모색하는 움직임 이 학교 안과 밖에서 일기 시작했는데, 1990년대에 들어 이것이 가시화 되면서 다양한 대안학교들이 등장하였다.15). 그 가운데 특히 정규학교. 의 형태를 띠면서도 운영 방식에서 기존의 학교와는 판이한 길을 고집 하여 감동적인 교육 성과를 거두고 있었던 학교들- 거창고등학교, 풀무 농업기술학교, 영산성지고등학교 등- 에 대한 언론과 사회적 관심은 폭 발적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기존 학교의 변화에 대한 강력한. 요구이자 압력이었다. 둘째 흐름은 정부의 교육개혁 추진이었다. 1994년 문민정부의 등장 이후 구성된 교육개혁위원회는 수년 전부터 사회적으로 제기된 교육 위기 국면에 대응하여 종래의 교육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신교육체제 수립 이라는 이름으로 내놓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 주도이기는 하였지만 교육 제도와 내용, 방법 등에서 새로운 변화 를 추구하려는 노력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셋째 흐름은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 이행하면서 우리 나라 중고등 학교 학생들의 중도 탈락자 범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1987년 23% , 1993 35.3% : 교육부, 1996), 이는 1980년대의 중도 탈락 이 주로 경제적 요인 때문이었다면 1990년대에는 학교 부적응과 비행 때문이었음을 말해주며, 동시에 종래 학교교육의 획기적 전환이 요구됨 15) 교육부 대안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의 교육과정 방향 연구보고서, 1999. 6월.. - 18 -. (28) 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교육부는 1996년 12월 학교 중도탈락자 예방 종합 대책 을 발표하였다. 대책의 핵심은 학교 모델을 다양화한다는 것과 학 교 운영체제를 혁신하여 부적응 현상을 최소화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전자와 관련하여 교육부는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학교를 설립하기로 하고, 그 형태를 정규학교와 단기 과정의 프로그램형 학교 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의 구상에는 당시 교육부 장관이 직접 방문 한 바 있던 영산성지고등학교가 크게 작용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만 화나 영상학교 등 대중적 문화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학교도 설립하 기로 하였다. 그러나, 권역별로 전국에 여섯 개의 대안학교를 설립하겠다는 교육부 의 당초 구상은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우선, 대안학교를 단지. 중도탈락자를 위한 학교로 상정함으로서 대안교육이 제기하는 광범위한 문제의식을 축소, 왜곡시키고, 결과적으로 대다수의 교육관계자와 언론 이 대안학교를 중도탈락자 학교와 동일시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오류는 후에 지역 주민들이 대안학교 설립에 조직적으로 반대 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 한가지 심각한 문제는 정부가 주. 도하여 대안학교를 만든다는 발상이었다.. 막대한 예산의 확보도 문제. 려니와 (교육부는 당초 522억원 예상) 영산성지고등학교의 교육적 성과 가 교사들의 자발적 헌신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었다. 정부가 주도하여 대안학교 를 만든다는 것도 개념상 맞지 않 는 것이었다. 교육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여 이후 정책을 다소 수정하였다. 대안학교의 의미를 단지 중도탈락자만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새로운. - 19 -. (29) 교육을 추구하는 학교로 재규정하는 한편, 정부 주도로 학교를 설립하 기보다는 민간에 의한 학교 설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그 일환으로 1997년 6월에는 고교설립준칙주의를 발표하여 학교 설립에 필요한 정원 (최소 60명)과 부지, 그리고 시설 기준 등을 크게 완화하였 다.16) 이어 이러한 완화된 기준에 따라 설립되는 학교 명칭을 특성화고등학 교로 정하고, 1998년 3월에는 이를 교육법 (후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명시, 공포하였다. 교육법 시행령 제76조에는. 교육부 장관은 교육과정. 의 운영 등을 특성화하기 위한 중학교를 지정·고시할 수 있다. 고 규 정하고 있으며, 제91조에는. 교육부 장관은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 사한 학생을 대상으로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또 는 자연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 교를 지정·고시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의 부적응아를 위해 지역별로 대안학교 설립을 추진하겠 다는 발표는 대안학교를 둘러싼 합법성 논쟁을 어느 정도 희석시킴으로 써 다양한 대안학교 설립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교육부는 이러한 법제화와 함께 대안학교를 운영하거나 설립을 준비 하고 있던 사람들과 몇 차례 간담회를 갖는 한편, 이들에게 특성화학교 지정을 신청하도록 권유하였다.. 이에 따라 1998년 3월 6개의 대안교. 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가 개교하였고, 이듬해인 1999년 3월에는 다시 4개의 학교들이 개교하였다.(< 표 2> 참조). 16) 교육부 고등학교 설립 운영규정, 1997년 9월 23일 공표.. - 20 -. (30) < 표 2> 대안교육분야의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설립 연도. 학 교 명. 소 재 지. 학교교육의 특징. 간디고등학교. 경남 산청군 신안면 외송리. 성지고등학교. 전남 영광군 백수면 길용리. 1998년 양업고등학교. 충북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3월 개교 원경고등학교. 경남 합천군 적증면 황정리. 한빛고등학교. 전남 담양군 대전면 행성리. 화랑고등학교.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동명고등학교. 광주시 광산구 서봉동 518. 1999년 두레자연고등학교경기 화성군 우정면 화산리 3월 개교 세인고등학교. 전북 완주군 화산면 운산리. 푸른꿈고등학교 전북 무주군 안성면 진도리. 일반 학생 대상으로 자연친화적이고 공동체 적 인간교육 지향 부적응 학생 대상으로 마음을 다스리고 심 신의 건강을 추구하는 교육 (원불교) 부적응 대상으로 더불어 사는 유대감과 소 질과 적성, 정서 교육 (천주교) 부적응 학생 대상으로 마음공부와 생명존 중, 공동체적 가치 교육 (원불교) 일반 학생 대상으로 지덕노체를 겸비한 인 간양성 (기독교) 부적응 학생 대상으로 생명존중, 공동체적 가치 교육 (원불교) 부정응 학생 중심으로 체험위주의 교육을 통해 개개인의 소질 개발 (기독교) 부적응 학생 대상으로 행복한 사람되기, 더 불어 사는 삶 교육 (기독교) 성적 불량 학생 대상으로 사랑과 봉사교육, 5차원 전면교육 (기독교) 일반 학생 대상으로 환경. 생태교육. 조화와 협동 교육. 2)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유형. 교육은 학교내에서만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고 학교외에서도 이루어 지며 따라서 학교내와 밖에서 이들은 다양한 형식으로 관계를 맺을 수. - 21 -. (31) 있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관계의 방식에 따라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다 양한 실천사례들을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17 ). Ⅰ. 제도교육과의 관련 정도에 따른 분류. 첫째, 제도교육의 틀 속에는 교육과정 운영이나 학교운영에 있어서 국가의 감독과 통제를 받는 공사립학교, 거창고등학교, 참교육운동, 열 린교육 등이 있다. 둘째, 제도교육 틀 곁에는 정규학교는 아니지만 각종학교인 학력인정 고등학교와 같은 형태, 풀무농업기술학교와 영산성지고등학교 등이 있다. 셋째, 제도교육 틀 밖에는 제도교육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형태의 대안교육으로, 민들레 학교, 숲속마을 작은 학교, 예수가정, 공부 방 등이 있다.. Ⅱ. 운영 형태에 따른 분류. 첫째, 정규학교형은 일반학교와 같은 형태로 운영되는 형태로 거창고 등하교,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영산성지학교 등이 있다. 둘째, 계절학교형은 여름 혹은 겨울방학 동안을 이용하여 교육이 이 루어지는 형태로 대구의 민들레 학교, 경남 산청의 숲속마을 작은 학교, 서울 따로 또 같이 만드는 학교, 부산 창조학교 등이 있다. 셋째, 방과후 프로그램형은 학생들이 학교활동이 끝난 다음 동네에서 이루어지는 말 그대로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인 것은 서울지역공 17) 서울 평화교육센타 KCRP (Korea Conferenceon Religion And Peace) 자료집.. - 22 -. (32) 부방연합회, 여럿이 함께 만드는 학교 등이 있다. 넷째, 유아교육프로그램형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Ⅲ. 이념형태에 따른 분류. 첫째, 자유학교형 대안학교는 1970년대 미국, 독일 등지에서 등장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학교 설립의 주된 동기가 종래의 학교 교육이 지나치게 아이들을 통제, 억압하며 교사 중심의 교육이 이 루어지고 있음을 비판하고, 아이들의 무한한 잠재 가능성에 대한 굳은 신념을 기초로 하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 로, 영국의. 섬머힐 , 독일의. 의 마을 그리고 우리나라의. 자유대안학교 , 일본의 자유학교 물꼬. 기노쿠니 아이들. (2000년대 초반 상설학교. 설립예정)가 가장 가까운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생태 학교형 대안학교 유형의 전형은 1982년에 설립된 영국의 하트랜드 지방의 "작은학교 라고 할 수 있다. 이 학교는 마을 안에서 소규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식교육 뿐만 아니라 의식주에 관련된 기 본적인 활동들을 교육내용으로 삼고, 마을의 다양한 생산자들이 교사로 봉사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학교에서는 주로 생태와 노작, 지역 사회. 와 학교의 결합을 중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개교한 간디청소. 년학교가 교육이념이나 방식에서 유사하다. 셋째, 재적응 학교형 대안학교는 부적응 학생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학교로서, 영광의. 성지고등학교 , 일본의. 례라고 할 수 있다.. 생활학교 등이 대표적인 사. 성지고등학교의 경우 주로 일반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거나 도저히 적응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헌신적. - 23 -. (33) 인 노력을 통하여 교육적 결실을 맺고 있다.. 지금까지 대안교육운동을 역사적 과정과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한 분류 시도를 통해 접근해 보고 최근의 경향까지 살펴보았다. 이제는 대안학 교의 실태를 특성화 학교로 인가된 학교를 통해 분석하고 우리나라 대 안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논의하고자 한다.. - 24 -. (34) Ⅲ. 대안교육 실천 사례분석 제2장에서는 국내외 문헌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논의되어진 대안교육 의 철학과 대안교육의 이념 특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제부터는 본 연구의 주요 논의로서 대안학교로서 특성화 고등학 교 18)의 교육부인가를 받은 간디학교, 성지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의 실 천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1. 간디학교의 실천 사례. 1994년 12월 경남 산청군 신안면 외송리 122번지에 간디농장을 연 이 후 1997년 3월 9일 개교한, 간디학교는 중·고등 과정이나 학년이 나뉘 지 않는 통합학교(Com prehen siv e school)이다. 이 통합학교는 우리한테 는 낯선 학제이지만 영국의 섬머힐과 세계의 수많은 자유학교에서 실시 하고 있는 학제이며, 우리 조상들이 서당에서 가르치던 교육 방식이다. 통합 학교인 간디 학교에서 학생들은 연령이나 학년에 구분되어 수업 을 받지 않고 대신 개인의 능력에 따른 단계별 (예를 들어 영어, 수학. 18)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 1항에 의한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 육과 인성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특성화고등학교)로서 일반학 교에서 부적응하거나 중도 탈락한 학생들에게 학업 계속성 유지와 학력취득 의 기회를 제공하여 그들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과 세계의 주인으로 바로 설 수 있도록 이어주는 사다리 역할을 함은 물론, 학생을 교육의 중심에 둔 자 율학교 를 지향하여 인성중심의 창의성 교육을 실현하는 학교이다. 대안학교의 공통적인 특징은 종래의 획일적인 제도나 내용을 주지식 교과 중 심학습보다는 다양한 체험을 바탕으로 지향하여 자연친화적 인성교육에 주력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다양한 대안학교를 제도속에 편입시킨 학교를 말한다.. - 25 -. (35) 교과에서) 수업을 하거나, 관심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 공부할 수 있다. 교육 기간은 중1부터 대학 진학이나 직업 선택 전까지인 고3 나이까 지 청소년기로 하되, 입학은 중1에서 고1까지로 한다. 따라서 교육 기간 은 3년에서 6년으로 중1로 들어오는 학생은 모두 6년, 중2로 들어오는 학생은 5년, 중 3으로 들어오는 학생은 4년, 고1 나이로 들어오는 학생 은 3년을 함께 공부하고 생활한다. 물론 학생의 능력과 학습 진도에 따 라 학생이 대학 진학이나 직업 선택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졸업이 빨라질 수 도 있다.19). 1) 교 육 이 념 과 목 표. 간디학교 양희규 교장은 기존의 학교 교육이 가장 기본적인 교육 원칙 들이 실패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사랑과 자발성의 교육을 말하고 있다.20) 이러한 사랑과 자발성은 서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사이에 신뢰관계가 이루어지고 배움과 가르침이 이러한 철학적 기초 위에 몸과 마음과 영혼이 골고루 성숙되고 조화된 인간(전인적인 삶), 이웃과 협동 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인간(공동체적 삶), 자연을 아끼고 자연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는 인간(자연과 하나된 삶)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 간디학교, 학교요람 , 1999년, p.10. 20) 양희규, 사랑과 자발성의 교육 (서울: 내일을 여는책, 1997).. - 26 -. (36) 2 ) 교 육 방 식 21). 가 . 집중식 교육 지식교육은 한 학기에 열 과목 넘게 공부하는 제도권 학교와는 달리 될수록 적은 수의 과목을 보다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나 . 창의력과 토론을 존중하는 학습 수업 진행면에서 학생들의 창의력과 자유로운 토론을 매우 존중하고 있다. 교사들의 일방적인 지도에 의한 수업이 아니라 교사들은 학생들 이 어떤 주제를 스스로 도출, 토론하고 그리고 마지막에 결론을 짓도록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수업에 필요한 교재가 자연히 다양하고, 제도권의 교과서를 채 택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그 교과서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지 않다.. 다 . 개별화 학습 담임교사, 학부모와 상의하여 개별 학생은 자신의 관심과 장래 희망 에 따라 각각 다른 시간표를 짤 수 있다. 우선 국어, 영어, 수학 등의 과목 중 각 학기에 듣고 싶은 과목들을 대학에서처럼 선택해 수업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학생이 반드. 시 들어야 하는 과목들도 있다.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거기 에 알맞은 시간표를,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학생들은 직업 선택을 위한 시간표를 짤 수 있다는 것이다.. 21) 간디학교의 1999년 학교요람을 인용하였다.. - 27 -. (37) 라 . 능력에 따른 단계별 수업 학생들은 연령이나 학년에 구분되어 수업을 받지는 않는다. 영어나 수학 같은 과목은 학생마다 능력에 따라 단계별 수업을 받고, 고1 나이 라도 중2단계 영어를, 중2 라도 고1 단계의 수학 수업을 받을 수도 있 다는 것이다.. 마 . 열린교육 장소가 제한되지 않은 열린교육- . 학교의 교실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자체가 학습의 도장이 되어야 한다는 정신으로, 배움터가 있다면 국내 외 어디라도 옮겨 다니며 공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 학기에 한번 (한 번에 3~5일) 이동 수업 기간을 마련한다.. 3) 교육 내용의 특징 가 . 교육내용 위와 같이 교육 목표와 방식에 따라 매주 월요일 아침 8시 20분, 학 생 선생님들이 모두 모여 명상하고 서로 좋은 말을 나누며 한 주를 시 작한다. 오전 4교시까지 지식 과목을 집중 공부한다. 제도 학교에서와는 달리 국어, 역사, 자연과학등 꼭 필요한 과목만 선택해 공부한다. 그러나 특 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토요일엔 지식과목 수업이 없다. 오후에는 주로 의식주 및 감성교육에 집중하고 있고 의식주 교육으로 음식 만들기, 텃밭 가꾸기, 집짓기, 생활용품 만들기, 옷 만들기 교육을, 감성 교육으로 음악, 미술, 표현예술 그리고 전통적인 우리의 풍물과 춤. - 28 -. (38) 들을 가르치고 있다. 매주 금요일 오후 한 주일을 마무리하며 학생과 교사가 모두 모여 식 구 총회를 한다. 학생회가 진행을 맡아 하는데 선생님도 학생과 같은 자 격으로 참여해 민주적으로 의견 수렴을 하는 법을 익히며, 아울러 교사 와 학생이 공동체 식구로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소중한 시간이다. 학교 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들이 이 식구총회에서 토론되고 또 그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또한 존경 받는 우리 시대의 큰 어른들을. 초빙하여 특강을 받기도 하고, 또 그 분들을 직접 찾아 뵙고 좋은 말씀 을 듣기도 한다. 대체적인 간디학교의 하루일과는 < 표 3> 과 같다. < 표 3> 6:30 7:00 7:40 8:30 8:50. 하루일과표 ~ ~ ~ ~ ~. 7:00 7:40 8:30 8:50 9:00. 9:00 ~ 12:50 12:50 ~ 14:00 14:00 ~ 18:00 18:00 19:00 19:30 20:00 23:00. ~ ~ ~ ~ ~. 19:00 19:30 20:00 23:00. 기상 및 정리 정돈 산책 및 텃밭 가꾸기 아침 밥 수업준비 담임과의 시간 지식 교과 수업 점심 밥 의식주 및 감성 교과 수업, 동아리 활동 저녁 청 하루 묵학 취. 밥 소 평가 (조용히 자기 공부하는) 시간 침. 나 . 학칙 생활 한 지붕 아래 여럿이 함께 사는 대가족 생활이다. 혼자가 아니라 여 럿이 모여 기쁨도 슬픔도 함께 나누는 공동체 정신이 무엇보다 필요하. - 29 -. (39) 기 때문에 기숙사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다른 식구들을 이해하고 감싸주고 희생할 수 있는 마음이다. 나만을 위해, 나 혼자 나 먼저 하는 생활에서, 식구들을 위해 식구들과 함께 하는 생활 습관을 기르려고 노력하고, 이기적인 사회 분위기와 경쟁 위주의 교육으로 눈 치만 발달된 학생들에게는 힘들고 어렵지만 뜻 있는 훈련이 되고 있다. 특히 식구 총회와 저녁 평가회를 통해 서로의 닫힌 마음을 열고 상대를 이해하며 고마운 마음으로 생활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자립에는 크게 정신적인 자립과 생활의 자립이 있고, 기숙사 생활은 생활의 자립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기상 취침 청소 빨래 같은 일 들을 스스로 해나가고 스스로 책임진다는 목표 아래 남녀 기숙사 학생 대표를 중심으로 스스로 해나가고 있다.. 다 . 학습평가 과목에 따라 그 성격상 필기시험을 칠 수 있으나 필기시험 위주의 평 가는 하지 않는다. 평가는 다양한 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률적인 점수나 석차가 매겨지지는 않는 절대평가이다. 수업 시간 속에서 평소 발표하고 과제를 해 오고 토론에 참여하는 기여도에 따라 구체적이고 세심한 기술 (記述)과 함께 평가가 이루어지고, 그 전체 학습의 결과가 중간 평가와 기말 평가에 나타난다.. 라 . 학생선발 전형방법 모집대상은 일반전형은 중1 및 고1이 될 나이의 남녀 청소년 각 20명 이 하이고, 특별전형은 중2, 중3, 고1이 될 나이의 남녀 청소년 약간명이다. 다른 학교와 마찬가지지만 특이한 점은 전형방법이 중학교 생활기록. - 30 -. (40) 부 성적 30% , 면접 70%를 합산하여 결정한다. 특히 면접은 전형위원 7 명이 질문을 하고 학생 면접과 함께 학부모와도 면담을 실시한다는 것 이다. 또한 학교에 입학 할 뜻을 가진 학생들은 4박5일 정도의 예비학교에 참여해야 하는데 수업내용은 의식주 교과(옷만들기, 집짓기, 음식만들기 등)와 감성교과(음악, 미술, 연극, 풍물 등)로 구성된다.. 4) 교육환경. 경남 산청군 신안면 외송리 122번지 둘레에 2,500여 평의 부지가 있 다. 계곡 건너편에 400평, 700평 두 필지의 논도 있다. 교육시설은 교육 관으로 돌집 1층 (50평)과 통나무집 (30평)이 있다. 부엌은 15평, 그리고 빵 굽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남학생 기숙사인 돌집 2층 (45평)과 여학생 기숙사인 벽돌집 (45평)이 있다. 각종 가축 (오 리, 닭, 개)들과 텃밭도 있으며, 98년 착공한 일반교실 2동, 예능교실 1 동이 있다.22) 학교가 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고 인근에는 몇 안 되는 민가와 마을이 있고 자동차로 10여분 올라가면 고개 너머에 폐교된 초등학교 분교가 있어 학생들의 체육활동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학교의 위치가 자연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 교육 목표에 맞는 자연과 하나되는 삶을 실천 할 수 있을 것이다.. 22) 1999년 교육부에서 기숙사등의 시설 지원비로 5억정도의 예산을 편성하여 집행하였고 그 지원으로 인해 지금 약 100여명 학생이 기숙할 수 있는 현대 식 기숙사 건물이 완공되어 학생들이 생활 한다고 했다.. - 31 -. (41) 2. 성지고등학교의 실천 사례. 1975년 3월 전남 백수읍 길용리 77번지 영산선원 부설 3년제 중등부 로 문을 연이후 1998년 3월 특성화 고등학교로 개교하게된 영산성지 고 등학교는 인성중심의 창의성 교육에 중점을 둔다.23 ). < 표 4> 성지고등학교 특성화 노력 방안. 무학년·무학급제를. 공동체생활 및 자연친화적. 바탕한 열린교육. 살림운동. 마음공부를 통한 품성. 인성중심의. 함양. 창의성 교육. 학생중심, 실천중심의. 가정을 대신하는 교육. 교육방법의 개선 및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 평가모형의 개발. 1) 교 육 이 념 및 목 표. 사람마다 마음의 참된 바탕을 바르게 끄집어 내어 잘 사용 할 수 있 도록 하고, 공동체적 생활을 통하여 더불어 살아가야 할 하나님을 알아 23) 영산성지고등학교, 교육계획서, 1999학년도.. - 32 -. (42) 가도록 하는 것을 교육이념으로 하고 있다. 이런 이념하에서 자주적 판단아래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삶, 자신의 삶을 책임지는 자주적 인간, 공동 생활을 통해 더불어 사는 지혜를 터 득하는 도덕적 인간, 심신을 단련하여 굳센 체력을 지닌 건강한 인간, 오늘의 자신을 있게 한 직접, 간접의 도움에 대하여 감사하고 은혜에 보답하는 건전한 시민의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한다.24). 2) 교육방식. 가 . 선택수업 수준별 분반, 주제별 분반, 시간별 분반 등을 실시하여 선택과목을 풍 부하게 하고 학생들의 선택폭을 확대시키는 수업방식을 선택한다.. 나 . 교과 교실제 수업 교실 사용에 있어 학년별, 학급별로 교실을 지정하여 교사가 찾아가 는 유형이 아니라 교과목별, 과목 담당교사별로 교실을 지정하는 교과 교실제를 운영하여 학생들 개인 시간표에 따라 이동 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을 실시한다.. 다 . 체험학습 교육 극기훈련, 해양훈련, 테마여행 등 다양한 현장 체험 학습을 통하여 종 래의 지식 전달 위주의 학습 유형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학생들로 하여 금 삶을 살아가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수업을 실시한다.. 24) 이하, 성지고등학교 99학년도 교육계획서를 인용함.. - 33 -. (43) 라 . 노작체험 학습교육 농사짓기, 양계장작업, 유기농업 관련작업, 학교환경 정화 및 청소작 업, 농촌 일손 돕기와 기타 시기와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노작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생명의 신비함과 자연의 은혜를 일깨운다. 이를 통해 노작과 땀의 가치를 인식시키며 미래의 주요 산업이 될 농 업등의 소중함을 바로 알게 하여 인성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기본학습 을 실시한다.. 마 . 단체 봉사활동 교육 장애아보호원, 양로원, 농가 일손돕기등의 봉사활동을 통해 이기주의 를 극복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기르게 하는 학습을 실시한 다. 이런 학습은 그동안 가정과 사회에 대한 거부와 저항으로 왜곡되게 표현되었던 자기 불만을 돌려 정신, 육신, 물질의 3방면으로 부족하고 불편한 이웃을 돕게 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애정을 갖게 하고 은혜를 발 견하게 하는데 주력한다.. 3 ) 교 육 내 용 의 특 징 25) 가 . 교육내용 매일 아침 7시 30분에 기상하여 30분간 요가를 실시한다. 생활요가는 학생들과 교사의 자율적인 선택에 따라 체조나 구보등으 로 대체 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한기당 1단위로 배정하되 ABC 3개반으 로 분반하여 학생들이 편리한 시간으로 선택 할 수 있도록 한다. 매주. 25) 학교의 안내책자를 인용 정리함.. - 34 -. (44) 월요일 첫 수업시간에 교사와 학생 전원이 모여 주간을 반성하고 새주 간의 교육과정을 확인하고 친교를 갖는 전체 모임을 가진다. 국어 수업과 연계하여 도서를 월 1회 20권을 발표하고 게시하는등 독 서를 권장하는 독서지도를 한다. 그리고 각계 각층의 인사들을 초빙하 여 그들의 진솔한 삶을 전달함으로써,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다양한 경험의 폭넓은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주는 초청 특강도 매월 1회씩 실시하고 있다. 목요일 오후 2시부터 2시간은 전학년 모두 동일한 수업 시간에 학생 과 교직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전 가족 체육활동을 실시하여 친교를 다 지고 건강한 신체를 단련한다. 토요일 또는 일요일 주당 1회씩 자발적 의사에 따라 명화를 감상하며 일과 시간 종료 이후 22:00까지 자율적으로 교사와 학생이 운영하는 노 래방에 다닐 수도 있으며, 예, 체능과 음악반을 중심으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게 해준다. 나 . 학칙생활 교사와 함께 침식과 일상생활을 같이하여 사제 동행으로 인격도야와 심신단련, 지, 덕 교육에 힘쓰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대화할 수 있는 상시 상담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전교생, 전교직원이 동등한 발언 권과 의결권을 가지는 전체회의를 통해 교내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타 협과 합의로 풀어 가도록 한다. 다 . 학습평가 획일적 척도에 따라 실시하는 계량화된 평가를 지양하고 학생 개개인 의 특성과 가능성을 염두에 둔 서술적 평가를 한다. 이 평가는 변별도,. - 35 -. (45) 공정성, 신뢰성, 타당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기고사는 가능한 지양하 고 수행과정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되 그 선택은 교사의 자율에 맡긴 다.26) 라 . 학생선발 전형방법 일반전형은 중학교를 졸업한자, 고등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에 합격 한자, 외국에서 9학년 이상의 학교 교육 과정을 수료한자, 기타 법령에 의하여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거주지에 관계없이 본교에 입학을 희망하는 자이다. 특별전형은 내신과 학생 및 학부모 면접, 글짓기, 학교교육에 대한 이 해나 공감등을 교사와 학부모 임원 공동으로 전형하여 협의를 거쳐 정 25명을 선발한다. 특히 적성에 맞지 않는 등의 이유로 학교생활에 적응 치 못하여 학업을 포기하고 중도에 탈락한 학생들에게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4) 교육환경. 전남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 77번지에 8,200여평의 교지가 있고, 전교 생과 교사들이 체력 단련을 할 수 있는 체육장과 학생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악실, 미술실등 특별실을 마련하고자 하 나 재정이 미약하여 불충분 상태이다. 현재의 학교 부지 및 교사는 영광군 교육청 관할의 폐교된 구 길용초 등학교를 임대 사용함으로써 학교시설, 설비가 노후 되었을 뿐아니라, 26) 특성화 고교로 인가 받으면서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게되었다. 교육평가 영역은 절대평가를 원하고 있다.. - 36 -. (46) 다수의 학생들을 수용 교육하기에는 기숙사 시설이 부족하다.27). 3 . 세인고등학교의 실천 사례 1997년 10월 중퇴 학생 4명의 위탁교육을 실시한 이후 전북 완주군 하산면 운산리 110- 1번지에 1999년 3월 처음으로 40여명의 학생을 선 발하여 개교하게된 세인고등학교는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모든 내용 들을 교사와 함께 실행하는 학교이다.28). 1) 교 육 이 념 목 표 세인고등학교는 남 중심의 인생목표와 풍부한 정서력을 가지고 공동 체에 봉사는 실천력을 키우기 위해 심력의 향상에 힘쓴다. 그리고 강하 고 성결하게 몸을 지킬 수 있는 힘을 기르기 위해 체력의 증진에도 힘 쓰며, 배운 지식을 폭넓고 올바르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혜와 지도력을 발휘하게 하는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경영능력을 가지도록 한다. 또, 자 율적이고도 올바른 시간 활용능력과 겸손함, 폭넓은 개방성을 갖도록 자기관리 능력을 기르고 자존감을 가지고 바른 인간관계를 맺도록 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진리안에 깨어 있는자, 이웃을 사랑하고 봉사할 수 있 는자, 자신의 달란트 (재능)를 최대로 발휘하는 자의 양성을 그 이념으로 한다. 27) 전화 설문조사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28) 세인고등학교의 1999학년도 교육계획서를 인용함.. - 37 -. (47) 2 ) 교 육 방 식 29) 가 . 학생중심의 교육 교육의 세 단계, 즉 선포하는것 (원리를 알려주는것), 가르치는것 (실천 가능한 커리큘럼을 계발하고 훈련하는 것), 치유 (삶의 방향이나 행동의 변화가 생기는것) 등을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실행하고 있다. 나 . 다양한 체험학습 교육 여러가지 많은 견학을 통하여 지식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직접 몸으 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다 . 약점위주 학습 및 수준별 담임제 교육 예습, 복습시 약점 목록표를 작성하여 약점위주의 공부를 권장하고, 학생의 수준에 맞게 담임을 정하여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라 . 학부모와 함께 공동과제 수행하는 방식의 교육 학부모는 가장 훌륭한 교사이므로 학부모와의 공동과제를 수행함으로 써 부모와의 유대관계를 개선하는 한편 학부모 교육에도 심혈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3) 교육의 특징 가 . 교육내용 학생들의 사회봉사를 제도화하여 어려운 이웃을 돕고 지역사회에 기 여하는 것을 생활화하고, 3분 묵상으로 작은 것부터 실천하는 실천력을 29) 이하 학교의 안내책자를 인용 정리함.. - 38 -. (48) 기르며 풍부한 정서력을 기르기 위해 악기를 한가지 이상 연주하도록 하는 심력교육을 한다. 그리고 체계적인 과학적 운동법에 의해 운동으 로 몸의 균형과 건강을 유지시키고 성결한 몸을 지킬수 있도록 체력 훈 련에도 주력한다. 또 지식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지혜위주의 교육으로 지적인 힘을 기 르도록 하는 데도 중점을 두고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영어독해, 회화, 영어논술 및 일기 등을 통한 언어교육과 국어 및 독서를 통한 속해 속독교육, 지속적인 전산교육을 통해 정보시대의 필수인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 및 정보처리 교육 등이다. 앞서 언급한 심력, 체력, 지력 여기에 자 기관리 능력과 바른 인간관계 형성을 통해 능력을 극대화 하여 재능을 최대한 발휘케 하며 이웃에 봉사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 갈 수 있는 인간 으로 교육하기 위한 5차원 전면 교육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나 . 학칙생활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하며 교사와 함께 침식과 일상생활을 같이하 여 공동체 정신을 함양하고 규율있는 생활습관을 습득하도록 한다. 그 리고 학교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전체회의를 통해 해결해 가며 자 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남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성숙한 민주시민 사회 의 일원이 될수 있도록 도와주는 생활을 영위한다. 다 . 학습평가 획일적 척도에 따라 실시하는 계량화된 평가를 지양하고 학생 개개인 의 특성과 가능성을 염두에 둔 서술적 평가를 하며, 평가는 변별도, 공 정성, 신뢰성, 타당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기고사는 가능한 한 지양하 고 수행과정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되 그 선택은 교사의 자율에 맡긴다.. - 39 -. (49) 라 . 학생선발 전형 모집대상은 일반전형이 중학교 졸업자, 중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 격자 교육법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거 주지에 관계없이 본교 입학을 희망하는 자로 (남녀 비율 1:1) 40명을 선 발한다. 특별전형은 정원의 20% 이내에서 해외거주자로서 한국교육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자와 교육환경 여건이 어려운 농, 어촌 지역 거주자 학생 을 선발한다. 세인고등학교는 중학교 성적이 전체에서 중·하위권에 있거나, 중· 하위권에 있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입학허가를 한다. 현재 중·상위권에 있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까다로운 면접 절차에 의하 여 입학여부가 결정된다. 특히 과거의 학교생활 중 심한 좌절감이나 고통을 당해본 경험이 있 는 학생들을 우선적으로 선발하며 가정문제든지 어떤 요인이든지 큰 어 려움과 고통을 겪었던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만 입학이 허가된다. 다른 학교와 마찬가지로 서류 전형과 학생 과 학부모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선발한다.. 4 ) 교 육 환 경 30) 우수한 교사의 안정적 확보와 교육시설 및 교구기자재의 확보가 재정 의 빈약으로 인하여 열악한 상태이다. 음악실, 미술실 등을 기존의 교실 을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기숙사도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 30) 세인고등학교 1999년도 교육계획서와 담당자와 전화통화 확인한 내용을 정 리했다.. - 40 -. (50) 이었으나, 최근에 다수의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 기숙사 시설을 증축하 였다.31). 4 . 대안학교의 비교 분석과 지향성. 1) 대 안 교 육 의 비 교 분 석 본장에서 제시한 세 개의 대안학교 사례분석을 통해 교육목표, 교육 방식, 교육내용, 교육환경을 정리해 본다. 우선 세 대안학교 교육 이념 은 첫째,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 존중, 둘째 생태적 삶의가치 지향, 셋째 쓸모있는 인간관을 중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정리하면 < 표 5>. 와 같다. < 표 5> 교육목표 비교 분석표 구 분 학 교 간디학교. 교육 목표 특징 사랑과 자발성의 교육 쓸모있는 교육. 성 지 고. 인성중심의 창의성 교육. 세 인 고. 자발적인 자기능력 관리 쓸모 있는 인간관. 공통적 특징.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 존중 생태적 삶의가치 지향 쓸모 있는 인간관 중심. 그리고 이들 3개 대안학교들은 교육부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된 학 교로서 교육과정 편성과 이 두 단위 비교는 아래 < 표 6> 과 같다. 31) 최근 확인한 결과 기숙사(생활관) 시설을 보완하여 공사를 완공하였으며 교 육부에서 약 2억원의 예산을 편성 지원하였다고 했다.. - 41 -. (51) < 표 6> 교육과정 이수단위 비교(1998/ 1999년) 공통필수 과정필수 과정선택 간디 성지. 70 70 70. 세인 * (. 58. 4. 특별·단 체활동. 특성화교과 60. 12. 68. 54(22). 36 50이하. 64. 50. 204 12. 82(40). 74. 16. 84(40이하) 82. 계. 204 204. 16 12. 204- 228 208. ) 안의 숫자는 선택과목임. 대안학교 학생과 교사의 공통적인 특징은 20명 미만으로 1단위 학급 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렇게 되다보니 일반학교에 비해 교사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또한 일반고등학교에 비해 농사짓기·음식만들기·생활용 품만들기·감성교육 (음악·미술·표현예술) 우리의 풍물과 춤을 가르치 다보니 중등학교 교사 자격을 보유하지 않은 전문가를 초빙하여 교육을 해야 한다. 이들은 학교교사보유율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이들 특성화 교사는 간디학교 9명, 성지고등학교 9명, 세인고등학교는 필요시 마다 외래강사를 초빙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을 정리하면 < 표 7> 과 같다. < 표 7>. 학생 및 교원현황. 학교명. 학급수. 학생수. 교원수. 간디학교. 3. 50. 11. 성 지 고. 6. 78. 13. 세 인 고. 4. 76. 10. 공통적 특징. 20명 이내의 학급단위 구성. * 교원수는 특성화 교사는 제외 되었으며 학교별 교원수의 70%를 특성화 교사로 보유 하고 있음 ** 특성화 교사의 대부분이 중등교사 자격이 없음. - 42 -. (52) 다음으로, 대안학교 학생 집단의 성격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다. 대부 분의 학교에�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