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국립공원 광릉요강꽃 군락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서은경1
*
·차회찬1·김영석1·이사현1·장정재21국립공원관리공단덕유산국립공원, 2국립공원관리공단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in Deogyusan National Park
Eun-Kyoung Seo
1*, Hoe-chan Cha
1, Young-Seok Kim
1, Sa-Hyun Lee
1and Jeong-Jae Jang
21Deogyusan National Park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Muju 568-814, Korea
2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21-717, Korea
요 약 :광릉요강꽃 군락지 7개지역을대상으로 2008년 7월 26일부터 2011년 5월 27일까지 5차에 걸쳐관속식물 상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총 56과 87속 83종 1아종 22변종 7품종 등 총 113분류군으로 확인 되었다. 층위별 우점종분석결과, 교목층의 경우 고로쇠나무, 층층나무(1번조사구), 산벚나무, 들메나무(2번조사구), 고로쇠나무(3 번·6번조사구), 들메나무(4번·5번조사구), 층층나무(7번조사구)나타났다. 관목층의우점종은박쥐나무, 작살나무(1 번조사구), 들메나무, 함박꽃나무(2번조사구), 들메나무(3번조사구), 물참대(4번조사구), 박쥐나무(5번조사구), 고 추나무(6번조사구), 병꽃나무(7번조사구)로나타났다. 초본층의우점종은조릿대, 관중, 산수국(1번조사구), 조릿대, 관중(2번조사구), 관중(3번·5번조사구), 조릿대(4번·6번·7번조사구)로나타났다. 7개지역에서공통으로나타난 종은관중, 십자고사리, 퉁둥굴레, 백작약, 생강나무, 고로쇠나무, 다래, 박쥐나무, 들메나무로 9종임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II급 3종, II급 2종, I급 5종으로나타났다.
주요어 :관속식물, 광릉요강꽃, 덕유산국립공원
Abstract :On the subject of seven areas of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to the Vascular plants in five times from the 26th of July, 2008 to 27th of May, 2011. Vascular plants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composed of 56 families, 87 genera, 83 species, 1 subspecies, 22 varieties, and 7 forms, totally 113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 were Acer pictum subsp. monoi·Cornus controversa (plot 1), Prunus sargentii·Fraxinus mandshurica (plot 2), Acer pictum subsp. monoi (plot 3·6), Fraxinus mandshurica(plot 4·5), Cornus controversa(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shrub layer were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Callicarpa japonica(plot 1), Fraxinus mandshurica·Magnolia sieboldii(plot 2), Fraxinus mandshurica(plot 3), Deutzia glabrata(plot 4),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plot 5), Staphylea bumalda(plot 6), Weigela subsessilis(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herbage layer were Sasa borealis·Dryopteris crassirhizoma·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plot 1), Sasa borealis·Dryopteris crassirhizoma(plot 2), Dryopteris crassirhizoma(plot3·5), Sasa borealis(plot 4·6·7). The common vegetation of seven area were nine species Dryopteris crassirhizoma, Polystichum tripteron, Polygonatum inflatum, Paeonia japonica, Lindera obtusiloba Blume var. obtusiloba, Acer pictum subsp. mono, Actinidia arguta,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Fraxinus mandshurica. Degree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were III degree 3 species, II degree 2 species, I degree 5 species.
Key words :Vascular Plant, Cypripedium japonicum, Deogyusan National Park
서 론
덕유산국립공원은 1975년 2월 1일에 국내에서 10번째로
국립공원으로지정관리되고있는지역으로최고봉인향적봉
(1,614 m)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설천봉, 칠봉, 거칠봉, 향
로봉 등이위치해 있고, 남서쪽으로는주능선을 따라 중봉,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무룡산, 삿갓봉, 남덕유산 등이 위치하는, 백두대간의 주능 선이기도하다.
덕유산국립공원은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방계식물이 우세하 게 분포하는 한국남부아구에 속하는 지역이나 1,000 m 이 상의 지역에서는 거제수나무, 나도바람꽃, 애기앉은부채 등 의 북방계식물이 비교적 우세하게 분포하기도 한다. 그리하 여 덕유산은 산지 고도의 높낮이에 따라 남방계식물과 북 방계식물이혼생하는지역으로평가하는등북방계식물과남 방계식물이 고루 공존하고 있는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환 경부, 2006).
그렇기에 덕유산국립공원은 예전부터 활발히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박과 박(1973), 김 (1991), 김 등(1994), 임 등(1994) 등에 의하여 활발히 조사 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도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2005,
2006, 2007, 2008, 2009)에 의하여 꾸준한 모니터링이 이루
어지고 있다.
그 중 덕유산국립공원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광릉요강꽃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I급으로, 덕유산 국립공원에서는 1994년대 원광대학교 길봉섭 교수에 의해 처음 자생하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이후 국립공원관리공단 에 의하여 꾸준히 그 자생지가 보전되고 있으나 순수하게 광릉요강꽃군락지와 그 주변의 식물상, 그리고 광릉요강꽃 의 보전방안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군락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광릉요강꽃은 관상적 가치가 뛰어나 많은 지역에서 불법 채취되었으며 증식 및 복원이 까다로 워 멸종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식물로 이에 따른 군 락지의기초자료확보및보전대책수립이시급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광릉요강꽃 군락지에 대해서 주변 식물상과 자생지 환경을 분석하여 향후 광릉요강꽃의 보전 방안을 수립함으로써 멸종위기식물관리에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하며 나아가 생태계 복원 및 체계적인 보전방안을 마 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대상지인 덕유산국립공원 광릉요강꽃 군락지 내 관 속식물상 연구는 2008년 7월 26일부터 2011년 5월 27일까 지 5차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군락지 주변 10 m 이내에 나 타나는식물상 전체를조사하였다(Figure 1). 위치정보의경 우 GPS장비(GARMIN, GPSmap 60CSX)를 이용하여, 해발,
방위및 위치정보를측정하였으며 경사의경우 Clinometer 를 이용하여 군락지 내 경사도를 측정하였다. 다만, 광릉요 강꽃이 가지는 식물분류학적 위치와 생물학적 가치, 그리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점을 들어 본 논문에는 구체적인 조사지역을 밝히지 않는다.
식물의 분류와 학명의 기재는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과내학명은 알파벳 순으로 배
열하였다. 식물의동정은가능한현지에서동정을실시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이(1996), 이(2006a,
2006b), 이(2003a, 2003b)를 참고하였고 박(2001)의 한국귀 화식물원색등을 참고하여 분류 및 동정하였다. 또한 식물구 계학적 특정식물종은 김(2000)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정리 하였다.
Figure 1. The map shows Deogyusan National Park, Muju-Gun, Jeonrabuk-Do, Korea. (-: Park Area)
Table 1. The location informations of plots.
Plots No. Latitude & Longitude Altitude Direction Slope
1 N35o 52' **.*" E127o 46' **.*" 943~951 m WM 40%
2 N35o 49' **.*'' E127o 42' **.*" 1010 m~1090 m EN 25%
3 N35o 49' **.*'' E127o 42' **.*" 1010 m~1090 m WN 45%
4 N35o 49' **.*'' E127o 42' **.*" 942 m~968 m N 50%
5 N35o 49' **.*'' E127o 42' **.*" 967 m~1030 m EN 50%
6 N35o 49' **.*'' E127o 42' **.*" 1027 m~1090 m EN 50%
7 N35o 51' **.*'' E127o 48' **.*" 943 m~945 m EN 50%
2009년에는 특별보호구모니터링으로 일부지역에 대해서 만 조사하여, 이번 연구 자료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결과 및 고찰 1. 전체식물상
광릉요강꽃 군락지 7개 지역에서 조산된 관속식물은 총
56과 87속 83종 1아종 22변종 7품종 등 총 1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7개 군락지의 층위별 우점종을 살펴보면, 1번 조사구 교
목층에는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monoi),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관목층에는 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작살나무 초본층에는 조릿대(Sasa borealis), 관 중(Dryopteris crassirhizoma), 산수국이 우점한다. 2번 조사구 에는교목층에는 산벚나무,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관목층에 들메나무, 함박꽃나무 초본층에 조릿대, 관중이 우점한다. 3번 조사구에는 교목층에 고로쇠나무, 관목층에 들메나무, 초본층에 관중이 우점하였고, 4번 조사구에는 들 메나무가 우점하는 실정이며, 초본층에는 조릿대가 우점한 다. 5번 조사구에는 교목층에 들메나무, 관목층에 박쥐나무, 초본층에 관중이 우점한다. 6번 조사구에는 교목층에 고로 쇠나무, 관목층에고추나무, 초본층에 조릿대가우점하고, 7 번 조사구는 교목층에 층층나무, 관목층에 병꽃나무, 초본 층에 조릿대가 나타났다.전체적으로 자생지에는 교목층은 고로쇠나무, 층층나무, 들메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관목층 에는 박쥐나무, 들메나무, 초본층에는 관중, 십자고사리, 조 릿대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분류단계별 현황을 살펴보면 양치류는 4과 4속 4종 1품 종으로 5분류군이 나타났으며나자식물강 2과 2속 2종, 그 리고 피자식물강 중 쌍자엽식물아강이 44과 73속 64종 1아 종 21변종 5품종으로 91분류군, 단자엽식물아강 6과 8속
13종 1변종 1품종으로 총 15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파
악되었다.
Table 2.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Date Route of investigation
2008. 7. 26 광릉요강꽃 군락지 ****계곡, **** 계곡
2008. 9. 27 광릉요강꽃군락지 ****계곡, **** 계곡 2010. 6. 30 광릉요강꽃군락지 ****계곡, **** 계곡
2010. 8. 28 광릉요강꽃 군락지 ****계곡, **** 계곡
2011. 5. 27 광릉요강꽃군락지 ****계곡, **** 계곡
Table 3. Taxomic number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Taxa/System Fam. Gen. Sp. Subsp. Var. For.
Pteridophyta 4 4 4 - - 1
Gymnospermae 2 2 2 - - -
Angiospermae - - - -
Dicotyledons 44 73 64 1 21 5
Monocotyledons 6 8 13 - 1 1
Total 56 87 83 1 22 7
Table 4. Dominant species in the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Layer/Plots No. 1 2 3 4 5 6 7
교목층 고로쇠나무층층 들메나무나무
산벚나무들메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들메나무 고로쇠나무 층층나무 관목층 박쥐나무
작살나무고광나무
들메나무산수국 들메나무 물참대 박쥐나무 고추나무 병꽃나무
초본층 조릿대
관중산수국 조릿대
관중 관중 조릿대 관중 조릿대 조릿대
Figure 2.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7개 조사구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관중, 십자고사리, 퉁둥굴레(Polygonatum inflatum), 백작약(Paeonia japonica),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고로쇠나무, 다래(Actinidia arguta.), 박쥐나무, 들메나무로 9종이 나타났다.
광릉요강꽃 군락지 7개 지역별 출현 종수를 살펴보면, 전 체 종수는 6번 조사구에서 59분류군으로 가장많이 출현하 였으며, 3번 조사구에 가장적은 35분류군이 발견되었고 군 락지내평균출현분류군수는 48.4분류군으로나타났다.
조사지에서 생육이 확인된 특산식물로는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2종이며(Table 5), 희귀종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III급은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가지더부살이(Phacellanthus tubiflorus), 병 풍쌈(Parasenecio firmus) 3종이 나타났다. II급은 백작약, 곰취(Ligularia fischeri) 2종이 나타났으며, I급은 개비자나 무(Cephalotaxus koreana), 큰천남성(Arisaema ringens), 퉁 둥굴레, 촛대승마(Cimicifuga simplex), 수정난풀(Monotropa uniflora)등 5종이 나타났다(Table 6).
2. 군락지 보전대책
광릉요강꽃은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으로지 정된식물로 국내에서 덕유산국립공원에 가장많이 서식하 고 있다. 이것은 덕유산국립공원의 식물상 및 식생이 그만 큼 건전하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중요한 생태적 척도가 되 고 있다. 따라서 본 조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보전대책 을 수립하여 좀 더 효과적인 광릉요강꽃 군락지를 보전하 는것이바람직하다고판단된다.
첫째, 덕유산국립공원 내광릉요강꽃군락지에는일부지 역에는 휀스, CCTV 등 보호시설을 설치지역에 대한 동물
출입이 불가한 지역에 대해서는 식피율 변화에 대한 조사 가 필요하다.
둘째, 군락지내 산나물인 곰취, 병풍쌈, 고로쇠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어, 지역주민 및 탐방객의 광릉요강꽃 군락지 출입을 엄격히 차단하고, 순찰을 강화한다.
사 사
본 연구는 특별보호구 광릉요강꽃 군락지에 대한 모니터 링의 일환으로 수행한 결과이며, 연구에 도움을 주신 소장 님과 직원분들게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덕유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418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덕유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529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덕유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553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덕유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601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 덕유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598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 덕유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411pp.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진욱학. 1994. 덕유산국립공원자연보존
지구의산림군집구조에관한연구. 응용생태연구회 7(2): 164- 171.
김창환. 1991. 덕유산국립공원삼림식생의구조와 2차천이에관
한연구. 원광대학교박사학위논문. 156pp.
김철환. 2000. 자연환경평가(1.식물군의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
지 18(1):163-198.
박만규박재식, 1973. 무주구천동의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조 사보고서 5: 31-35.
Table 6. The List of 5th degree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No. Family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Degree
I II III IV V
1 Cephalotaxaceae Cephalotaxus koreana 개비자나무 ○
2 Araceae Arisaema ringens 큰천남성 ○
3 Liliaceae Polygonatum inflatum 퉁둥굴레 ○
4 Betulaceae Betula davurica 물박달나무 ○
5 Ranunculaceae Cimicifuga simplex 촛대승마 ○
6 Paeonia japonica 백작약 ○
7 Aquifoliaceae Ilex macropoda 대팻집나무
8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노랑물봉선
9 Pyrolaceae Monotropa uniflora 수정난풀 ○
10 Orobanchaceae Phacellanthus tubiflorus 가지더부살이 ○
11 Compositae Ligularia fischeri 곰취 ○
12 Parasenecio firmus 병풍쌈 ○
Table 5.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No. Family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Plots No.
1 2 3 4 5 6 7
1 Cyperaceae Carex okamotoi 지리대사초 ○
2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병꽃나무 ○ ○ ○ ○ ○ ○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178pp.
이영노. 2006. 새로운한국식물도감 I. 교학사. 975pp.
이영노. 2006. 새로운한국식물도감 II. 교학사. 885pp.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624pp.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I. 향문사. 914pp.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II. 향문사. 910pp.
임경빈,김용식,전승훈, 김선희, 김휘. 1994. 덕유산국립공원내희귀
및멸종위기식물의보전실태. 응용생태연구회 7(2): 112-117.
환경부. 2006. 소백산,덕유산멸종위기식물원조성방안에관한연
구. 285pp.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2011년 11월 1일 접수; 2011년 11월 15일 채택)
Appendix 1. The photos of major species.
Phacellanthus tubiflorus Philadelphus schrenkii Dryopteris crassirhizoma
Actaea asiatica Astilbe rubra Cimicifuga dahurica
Ilex macropod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Deutzia glabrata
Parasenecio firmus Monotropa uniflora Polygonatum involucratum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Polystichum tripteron Disporum smilacinum
Magnolia sieboldii Morus bombycis Paeonia japonica
Actinidia arguta Hepatica asiatica Deparia pycnosora
Appendix 2. The list of vascular plant.
Scientific name-Korean 1 2 3 4 5 6 7
Dryopteridaceae(면마과)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 + + + + + +
Dennstaedtiaceae(잔고사리과)
Deparia lasiopteris (Kunze) Nakaike 큰진고사리 + + + + +
Deparia pycnosora (Christ) M.Kato 털고사리 + + + +
Aspleniaceae(꼬리고사리과)
Athyrium brevifrons Kodama ex Nakai 참새발고사리 + + + + +
Polypodiaceae(고란초과)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십자고사리 + + + + + + +
Pinaceae(소나무과)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
Cephalotaxaceae(개비자나무과)
Cephalotaxus koreana Nakai 개비자나무 + +
Gramineae(벼과)
Sasa borealis (Hack.) Makino조릿대 + + + + + +
Cyperaceae(사초과)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 +
Araceae(천남성과)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ausa천남성 + + + + +
Arisaema peninsulae Nakai 점박이천남성 + +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큰천남성 +
Liliaceae(백합과)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 +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용둥굴레 +
Polygonatum inflatum Kom. 퉁둥굴레 + + + + + + +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각시둥굴레 + +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 + + + + +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 + +
Dioscoreaceae(마과)
Dioscorea nipponica Makino 부채마 + + +
Dioscorea quinqueloba Thunb.단풍마 +
Orchidaceae(난초과)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 + + + + + +
Betulaceae(자작나무과)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 +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서어나무 +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 + +
Corylus sieboldiana Blume참개암나무 + + + +
Fagaceae(참나무과)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밤나무 +
Quercus serrata Thunb. 졸참나무 +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신갈나무 + + + +
Ulmaceae(느릅나무과)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느릅나무 +
Moraceae(뽕나무과)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 + + + + +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좀깨잎나무 +
Laportea bulbifera (Siebold & Zucc.) Wedd.혹쐐기풀 +
Nanocnide japonica Blume 나도물통이 +
Pilea mongolica Wedd. 모시물통이 +
Loranthaceae(겨우살이과)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겨우살이 +
Aristolochiaceae(쥐방울덩굴과)
Asarum sieboldii Miq.족도리풀 + + + +
Appendix 2.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1 2 3 4 5 6 7
Polygonaceae(마디풀과)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이삭여뀌 +
Caryophyllaceae(석죽과)
Cucubalus baccifer var. japonicus Miq. 덩굴별꽃 +
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Actaea asiatica H.Hara 노루삼 + + +
Cimicifuga dahurica (Turcz. ex Fisch. & C.A.Mey.) Maxim. 눈빛승마 + + + +
Cimicifuga simplex (DC.) Turcz. 촛대승마 + + + + + +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 + + + + + +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 (Huth) Ohwi 산꿩의다리 + +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
Magnoliaceae(목련과)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 + + + + +
Schisandraceae(오미자과)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오미자 + + + + + +
Lauraceae(녹나무과)
Lindera erythrocarpa Makino 비목나무 +
Lindera obtusiloba Blume var. obtusiloba 생강나무 + + + + + + +
Saxifragaceae(범의귀과)
Astilbe koreana (Kom.) Nakai 숙은노루오줌 +
Astilbe rubra Hook.f. & Thomson ex Hook.f. 노루오줌 + +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 + + +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 +
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 (Siebold & Zucc.) Makino 산수국 + + + + +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 Maxim. 얇은잎고광나무 +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Maxim.까마귀밥나무 +
Rosaceae(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팥배나무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 + +
Rutaceae(운향과)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
Euphorbiaceae(대극과)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사람주나무 + +
Aquifoliaceae(감탕나무과)
Ilex macropoda Miq. 대팻집나무 + +
Celastraceae(노박덩굴과)
Celastrus flagellaris Rupr. 푼지나무 +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노박덩굴 + +
Euonymus oxyphyllus Miq. 참회나무 + + +
Euonymus sachalinensis (F.Schmidt) Maxim. 회나무 + + + +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 + +
Staphyleaceae(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DC. 고추나무 + + + + + +
Aceraceae(단풍나무과)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 + + +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 + + + + + +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
Impatiens textori Miq. 물봉선 +
Vitaceae(포도과)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개머루 +
Vitis amurensis Rupr.왕머루 + +
Appendix 2. Continued.
Scientific name-Korean 1 2 3 4 5 6 7
Actinidiaceae(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다래 + + + + + + +
Violaceae(제비꽃과)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
Viola blandaeformis Nakai 엷은잎제비꽃 + + + + +
Viola rossii Hemsl. 고깔제비꽃 + + + + + +
Viola keiskei Miq. 잔털제비꽃 + + +
Alangiaceae(박쥐나무과)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박쥐나무 + + + + + + +
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단풍박쥐나무 +
Araliaceae(두릅나무과)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음나무 + +
Cornaceae(층층나무과)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층층나무 + + + + + +
Pyrolaceae(노루발과)
Monotropa uniflora L. 수정난풀 +
Ericaceae(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
Rhododendron schippenbachii Maxim. 철쭉 +
Primulaceae(앵초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영 +
Symplocaceae(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ai) Ohwi 노린재나무 + + + + + +
Styracaceae(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 + + + + +
Oleaceae(물푸레나무과)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 + + + + + +
Gentianaceae(용담과)
Gentiana zollingeri Faw. 큰구슬붕이 +
Verbenaceae(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 +
Labiatae(꿀풀과)
Isodon japonicus (Burm.) Hara 방아풀 + + + + +
Solanaceae(가지과)
Tubocapsicum anomalum (Franch. & Sav.) Makino 알꽈리 +
Orobanchaceae(열당과)
Phacellanthus tubiflorus Siebold & Zucc. 가지더부살이 + Phrymaceae(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Hara 파리풀 + + + + +
Rubiaceae(꼭두선이과)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 + + + + +
Galium pogonanthum Franch. & Sav. 산갈퀴 + +
Caprifoliaceae(인동과)
Lonicera maackii (Rupr.) Maxim. 괴불나무 + +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딱총나무 + + + + + +
Weigela subsessilis L.H.Bailey 병꽃나무 + + + + + +
Campanulaceae(초롱꽃과)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더덕 +
Compositae(국화과)
Aster ageratoides Turcz. 까실쑥부쟁이 +
Aster scaber Thunb. 참취 +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 + + + + +
Artemisia keiskeana Miq. 맑은대쑥 +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넓은잎외잎쑥 +
Ligularia fischeri (Ledeb.) Trucz. 곰취 + +
Parasenecio firmus (Kom.) Y.L.Chen 병풍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