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중국의 에너지 및 전력수급 구조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미・중국의 에너지 및 전력수급 구조 변화"

Copied!
15
0
0

Teks penuh

(1)

미 ・ 중국의 에너지 및 전력수급 구조 변화

해외정보분석실 선임연구위원 양의석([email protected]), 전문연구원 김아름([email protected])

국제 에너지시장 환경변화 요인(셰일 혁명, 후쿠시마 원전사고, UN기후변화협약 등)으로 지난 수년간 세계 주요국들의 에너지수급 구조가 변화하고 있음. 2005년 이후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는 석탄 및 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 풍력, 지열, 바이오 등) 역할 증대와 석유 의존도 감축 및 원자력 비중 감축으로 분석됨.

전세계 발전부문의 연료청정화는 천연가스 사용량의 증가로 시현되고 있으며, 발전부문에서 재생에너지 투입은 절대적인 규모는 낮지만, 성장률 측면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를 시현하고 있음.

미국 에너지수급 구조에서 석유・석탄・천연가스로 대표되는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2005년 86.1%에서 2014년 83.0%로 3.1%p 감소하였음. 중국 역시 에너지수급 구조에서 동기간 석탄의존도가 다소 축소되었으나, 석탄소비 증가는 지속된 것으로 평가됨.

전세계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1차에너지 및 최종에너지소비 기준에 큰 차이 없이 2005년 이후 미세하게 감소하였으며, 최종에너지소비 중 전력비중은 전 세계 총량 기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1.8%p 증가하여 에너지소비의 전력화가 진전된 것으로 분석됨.

1.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

¡

미국 發 셰일혁명

,

중국경제 성장 둔화

, 2014년 중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 기조 , UN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화석에너지 감축 필요성 제기 등으로 세계 에너지수 급 구조는 크게 변화될 것으로 예견되어 왔음

.

세계 각국은 에너지 공급안정성 제고를 추진하는 한편, 화석에너지의 환경적 위 험을 극복하고자 에너지공급원 다각화

,

신생에너지 보급 확대, 친환경기술 개 발

・도입 ,

에너지 이용효율 증진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음

.

¡

국제 에너지시장 환경변화 요인

(셰일 혁명 ,

후쿠시마 원전사고

, UN기후변화협약

)으로 지난 수년간 세계 주요국들의 에너지수급 구조도 변화되고 있음.

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에너지수급 변화를 세계 에너지소비

(총량적 )

기준으 로 분석할 경우

,

에너지수급구조 변화는 매우 미소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 는 반면

,

국가별 변화특성은 매우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특히

,

중국으로 대표되는 급성장

・다변화 국가의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는 주목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본 현안분석의 목적은 2005년 이후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를 살펴보고

,

특 히

,

전 세계 에너지수요 및 온실가스 배출의 40%이상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의 에너지수급 및 전력수급 구조변화를 살펴보는데 있음.

“국제 에너지시장 환경변화

요인으로 지난 수년간 세계 주요국들의 에너지수급 구조가 변화”

(2)

1차에너지수급 구조 변화

¡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세계 1차에너지공급은 연평균 1.9%

증가하였으며

,

세계 에너지 총소비

(1차에너지공급 기준 )는 2014년 136억 9천 9백만 toe에 달하였음 .

1)

‒ 2005년 이후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는 석탄 및 재생에너지 (태양에너지 ,

풍 력

,

지열

,

바이오 등

)

역할 증대와 석유 의존도 감축 및 원자력 비중 감축으로 분석됨

.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에서 석유

・석탄 ・천연가스로 대표되는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2005년 81.1%에서 2014년까지 거의 변화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 .

석유의존도는 2005년 34.7%에서 2014년 3.4%p 감축되었으나

,

여전히 단일 에 너지원으로서는 가장 높은 에너지 분담률을 담당하고 있음

.

¡

석탄의 세계 에너지 분담률은

2005년 25.9%에서 2014년 28.6%로 증가하였고 ,

동 기간 중 연평균

3.0%

증가율을 시현하였음.

¡

세계 천연가스 사용은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2.3%

속도로 증가하고 있 으나

,

천연가스의 에너지 분담률은

2005년 이래 20%~21.5%내외 수준에서 유지

되고 있음

.

¡

한편

,

태양・풍력

・지열 에너지는 2005년 이래 연평균 11.1%의 높은 성장률을 기

록하고 있으나

,

세계 에너지 분담률은 2014년 1.3%에 불과한 수준임

.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1차에너지공급(Mtoe) 11,533.0 12,203.0 12,267.5 13,150.5 13,549.1 13,699.1 1.9 석 탄

(%)

25.9 27.4 27.6 28.9 28.7 28.6 3.0

석 유 34.7 33.4 32.7 31.5 31.1 31.3 0.8 가 스 20.5 20.7 20.7 21.2 21.4 21.2 2.3

원자력 6.3 5.8 5.7 5.1 4.8 4.8 -1.0

수 력 2.2 2.2 2.3 2.3 2.4 2.4 3.2

태양/풍력/지열 0.6 0.7 0.8 1.0 1.2 1.3 11.1 바이오/폐기물/기타 9.8 9.8 10.1 10.0 10.3 10.3 2.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세계 1차에너지공급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원자력 및 수력을 제외한 非화석에너지(태양에너지

・풍력 ・지열 ・바이오 ・폐기물

)의 에너지 분담률은 2005년 10.4%에서 2014년 11.6%로 1.2%p

확대되는

1)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 분석은 IEA Energy Balance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하였 기에 IEA자료에서 계상되지 않는 비상업(Non –Commercial Energy) 에너지 소비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음.

“2005년 이후 세계 에너지수급 구조 변화는 석탄 및 재생에너지 역할 증대와 석유 의존도 감축 및 원자력 비중 감축으로 분석”

(3)

9년의 기간이 소요되었음 .

세계 에너지수급에서 원자력의 분담률은 축소되고 있으며

,

유일하게 마이너스 성 장률

(-1.0%)을 기록하여 2014년 현재 원자력 비중은 4.8%

수준에 머물러 있음

.

세계 최종에너지 수급 변화

¡ 2005년 이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구조는 점진적인 변화를 시현하고 있으며 ,

유의존도 감축과 석탄의 최종에너지 분담률 증가

,

전력의 역할 확대로 변화방향 을 분석할 수 있겠음.

‒ 2014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는 94억 2천 5백만 toe로 2005년 이래 연평균 1.9%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 1차에너지공급 대비 비중은 68.8%에 달하며 , 2005년 비

(69.2%)에 비하여 거의 변화가 없는 구조임 .

¡

최종에너지소비 기준으로 전 세계 국가들은

2014년까지 40%

를 석유에 의존하 고 있으며

,

이러한 의존도는

2005년 이래 3.2%p가 감축된 것임 .

이는 석탄 분 담률이 동 기간 중

1.5%p

증가된 것과 비교되며

,

천연가스의 최종에너지 분담률 이

15%

수준 내외에서 큰 변화 없이 유지되는 점도 특기할 만한 사항임.

화석에너지원

(석유 ,

석탄

,

천연가스

)의 최종에너지소비 분담률은 2005년 67.9%

에서 2014년 66.4%로 1.5%p 축소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최종에너지소비(Mtoe) 7,976.6 8,433.0 8,429.9 9,018.0 9,301.1 9,424.7 1.9 석 탄

(%)

9.9 10.6 11.4 11.7 11.3 11.4 3.5

석 유 43.1 42.2 41.0 40.0 39.7 39.9 1.0 가 스 14.9 14.8 14.7 15.1 15.4 15.1 2.0 태양/풍력/지열 0.2 0.2 0.2 0.3 0.4 0.4 12.9 바이오/폐기물 12.3 12.2 12.6 12.2 12.3 12.2 1.8 전 력 16.3 16.9 17.1 17.6 18.0 18.1 3.0

열에너지 3.3 3.2 3.0 3.1 2.9 2.9 0.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세계 최종에너지소비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

전력소비는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3.0%

증가하여 석탄 다음으로 높은 성장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

최종에너지 소비 분담률도

1.8%p

증가한 것으로 산정되고 있음

.

이는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소비 구조가 전력화되고 있음을 시현 하는 것임

.

¡

재생에너지

(태양에너지・풍력 ・지열 )

최종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12.9%(1차에너지

“2005년 이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구조는 석유의존도 감축과 석탄의 최종에너지 분담률 증가, 전력의 역할 확대로 변화”

(4)

공급

: 11.1%

증가

)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

재생에너지

(태양 ・풍력・지열 )

분담 률은

2014년 0.4%로 2005~2014년 기간 중 단지 0.2%p

증가에 불과하였음. 이 는 재생에너지소비 절대 규모가 매우 낮기에 성장률이 높다하더라도

,

최종에너 지소비 분담 기여도는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임

.

한편

,

바이오

・폐기물의 최종에너지소비 분담률은 12%에 초반 대에서 안정적으

로 유지되고 있으며

,

성장속도

(연평균 1.8%)도 최종에너지소비 증가 (연평균 1.9%)와 추세를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세계 발전부문 에너지투입 및 전력공급

¡

전 세계 국가의 발전부문 에너지투입과 전력생산 구조도 변화가 기록되고 있음

.

전력발전을 위한 에너지투입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연평균 2.1%

증가하였 으며

,

동 기간 전력생산량은 3.0% 증가한 것으로 산정되고 있음.

‒ 2005~2014년 기간 중 세계 발전부문 석탄 소비는 연평균 2.4%

증가추세를 유 지하여 발전부문에서는 석탄의존도가 심화된 반면

,

원자력 기여도는

2005년 17.8%에서 2014년 13.5%로 크게 감축되고 있는 모습을 시현하였음.

¡

발전부문의 연료청정화는 천연가스 사용량의 증가로 시현되고 있음

. 2005년 천

연가스의 발전부문 소비비중은

20.5%

에서

2014년까지 연평균 3.0%

속도로 증 가하여

2014년 소비비중은 22%에 달하게 됨으로써 세계 제 2위 (석탄 : 1위 . 46.4%, 2014년 )의 발전연료로서 위상을 가지게 되었음 .

¡

발전부문에서 재생에너지 투입은 절대적인 규모는 낮은 수준이나

(2005년 : 1.4%

2014년 : 2.9%),

성장률 측면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

(연평균 10.7%)를 시현하

였음

.

이는 전 세계적으로 전개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정책의 결과로 분석되고

있으며

,

특히

,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증설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 고 있음

.

¡

전 세계 발전량은 2005년 이후 9년간 연평균 3%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

이는 발 전부문 투입에너지 증가속도를 능가하여 발전부문 효율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암 시하고 있음.

“발전부문의 연료청정화는 천연가스 사용량의 증가로 시현”

“발전부문에서 재생에너지 투입은 절대적인 규모는 낮지만, 성장률

측면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를 시현”

(5)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에너지원별

발전부문 투입(Mtoe) 4,055.9 4,336.1 4,324.6 4,698.5 4,845.7 4,905.2 2.1 석 탄

(%)

45.2 46.8 45.6 46.6 46.7 46.4 2.4

석 유 7.1 6.2 5.9 5.8 5.6 5.3 -1.1 가 스 20.5 21.1 21.8 22.1 22.1 22.0 3.0 원 자 력 17.8 16.4 16.3 14.3 13.4 13.5 -1.0 수 력 6.2 6.1 6.5 6.4 6.7 6.8 3.2 지열/풍력/태양 1.4 1.5 1.9 2.1 2.6 2.9 10.7

바이오/폐기물 1.8 1.8 2.1 2.5 2.9 3.1 8.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력생산량(Mtoe) 1,575.9 1,707.4 1,733.4 1,908.6 2,009.8 2,048.1 3.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세계 발전부문 에너지투입 및 전력생산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2. 미국의 에너지・전력 수급구조 변화

1차에너지 수급 구조 변화

¡ 2014년까지 미국의 1차에너지 공급은 22억 1천 6백만 toe

수준으로

2005년 이후

미미하게

(연평균 – 0.5%)

감소를 시현하고 있음

.

¡

에너지수급 구조에서 석유

・석탄 ・천연가스로 대표되는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2005

년 86.1%에서 2014년 83.0%로 3.1%p 감소하였음

.

석탄의

1차에너지 분담률은 2005년 24.1%에서 2014년 19.5%로 감소하였고 ,

동 기간 중 석탄소비는 연평균 2.8% 감소를 시현하였음

.

석유의존도는 2005년 40.1%에서 2014년 4.8%p 감축되었으나

,

여전히 단일 에 너지원으로서는 가장 높은 에너지 분담률을 담당하고 있음

.

미국의 천연가스 사용은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2.3% 속도로 증가하였으 며

, 2014년 기준 천연가스의 1차에너지 분담률은 28.2%에 달하고 있음 .

¡

태양

・풍력 ・지열 에너지는 2005년 이래 연평균 10.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나

,

에너지 분담률은 2014년 1.3%에 불과함

.

한편, 바이오

・폐기물 ・기타 에너지의 1차에너지 분담률은 2014년 5%에 달하고

있으며

,

이는 2005년 이후 연평균 3.9%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함

.

“미국 에너지수급 구조에서

석유・석탄・천연가 스로 대표되는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2005년 86.1%에서 2014년 83.0%로 3.1%p 감소”

(6)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1차에너지공급(Mtoe) 2,318.8 2,337.0 2,164.8 2,190.4 2,182.6 2,216.2 -0.5 석 탄

(%)

24.1 23.7 22.4 21.9 19.8 19.5 -2.8

석 유 40.1 38.7 37.0 35.9 35.4 35.3 -1.9 가 스 21.9 23.2 24.7 26.0 27.8 28.2 2.3

원자력 9.1 9.3 10.0 9.8 9.8 9.8 0.3

수 력 1.0 0.9 1.1 1.3 1.1 1.0 -0.5

태양/풍력/지열 0.5 0.6 0.8 1.0 1.2 1.3 10.9 바이오/폐기물/기타 3.4 3.6 4.0 4.3 4.9 5.0 3.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미국 1차에너지공급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최종에너지 수급 구조 변화

¡ 2014년 미국의 최종에너지소비 규모는 15억 3천 8백만 toe로 2005년 이래 연평균 0.2%

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산정되고 있음

.

화석에너지원

(석유 ・석탄 ・천연가스 )의 최종에너지소비 분담률은 2005년 75.7%

에서 2014년

72.9%

2.8%p(1차에너지분담율 감축 : 3.1%p)

감축되었음

.

천연가스 분담률은 2005년 19.8%에서 2014년 23.1%로 증가하여, 미국의 에너 지공급이 자국의 셰일가스 기반의 천연가스 중심으로 서서히 전환되고 있음을 시현하였음

.

반면

,

미국의 최종에너지소비에서 석유의존도

(48.4%, 2014년 )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 2005년 이래 5.5%p

감축이 실현되었고

,

석탄의존도 또한

2005년 2.0%에서 0.6%p

감소하여

2014년에는 1.4%를 기록하였음 .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최종에너지소비(Mtoe) 1,563.0 1,576.0 1,451.9 1,498.8 1,509.7 1,537.6 -0.2 석 탄

(%)

2.0 2.0 1.6 1.6 1.5 1.4 -3.8

석 유 53.9 52.6 50.7 49.9 48.6 48.4 -1.4 가 스 19.8 19.9 21.0 21.5 22.5 23.1 1.6 태양/풍력/지열 0.1 0.1 0.1 0.1 0.2 0.2 1.9

바이오/폐기물 3.5 3.9 4.5 4.7 5.4 5.3 4.7

전 력 20.5 21.0 21.6 21.7 21.5 21.2 0.2

열에너지 0.2 0.5 0.5 0.4 0.4 0.4 6.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미국 최종에너지소비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미국의

최종에너지소비에 서 석유의존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05년 이래 5.5%p 감축이 실현”

(7)

¡

전력소비는

2005~2014년 기간 중 미미하게 (연평균 0.2%)

증가하였고

,

최종에너 지소비 분담률은 동 기간 0.7%p 증가하였음.

미국의 전력수요는

2005년 이후 정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

이는 미국의 최 종 소비단계의 에너지소비 특성이 더 이상 급속하게 전력화률이 진전될 수 없는 상황임을 나타내고 있음

.

전력부문 에너지투입 및 전력공급 변화

¡

미국의 전력발전을 위한 에너지투입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연평균 0.7%

감소한 반면, 동 기간 전력생산량은 연평균

0.1%

증가하였음

.

‒ 2005~2014년 기간 중 미국의 발전부문 석탄 소비는 연평균 2.6%

감소하여 발 전부문에서는 석탄 기여율은 점차 감소하였음

.

원자력 기여도는 2005년 22.1%에서 2014년 24.0%로 연평균 0.3% 증가에 불 과하여

,

원자력 발전이 큰 증가 없이 현상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 2005년 천연가스의 발전부문 연료투입 비중은 16.2%

에서

2014년까지 연평균 3.3%

속도로 증가하여 2014년 22.9%에 달하였음

.

미국에서 천연가스의 위상은

2014년 기준 석탄 (44.0%),

원자력

(24.0%)에 이어 3위를 기록하였음 .

발전부문에서 지열・풍력

・태양 에너지 투입은 절대적인 규모는 낮지만 (2005년 : 1.0%

⇒ 2014년

: 3.0%),

성장률 측면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

(연평균 12.3%)를

보이고 있음

.

이는 세계 발전부문 지열

・풍력 ・태양에너지 이용 증가율 (연평균 10.7%)을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됨 .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에너지원별

발전부문 투입(Mtoe) 956.9 963.2 897.6 915.4 896.1 900.7 -0.7 석 탄

(%)

52.6 52.2 49.0 47.6 44.3 44.0 -2.6

석 유 3.5 1.9 1.3 1.0 1.0 1.0 -13.1 가 스 16.2 18.0 19.2 20.7 23.1 22.9 3.3 원 자 력 22.1 22.6 24.1 23.4 23.9 24.0 0.3 수 력 2.5 2.2 2.6 3.0 2.6 2.5 -0.5 지열/풍력/태양 1.0 1.1 1.6 2.1 2.8 3.0 12.3

바이오/폐기물 2.3 2.0 2.1 2.2 2.4 2.6 0.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력생산량(Mtoe) 367.1 371.9 358.2 372.1 368.7 371.4 0.1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미국 발전부문 에너지투입 및 전력생산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미국의

전력발전을 위한 에너지투입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연평균 0.7%

감소한 반면, 동 기간

전력생산량은 0.1% 증가”

(8)

미국의 발전설비 및 원별 발전량

¡ 2015년 기준,

미국의 발전설비용량은 1,064.1GW 규모로서 가스 및 석탄 기반의 화력발전이 약

71.3%를 차지하고 있으며 ,

수력과 원자력은 각각 약

7.5%와 9.3%를 차지하였음 .

화력발전설비 중 석탄 및 석유 화력 설비용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가스 발전 설비는 2005년 385GW에서

2014년 434GW

규모로 증가하였음

.

¡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015년 64.2GW

규모로

2005년 대비 7.4배로 증가하였으

,

특히

, 2010년대 들어 태양열 및 태양광 발전설비의 증가가 부각되고 있음 .

¡ 2015년 미국의 전력발전량은 4,087.4TWh

규모로서

2005년 (4,055.4TWh)이후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으나

,

발전원별 전원구성은 청정에너지 체제가 심화되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발전량 기준

2005년 화석에너지(석유 ・석탄 ・천연가스)

전원비중은

71.7%에 달

하였으나

, 2015년 66.9%로 4.8%p

하락을 기록하였음

.

특히

,

석유 및 석탄 전원 비중은

2005년 38.0%에서 2015년 29.8%(8.2%p

)로 하락하였고 ,

풍력발전 전원이 석유

・석탄발전 전원을 대체함으로서 발전부

문의 에너지청정화가 부문적으로 시현되었음

.

비고 2005 2010 2012 2013 2014 2015 연평균**

∆(%) 설비용량(GW) 978.0 1,039.1 1,063.0 1,060.1 1,068.4 1,064.1 0.8 화력

(%)

77.4 75.3 73.5 73.0 72.5 71.3 0.0

석탄 32.0 30.5 29.1 28.6 28.0 26.3 -1.1 석유 6.0 5.4 4.4 4.1 3.9 3.5 -4.5 가스 39.4 39.4 39.9 40.3 40.6 41.5 1.4

원자력 10.2 9.7 9.6 9.4 9.2 9.3 -0.1

수력 7.9 7.6 7.4 7.5 7.5 7.5 0.3

태양광/태양열 0.0 0.1 0.3 0.6 1.0 1.3 42.3

풍력 0.9 3.8 5.6 5.7 6.0 6.8 23.6

지열 0.2 0.2 0.2 0.2 0.2 0.2 1.1

바이오/폐기물 1.0 1.1 1.2 1.3 1.3 1.3 3.7

기타* 2.3 2.2 2.3 2.3 2.4 2.3 0.9

: * ‘기타’에 ‘양수식 수력발전’ 포함

** ‘설비용량(GW)×원별비중(%)’의 2005~2015년 연평균 변화율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EIA, Electric Power Annual, Nov 2016

< 미국 발전설비 구조 변화 추이(2005~2015년) >

(단위 : GW, %)

“2014년 말 기준, 미국의

발전설비용량은 1,064.1GW 규모로서 가스 및 석탄 기반의 화력발전이 약 73%를 차지”

(9)

비고 2005 2010 2012 2013 2014 2015 연평균**

∆(%) 발전량(TWh) 4,055.4 4,125.1 4,047.8 4,066.0 4,093.6 4,087.4 0.1 화력

(%)

71.7 69.9 68.6 67.5 67.2 66.9 -0.6

석탄 49.6 44.8 37.4 38.9 38.6 33.2 -3.9

석유 3.0 0.9 0.6 0.7 0.7 0.7 -13.6

가스 19.1 24.2 30.6 28.0 27.8 33.0 5.7 원자력 19.3 19.6 19.0 19.4 19.5 19.5 0.2

수력 6.7 6.3 6.8 6.6 6.3 6.1 -0.7

태양광/태양열 0.0 0.0 0.1 0.2 0.4 0.6 47.3

풍력 0.4 2.3 3.5 4.1 4.4 4.7 26.8

지열 0.4 0.4 0.4 0.4 0.4 0.4 1.3

바이오/폐기물 1.3 1.4 1.4 1.5 1.6 1.6 1.7

기타* 0.2 0.2 0.2 0.2 0.2 0.2 2.7

주 : * ‘기타’에 ‘양수식 수력발전’ 포함

** ‘발전량(TWh)×원별비중(%)’의 2005~2015년 연평균 변화율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EIA, Monthly Energy Review, Nov 2016

< 미국 발전량 구조 변화 추이(2005~2015년) >

(단위 : TWh, %)

3. 중국의 에너지・전력 수급구조 변화

1차에너지 수급 구조

¡ 2014년 중국의 1차에너지 공급은 30억 5천 2백만 toe

규모로서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5.9%

로 증가하였으며

,

전세계

1차에너지 공급의 22.3%(2014년 )를 점

하였음

.

중국의 1차에너지 공급에서 석탄의존도는

2005년 66.2%에서 다소 축소되었으

(65.9%, 2014년 ),

동 기간 중 석탄소비 증가

(연평균 5.9%)는 지속되었음 .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1차에너지공급(Mtoe) 1,817.0 2,148.4 2,367.6 2,804.5 3,004.9 3,051.5 5.9 석 탄

(%)

66.2 68.1 68.6 69.0 67.2 65.9 5.9

석 유 17.5 16.5 15.9 15.8 16.2 16.5 5.3

가 스 2.1 2.8 3.2 3.9 4.7 5.0 16.5

원자력 0.8 0.8 0.8 0.8 1.0 1.1 10.7

수 력 1.9 1.9 2.2 2.1 2.6 3.0 11.4

태양/풍력/지열 0.3 0.4 0.5 0.8 1.2 1.3 25.5 바이오/폐기물/기타 11.2 9.5 8.8 7.6 7.2 7.1 0.7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중국 1차에너지공급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중국의 1차에너지 공급에서

석탄의존도는 다소 축소되었으나 석탄소비 증가는 지속”

(10)

석유는 연평균 5.3% 성장추세를 시현하고 있으나

, 1차에너지 공급에서의 분담

률은 2005년

17.5%

에서

2014년 16.5%로 소폭 감소하였음 .

천연가스는 2005년

~2014년 기간 중 연평균 16.5%로 증가하여 2005년 이후 태

양광

・풍력 ・지열 등 재생에너지원에 이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에너지원

으로 역할하고 있으며

, 1차에너지 분담률은 2014년 5.0%까지 증가하였음 .

이는 청정에너지 사용을 증대시키려는 정부의 정책방향과 일치하는 것임

.

¡

원자력은 연평균

10.7%,

수력은 연평균

11.4%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 2014년 기준 전체 1차에너지 소비에서의 분담률은 각각 1.1%, 3.0%

수준에 달 한 상황임

.

수력 및 원자력을 제외한 태양광

・풍력 ・지열 에너지는 25.5%로 빠르게 증가하

고 있으나

, 2014년 기준 분담률은 1.3%에 불과한 수준임 .

최종에너지 수급 구조 변화

¡ 2014년 중국의 최종에너지소비 규모는 19억 8천 8백만 toe

규모로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5.6%

증가하였으며

,

최종에너지소비의 1차에너지공급 대비 비중 은 65.1%를 차지하였음

.

최종에너지소비 중에서 석탄 소비는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연평균 4.3% 속 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

석탄의존도는 2005년 40.7%에서 2014년 36.5%로 감소 되었음

.

석유는

2005년 이후 연평균 5.7%

로 증가하고 있으며

,

석유의존도는 22%내외 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

.

이는 수송부문 연료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로 석유 소비 증가율과 최종에너지소비 증가 속도가 유사하기 때문임

.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최종에너지소비(Mtoe) 1,219.9 1,419.7 1,551.5 1,779.8 1,918.6 1,987.8 5.6 석 탄

(%)

40.7 40.3 41.0 39.8 36.9 36.5 4.3

석 유 22.4 22.2 21.6 21.7 22.6 22.7 5.7

가 스 2.3 2.9 3.2 4.1 4.9 5.3 16.1

태양/풍력/지열 0.4 0.5 0.7 0.8 1.2 1.2 19.4 바이오/폐기물 16.5 14.2 13.0 11.2 10.3 9.9 -0.3 전 력 14.1 16.2 17.0 18.7 20.2 20.4 10.0

열에너지 3.6 3.6 3.5 3.7 3.9 3.9 6.8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중국 최종에너지소비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2014년 중국의 최종에너지소비 규모는 19억 8천8백만toe 규모로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5.6% 증가”

(11)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천연가스는

2005년 이후 연평균 16.1%

에 달하는 높은 수요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

최종에너지 분담율은 2005년 2.3%에서 2014년 기 준

5.3%까지 증가하였음 .

바이오

・폐기물 비중은 2005년 16.5%에서 2014년 9.9%로 6.6%p감소하였는데,

중국의 최종에너지소비를 구성하는 에너지원 중 유일하게 감소추세(-0.3%, 연 평균)를 시현하였음

.

¡

최종에너지소비에서 전력 분담률은

2005년 14.1%

에서

2014년 20.4%까지 증가

를 기록하였음

.

이는 중국이 고도성장을 달성하고

,

생활수준이 개선됨에 따라 에 너지소비의 고급화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음을 시현하는 것임

.

전력소비 증가율은 2005년 이후 연평균 10.0%에 달하고 있으며, 특히

,

전력의 분담률은 석탄의 최종에너지 기여도 감소를 대체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이 는 석탄소비가 전력소비로 급속하게 대체되어 에너지고급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

.

최종에너지소비에서 전력비중이 급속도로 증가

(6.3%p

증가

, 2005~2014년 )하는

것은 성장경제의 전형적인 에너지 소비변화 패턴이며

,

미국

(0.7%p

증가

, 2005~2014년 )과 크게 대비되는 차이점임 .

한편, 중국의 최종에너지소비 중 전력비중이 2013년 이후 20%내외에서 안정화 되고 있다는 점은 전력소비가 최종에너지 소비증가율과 비슷한 속도로 증가하 고 있으며, 최종에너지소비에서 에너지원간 대체현상이 크게 발생하지 않고 있 음을 암시하고 있음

.

발전부문 에너지투입 및 전력공급

¡

중국 발전부문의 에너지투입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연평균 7.2%

증가하여,

11억 8백만 toe가 투입되었음 .

발전연료의 석탄 비중은 2005년 89.1%에서 2014년 83.4%로 5.7%p 감소하였 으나, 여전히 석탄투입은 증가추세

(6.4%)를 기록하고 있음.

석유의 발전부문 기여도는 연평균

16.9%로 위축 (2.1%: 2005년 ⇒ 0.2%:2014

)되어 석유발전은 이제 의미를 상실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반면

,

전력생산 부문에서 모든 에너지원의 연료투입은 급속한 증가를 기록하였 음

.

이는 전력생산량이

2005년 이후 9.5%

증가를 기록한 반면

,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석탄

(89.1%, 2005년 )

투입이 2005~2014년 기간 중 연평균 에너지투입 증가

(7.2%)에 미치지 못한 결과로 분석됨 .

“석유의 발전부문 기여도는 연평균 16.9%로 위축되어 석유발전은 이제 의미를 상실한 것으로 분석”

(12)

 연도 2005 2007 2009 2011 2013 2014 연평균

∆(%) 에너지원별

발전부문 투입(Mtoe) 595.0 741.6 794.5 989.2 1086.6 1108.8 7.2 석 탄

(%)

89.1 89.8 88.0 87.6 85.2 83.4 6.4

석 유 2.1 0.9 0.4 0.3 0.2 0.2 -16.9 가 스 0.4 0.9 1.4 1.9 1.8 1.9 26.5 원 자 력 2.3 2.2 2.3 2.3 2.7 3.1 10.7 수 력 5.7 5.6 6.7 6.0 7.2 8.2 11.4 지열/풍력/태양 0.1 0.1 0.3 0.7 1.3 1.5 56.7 바이오/폐기물 0.3 0.5 0.9 1.3 1.6 1.8 30.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력생산량(Mtoe) 215.0 282.2 319.5 404.6 467.5 487.3 9.5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중국 발전부문 에너지투입 및 전력생산 구조 변화(2005~2014년) >

(단위: Mtoe, %)

이에 따라 수력의 역할이 증대되어 수력전원 비중

(8.2%, 2014년 )은 석탄에 이

2위를 차지하였음 .

중국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수력전원 증대 (11.4%)

를 통해 석탄전원 축소를 수력전원으로 대체하는 성과를 기록하였음

.

원자력은 연평균 10.7% 증가하고 있으며

, 2014년 기준 3위 (3.1%)의 비중을 차

지하였음

.

재생에너지의 전원 비중은 높지 않으나

, 2005년 이후 연평균 56.7%의 기록적인

증가를 시현하고 있음

.

특히

, 2014년 지열・풍력・태양 에너지의 발전부문 투입

규모는 2005년 대비 29배에 해당함.

중국의 발전설비 구성

¡

중국의 발전설비용량 규모는

2005년 508GW에서 2015년까지 1,508GW

수준으

10년 만에 3배정도 증가하였고 ,

석탄화력 설비의 상당 비중이 천연가스 발전

설비로 대체되었음

.

‒ 2005~2015년 기간 중 발전설비 규모가 3배 증가한 것은 중국의 경제성장 속도와

소득수준 향상

,

전력중심의 에너지공급 구조 전환 등이 얼마나 크게 진전되었는지 를 암시하고 있음

.

¡

화력발전 설비 비중은

2005년 75.6%에 달하였으나 , 2015년 65.6%까지 하락하였으며 ,

화력발전 설비 구성은 부분적으로 천연가스 전원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시현하였음

.

‒ 2015년 화력발전 설비용량은 전년대비 7.8%

증가한 990GW 규모로

,

그 중 석탄 화력 설비용량은

880GW로 전체 화력발전 중에서 89.3%를 차지함 .

천연가스 발전설비의 화력발전 기여율은

2010년 2.7%에서 2015년 5년 만에

“중국의 빠른 발전설비용량 증가는 중국의 경제성장 속도와 소득수준 향상, 전력중심의 에너지공급 구조 전환 등을 암시”

(13)

4.4%까지 증가하는 변화를 나나내고 있음 .

¡

화력발전설비 다음으로 높은 설비 비중을 보유하고 수력설비는

2005~2015년 기

간 중 22% 내외의 비중을 점하고 있으며

,

수력발전 규모는

2005년 119GW에서 2015년 319GW

수준으로 증가하였음

.

중국의 수력발전 설비는 석탄전원 다음의 중요한 전원설비로 정부가 지속적으 로 개발, 확충코자 하는 전원설비이므로 2010년대에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유지하여 왔음

.

그러나 2013년 이후 최근 년에 들어 수력발전 설비 증가추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 으며

,

향후 수년간 수력발전설비는 소폭으로 증설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 2005년 이후 가장 크게 증가한 재생에너지 전원설비는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설

비 증가를 중국이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 2015년 풍력발전 (계통연계 )

신규 설비용량은 역대 최고치(130GW)를 기록했으 며

, 2010년 29.6GW에서 5년 만에 4.4배 확충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 . 2015년

기준 중국의 총 발전설비 중 풍력설비 비중은 3.3%에 해당하고 있으나

,

원자력 을 능가하는 설비규모에 해당함.

총 발전설비 중 태양에너지 발전설비의 비중은 낮으나

(2013년 : 1.2%), 2010년 0.3GW

규모에서

2013년 14.8GW

까지 증가하여 세계 태양에너지 발전부문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음.

중국 정부는

12.5계획 기간의 신에너지발전 설비용량 확대를 추진하였으며 ,

특 히

,

동부지역과 서북지역의 분산형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였음.

¡

중국의 원전설비 용량은

2015년 전년대비 29.9%

증가하여 총

26.1GW를 기록

하여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원전설비 비중은

2.9%

에 달하고 있음

.

‒ 2015년에 총 600GW의 원전 설비가 완공되어 상업 운영에 돌입했으며 , 12.5계

획 기간의 원전 설비용량 증가율은 연평균

19.2%

에 달하였음.

중국의 발전량 및 전원구조 변화

¡ 2015년 중국의 발전량은 5,600TWh로 2005

년 발전량 규모

(2,474TWh)보다 2.3배 증

가하였음

.

발전량 규모는 미국의 2014년 발전량

(4,094TWh)를 1.4배 능가하고 있음 .

전원구성은 화력발전 의존도가

2015년 현재 72.7%에 달하고 있으나, 2005~2015년 기간 중 화력발전 의존도는 8.9%p

하락을 보여주고 있음

.

석탄의 존도 감축은 화력발전 연료가 천연가스로 대체되는 한편

,

재생에너지의 발전기 여도 증가에 기인하였음

.

특히

,

중국의 화력발전량은 2013년을 정점

(4,190TWh)으로 하여 이후 감소추세

“석탄의존도 감축은 화력발전 연료가

천연가스로 대체되는 한편, 재생에너지의 발전기여도 증가에 기인”

(14)

로 전환되었으며

,

발전량 증가는 수력

・원자력 ・풍력 발전량의 증가로 대체되었음 .

¡

수력발전 전원비중은

2005년 16%에서 2015년 19.8%로 증가하였으며 ,

발전량 기준으로

1,110TWh의 전력을 공급하였음 .

수력발전량은

2005년 395TWh에서 10년만 2.8배 증가를 시현하였음 .

비고 2005 2010 2012 2013 2014 2015 연평균**

∆(%) 설비용량(GW) 508 966 1,141 1,247 1,360 1,508 11.5 화력

(%)

75.6 73.4 71.4 69.1 67.6 65.6 9.9

석탄 - 67.8 65.7 63.0 61.0 58.4 -

가스 - 2.7 3.3 3.4 4.1 4.4 -

석유 - - - -

원자력 - 1.1 1.1 1.2 1.5 1.7 -

수력 22.8 22.4 21.8 22.5 22.1 21.2 10.6

태양광/태양열 - 0.0 0.3 1.2 - - -

풍력 - 3.1 5.3 6.1 7.0 8.6 -

: * “-” 표시는 Not Available을 의미함.

** ‘설비용량(GW)×원별비중(%)’의 2005~2015년 연평균 변화율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中國電力企業聯合會

< 중국 발전설비 구조 변화 추이(2005~2015년)* >

(단위 : GW, %)

비고 2005 2010 2012 2013 2014 2015 연평균**

∆(%) 발전량(TWh) 2,474 4,230 4,970 5,350 5,550 5,600 8.5 화력

(%)

81.6 80.9 78.7 78.3 75.1 72.7 7.3

석탄 - 76.8 74.4 73.8 - - -

가스 - 1.8 2.2 2.1 - - -

석유 - - - -

원자력 2.1 1.8 2.0 2.1 2.3 2.9 11.9

수력 16.0 16.2 17.2 16.8 19.3 19.8 10.9

태양광/태양열 - 0.0 0.1 0.2 - - -

풍력 - 1.2 2.1 2.6 2.8 3.3 -

: * “-” 표시는 Not Available을 의미함.

** ‘발전량(TWh)×원별비중(%)’의 2005~2015년 연평균 변화율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 中國電力企業聯合會

< 중국 발전량 구조 변화 추이(2005~2015년)* >

(단위 : TWh, %)

화석에너지 의존도 비교

¡

전 세계 에너지소비 총량으로 평가한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1차에너지 및 최종에너

지소비 기준에 큰 차이 없이

2005년 이후 미세하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

고 있음

.

그러나 지난 9년간 중국 1차에너지의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증가추세에서 최근

“전세계 화석에너지 의존도는 1차에너지 및 최종에너지소비 기준에 큰 차이 없이 2005년 이후 미세하게 감소”

(15)

연도에 하락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특히, 발전부문의 에너지투입 중 화석연료 비중은 전 세계 기준과 다르게 미국 과 중국에서 현격하게 감소하고 있음

.

이는 미국과 중국이 전력부문의 청정에너 지화 노력을 선도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함.

¡

최종에너지소비 중 전력비중은 전 세계 총량 기준으로 볼 때 2005년 이후 2014년 까지

1.8%p

증가하여 에너지소비의 전력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볼 수 있고

,

특히

,

동기간 중 중국의 전력화률은 6.3%p 심화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비고 2005 2010 2012 2013 2014 2015 1차에너지 소비 중 화석에너지 비중

전세계 81.1 81.5 81.0 81.6 81.2 81.1 미국 86.0 85.6 84.2 83.7 82.9 82.9 중국 85.9 87.4 87.6 88.7 88.1 87.5 최종에너지 소비 중 화석에너지 비중

전세계 67.9 67.6 67.1 66.8 66.4 66.4 미국 75.7 74.5 73.3 73.0 72.6 72.9 중국 65.4 65.4 65.8 65.6 64.4 64.5 발전 부문 중 화석에너지 비중

전세계 72.8 74.2 73.3 74.6 74.4 73.7 미국 72.2 72.0 69.5 69.3 68.4 67.9 중국 91.6 91.7 89.8 89.8 87.3 85.5 최종에너지 소비 중 전력 비중

전세계 16.3 16.9 17.1 17.6 18.0 18.1 미국 20.5 21.0 21.6 21.7 21.5 21.2 중국 14.1 16.2 17.0 18.7 20.2 20.4 : 반올림 오차로 인해 총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OECDiLibrary,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를 기초로 도출

< 화석에너지 의존도 변화 추이 및 최종에너지 전력화 추이 >

(단위 : %)

참고문헌

EIA

홈페이지, Electric Power Annual, Nov 2016, www.eia.gov/electricity

/annual (검색일: 2016.12.4)

____________, Monthly Energy Review, Nov 2016, www.eia.gov/

totalenergy/data/monthly (검색일: 2016.12.4)

OECDiLibrary

홈페이지

, IEA World Energy Statistics and Balances, www.oecd-ilibrary.org (검색일: 2016.11.27)

中國電力企業聯合會 홈페이지, 1066760.2at.com.tw (검색일: 2016.11.25)

“최종에너지소비 중 전력비중은 전 세계 총량 기준 2005년 이후 2014년까지 1.8%p 증가하여 에너지소비의 전력화가 진전된 것으로 분석됨”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