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보 도 자 료 - ∙담당자 - 인천광역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보 도 자 료 - ∙담당자 - 인천광역시"

Copied!
6
0
0

Teks penuh

(1)

보 도 자 료

배포일자 2022년 5월 17일(화) 총 6 매

담당부서 가족다문화과 담 당 자 ∙다문화가족팀장 김지연 ☎440-2901

∙담당자 이영주 ☎440-2902

사진(이미지) ▣ 없음 □ 있음 참고자료 ▣ 없음 □ 있음 보 도 시 점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시, 다문화가족문제‘가족기능 강화’로 푼다

- 다문화가족 위기가정 가족치료 … 건강한 가족기능 회복 도모 - - 다문화가족 행복 프로그램 … 안정적 지역사회 정착 및 시민의식 개선 -

인천시가 다문화가족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을 통해 발 생 가능한 추가 문제 발생 방지에 나섰다.

인천광역시는 다문화 가족을 위한 인천시 특화 사업으로 「다문화가 족 위기가정 가족치료」와 「다문화가족 행복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고 밝혔다.

다문화가족은 가족 간 언어 소통의 어려움, 육아 및 자녀 교육에서 비 롯되는 곤란과 갈등, 경제적 빈곤, 사회적 부적응, 민족 및 인종 차별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는 「다문화가족 위기가정 가족치료」사업을 통해 위기가정 내의 갈등을 해결하고 가족관계 개선과 가족의 기능 회복을 도모하며,

「다문화가족 행복 프로그램」추진으로 다문화가족 구성원이 지역사 회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방침이다.

(2)

다문화가족 위기가정 가족치료

1가정 당 10회기 진행, 필요시 5회기 연장 가능

국내 다문화가족의 이혼건수는 2016년 7,665건에서 2020년 8,685건으 로 증가했다. 이는 가족 간 갈등과 가족관계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 음을 의미하며 가족 간의 갈등은 다른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 성이 매우 크다.

이에 시는 2013년부터 가족치료 사업 추진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근본 적 문제 해결에 집중했다.

본 사업은 다문화가족 중 가족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을 대 상으로 전문가 상담 관리를 실시해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개선하 고 가족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내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본 사업에는 2013년 이후 현재까지 400여 다문화 가정이 참여했다.

시는 올해 38개의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 및 가족 상담과, 집단 상담을 추진할 계획이다.

군·구의 가족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상담의뢰 및 상담이력을 가진 대상자 및 가정을 추천해 서비스 지원 대상을 선정하면 각 가정 당 10회기까지 개인 및 가족 상담이 진행되며 필요시에는 5회기까지 연장이 가능하다. 집단상담은 23회기로 진행된다.

한편 2020년 인천시 다문화가구수는 2만5,229가구로, 2015년(1만8,394) 대비 약 37%가 증가했다.

(3)

다름을 넘어 하나로! 행복한 동행을 위한 다문화가족 행복프로그램

자조모임 활성화 지원·시민인식 개선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지원

다문화가족 행복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모 두가 행복한 걸음을 함께 하기 위해 인천시가 2013년부터 지속 추진 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총 4,900만원의 예산이 동 사업에 투입된다.

올해 다문화가족을 위한 행복 프로그램은 ▲자조모임 활동지원 ▲시 민인식 개선 프로그램 운영 ▲다문화가족의 건강한 성장 지원으로 마 련됐다.

자조모임 활동 지원을 위한 예산은 총 3,300만 원으로, 정기적인 모임 및 활동으로 결혼 이민자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한다. 다문화가족의 한 국내 거주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사회 내 주체적 참여와 활발한 정서적 교류를 증진키 위한 것으로 각 모임별 100만원 까지 지원한다.

다문화와 비 다문화 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한 시민인식 개선 프로그 램을 통해 다문화 수용성도 높이고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한다.

성장지원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학령기 인원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다문화 가족 자녀들의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고 부모교육 을 통해 부모 역량을 강화해 자녀와 부모의 동반 성장을 기한다.

다문화가족 자녀 중 만7~18세 학령기 자녀의 비중은 2016년 43.5%에 서 2019년 55.8%까지 증가했다.

(4)

박명숙 시 여성가족국장은 “다문화가족이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족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중 요하다”면서 “인천시 특화 추진사업을 통해 다문화가족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주체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붙임> 1. 위기가정 가족치료사업 포스터 2. 가족센터 등 현황 1부

3. 인천 다문화가족 혼인건수 & 이혼건수

(5)

참고 1 위기가정 가족치료사업 포스터

(6)

참고 2 가족센터 등 현황

센 터 명 위 치 연 락 처 비고

중구가족센터 중구 답동로 23 (경동) 891-1094

동구가족센터 동구 박문로8 (송림동) 773-0297

미추홀구가족센터 미추홀구 인하로100 (용현동) 875-1577

연수구가족센터 연수구 청릉대로109 (연수동) 851-2740

남동구가족센터 남동구 호구포로 203-31 (논현동) 467-3904

부평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부평구 열우물로 103

십정1 행정복지센터 7층(십정동) 511-1800

계양구가족센터 계양구 계양산로102번길5

사회복지회관3층(계산동) 541-2860

서구가족센터 서구 경명대로 693번길 6, 2층

(공촌동) 569-1560

강화군가족센터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 11-1

(관청리) 933-0980

참고 3 인천 다문화가족 혼인 및 이혼 건수

<통계청 자료 참조>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전체 혼인 건수 (전년대비증감률)

16,406 (-5.7)

15,508 (-5.5)

15,198 (-2.0)

13,731 (-9.7)

11,798 (-14.1)

다문화 혼인 건수 (전년대비증감률)

1,232 (6.7)

1,243 (11)

1,487 (19.6)

1,488 (0.1)

979 (-34.2)

다문화 이혼건수

(전체 대비 다문화이혼 비중)

695 (9.6)

649 (9.1)

642 (9)

674 (9.2)

583 (8.2)

Referensi

Dokumen terkait

‘자원순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그 동안 시에서 자원순환정책 대전환 관련 Q&A를 일괄 작성해 배포하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 시 민 입장에서 궁금한 사항을 접수해 전문성이 확보된 답변을 게시함으 로써 인천시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에 대한 적극 소통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 참여형 행사이다.. 시민들은 7월 7일부터 8월 1일 25일간

역 주민들과 더 많은 대화를 통해 특단의 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주 문하는 한편, 단순히 원론적인 입장에서의 해법 모색이 아닌 도로 사 업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정책 차원에서 주민지원사업과 연계해 구체 적이고 전향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시는 오흥석 교통환경조정관 주관으로 40여 차례에 걸친 주민대 책위원회

○ 올해 4년차를 맞은‘도서지역 찾아가는 여성폭력 이동상담 사업’은 안전취약지역인 도서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여성폭력 이동상담소를 운영하여 여성폭력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안전한 섬마을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 중이며, ○ 여성긴급전화1366 인천센터와 인천시 내 여성권익시설 11개소가 강화군·옹진군 내 13개 도서를 선정,

이번 협약은 인천시, 인천해양경찰서와 사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항만공사, SK인천석유화학, 포스코건설 등 7개 기관이 탄소중립에 대한 자원봉사 실천행동을 확산해 지속가능한 지 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도심 속 나무심기 사업을 위해 SK인천석유화학과 ㈜두손건설그

< '제로웨이스트Zero-waste > 자원 재활용을 통해 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기물을 줄이는 것 이상으로, 모든 제품· 포장·재료가 태워지거나 땅·물·공기에 버려져서 환경과 인간을 위협하지 않도록, 책임있는 생산, 소비, 재사용 및 회수를 통해 자원 낭비가 없는 사회를 목표로 하는 SNS를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퍼지고

인천광역시는 수도권 해양문화의 대표 거점으로 추진 중인 국립인천 해양박물관의 다양한 전시유물 확보와 시민들의 관심 제고를 위해 매 월 ‘이달의 해양유물’을 소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 선정하는 ‘이달의 해양유물 소개’는 국립인천해양 박물관 유물기증을 위한 시민참여 확산 운동의 일환으로, 매월 해양 유물의 가치를 알림으로써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인천시가 선도적으로 공공적 경험과 실행력을 가진 중간지원조직 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행정과 풀뿌리 민간 주체 간의 교류와 연계를 활성화하고, 중간지원조직 간 연계융합을 촉진하여 민관협치 시대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토대를 견고히 했다는 점 에서 중간지원조직 네트워크 출범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뜻깊고 의미

- 3 - < 대상, 한국서부발전주 서인천발전본부 분임조_전진 > 수상팀 전체 목록 수상 참가부문 회사명 분임조명 대상 현장개선 한국서부발전주 서인천발전본부 전진 최우수상 현장개선 한국가스기술공사 인천기지지사 소나무 최우수상 서비스 한전KDN주 인천지역본부 일사천리 최우수상 안전품질 한국전력공사 인천본부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