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의 경제성 분석 및 평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의 경제성 분석 및 평가"

Copied!
6
0
0

Teks penuh

(1)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의 경제성 분석 및 평가

해외정보분석실 한혜진([email protected]), 최승은([email protected])

Gazprom은 2월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 건설에 대한 최종투자결정을 발표함.

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의 가스 공급원으로 사할린-III의 Kirinsky 광구, Chayanda 가스전, Kovykta 가스전을 계획하고 있음.

Wood Mackenzie 전문가들은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공급에 관한 3개 시나리오 (‘Kirinsky 광구’, ‘Chayanda’, ‘Kovykta Chayanda’ 시나리오)를 발표 함. 이 가운데 일본 도착지 기준 단위당 비용은 ‘Kovykta Chayanda’ 시나리 오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분석됨.

Gazprom은 3개 가스매장지 가운데 한계 가스전 역할을 하는 Chayanda 가스전을

기초로 해서 對중국(PNG)・한국(PNG)・아·태지역(LNG) 수출 전략을 구상할 것으 로 예상됨.

1.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최종투자결정

ㅇ Gazprom은 지난 2월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추진에 관한 회의를 갖고, 블라 디보스톡 액화플랜트 건설에 대한 최종투자결정을 발표함.

- 액화플랜트는 연해주 Lomonosov반도 Perevosnaya만에 건설되며, 액화플 랜트의 생산용량은 총 1,500만 톤으로 500만 톤급의 3개 트레인으로 구 성됨.

-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은 단계적으로 추진하는데, 2018년 초기 생산량은 연 500만 톤, 이후 2020년 내로 연 1,000만 톤까지 증대시킴.

- 전문가들은 연간 1,000만 톤 규모의 액화플랜트 건설비용을 약 140억 달러 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Gazprom의 평가치(70억 달러)보다 2배 높은 수 준임.

ㅇ 한편, 같은 날 Gazprom은 블라디보스톡-LNG 시설건설 사업 차원의 기술협력 에 있어 일본, 중국 등의 외국파트너와 협력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발표함. - 당초 Gazprom은 일본 컨소시엄인 Japan Far East Gas Co.(Itochu, JAPEX,

Marubeni, Inpex, Cieco)과 협력해서 동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했음.

- Gazprom과 일본은 2012년 9월 블라디보스톡-LNG 사업과 관련해서 액화 플랜트 조기건설과 자금조달 및 판매부문에 대한 협력협정을 체결했으나, 이러한 MOU 내용에는 액화플랜트 건설 및 기술협력에 대한 내용은 빠져 있었음.

“블라디보스톡 LNG 사업은 단계적으로 추진하여 2020년 내 연 1천만 톤까지 증대 계획”

(2)

- MOU 체결 당시 Gazprom은 2013년 초에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에 대한 투자타당성 조사를 완료하면, 사업시행 모델을 검토하고 기술협력 파트너기 업을 유치할 예정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2.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의 가스 공급원

ㅇ Gazprom은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의 가스 공급원으로 극동 및 동시베리아

내 3개 가스생산센터(사할린, 야쿠츠크, 이르쿠츠크)를 계획하고 있음.

- 초기에는 사할린-III의 Kirinsky 광구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공급하고, 이후에 는 Chayanda 가스전과 Kovykta 가스전 가스를 공급함.

□ Kirinsky 광구(사할린-III)

ㅇ 사할린 대륙붕에 위치해 있는 Kirinsky 광구는 Kirinskoye, South Kirinskoye, Lunskoye, Mynginskoye 가스·콘덴세이트전으로 구성되어 있음.

- Kirinky 광구의 예상매장량은 가스 10Tcf, 콘덴세이트 4억 배럴로, 현재까지 확인된 가스 매장량은 137Bcm, 콘덴세이트 확인매장량은 1,590만 톤임.

- 현재 Kirinsky 광구는 국내시장 및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공급을 위해 개 발되고 있으며, Gazprom은 2017년경 14Bcm/y(약 1,350mmcf/d)의 생산량 을 목표로 하고 있음.

- 그러나 전문가들은 2017년에 6~7Bcm 정도를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ㅇ Gazprom의 Aleksei Miller 회장은 금년 내로 Kirinskoye 가스전을 탐사단계에 서 개발단계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4월 4일 밝힌 바 있음.

- 또한, Gazprom은 현재 South Kirinskoye 매장지에 대한 탐사 시추 계획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언급함.

ㅇ 전문가들은 사할린지역에서 생산되는 가스 물량만으로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 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Kirinsky 광구에서의 생산량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평 가하고 있음.

- 장기적으로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에 안정적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는 Kirinsky 광구 주변의 추가적인 매장지 개발이 필요함.

- 또는 현재 개발단계에 있는 사할린-I 가스를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에 공 급하는 방안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Gazprom이 사할린-I 운영사인 ExxonMobil로부터 사할린-I 가스를 전량 구입해야 가능함.

Gazprom은 2009년부터 ExxonMobil에게 사할린-I 가스 전량을 국내 판매가격 으로 판매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ExxonMobil은 지금까지 아무런 대답을 하 지 않고 있음.

“Kirinsky 광구는 국내시장과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공급을 위해 개발 중이며, 2017년경 14Bcm/y의 생산량 목표”

(3)

□ Chayanda 및 Kovykta 매장지

ㅇ Gazprom은 2012년 10월 Chayanda 매장지에 대한 최종투자결정을 내리고, Gazprom의 동부 가스프로그램 2단계 사업(야쿠츠크 가스생산센터 개발 및 Chayanda에서 하바로프스크까지 가스관 건설)의 착수를 발표함.

- Chayanda 매장지의 추정매장량(A+B+C1+C2)은 가스 1.3Tcm, 콘덴세이트 7,940만 톤으로 추산됨. Gazprom은 여기에서 2014년부터 콘덴세이트 생산, 2016년부터 가스생산을 개시할 계획임.

- 전문가들은 Chayanda 매장지의 예상 생산량은 연 25Bcm으로 전망함.

- Chayanda 매장지 개발이 이루어지면, 야쿠츠크 가스생산센터 내 다른 중 소 형 가스전들의 개발도 가능해질 것임.

- Chayanda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가스는 3,200km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블라 디보스톡까지 수송될 것이며, 건설비 절감을 위해 가스관은 ESPO 송유관 노 선을 따라 건설될 것임.

ㅇ 이르쿠츠크주에 위치한 Kovykta 가스전은 동시베리아지역에서 가장 큰 매장 지로, 가스 추정매장량(A+B+C1+C2)은 1.5Tcm, 가스콘덴세이트 가채매장량은 7,700만 톤으로 추산됨.

- Kovykta 가스전은 현재 생산단계에 있으며, 예상되는 최대 생산량은 약 40Bcm/y(3,800mmcf/d)로 전망됨.

- Kovykta 가스전에서 생산된 가스를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로 공급하는 것

은 동부 가스프로그램 3단계에 포함되어 있음.

ㅇ 한편, Gazprom과 지방정부는 Chayanda 및 Kovykta 가스전에 있는 다량의 헬 륨(A+B+C1+C2기준 매장량 378bcf)자원을 가공하는 공장을 건설하려고 함. - Gazprom은 아무르주 Belogorsk지역에 헬륨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여기에서

가공되는 헬륨을 아무르주 Blagoveshchensk를 통해 중국에 수출하려고 함.

- Gazprom은 프랑스 Air Liquide, 독일의 Linde, 그리고 일본의 Matheson 등 과 헬륨 생산, 수송, 판매, 기술개발 등에 대한 협력 MOU를 각각 체결함.

3.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의 3개 시나리오

□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공급 시나리오

ㅇ Wood Mackenzie 전문가들은 블라디보스톡-LNG 사업 추진과 관련해서 다음 과 같은 3개 시나리오를 발표함.

- ‘Kirinsky 광구 시나리오: Kirinsky 광구에서 생산되는 가스 물량(최대

14Bcm)만으로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에 공급함. 가스는 사할린-하바로프

“이르쿠츠크 Kovykta 가스전은 동시베리아지역에서 가장 큰 매장지로 최대 생산량은 40Bcm/y로 전망”

(4)

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을 통해 수송됨.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은 약 1,830km 길이의 가스관으로 2011년 9월 1단계 사업구간이 개통됨. 1단계 사업구간의 가스 수송용량은 연 6Bcm이며, 2015년 이후에서 30Bcm까지 증대될 예정임.

- ‘Chayanda’ 시나리오: 2022년부터 Chayanda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로 공급함. 이 때 Chayanda에서 생산되는 가스는 Chayanda 가스전-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일명 ‘Sila Sibiri’ 가스 관)을 통해 수송되며,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와 국내시장에 공급됨.

- ‘Kovykta Chayanda’ 시나리오: Chayanda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블라디보스톡 액화플랜트로 연간 1천만 톤, Kovykta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가스 중에 38Bcm은 지선을 통해 중국으로, 그리고 나머지 물량은 국내시장 에 각각 공급됨.

지난 3월 28일 중-러 정상회담에서 Gazprom은 서부노선(일명 Altai 가스관)보 다 먼저 동부노선을 통해 중국으로 38Bcm/y 공급할 것이며, 금년 말까지 가스 계약 체결을 기대한다고 중국 측에 전달함.

‘Kirinsky’ ‘Chayanda’ ‘Kovykta

Chayanda’

공급원 Kirinsky광구 Chayanda 매장지 Chayanda

Kovykta 매장지 매장지 개발비(억$) 64 133 133(Chayanda)+

180(Kovykta) 가스관 수송용량(mmcf/d) 1,350

(약 1,000만톤)

1,350

(약 1,000만톤) 5,710

가스관 연장(km)

1,837 (사할린-하바로프스크-

블라디보스톡)

3,200 (Chayanda-하바로프스

-블라디보스톡)

4,000 (Kovykta-Chayanda-

하바로프스크 -블라디보스톡) 파이프라인 직경(inch) 48* 36**+48* 48***+56**+48*

파이프라인 건설비(억$) 79 112 261

LNG 생산량(1만 톤/y) 1,000 1,000 1,000

* 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구간

** Chayanda~하바로프스크 구간

*** Kovykta~Chayanda 구간 자료 : Wood Mackenzie (2012.12)

< 블라디보스톡-LNG 사업의 3개 시나리오 >

□ 3개 시나리오의 경제성 분석

ㅇ 3개 시나리오 가운데 일본 도착지 기준 단위당 비용(break-even costs)은

‘Kovykta 및 Chayanda’ 시나리오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음.

- ‘Kirinski 광구’ 시나리오: US$10.92/mcf - ‘Chayanda’ 시나리오: US$12.84/mcf

“3개 시나리오 가운데 일본 도착지 기준 단위당 비용은

‘Chayanda 및 Kovykta’

시나리오가 가장 저렴”

(5)

- ‘Kovykta 및 Chayanda’ 시나리오: US$10.57/mcf

ㅇ 즉, Kovykta 가스전과 Chayanda 가스전을 통합해서 중국(PNG)과 아・태지역 (LNG)으로 공급할 때, 규모의 경제로 인해서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음. - ‘Kirinsky 광구’ 시나리오도 상대적으로 낮은 상류부문 개발비로 인해서

‘Kovykta 및 Chayanda’ 시나리오와 비슷한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

- Kirinsky 광구의 경우에 Kovykta와 Chayanda보다 월등히 많은 콘덴세이트 매장량이 높은 경제성을 뒷받침하고 있음. 즉, 콘덴세이트 판매는 Kirinsk 광 구 개발비의 대부분을 상환할 것임.

자료 : Wood Mackenzie(2012.12)

< 3개 시나리오의 일본 도착지 기준 단위당 비용(break-even costs) 비교 >

4. 평가 및 전망

ㅇ Gazprom은 3개 가스매장지 가운데 한계 가스전 역할을 하는 Chayanda 가스 전을 기초로 해서 對중국(PNG)・한국(PNG)・아·태지역(LNG) 수출 전략을 구 상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Kirinski 광구’ 시나리오만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방식은 실현 가능성 이 낮을 것으로 평가됨. 또한 지금까지 Kirinskoye 가스전에서의 만족스럽지 못한 탐사 시추 결과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Gazprom의 입장에서는 상기 3개의 시나리오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Chayanda 가스전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판단됨. 즉, 블라디보 스톡 액화플랜트 가동 초기(2018년 500만 톤/연)에는 Kirinski 광구 물량으 로 공급하고, 이후 LNG 생산량이 증대되면 Chaynada 가스 및 Kovykta 가 스를 공급함.

“Gazprom은 Chayanda 가스전을 기초로 對중국(PNG)・한국 (PNG)・아·태지역 (LNG) 수출 전략을 구상할 것으로 예상”

(6)

- 특히, 블라디보스톡 LNG는 아 태시장에서 북미, 호주, 그리고 동아프리카

LNG와 경쟁을 해야 함. 그래서 Gazprom은 가능한 많은 가스전을 공급원으

로 삼아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켜 가격경쟁력을 제고시키려 할 것임. - 그러나 ‘Chayanda 및 Kovykta’ 시나리오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난

항을 겪고 있는 중-러 간 가스가격 협상이 성사되어야 할 것임. 앞서 언급했 듯이 러시아는 금년 말로 예정되어 있는 중-러 간 정상회담에서 가스계약 체 결을 목표로 삼고 있음.

ㅇ 또한, Gazprom은 생산단가를 인하시키기 위해 러시아 정부에 대해 동시베리 아・극동지역(대륙붕 포함) 내 가스전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 면제혜택을 요구 하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러시아 에너지부는 2012년 11월 동시베리아 가스전 개발에 대해 생산 개시 이후 25년간 가스 지하자원채굴세 면제 필요성을 발표했고, 이후 Aleksei Moiseev 재정부 차관은 2014년부터 자국 내 대륙붕 개발기업들에 대한 세 제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지난 3월 발표함.

- 세제혜택이 적용될 경우, Gazprom은 Chayanda 가스전의 개발비용이

$3.62/mcf에서 $2.41/mcf까지 감소할 것으로 기대함.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JOGMEC, “ロシア:形ができた北東アジア天然ガス・フロー構想-ロシアの 対中ガス供給、ウラジオストックLNG、サハリン-1のガス開発が方向 性-”,2013.3.22

Wood Mackenzie, “Vladivostok LNG: Promoting development of East Siberian gas”, 2012.12

“Gazprom은 생산단가 인하 위해 동시베리아·극동지 역 내 가스전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 면제혜택 요구”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