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교류지원사업 가이드라인
박 광 동 _ 한국법제연구원 행정법제연구실 부연구위원 [email protected]
리포트 브리핑 4
우리나라는 2009년 11월 25일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24번째 회 원국으로 가입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나라는 1961년 OECD 출범 이후 원조수혜원국에서 원조공여국으로 지위가 바뀐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종래의 우리나라의 ODA는 주로 경제 원조를 중심으 로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법제교류지원사업이 ODA와 관련하여 활성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정부 는 2010년도에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가교역할을 수 행할 것을 구상하고 있고, 이러한 구상 속에는 법제교 류지원에 관한 사항도 포함될 것이다. 이에 법제교류지 원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정립이 필 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 이제 막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단계인
법제교류지원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① 국제공조 연구 및 법제정보의 교류, ② ODA를 통한 협력, ③ 관계기관 간 네트워크 강화, ④ 법제교류지원 전문인력의 양성, ⑤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조사·평가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법제교류지원사업 가이드라인에 대한 구체적 인 방법에 대해서는 크게 첫째,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시 스템 구축방안과 둘째,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콘텐츠 구 축방안의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해 서 보면, 이를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관 련 기관·국가 간 협력체계 구축방안으로서 이를 위해 서는 법제교류지원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관련 기관·
국가 간의 인식공유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① 국제공조 연구 및 법제정보의 교류, ② 국내외 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의 활성화, ③ 법제교류지원사업 관련
협의체 구성, ④ 특성에 맞는 협 력형 법제교류지원사업 운영,
⑤ ODA 기반의 법제교류지원사 업의 구상이 필요하다.
(2) 법제연수시스템 구축과 관 련하여서 ① 국제적 수준의 프로 그램 운영능력 제고, ② 구체적인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③ 지속적
인 네트워크 구축방안 수립을 기본방향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수와 관련한 교육방법으로서 ① 법제교 류지원 관련 해외파견자 또는 예정자를 대상으로 국제 업무에 필요한 실용적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각종 연수를 개최하는 해외파견 전 훈련(글로벌 인재양 성 프로그램), ② 외국인 대상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및 법학이론과 법제 실무 교육 등에 대해 대상국의 요청에 따라 기획·실시하는 맞춤형 교육(법제이론 교육/ 실 무 교육), 법제교류지원 관련 교육 및 연수를 받은 국내 외 대상자를 상대로 주기적인 교육 연수 실시(한국어 연수/ 실무 연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둘째,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콘텐츠 구축방안과 관련 하여 정보수집 및 현재 상황·문제점의 파악, 피원조국 측의 주체성과 당사자 의식의 조성, 상대방의 선정과 관계자의 지지 획득, 대상국의 정치적 요소 고려가 필 요하다. 이러한 고려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콘텐츠를 구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콘텐츠와 관련한 안건의 확실한 실시를 담보하기 위 해 단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가 달성되어야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방법(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콘텐츠와 관련한 안건과 관련하여 법제교류지 원에 관한 국제회의 개최 시에는 법제교류지원에 관련 된 국가별 또는 지역별 국제회의를 개최하거나 또는 공 동으로 주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일반
ODA안건을 실시하는 경우에 안건발굴단계에서 법적 측면을 검토하여 초기의 안건기획·입안의 실시과정에 서 법제교류지원과 관련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콘텐츠 구축과 관련하여 장기적·계속적 지원의 실시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밖에도 구체적인 법제교류지원사업의 수행과정에 서 다음과 같은 사항의 고려가 필요하다. 대상국에 대 한 기초연구 지원으로서 대상국이 새롭게 변화한 법제 환경에 대한 적응이 필요하거나 경험하지 못한 입법사 업 등을 추진하고자 할 경우, 우리나라에서 기 경험한 법제연구에 대한 자문 및 인적 지원을 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기초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법제 연구자문 지원(맨투맨 식 국내전문가 자문 제공), 인적 지원(법제전문가 현지 파 견), 국제 컨퍼런스 개최(국가 간 법제정보 공유 및 우 리나라 법제경험 교육)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법령정보제공 지원과 관련하여서는 법령정보제 공 통합 홈페이지 구축, 온라인 뉴스레터 발행, 법령정 보의 통·번역 서비스 등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법제수출지원과 관련한 방안으로는 연구용역 에 의한 지원, 인력파견에 의한 지원 등이 있고, 연구용 역과 인력파견에 의한 통합 지원방식 등을 제시할 수 있다.
34 35
민간기관/
교육기관
입법 관련 교육 및 연수 사법 관련 교육 및 연수 행정 관련 교육 및 연수 법제정보시스템 교육 및 연수 법학 한국어 교육 및 연수 경제 관련 법제 교육 및 연수 맞춤형 법제 교육 및 연수 대상국 입법 지원 공공기관
관계기관 회의 또는
협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