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보 도 자 료 - ∙담당자 - 인천광역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보 도 자 료 - ∙담당자 - 인천광역시"

Copied!
4
0
0

Teks penuh

(1)

- 1 -

보 도 자 료

배포일자 2021년 6월 30일(수) 총 4매

담당부서 정책기획관 담 당 자 ∙미래균형팀장 남경선 ☎440-2391

∙담당자 강윤정 ☎440-2392

사진 ▣ 없음 □ 있음 참고자료 □ 없음 ▣ 있음 보 도 시 점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독립 40년, 양적·질적 성장 속에 희망의 미래를 연다

- 인구는 약 3배 증가, 면적은 5배 이상 커져, GRDP는 21배 증가 - - 예산규모 225배를 비롯해 각 분야별 인프라 크게 증가 -

7월 1일 인천광역시가 1981년 경기도에서 분리돼 직할시로 승격한 지 40년을 맞는 가운데, 지난 40년 동안 인천이 양적·질적으로 눈부신 성장과 변화를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1981년 직할시 승격 후 1995년 광역시 체제로 바뀌어 현재 에 이르고 있다. 그동안 인천시는 산업기반 시설과 항만, 세계 최고 수준의 인천국제공항이 입지해 바다와 하늘을 잇는 도시로 성장했으 며, 안정적인 재정과 도시 인프라 구축을 기반으로 시민의 삶의 질 제고에 노력하고 있다.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가 인천연구원(원장 이용식)과 함께 분석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1981년 이후 현재까지 인구는 약 3배 늘었고, 면 적은 5배 이상 커졌다.

(2)

- 2 -

1981년 당시 114만 명이던 인구 규모는 2020년 301만 명(외국인 포 함)으로 증가해 특·광역시 중 세 번째로 300만 도시가 됐다. 면적은 1981년 201㎢이던 것이 강화군과 옹진군 편입, 공유수면 매립을 통한 인천경제자유구역 조성 등으로 2020년에는 1,065㎢로 커져 특·광역 시 중 가장 면적이 넓은 도시가 됐다.

지역경제 분야에서도 1인당 개인소득이 증가하고,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전환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85년 765만 원이던 1인당 개인소득은 2020년 1,933만 원으로 2.5배 가량 증가했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1985년 4.2조 원에서 2019년 89.5조 원으로 21배 증가했으며, 1985년에는 제조업 비중이 44.3%로 서비스업(27.5%) 보다 컸으나, 2019년에는 서비스업 비중이 47.9%로 제조업(26.4%) 보다 더 커졌다.

예산 규모는 1981년 816억 원이었으나, 2021년에는 약 18조4천억 원 으로 225배나 커졌고, 사회복지비는 1985년 90억 원에서 2021년 7.5조 원으로 835배나 증가했다.

교통 분야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도로 길이는 1981년 632㎞이던 것이 2020년에는 3,520㎞로 늘어나 특·광역시 중 2위를 차지하고 있 으며, 도시철도는 1999년 인천도시철도 1호선, 2016년 인천도시철도 2 호선이 개통된데 이어 2021년 서울도시철도 7호선 연장선(인천석남역) 개통까지 철도연장이 총 140㎞로 증가했다.

(3)

- 3 -

자동차 등록대수는 1981년 2만여 대에서 2020년에는 167만6천여 대로 80배 가량 증가했으며, 주차장 수도 1993년 3,181개소에서 2019년 67,021개소로 21.1배가 증가했다.

환경특별시 인천과 함께 안전한 도시 실현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하수관로 길이는 1981년 460㎞에서 2019년 5,670㎞로 늘어났으 며, 1인당 공원면적은 1989년 2.4㎡에서 2020년 12.2㎡로 늘었다.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미세먼지는 1995년 76㎍/㎥에서 2020년 34㎍

/㎥로 감소했으며, 아황산가스는 1989년 0.065ppm에서 2020년에는 0.004ppm으로 감소했다.

시민안전망 확충을 위한 폐쇄회로(CCTV)는 방범용의 경우 2013년 2,471대에서 2020년 12,090대로, 학교는 2013년 8,534대에서 2020년 16,369대로 크게 늘었다.

문화 분야에서도 많은 성장을 이뤘다. 1982년 문화회관, 1994년 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이 개관하는 등 2003년 23개이던 문화기반시설이 2019년에는 115개로 크게 증가했다. 1981년 단 1개에 불과했던 공공 도서관도 2020년에는 60개로 크게 증가했다.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배구, 프로농구 등 모든 프로스포츠 구단을 연고로 두고 있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을 비롯해 2014년 인천아 시안게임·장애인아시안게임, 2015년 인천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등 다양한 국제스포츠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4)

- 4 -

보건복지 분야에서도 양적·질적 성장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 기 반을 갖추게 됐다. 의료기관은 1981년 360개에서 2019년 3,371개로 9.4배 증가했으며, 인구 10만 명당 의료인수도 1981년 64명에서 2019 년 1,239명으로 19.4배 증가했다.

사회복지예산은 1981년 90억 원에서 2020년 3.8조 원으로 크게 증가 했으며, 사회복지시설수는 1981년 28개소에서 2019년 2,869개소로 100 배 가까이 증가했다.

보육과 교육 인프라도 크게 향상됐다. 어린이집은 1993년 251개이던 것이 2021년에는 1,833개소에 이르고 있다. 초등학교수는 1981년 55개 소에서 2020년 263개소로 4.8배 증가했으며,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는 1981년 60.5명에서 2020년 22.7명으로 크게 감소해 교육의 질적 수 준을 높였다. 고등교육 학생수는 1981년 36,220명에서 2019년에는 75,756명으로 증가했다.

박재연 시 정책기획관은 “1981년 경기도로부터 독립해 독자적인 재 정운영과 도시계획으로 인천시민의 요구에 민감히 대응하면서 현재의 도시발전을 이루어냈다고 생각한다”며 “인천형 뉴딜, 환경특별시 정책 등을 통해 양적성장뿐 아니라 질적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만큼, 인천독립 50주년을 맞는 2031년에는 인천이 경제구조 고도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룬 도시로 평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참고 > 데이터로 보는 인천독립 40년의 변화

Referensi

Dokumen terkait

‘자원순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그 동안 시에서 자원순환정책 대전환 관련 Q&A를 일괄 작성해 배포하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 시 민 입장에서 궁금한 사항을 접수해 전문성이 확보된 답변을 게시함으 로써 인천시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에 대한 적극 소통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 참여형 행사이다.. 시민들은 7월 7일부터 8월 1일 25일간

이번 협약은 인천시, 인천해양경찰서와 사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항만공사, SK인천석유화학, 포스코건설 등 7개 기관이 탄소중립에 대한 자원봉사 실천행동을 확산해 지속가능한 지 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도심 속 나무심기 사업을 위해 SK인천석유화학과 ㈜두손건설그

이번 협약은 저탄소 식생활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 캠페인 확산, 로 컬푸드 활성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협력, 기후위기 인식 개선과 탄소중립 생활 실천 등을 협력키 위해 마련됐다.. * 우리 지역의 저탄소·친환경 농식품 중심의 식사를 준비 후 건강한 한 끼를 남김없이 먹는 날 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코리아 그린푸드 데이’는

이번 행사는 인천발 KTX를 시작으로, 인천국제공항까지 철도를 연결 해 대한민국을 세계로 잇는 국제도시 인천으로 비상하겠다는 비전을 시민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다.. 인천은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도 대한민국의 핵심적인 교통요충지

인천광역시는 수도권 해양문화의 대표 거점으로 추진 중인 국립인천 해양박물관의 다양한 전시유물 확보와 시민들의 관심 제고를 위해 매 월 ‘이달의 해양유물’을 소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 선정하는 ‘이달의 해양유물 소개’는 국립인천해양 박물관 유물기증을 위한 시민참여 확산 운동의 일환으로, 매월 해양 유물의 가치를 알림으로써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인천시가 선도적으로 공공적 경험과 실행력을 가진 중간지원조직 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행정과 풀뿌리 민간 주체 간의 교류와 연계를 활성화하고, 중간지원조직 간 연계융합을 촉진하여 민관협치 시대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토대를 견고히 했다는 점 에서 중간지원조직 네트워크 출범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뜻깊고 의미

- 3 - < 대상, 한국서부발전주 서인천발전본부 분임조_전진 > 수상팀 전체 목록 수상 참가부문 회사명 분임조명 대상 현장개선 한국서부발전주 서인천발전본부 전진 최우수상 현장개선 한국가스기술공사 인천기지지사 소나무 최우수상 서비스 한전KDN주 인천지역본부 일사천리 최우수상 안전품질 한국전력공사 인천본부 Together

최근, 정부는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 커넥티드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커넥티드카를 포함한 미래자동차 산업 육성 지원을 위한 특 별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자동차연구원과 함께 커넥티드카를 미래차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자동 차연구원과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커넥티드카 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