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15호 2018.4.23 35
러시아 ・ 중앙아시아
▣ Novatek, 북극 LNG 2 기본설계 작업을 위한 NovaEngineering JV 설립
¡ 러시아 Novatek社는 북극 LNG 2(Arctic LNG 2) 프로젝트의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 design, FEED) 작업을 위한 합작 투자 회사 ‘NovaEngineering JV’를 설립했다고 발표함 (2018.4.12).
※ 북극 LNG 2 프로젝트는 Novatek이 북극권 Gydan 반도에 트레인 3기의 액화플랜트(연간 생산용량 1,980만 톤 규모)를 건설하는 것으로, 올해 FEED 작업을 마치고 내년 말까지 최종 투자결정을 내려 2023년 가동을 개시할 계획임. 이미 중국, 일본, 프랑스 기업이 프로젝트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 NovaEngineering JV는 러시아 NIPLGas社 51%, 영국 TechnipFMC社 33%, 독일 Linde社 16% 지분의 합작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자본규모는 2억 4,700만 달러 수준이며 6~7월 중으로
FEED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FEED 작업은 영국 TechnipFMC社가 주도하고 추후 러시아 NIPLGas社로 기술(노하우)을 이전할 계획임.
¡ 한편, Novatek 관계자는 북극 LNG 2 플랜트는 중력식 구조물(gravity-based structure, GBS) 위에 설계되어, 첫 번째 LNG 프로젝트인 야말 LNG 플랜트에 비해 보다 경제적으로 건설 가능하다고 전했음.
※ 북극 LNG 2 프로젝트의 총 투자비는 약 100억 달러로 추산된 반면, 야말 LNG 프로젝트 투자비는 270억 달러임.
‒ Novatek은 영구동토층에서의 플랜트 기반 건설 및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플랜트를 육상에 건설
하지 않고 Ob 만(Ob Bay)에 위치한 GBS 위에 모듈식으로 건설할 계획임.
‒ 또한, 프로젝트의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Murmansk州 Kola 만(Kola Bay)에 4개 인공섬을 조성하여 조선소 공장을 세우고, 이곳에서 GBS와 플랜트 건설에 필요한 부품・장비들을 자체 생산・조달 할 계획임.
⦁러시아 정부는 Kola 만에 4개의 인공섬을 조성하여 조선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Novatek은 조선소 건설을 위해 무역부(Ministry of Trade)와 협약을 체결하기도 함.
‒ 플랜트 건설에 앞서, 먼저 설치 될 예정인 GBS 건설 공사는 NovaEngineering JV의 협력업체 (subcontracting party)자격으로 참여한 이탈리아 Saipem社가 수주했으며, GBS는 Kola 만 조선소에서 건조하여 Gydan반도까지 수송 할 계획임.
⦁GBS 설계도는 노르웨이 전문가인 Kvaerner로부터 제공 받았으며, 첫 번째 GBS는 길이
3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15호 2018.4.23
350m, 너비 50m로 구성되어 완공 시 해안에서 20km 떨어진 곳에 수심 15m 깊이로 설치될 예정이며, 그 위에 플랜트를 구성하는 총 12만 톤에 달하는 15개 상부 구조물(topside module)을 탑재 할 예정임.
(Upstream, 2018.4.12)
▣ 우크라이나, Gazprom이 발표한 ‘우크라이나를 통과하는 가스 수송량 축소’에 대한 반대 입장 표명
¡ 우크라이나 Ihor Nasalyk 에너지석탄 산업부 장관은 4월 4일 Gazprom이 ‘2019년 이후 우크라이나 통과 가스 수송량이 연간 10~15bcm에 불과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함(2018.4.11).
※ Gazprom과 Naftogaz는 2009년 러시아産 가스의 우크라이나 공급에 관한 계약과 러시아産 가스의 유럽 수출을 위한 우크라이나 영토 경유에 관한 계약 등 두 건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두 계약은 10년 기한으로 2019년 말에 종료될 예정임.
※ Gazprom의 Alexei Miller CEO는 Nord Stream-2 가스파이프라인이 가동을 개시하면 우크 라이나를 통과하는 가스 수송량은 현재보다 90%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인사이트 제18-13호(4.9일자) p.30 참조).
‒ 장관은 우크라이나가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통과 가스 수송량이 연간 최소 40bcm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Gazprom 역시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Nord Stream-2 가스 파이프라인보다 우크라이나 가스 통과 시스템(Ukraine’s Gas Treansmission System, GTS)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언급함.
⦁우크라이나는 유럽에 수출되는 러시아 가스의 주요 통과국으로 연간 약 30억 달러의 통과료 수입을 얻고 있지만, 향후 가스 수송량이 10~15bcm으로 축소되면 그만큼의 통과료 수입을 잃게 되어 경제적 타격이 클 것임.
⦁또한, Nord Stream-2 가스파이프라인의 수송가능 용량은 55bcm/년인데 반해, GTS는 288bcm/년 수송능력을 갖추었으며, 이 중 178.5bcm/년을 유럽으로 공급 가능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를 통과하는 편이 Gazprom측에게도 유리할 것이라는 게 장관의 설명임.
‒ 그 밖에도, 우크라이나 Naftogaz 대변인은 Gazprom이 Naftogaz에 25억 6,000만 달러를 지불 하라고 판결한 스톡홀름 국제중재재판소의 명령을 Gazprom이 이행하지 않았으므로 Gazprom에 대한 강제집행절차를 준비 중이라고 밝힘.
⦁대변인은 Gazprom이 중재 판결을 이행하지 않아 발생한 손실 보상을 위해 소송을 준비할 것이며, 집행 과정은 반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여 설명함.
¡ 한편, 독일 Chancellor Angela Merkel 총리는 4월 10일 베를린에서 Petro Poroshenko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Nord Stream-2 가스파이프라인으로 인해 우크라이나가 어떤 식으로든 피해를 입는다면 Nord Stream-2 프로젝트는 추진될 수 없다며 우크라이나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15호 2018.4.23 37
‒ Merkel 총리는 이전에는 Nord Stream-2를 순전히 ‘경제 프로젝트(economic project)’라고 언급했으나, 이날은 정치적 요인 역시 고려해야 한다며 입장을 번복함. 또한, 우크라이나를 통과하는 가스 수송량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독일의 Nord Stream-2 프로젝트 참여 여부는 불확실 하다는 것을 러시아 측에 분명히 밝혔다고 언급함.
⦁2016년 8월 5일, Nord Stream-2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최초 발언을 한 Merkel 총리는 독일은 同 프로젝트를 순수하게 경제적인 측면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최근까지도
EU에 대한 안정적인 가스 공급과 가스 수송비 절감 등 경제적 효과를 들어 同 프로젝트의
당위성을 강력하게 주장한 바 있음(인사이트 제18-14호(4.16일자) pp.27~28 참조).
⦁또한, 지난 3월 말에는 Nord Stream-2 파이프라인이 자국 수역을 통과하는데 대해 독일만이 유일하게 건설 허가를 완료한 바 있음(인사이트 제18-14호(4.16일자) pp.27~28 참조).
※ 독일은 Nord Stream-2 파이프라인 통과 구간 31km 건설과 관련하여, 지난 1월 31일 Stralsund 광산 감독국(Mining Authority)이 독일 영해 통과에 대해 1차 승인하였으며, 3월 27일에 연방해양수로국(Federal Maritime and Hydrographic Agency of Germany)이 독일의 배타적 경제수역 통과에 대해 2차 승인을 한 바 있음(Nord Stream-2 홈페이지).
(Interfax, 2018.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