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레슬링 선수들의 운동상해 및 재활의 관한연구 - CHOSU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레슬링 선수들의 운동상해 및 재활의 관한연구 - CHOSUN"

Copied!
55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학년도 2017 8월

교육학석사 체육교육 학위논문( )

레슬링 선수들의 운동상해 및 재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about cause of sport injury and treatment for Wrestl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김 홍 배

[UCI]I804:24011-200000266318

(3)

휘 레슬링 선수들의 운동상해 및 재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about cause of sport injury and treatment for Wrestler

년 월

2017 8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김 홍 배

(4)

레슬링 선수들의 운동상해 및 재활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이 경 일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체육교육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 )

년 월

2017 4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 교육 전공

김 홍 배

(5)

김홍배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윤오남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이계행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이경일 인

년 월

2017 6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 i -

목 차

ABSTRACT

서 론 .

Ⅰ ··· 1

연구의 필요성

A. ··· 1 연구의 목적

B. ··· 3 연구의 제한점

C. ··· 3 연구의 가설

D. ··· 3

이론적 배경 .

Ⅱ ··· 5

운동상해에 대한 개념

A. ··· 5 운동상해의 분류 및 원인

B. ··· 6 레슬링 특성

C. ··· 7

연구 방법 .

Ⅲ ··· 13

연구 대상

A. ··· 13 연구 도구

B. ··· 14 일반적 특성

1. ··· 14 측정도구

2. ··· 15 조사 방법

C. ··· 15 연구기간 및 절차

D. ··· 15

(7)

- ii - 통계처리

E. ··· 17

연구 결과 .

Ⅳ ··· 1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발생 부위 및 종류

A. ··· 1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체 상해

1. ··· 18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체 상해

2. ··· 19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절 상해

3. ··· 20 일반적 특성에 따른 뼈 상해

4. ··· 2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육과 건의 상해

5. ··· 2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시기

B. ··· 2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계절

1. ··· 2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시기

2. ··· 2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시간

3. ··· 27 C. 상해 경험 후 예방에 대한 질적 연구 결과 ··· 31

상해 경험 후 재화

1. ··· 31 상해 경험 후 복귀 시 심리적 상태

2. ··· 32 상해예방을 위한 전략

3. ··· 33

논의 .

Ⅴ ··· 34

결론 .

Ⅵ ··· 36

참 고 문 헌 .

··· 38

설 문 지

··· 43
(8)

- iii -

표 목 차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13

표 2. 일반적 특성 ··· 14

표 3. 운동상해 ··· 14

표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체 상해발생 부위 ··· 18

표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체 상해발생 부위 ··· 19

표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절 상해 ··· 21

표 7. 일반적 특성에 따른 뼈 상해 ··· 22

표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육과 건 상해··· 23

표 9.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계절 ··· 25

표 1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시기··· 26

표 1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시간 ··· 27

표 1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원인 ··· 29

(9)

- iv -

ABSTRACT

The Research about cause of sport injury and treatment for Wrestler

Kim Hong-Bae

Advisor : Prof. Lee, Kyung-Ill, Ph.D.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prevention of wrestlers' sport injury. For this, 110 wrestlers who were registered to Korean Olympic Committee were selected, and they filled in the questionaries with self-administration method. Except 9 copies that had omission or were written insincerely, total 101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is study. Besides, to research wrestlers' awareness about injury prevention, qualitative case study was done on 6 college wrestlers.

For analysis of injury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Chi-square test was done.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limbs, lower limbs, occurring parts, seasons and time according to wrestlers' event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limbs, lower limbs, occurring parts, seasons and time according to wrestlers' events and experience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ther.

The group with short experienc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clear

(10)

- v -

weather, and in the group with long experiences showed high frequency in overcast weather. Therefore, the result that injury prevention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s was drawn.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limbs, lower limbs, occurring parts, seasons and time according to wrestlers' events and training hour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ther and days. When they trained over 5 hours in a clear weather, their physical strength and concentration were lowered, so they showed high injury frequeny.

Fourth, for the injury prevention methods that wrestlers aware, methods that can improve mental stability along with profess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should be devised. They thought hiring trainers and communication between coach and wrestler are important.

After all the above results, wrestlers need to change their awareness for injury prevention. Instructors also need to comprehend the causes of wrestlers' injuries, and then they should educate wrestlers to prevent injuries with scientific training. In follow up studies, in addition to specific research about injured body parts, detailed research on rehabilitation should be done.

(11)

- 1 -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1.

(12)

- 2 -

(13)

- 3 -

(14)

- 4 -

(15)

- 5 -

이론적 배경 .

운동상해의 개념

A.

(16)

- 6 -

운동 상해의 분류 및 원인

B.

(17)

- 7 -

(18)

- 8 -

(19)

- 9 -

레슬링의 특성

C.

(20)

- 10 -

(21)

- 11 -

(22)

- 12 -

(23)

- 13 -

연구방법 .

특성 구분 명 %

종목 자유형 70 70

그레코로만형 31 30

경력

년 년

5 -7 35 35

7-10 35 35

년 이상

10 31 30

소속 대학부 44 43

일반부 57 57

합계 101

표 1. 정량적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 14 -

구분 나이 경력

선수 A 20 7

선수 B 21 9

선수 C 21 10

선수 D 23 9

선수 E 21 9

선수 F 22 8

표 2. 정성적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도구

B.

(25)

- 15 -

연구방법 문항 내용 문항수

정량적 연구

개인 신상 및 일반적 특성 4개

스포츠 상해 특성 8개

스포츠 상해 계절 3개

정성적 연구

상해 경험 후 재활 1

상해 경험 후 복귀 시

심리적 상태 1

부상예방을 위한 전략 1

조사 방법 C.

연구기간 및 절차

D.

(26)

- 16 -

통계처리

E.

(27)

- 17 -

(28)

- 18 -

연구 결과 .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 상해 발생 부위는 <표 4>와 같다.

15 44 10 1 70

21.4% 62.9% 14.3% 1.4% 100.0%

4 13 5 9 31

12.9% 41.9% 16.1% 29.0% 100.0%

7 20 6 2 35

20.0% 57.1% 17.1% 5.7% 100.0%

8 20 4 3 35

22.9% 57.1% 11.4% 8.6% 100.0%

4 17 5 5 31

12.9% 54.8% 16.1% 16.1% 100.0%

10 25 5 4 44

22.7% 56.8% 11.4% 9.1% 100.0%

9 32 10 6 57

15.8% 56.1% 17.5% 10.5% 100.0%

19 57 15 10 101

18.8% 56.4% 14.9% 9.9%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 상해발생 부위

표 와 같이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상해 부위 중

< 4>

종목에 따른 차이는 x2=19.08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종목 모두 허리부상이 가장 많았고 자유형은 가슴과 배 순으로 나타난,

(29)

- 19 -

반면 그레꼬는 늑골의 부상이 많은 특징을 나타냈다 경력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허리의 부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 사되었다 소속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경력과 같이 허. , 리부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 상해 종류는 <표 5>와 같 다.

3 22 28 17 70

4.3% 31.4% 40.0% 24.3% 100.0%

1 15 8 7 31

3.2% 48.4% 25.8% 22.6% 100.0%

2 16 9 8 35

5.7% 45.7% 25.7% 22.9% 100.0%

1 11 14 9 35

2.9% 31.4% 40.0% 25.7% 100.0%

1 10 13 7 31

3.2% 32.3% 41.9% 22.6% 100.0%

1 21 12 10 44

2.3% 47.7% 27.3% 22.7% 100.0%

3 16 24 14 57

5.3% 28.1% 42.1% 24.6% 100.0%

4 37 36 24 101

4.0% 36.6% 35.6% 23.8%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 상해 종류

표 와 같이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상해 종류에

< 5>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종목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유형, 은 타박과 좌상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레꼬는 좌상과 타박순으로 나타난

(30)

- 20 - 다른 특성으로 보였다.

경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5년 이상에서는 좌상이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7년이상과 10년 이상에는 타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소속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학부에서는 좌상이 가장 높은 것에 반해 일반부에서는 타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 냈다 전체적으로 좌상이. 36.6%로 가장 많았으며 타박, (35.6%), 근

육경 직 (23.8%) 순으로 나타났다 .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 상해 부위는 <표 6>와 같 다.

18 18 34 0 70

25.7% 25.7% 48.6% .0% 100.0%

7 8 15 1 31

22.6% 25.8% 48.4% 3.2% 100.0%

9 10 16 0 35

25.7% 28.6% 45.7% .0% 100.0%

7 9 19 0 35

20.0% 25.7% 54.3% .0% 100.0%

9 7 14 1 31

29.0% 22.6% 45.2% 3.2% 100.0%

11 10 22 1 44

25.0% 22.7% 50.0% 2.3% 100.0%

14 16 27 0 57

24.6% 28.1% 47.4% .0% 100.0%

25 26 49 1 101

24.8% 25.7% 48.5% 1.0%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 상해 부위

(31)

- 21 -

표 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 상해 부위 차이는 종목과 경

< 6>

력 소속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 종목 모두 손가락 팔꿈치 어깨순으로 나타났고 경력에서도 손가락 팔, , , , 꿈치 어깨순으로 나타났다 소속에서는 대학부에 경우 팔꿈치보다 어깨, . 손상 빈도가 높았으며 일반부에서는 팔꿈치 손상 빈도가 높은 특징을 보 였다 전체적으로 손가락이. 48.5%로 가장 많았으며 팔꿈치, (25.7%), 어깨

순으로 나타났다

(24.8%) .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 상해 종류는 <표 7>와 같 다.

11 6 20 25 8 70

15.7% 8.6% 28.6% 35.7% 11.4% 100.0%

3 2 11 11 4 31

9.7% 6.5% 35.5% 35.5% 12.9% 100.0%

5 1 11 12 6 35

14.3% 2.9% 31.4% 34.3% 17.1% 100.0%

7 6 12 8 2 35

20.0% 17.1% 34.3% 22.9% 5.7% 100.0%

2 1 8 16 4 31

6.5% 3.2% 25.8% 51.6% 12.9% 100.0%

7 2 14 15 6 44

15.9% 4.5% 31.8% 34.1% 13.6% 100.0%

7 6 17 21 6 57

12.3% 10.5% 29.8% 36.8% 10.5% 100.0%

14 8 31 36 12 101

13.9% 7.9% 30.7% 35.6% 11.9%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 상해 종류

(32)

- 22 -

표 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 상해 종류를 살펴보면 종목에서

< 7>

자유형은 인대손상 타박 골절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레꼬에서는 타박과, , , 인대손상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관절염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경력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x2=14.137), 5년 이상과 10년 이상에는 인대손상이 높은 반면 7년 이상에서는 타박의 손상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차이에서는 타박과 인대손상이 높은 비율. 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인대손상이. 35.6%로 가장 많았으며 타박, (30.7%), 골절

(13.9%) 순으로 나타났다 .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 상해 부위는 <표 8>와 같 다.

(33)

- 23 -

8 3 22 2 35 70

11.4% 4.3% 31.4% 2.9% 50.0% 100.0%

3 4 13 2 9 31

9.7% 12.9% 41.9% 6.5% 29.0% 100.0%

3 2 10 1 19 35

8.6% 5.7% 28.6% 2.9% 54.3% 100.0%

4 4 14 0 13 35

11.4% 11.4% 40.0% .0% 37.1% 100.0%

4 1 11 3 12 31

12.9% 3.2% 35.5% 9.7% 38.7% 100.0%

4 1 16 3 20 44

9.1% 2.3% 36.4% 6.8% 45.5% 100.0%

7 6 19 1 24 57

12.3% 10.5% 33.3% 1.8% 42.1% 100.0%

11 7 35 4 44 101

10.9% 6.9% 34.7% 4.0% 43.6%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 상해 부위

표 과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 상해부위를 살펴보면 종목에서

< 8>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유형은 발목 무릎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레꼬는 무릎 발목 순으로 나타났다, . 경력에서는 통계적 유의차 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5년 이상에서는 발목 및 발가락이 높은 빈도를 나 타낸 반면 7년 이상에서는 무릎과 발목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10년 이상에서도 무릎과 발목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소속에 따른 차이에서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고 발목 허 , ,

리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발목이 . 43.6% 로 가장 많았으며 ,

무릎 (34.7%), 대퇴부 (10.9%) 순으로 나타났다 .

(34)

- 24 -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 상해 종류는 <표 9>와 같 다.

7 5 29 13 16 70

10.0% 7.1% 41.4% 18.6% 22.9% 100.0%

3 1 12 3 12 31

9.7% 3.2% 38.7% 9.7% 38.7% 100.0%

5 2 8 6 14 35

14.3% 5.7% 22.9% 17.1% 40.0% 100.0%

2 1 18 5 9 35

5.7% 2.9% 51.4% 14.3% 25.7% 100.0%

3 3 15 5 5 31

9.7% 9.7% 48.4% 16.1% 16.1% 100.0%

4 0 23 6 11 44

9.1% .0% 52.3% 13.6% 25.0% 100.0%

6 6 18 10 17 57

10.5% 10.5% 31.6% 17.5% 29.8% 100.0%

10 6 41 16 28 101

9.9% 5.9% 40.6% 15.8% 27.7%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 상해 종류

표 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지 상해종류를 살펴보면 종목에서

< 9>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타박 관절염 인대손상 순, , 으로 나타났다 경력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5년 이상 에서는 관절염이 높은 빈도를 나타낸 반면 7년 이상과 10년 이상에서는 타박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소속에 따른 차이에서도 통계적 유의차

는 보이지 않았고 타박 관절염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타박 , , .

이 40.6% 로 가장 많았으며 관절염 , (27.7%), 인대손상 (15.8%) 순으

(35)

- 25 -

로 나타났다.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시기는 <표 10>과 같 다.

47 14 9 70

67.1% 20.0% 12.9% 100.0%

15 6 10 31

48.4% 19.4% 32.3% 100.0%

20 10 5 35

57.1% 28.6% 14.3% 100.0%

21 5 9 35

60.0% 14.3% 25.7% 100.0%

21 5 5 31

67.7% 16.1% 16.1% 100.0%

26 11 7 44

59.1% 25.0% 15.9% 100.0%

36 9 12 57

63.2% 15.8% 21.1% 100.0%

62 20 19 101

61.4% 19.8% 18.8%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발생 시기

표 과 같이 종목에 따른 운동 상해 발생 시기는 통계적으로 유의

< 10>

(36)

- 26 -

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종목 모두 훈련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시합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도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고. 가지 경력 모두 훈련 중 상해발생 빈도가 높았다 소속에서는 통계적 유

3 .

의차는 없었지만 대학부는 시합 중 발생빈도가 높은 반면 일반부에서는, 보강훈련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훈련 중 발생빈도가 높. 았으며(61.4%), 시합 중(19.8%), 보강훈련(18.8%)순으로 나타났다.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시간은 <표 11>와 같 다.

24 12 16 18 70

34.3% 17.1% 22.9% 25.7% 100.0%

4 7 9 11 31

12.9% 22.6% 29.0% 35.5% 100.0%

7 6 11 11 35

20.0% 17.1% 31.4% 31.4% 100.0%

10 7 6 12 35

28.6% 20.0% 17.1% 34.3% 100.0%

11 6 8 6 31

35.5% 19.4% 25.8% 19.4% 100.0%

12 10 13 9 44

27.3% 22.7% 29.5% 20.5% 100.0%

16 9 12 20 57

28.1% 15.8% 21.1% 35.1% 100.0%

28 19 25 29 101

27.7% 18.8% 24.8% 28.7%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발생 시간

(37)

- 27 -

표 과 같이 종목에 따른 운동 상해 발생 시기는 통계적으로 유의

< 11>

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유형은 새벽시간에 발생 빈도가 높은 반면 그레, , 꼬에서는 야간훈련 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 이에서도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5년 이상에서는 오후와 야간훈련에 발생빈도가 높은 반면, 7년 이상에서는 야간훈련이 발생빈도가 높았고, 년 이상에서는 새벽훈련 시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다 소속에서는 통계

10 .

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대학부는 오후훈련과 새벽훈련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인 반면 일반부에서는 야간훈련과 새벽훈련에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야간훈련과 새벽훈련 중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 오후훈련 오전훈련 순으로 나타났다, .

(38)

- 28 -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 발생 계절은 <표 12>와 같 다.

27 6 15 22 70

38.6% 8.6% 21.4% 31.4% 100.0%

9 9 3 10 31

29.0% 29.0% 9.7% 32.3% 100.0%

10 7 6 12 35

28.6% 20.0% 17.1% 34.3% 100.0%

14 5 6 10 35

40.0% 14.3% 17.1% 28.6% 100.0%

12 3 6 10 31

38.7% 9.7% 19.4% 32.3% 100.0%

16 6 10 12 44

36.4% 13.6% 22.7% 27.3% 100.0%

20 9 8 20 57

35.1% 15.8% 14.0% 35.1% 100.0%

36 15 18 32 101

35.6% 14.9% 17.8% 31.7% 100.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해발생 계절

표 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다른 상해발생 계절에서 종목에 따른

< 12>

차이를 보였으며 자유형은 겨울과 봄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그레꼬, 에서는 봄 여름 겨울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경력에서 통계적 유의차, , . 는 보이지 않았지만 5년 이상에서는 겨울에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7년 이상에서는 봄에 손상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차이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대학부와 일반부 모두 봄과 겨울에 손 상빈도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봄과 겨울에 손상빈도가 높았으며 가을 여. ,

(39)

- 29 - 름 순으로 나타났다.

(40)

- 30 -

(41)

- 31 -

(42)

- 32 -

(43)

- 33 -

(44)

- 34 -

논의 .

레슬링은 오랜 역사를 가진 투기 종목으로 특별한 도구 없이 강력한 바 디체크를 통해 득점을 얻는 경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수들의 크고 작은. 부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모든 운동선수들에게 공통된 사항. 이지만 레슬링 선수들 또한 장기적인 선수생활을 위해서는 평소 몸관리를 통한 부상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슬. 링 선수들의 상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101명을 선수 들을 대상으로 상해실태를 알아보고 대학 선수 6명을 대상으로 재활에 대한 질적 연구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레슬링 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을 종목 소속 경력으로 분류하여 상해실태, , 를 알아보았다 경력에 따른 상해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 장점은 경. , 력이 높을수록 훈련 및 경기 노하우가 있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것 이다 이에 비해 단점은 상대적으로 잦은 부상에 시달렸을 것이며 연령. , 에 따른 신체적 변화로 인해 부상 위험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경력에 따른 상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경력과 상해. 당시 날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경력이 짧은 6~10년에서는 맑은 날씨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45)

- 35 -

반면에 경력이 많을수록 흐림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 뤄볼 때 경력에 따른 상해 예방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맑은 날씨에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을 경력이 짧은 선수들의 경, 우 컨디션 보다는 다른 요인이 상해 요인을 높인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경력이 높은 집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훈련 노하우 등으로 인해 날씨 차이관련 없이 상해 예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선수경력별 운동 상해 요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경, 력이 짧은 경우 후반부인 목요일 금요일에 집중된 반면 경력이 많을 수, , 록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뤄볼 때 경력이 짧은 선수. 들이 누적 훈련량이 증가하는 후반부에 피로 등의 원인으로 상해를 입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경력이 높을수록 훈련에 대한 노하우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력이 많은 선수들의 관리방법을 공유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운동상해가 발생하는 원인은 방법의 오류에서 상해를 많이 입게 되는데 이것은 급한 자기 성과를 요구하거나 승부에 집착하여 운동량을 빨리 증 가시키거나 운동강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식의 잘못된 훈련방법의 변화 로 발생한다 백혜진( , 2005). 운동형태와 목적에 따른 상해 원인을 조사한 본 연구에서 또한 본인 부주의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피로 24.4%순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철준 김덕환 허복렬. , , (1988)의 연구와도 유사하며 본인의 근력 약화 유연성 부족 등에 의해 상해가 발생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운동상해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본인의 주.

(46)

- 36 -

의가 요구되며 급한 자기 성과 등의 잘못된 인식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 하다 또한 운동 초기 지도자들은 단기간의 운동효과를 보기보다 장기간. 의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지도한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7)

- 37 -

결론 .

본 연구는 레슬링 선수들의 운동 상해 특성과 예방에 관한 내용을 조사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110명 을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 (Self-Administration)으로 설문지를 작성하 게 하였고 기입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 총, 9부를 제외 한 총 101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선수들의 상해예방. 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대학팀 선수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 구를 실시하였다 상해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 하여 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레슬링 선수들의 종목에 따른 상지 하지 발생부위 계절 시간의, , , , ,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둘째 레슬링 선수들의 종목에 경력에 따른 상지 하지 발생부위 요일, , , , , 계절 시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날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 , 경력이 짧은 그룹이 맑은 날씨에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높은 경력 에서는 흐림에서 많은 빈도를 보였다 따라서 경력에 따른 상해 예방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레슬링 선수들의 종목에 훈련시간에 따른 상지 하지 발생부위 계, , , , 절 시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날씨와 요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 였으며 맑은 날씨에서, 5시간 이상의 훈련 스케쥴을 소화했을 때 선수들 의 체력적인 부분이나 집중력 등이 저하되어 상해빈도가 높았다.

넷째 레슬링선수들이 인식하는 상해예방법은 전문 재활 트레이닝과 함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트레이너 고용과

(48)

- 38 -

감독과 선수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해 볼 때 레슬링 선수들의 상해예방을 위한 인식 변 화가 필요하며 지도자들 또한 선수들의 상해 원인 등의 내용을 파악하여, 상해를 예방 할 수 있는 교육 및 과학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상해부위 등의 구체적인 연구와 더불어 재활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9)

- 39 -

참 고 문 헌

강정식(1990). 陸上 競技選手의 傷害에 관한 調査 硏究 . 국민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훈(2001). 국가대표 축구선수와 대학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연 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경숙(2004). 중 고교 핸드볼 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목포· .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영인(1989). 체조선수의 상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구 한두석, (1996). 스포츠 상해 및 처치 원광대학교 출판국. .

김동민(1990). 철봉운동 Endo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 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선필. . (2004). 육상 경기 선수의 운동 상해 에 관한 고찰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선필(2004). 육상 경기 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고찰 건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익(1992). 핸드볼 선수들의 상해요인에 관한 요인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원겸(2011). 핸드볼 선수의 운동상해와 예방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현철(2008). 수영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류원용(2001).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성민(2006). 체조선수들의 운동 상해 요인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 40 -

박선영(2012). 체조선수들의 종목별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성배(2005). 웨이트 트레이닝 시 여성 참가자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 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박쌍수(1997). 운동종목별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호(1991). 체조선수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지용(2012). 실업팀 기계체조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실태분석 전. 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철희(2008). 남자체조선수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목포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혜진(2005).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서준호(2002). 육상선수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홍열(2001). 검도선수의 상해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 위논문.

양승표(2002).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상해의 원인분석 및 실태조사 경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성순(2002). 초 중학교 기계체조 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한· . 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위승두(1993). 서로 다른 입장엣 본 스포츠 손상 스포츠 의학회지 제, 10 회 하계 심포지움,

위승두(2002). 운동생리학 대한미디어 서울. .

위진우(1996). 유도선수의 스포츠 상해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 41 -

유승희(1987). 운동상해 및 구급법. 한국체육대학교 경기지도자 연구원 연수교재.

유지윤(2004). 중 고등학생 체조 선수들의 상해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세(2007). 초 중 고 대 일반· · · ( ) 체조선수들의 운동경력과 성별에 따른 운동상해와 응급처치 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민범(2002). 육상선수의 종목별 상해 실태와 처치 및 보강에 관한 연 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민우(2011). 체조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영숙(1997). 육상선수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 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원복(2004). 배드민턴 선수의 운동상해 유형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영순(2003). 중 고등학교 여자체조 선수의 운동경력 및 입상 경력과 운‧ 동 상해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정권(2009). 전국 체육 중 고등학교 투척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

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지성(1996). 국내 우수선수의 상해에 관한 연구 : 1996년 국가대표선 발대회 출전선수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재영(2005). 체조선수들의 운동경력과 성별에 따른 운동 상해와 응급처

치 실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영미(2008). 중 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운동 상해와 체력요인 분석 부산․ .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진우(1996). 스포츠 물리치료학 서울. : 대학서림.

정하나(2004). 중 고등학교 기계체조 선수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호᠂ .

(52)

- 42 - 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현석(1995). 배드민턴 선수들의 상해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 . 사학위 논문.

정성훈(2005). 피크니스센터 운동 참가자의 상해 조사 연구 부산외국어.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성찬(2012). 사이클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운동만족 및 운동 몰입 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주광성(2011). 고등부 일반부 남자체조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연· 구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진준수(2009). 태권도 선수의 운동상해 예방과 응급처치 만족에 관한 연 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춘길(1992). 운동상해의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권익(1989). 스포츠 외상의 예방 대한스포츠학회지. , 7(2), p17.

Kerr. G, & Minden, H.(1988).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thletic inur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chology. Pschology. 10.

Shepard, H. S. & Rolnid. A.(1984). Sports injuries at a non scholarship university. Phys. Sports. Med. 12(7), 55-63.

(53)

- 43 -

부록

< >

(54)

- 44 -

(55)

- 45 - 종목

1. :

자유형 그레고로만형

① ②

소 속 2. ?

대학교 일반부

① ②

나 이 3. ?

세 운동경력 약

4. ? 년 개월

Gambar

표 1. 정량적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2. 정성적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 상해발생 부위
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몸통 상해 종류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