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지역사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
김동훈1
⋅
심규원2⋅
권헌교2⋅
한상열1*1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2국립공원연구원
How Does the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Benefit the Community?
Dong-Hoon Kim
1, Kyu-Won Sim
2, Heon-Gyo Kwon
2, Sang-Yoel Han
1*1School of Forest Scien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2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6441, Korea
요약: 본 연구는 철저하게 지역사회 측면에서 멸종위기종 여우 복원사업이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이 복원사업의 최종 목표라 고 할 수 있는 생물종다양성 증진과 국가생태축 회복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원 사업 대상지 인근 지역주민들과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멸종위기종 보호 교육 및 홍보와 같은 전제 요건이 복원사업 목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적인 경로로는 복원사업의 전제 요건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역경제 효과는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이 복원사업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러한 결과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 단순히 생물학적인 복원의 의미를 넘어, 지역으로 유입되는 관광객 증가와 함께 지역에서 생산되 는 농산물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등 지역경제와 지역의 인지도 및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여우, 구조방정식모형, 소백산국립공원
Abstract: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d how the endangered fox restoration project affects the community, and how much this ef- fect contributes to improving of biodiversity and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ecological axis, which is the final goal of the restoration proj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rerequisites such as education and promotion for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 directly affect the restoration project goal. In addition, as an indirect route, the prerequisites for the restoration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ocal economy, an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 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community development contributed to achieving the goal of the restoration proj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 ment of the local community by improving the local economy and local awareness and social valu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ourists.
Key words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Fox,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obaeksan National Park
서론
현재 국립공원공단에서는 환경부의 ‘멸종위기 야생생 물 보전 종합계획(2018~2017)’에 따라 2002년 지리산 반 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시작으로 2006년 산양복원사업 추 진에 이어, 지금은 소백산국립공원에서 여우복원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8). 그동안
복원 개체의 도입, 부적응 개체의 사후관리, 자연 방사 후 탐방객 안전관리 및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에 이르 기까지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그동안 축적된 노 하우와 국내⋅외 학술 활동 그리고 대국민 홍보활동 등 의 노력에 따라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복원사업으로 평 가받고 있다.
여우 복원사업은 백두대간의 중심인 소백산 권역에서
Received 24 May 2022; Revised 02 June 2022; Accepted 10 June 2022
*Corresponding to 한상열(Sang-Yoel Han) E-mail. [email protected]
시작되는 복원사업이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 는 생태계 상위포식자인 육식동물의 복원이라는데 의미 가 있다. 이는 단지 여우라는 한 종의 복원을 넘어 장기 적으로 백두대간 생태축의 건강성 회복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전설과 설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여우가 아닌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소중한 자원이자 인간과 공 존할 수 있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라 평가할 수 있다.
여우는 생태적 특성상 민가와 농작지 주변에서 활동하 는 포유류로 올무와 창애에 피해를 입을 확률이 높다. 실
제로
2012년 방사 이후 3개체가
불법 엽구로 인해 폐사하였으며, 7개체는 다리 절단 등의 이유로 회수된 바 있다.
야생동물에게 서식지는 먹이 활동, 교미, 출산, 양육 등 생활사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멸종위 기종 복원에 있어서 서식지 안정화는 일차적으로 고려 되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야생동물 종복원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Jeong, 2012).
일례로,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대상지 지역주민에 대 한 설문조사 결과 종복원사업에 찬성하는 의견이 반대 의 견보다 2배 이상 많았으나, 복원사업으로 인해 피해를 입 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는 반대 의견이 찬 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민과의 이 해와 협조가 종복원 사업에 있어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 치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Jeong, 2012). 여우의 경우에 는 행동 특성상 산림 저지대 및 가장자리를 선호하는 특 징에 따라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과의 협력, 그 리고 방사 대상지에 대한 서식지 관리를 위한 유관기관 과의 공동 노력 등은 성공적인 여우복원사업에 필수적 인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조를 필요로 하는 것과 는 반대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 지역사회에 어떤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 또한 복원사 업 추진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목한 점은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을 통하여 국가 생태축 회복과 생물다양성 증진이라는 목표 달성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들을 지역사회 관점 에서 규명하고, 더 나아가 이들 요인들이 어떤 인과관계
로 연관되어 있는가를 과학적이고 계량적으로 규명하고 자 하였다. 결정요인으로는 사업의 추진과정 상 예상되는 전제 요건들의 충족, 복원사업에 따른 지역경제 및 지역 사회의 발전 등 다양한 속성들의 상호 관계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직접적인 개별 변인들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이들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구조적 관계를 검증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여우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소백산 인근 마을주민과 영주시민을 대상으로 다양 한 결정요인들이 사업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입체적인 측면 에서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
eling, SEM)을 이용하여 잠재변수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
였다. 또한 잠재변수 간의 경로계수 검정을 통하여 효과 검정(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도 함께 실시하였다.연구방법
1. 연구모형
여우복원사업이 지역주민의 협력, 복원대상지 서식지 관리를 위한 지역 유관기관과의 공동 노력 등이 성공적인 여우복원사업에 필수적인 과제라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 다. 그렇다면 지역사회 입장에서
“우리 지역에
멸종위기 종 복원사업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근본적 물음부터 출발하여 복원사업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Kimet al.(2009)
은 멸종위기종 복원을 포함한 자연생태계 복원의 광의적 의미는 지역의 물리적 복원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 소가 연계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복원하는 활동까 지를 내포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지금까지 실행되어 온 복원 활동은 기술공학적 접근에 치우쳐 복원 과정에 지 역주민들의 참여가 부족하고 전문가와 사업주체자가 주 도하는 복원이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 히, 복원대상지 지역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아 낮은 수준의 복원 목표에 한정되 거나 일시적인 복원으로 인한2차적 문제에 직면해왔다
는 것이다.따라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복원서식지 인근 지역 주민들의 협조와 함께, 서식지를 방문하는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 홍보와 이들의 지지는 필수적으로 전 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지역주민 입장에서 복원사업의 직접적 혜택은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소득증대, 일자 리 창출 등 일차적인 효과에 관심이 클 수밖에 없다. 이 를 바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복원사업의 홍보를 통 한 지역 이미지 향상 등 지역사회 발전을 꾀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여우복원사업 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들을 실증적인 구조 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성공요건, 경제적 효과, 지역사회 발전 등 관련 변인 간의 연관성(인과관계) 을 규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최종적으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핵심 목표인 국가 생태축 회복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 관계로 파악 하여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복원사업이 달성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은 (Fig. 1)과 같다.
2. 연구자료
연구자료는 2020년 9월 초순부터 중순까지 여우복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영주시에 거주하는 일반 시민
100명과 직접적 이해관계에 있는 사업 대상지 인근 지
역주민 109명 등 총 209명을 대상으로 현지 대면 설문조사(on-site interview survey)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 다. 설문조사는 크게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 다. 첫째, 지역주민의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 한 질문들이었으며, 둘째, 여우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 민의 인식에 관한 질문으로 복원사업의 인지도, 주민 및 지역기관의 사업협력 의향, 거주지 주변 여우 서식에 대 한 의견, 여우에 대한 이미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도구화된 설문을 통해 복원사업의 전제 요건 요인 2문항
(멸종위기종 보존에 관한 지역주민 교육,
국립공원 탐방객 대상 캠페인), 지역경제 효과 요인 5문항(지역방문객 증가, 일자리 증가, 여우관련 상품 개발, 지역농산물 신 뢰성 증대, 여우관련 행사), 지역사회 발전 요인 3문항
(지역 인지도 향상,
지역사회 가치 상승, 지역경제 향상),그리고 마지막으로 복원사업의 최종 목표 요인 2문항(국 가 생태축 회복,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 등 총 12문항으 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자 평가는 5점-Likert 형 척도(전혀 동의하지 않음
1점,
보통3점,
매우 동의5점)로 제시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멸종위기종 여 우 복원사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경로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을 결합한 통계 방 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잠재변수(latent variable)를 분석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조적 관계 분석은 앞에서 제시한 4개의 정의적 영역을 구분하여 진행하였 는데, 복원사업의 성공 전제 요건, 지역경제 효과, 지역 사회 발전, 복원사업의 목표라는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 였으며, 성공 전제 요건, 지역경제 효과, 지역사회 발전 영역 간 인과관계 규명과 함께, 최종적으로 이들
3개 영
역이 복원사업 목표 영역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를 직⋅간접 경로를 통하여 계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분 석 도구로는SPSS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Fig. 1. The Frame of the Structural Model
4. 표본 특성
응답자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
106명(50.7%),
여성
103명(49.3%)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는 총 7개 구간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 연령층에서 골고루 응
답하였으며
50대와 60대가 38.3%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학력 수준은 대학교 졸업이38.3%,
고등학교 졸업이35.9%로 나타났으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200만 원대
가
21.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연구결과
1. 여우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조사
소백산국립공원 지역에서 여우복원사업이 추진되고 있 음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62.2%로 나타났다.
여우 복원사업이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는 89.5%가 동의하고 있었으며, 여우 보호활동에 참여 의 사가 있다는 응답자는72.2%로 나타났다.
영주시와의 협 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90.0%로 나
타났으며, 응답자 거주지 주변에 여우가 서식하는 것에 대하여 좋다는 응답자는 75.6%로, 싫다는 응답자보다 약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우의 이미지에 대한 의견(복수응답 가능)에서는
‘재치있음’ 19.0%, ‘약삭빠름’
18.4%, ‘총명함’ 14.0%, ‘교활함’ 12.2%
순으로 나타나, 긍정과 부정적인 이미지들이 혼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2).2. 측정변수들의 기술통계량과 내용타당도 검정
여우복원사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Variables Class N %
Residence Yeongju City 100 47.8
a village near project* 109 52.2
Gender Male 106 50.7
Female 103 49.3
Age
10s’ 15 7.2
20s’ 28 13.4
30s’ 29 13.9
40s’ 31 14.8
50s’ 39 18.7
60s’ 41 19.6
over 70s’ 26 12.4
Education
under middle school graduates 42 20.1
high school graduate 75 35.9
a college graduate 80 38.3
graduate school 6 2.9
no answer 6 2.9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8 13.4
1 million won 35 16.7
2 million won 44 21.1
3 million won 38 18.2
4 million won 31 14.8
more than 5 million won 33 15.8
* Residents of villages adjacent to Dansan-myeon,
Bonghyeon-myeon, Sunheung-myeon, Anjeong-myeon, Punggi-eup, and Sobaeksan Mountain
Table 1. Respondent Characteristics
Variables Class N % Variables Class N %
Recognition of the Project yes 130 62.2
An Image of a Fox (Multiple Responses available)
sneaky 42 12.2
no 79 37.8 witty 65 19.0
Consent to the Project agreement 187 89.5 crafty 32 9.3
opposition 22 10.5 intelligent 48 14.0
Participation in Protection Activities
agreement 151 72.2 voluptuous 30 8.7
opposition 58 27.8 experienced 23 6.7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necessity 188 90.0 shrewd 63 18.4
unnecessary 21 10.0 nine-tailed fox 36 10.5
Living Near one's Residence agreement 158 75.6 awesome 2 0.6
opposition 51 24.4 cute 2 0.6
Table 2. Respondent Perception of Fox Restoration Project
12개 측정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3)과
같다.모든 측정변수의 평균 점수 범위는 최하 3.48점(지역방 문객 증가)에서 최고 4.11점(국가생태축의 복원)으로 나 타났다(Table 3).
잠재변수들의 각각의 개념에 대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정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측정변수의 표준화 계수(Beta)인 Item-Content Validity Index(CVI) 값 이 .8 이상을 충족해야 하는데, 모든 측정변수들에서 이 를 충족하였다(Table 4).3. 구조방정식 모형 결과
복원사업의 전제요건, 경제적 효과, 지역사회 발전 요 인들 상호 간 미치는 영향과 이들 요인들과 복원사업의 최종 목표 요인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 정식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여 기서 제시된 수치는 최종적인 측정모형의 표준화된 경 로계수이다.최종모형의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 χ2
,
χ2/df,
평균제 곱잔차 이중근(Root Mean square Residual, RMR), 근사 오차 평균제곱의 이중근(Root Means Square Error ofApproximation, RMSEA),
기초적합지수(Goodness of FitIndex, GFI),
수정적합지수(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AGFI),
증분적합지수인 표준적합지수(Normed Fit Index,NFI),
비교적합도지수(Comparative Fit Index, CFI), 터 커-루이스 지수(Tucker- Lewis Index, TLI)로 구하였으 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일반적으로RMSEA
값 은 표본의 크기가 큰 경우 기각될 수 있는 값의 한계를Latent Variables Measurement Variables Coefficients
S.E. C.R.
B Beta
Success Conditions (SUCC)
S1.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Education 1.000 .894 - -
S2. Campaign for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 .898 .834 .062 14.463***
Economic Effect (ECON)
E1. Increasing Visitors to the Local Area 1.000 .819 - -
E2. Job Creation 1.014 .866 .066 15.300***
E3. Development of Various Fox-related Products 1.025 .852 .069 14.910***
E4. Increased Confidence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1.035 .890 .065 15.966***
E5. More Fox-related Events (festival, etc.) .967 .858 .064 15.075***
Community Development (COMM)
C1. A Rise in Community Awareness 1.000 .880 - -
C2 Community Development and Value Increase 1.079 .950 .051 21.122***
C3. The Help of the Local Economy 1.037 .887 .056 18.421***
Final Goal (GOAL)
G1. Restoration of the National Ecological Axis 1.000 .915 - -
G2. Conservation of National Park Ecosystem .989 .901 .057 17.483***
*** p<.001
Table 4. Influence of Latent and Measurement Variables Latent Variables Measurement Variables Mean Std.
Success Conditions (SUCC)
S1.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Education 3.92 .811 S2. Campaign for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 3.98 .781
Economic Effect (ECON)
E1. Increasing Visitors to the
Local Area 3.48 .966
E2. Job Creation 3.81 .926 E3. Development of Various
Fox-related Products 3.67 .952 E4. Increased Confidence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3.79 .920 E5. More Fox-related Events
(festival, etc.) 3.87 .892
Community Development (COMM)
C1. A Rise in Community
Awareness 3.75 .880
C2 Community Development
and Value Increase 3.79 .879 C3. The Help of the Local
Economy 3.72 .905
Final Goal (GOAL)
G1. Restoration of the
National Ecological Axis 4.07 .838 G2. Conservation of National
Park Ecosystem 4.11 .841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Measurement Variables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적합지수로 0에 가까울수록 좋 은 모형으로
.08
이하인 경우 수용할 만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RMR의 경우에도.05
이하일 경우 양호한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Songet al, 2011).
본 연구의 최종모형에서는 모든 통계적 검정치를 충 족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과 기초모델의 비교를 통해 모델의 간명도를 살펴보기 위한
TLI(Tucker-Lewis
Index)에서 .90보다 높은 경우에 모형을 수용할 수 있으
며, CFI 역시
.90
이상이면 좋은 적합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데, 최종모형에서는 모두 검정치를 충족하여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최종 구조방정식모형의 비표준화 경로계수와 표준화 경로계수 추정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전제 요건 요인 이 최종 목표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549이며,
경제적 효과 요인에 미치는 표준화 계수는.802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제적 효과 요인이 지역사회 발전 요인에 미치는 표준화 계수는
.811로 나타났으
며, 지역사회 발전 요인이 복원사업 최종 목표 요인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344로 나타났다.
한편,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구조방정식모형의 추정 치에 대한 대략적인 통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각한계 비(Critical Ratio: C.R.)를 근거로 확인되는데, 모든 경로Final Model
χ2 df χ2/df RMR RMSEA GFI AGFI NFI CFI TLI
139.39
(p=.000) 50 2.788 .031 .093 .905 .851 .942 .962 .950
Table 5. Goodness-of-fit Measures for the Final Model
Path Coefficients
S.E. C.R.
B Beta
SUCC → GOAL .576 .549 .083 6.950***
SUCC → ECON .876 .802 .079 11.156***
ECON → COMM .793 .811 .066 11.991***
COMM → GOAL .338 .344 .072 4.709***
*** p<.001
Table 6. Path Factor for Community Impact of Fox Restoration Project
Fig. 2. Standardized Pathway Factor for Community Impact of Fox Restoration Project
에서
p<0.001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4. 매개효과 검증
매개효과 분석에는 Sobel Test와 Aroian Test, Bootstrapping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 표 본 추출을 통하여 표준오차를 구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
되는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직⋅간접효과와 총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Han, 2022). 그 결과 는
(Table 7)과
같다.전제 요건 요인부터 시작하여 여러 요인들을 거쳐 최종 목표까지 이르는 표준화된 총효과는 .773으로 통계적 유 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효과의 경로를 살펴보면, 전제 요건 요인에서 최종 목표 요인까지 표준화된 효과는 .549로 통계적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의 경로를 살펴보면, 전제조건 요인에서 경제적 효 과, 그리고 지역사회 발전 요인을 경유하여 최종 목표 요인까지의 표준화된 간접효과는 .224로 통계적 유의수
준
.01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및 고찰
멸종위기종 복원은 해당 종과 관련된 생태계 전체의 건강성과 자연성을 회복시킨다. 또한 생태계 간의 생태 적 연결망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이 러한 논리를 근거로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종의 체계적 이고 계획적인 증식과 복원을 통해 한반도 생물종다양
성을 제고하고, 생태계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복원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그리고 광릉요광꽃 등 식물 복원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에서 발표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 획(2018~2027)’에 따르면,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2027 년까지 멸종위기종267종 중 64종을 복원대상종으로 선
정하고, 이중 25종을 우선 복원 대상종으로 지정하고 있 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8). 가장 주목해야 할 점 은 지금까지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개체 증식 및 복원 위주로 진행되었으나, 앞으로는 해당 종의 서식지 공간 확대 및 보전 기능 회복이라는 서식지 보전정책으로 전 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서식환경에 따라 먹이식물의 식 재, 동면 및 은신처 제공 등 섭식과 활동 여건을 개선하 고, 병⋅충해, 토사, 오염물질, 인간간섭 등을 제거하고, 주요 서식지 내 올무와 같은 포획도구를 제거하고 밀렵 감시를 강화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한편, 서식지 관리 중심으로의 전환은 지역사회와 야생 생물이 공존할 수 있도록 지역 단위에서 서식지 보호, 복원에 따른 지역주민의 피해 보상, 주민 안전을 위한 자 발적 활동 등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이 해와 적극적인 협조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철저하게 지역사회 측면에서 멸종위기종 여 우 복원사업이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 이 복원사업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생물종다양성 증진과 국가생태축 회복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원사업 대상지 인근 지역주민들과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멸종위기종 보호 교육 및 홍보와 같은 전제 요건이 복원 사업 목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간접적인 경로로는 복원사업의 전제 요건이 지 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역경제 효 과는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이 복원사업 목표 달 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 단순히 생물학 적인 복원의 의미를 넘어, 지역으로 유입되는 관광객 증 가와 함께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신뢰를 향상시키 는 등 지역경제와 지역의 인지도 및 사회적 가치를 향상
Effects Path B Beta S.E. p-value
Total
Effects SUCC → GOAL .811 .773 .085 **
Direct
Effects SUCC → GOAL .576 .549 .129 ***
Indirect
Effects SUCC → ECON → COMM →
GOAL .235 .224 .079 **
**p<.01, ***p<.001
Table 7.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Latent Variables
시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 서 지금까지의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 서식지 공간 위 주의 생물공학적 접근에서 범위를 확대하여, 복원대상 지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지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