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1호 2016.11.14
49
북미
▣미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노후화에 대한 우려 심화
¡ 미국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석유・가스 파이프라인의 60% 이상이 1970년 이전에 건설된 것 으로 노후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음.
‒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다른 5개 주에 연료유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총 연장 3,000마일)은 1956년에, 멕시코 만에서 시카고까지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총 연장 1,800마일)은 1971년에, 지난 9월 휘발유 유출 사고에 이어 이번에 폭발 사고가 발생한 Colonial 파이프라인은 1964년 가동을 시작하였음.
‒ 그러나 현재 토지 소유자와 환경주의자들의 반대로 신규 파이프라인 건설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노후화된 파이프라인에 대한 우려는 더욱 높아지고 있음.
‒ 파이프라인 안전 촉진 단체인 ‘Pipeline Safety Trust’의 Carl Weimer 회장은 시스템을 제대로 유지・관리하면 수십 년 동안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으나, 운영사가 노후 파이프라인 운영에 대 한 지식을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함.
・ 파이프라인 운영사, 업계 단체, 규제기관 등은 정기적인 유지・점검을 실시한다면 파이프라 인 모니터링 및 보수 기술 향상 등으로 파이프라인을 오랜 기간 운영이 가능하다고 밝힘.
¡ 한편, 원유 및 석유제품을 수송하는 미국 최대 송유관 Colonial Pipeline 중 휘발유 수송용 Line 1에 작업 중 화재로 인한 폭발 사고가 발생함(2016.10.31).
※ Line 1은 미국 멕시코 만 연안에서 동부와 노스캐롤라이나州를 연결하는 수송용량 140만b/d
규모의 송유관임.
‒ Line 1은 지난 9월 휘발유 유출 사고로 당시 약 2주 동안 운영이 중단된 데 이어 또다시 정상
운영에 차질을 빚게 되었음(인사이트 제16-34호(9.23일자) pp.42~43 참조).
‒ 사고 발생 후 즉시 운영을 중단했다가 6일부터 재개했으나, 사고 이전과 같은 수송량 수준을 회복하기까지는 며칠이 더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Line 1과 병행하여 경유, 항공유 등을 수송하는 Line 2는 수송을 중단했다가 사고 당일 23시 운영을 재개하였음.
‒ 앨라배마에서 펜실베이니아州 사이에는 석유정제시설이 별로 없기 때문에, 미국 남동부는 주 로 멕시코 만 연안에 위치한 정제시설로부터 파이프라인을 통해 석유제품을 공급받고 있음.
‒ 이번 사고 발생으로 텍사스州 Baytown에 위치한 ExxonMobil社의 정제시설과 Port Authur에 위치한 Total SA社의 정제시설은 생산량을 감축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짐.
5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1호 2016.11.14 자료 : EIA< 미국 Colonial Pipeline 위치도 및 운영 재개 현황 >
(Wall Street Journal, 2016.11.2.; EIA, 2016.11.3; Bloomberg, 2016.11.5)
▣미, 수압파쇄공법 이용 전면 금지는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것
¡ 미국 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 산하 21세기 에너지연구소(Institute for 21st Century Energy)는 최근 보고에서 수압파쇄공법 이용 금지가 전국적으로 실시되면 천연가스 가격이 두 자리 수로 상승하고, 휘발유와 전력 가격도 2022년까지 지금보다 두 배로 상승할 것이라고 지적함.
‒ 이 보고서에서는 2017년에 전국적으로 수압파쇄공법 이용이 금지될 경우,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에너지 생산 州(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 콜로라도, 텍사스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와 5년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함.
‒ 연구소의 Christopher Guith 정책담당 선임 부사장은 현재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60% 이상과 원유의 50%가 수압파쇄공법을 이용해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수압파쇄공법 이용 금지로 생산 량이 감소하면 에너지 가격은 급등할 것이며, 단순히 석유・가스 상류부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미국 경제 전반에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밝힘.
・ 낮은 천연가스 가격 덕분에 금년에 전력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수압파쇄공법 이용이 금지되면 이 같은 상황도 반전될 것이라고 덧붙임.
- 보고서에 따르면, 수압파쇄공법 이용 금지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는 지역은 텍사스州로
150만 개의 일자리가 줄어들게 되고 연간 GDP의 1,960억 달러가 감소하며, 텍사스 각 가
구는 연평균 4,632달러를 추가 지출하게 될 것임.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1호 2016.11.14
51
일자리 연간 GPD(억$) 가구당 지출 증감($) 텍사스 ▽1,500,000 ▽1,960 ▲4,632 펜실베이니아 ▽ 466,000 ▽ 450 ▲3,500
오하이오 ▽ 397,000 ▽ 330 N/A
콜로라도 ▽ 215,000 ▽ 260 N/A
자료 : Platts
< 수압파쇄공법 금지가 각州에 미치는 영향 >
.
¡ 주요 석유・가스 생산 州의 관계자들은 수압파쇄공법 이용 금지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
‒ 펜실베이니아州 상공회의소의 Gene Garr 회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기침체기 동안 석 유・가스산업이 사실상 유일하게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수압파쇄공법 이용 금지는 펜실베이니 아州의 경제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음.
‒ 오하이오州 상공회의소의 Zachary Frymier 에너지・환경부 총재는 가스 생산 자체도 중요하지 만, 그로 인해 파생되는 혜택이 무수히 많으며 파이프라인 등의 인프라를 비롯해 오하이오 경 제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힘.
‒ 오하이오州 석유・가스협회의 Shawn Bennett 부사장도 수압파쇄공법 이용 금지는 최근 성장 하고 있는 석유화학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피력하였음.
(Platts; Denver Post, 2016.11.4; Energy Intelligence, 2016.11.7)
▣미, ’16년 9월 원유 수출량 최고치 경신
¡ 2016년 9월 미국의 원유 수출량이 692,000b/d에 달해 지난해 12월 금수조치가 철폐된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WTI(West Texas Intermediate)유와 브렌트유의 가격 차이가 커 지고 수송비가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 지난 5월 배럴당 34센트에 불과했던 브렌트유와 WTI유의 가격 차이가 8월에는 1.88달러까지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6월에 383,000b/d로 감소했던 원유 수출량이 8월에는 656,000b/d로 증 가하였음.
‒ 당초 일부 전문가들은 해외 정유사들이 다양한 등급의 미국産 원유를 자사의 정제시설에 시험 투입하기 위해 수입한 덕분에 미국 원유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으나, Energy Aspects의 석유 전문가 Dominic Haywood는 이제 시험 기간은 끝났다고 언급함.
・ Haywood는 지난 8월 거래된 WTI유와 브렌트유의 가격 차이를 보면, 미국 원유 수출 증가
는 가격경쟁력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설명함.
‒ 지난 9월 미국은 캐나다(243,000b/d), 싱가포르(99,000b/d)를 비롯해 유럽(총 209,000b/d, 이탈 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스위스, 영국) 등 총 13개 국가로 원유를 수출하였음.
‒ 최근 유럽 정제시설에서 미국과 캐나다産 원유에 대한 정제마진이 확대되어 미국産 원유의 수입 수요 증가에 기여하고 있음.
5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1호 2016.11.14・ 이탈리아 정제시설의 WSC(Western Canadian Select)에 대한 정제마진은 지난 6월과 8월 배 럴당 각각 $6.72와 $8.92에서 9월에는 $11.09로 증가하였고, LHS(Light Houston Sweet)에 대 한 정제마진은 7월과 8월 배럴당 각각 $1.15와 $2.62에서 9월에 $4.19로 증가함.
‒ 또한, 수에즈 운하를 이용한 원유 수송비 하락도 원유 수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음. 2016년 1~7 월까지 평균 $7.94/톤(13만 톤급 유조선 기준)에 달하던 미국産 원유의 유럽까지 수송비가 지 난 8월에는 $5.26/톤으로 하락하였음.
・ 미국에서 싱가포르까지 원유 수송비도 금년 1~7월까지 평균 $24.73/톤(13만 톤급 기준)에서 지난 8월에는 $13.28/톤으로 하락하였음.
¡ 그러나 10월부터 브렌트유와 WTI유의 가격 차이가 배럴당 평균 $1.13 수준으로 축소되어, 이 같은 수출 성장세를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
‒ 나이지리아가 원유 생산을 재개한 바 있고 유럽에서 저유황경질원유(light sweet crude oil)에 대한 정제마진이 줄어들고 있기는 하지만, 10월부터 현재까지 미국産 원유에 대한 정제마진이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수출량이 급감하지는 않을 것임.
(EIA, 2016.10.27; Platts, 2016.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