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개요
1) 각 사회의 시대적, 구조적 조건에 따른 교육 현상-문화-제도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그 다양성 이면에 작용하고 있는 보편적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우리 교육의 성격과 과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해결하 는 능력을 기른다.
2) 양적 인식론, 발전론, 문화식민주의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기존의 비교교육학을 비판적으로 해체- 재구성하여 대안적인 비교교육학을 모색한다.
교과서
(1) 서덕희(2008), <홈스쿨링을 만나다>, 서울: 민들레.
(2) 福⽥誠治(2006), <경쟁やめたゔ학력세계>, 東京: 朝⽇新聞社. 나성은·공영태 역(2008), <경쟁에서 벗어 나 세계 최고의 학력으로: 핀란드 교육의 성공>, 서울: 북스힐.
성적평가방법
1) 연구보고서: 60%(중간 30% + 기말 30%) 2) 읽고서: 30%(읽기교재 2편 x 15%) 3) ETL 활동: 10%
4) 출석 및 수업참여도: 위 세 가지 성적에 가감 반영
비교교육학
2011년 2학기 조용환(서울대)
참고서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2000), <세계의 학교교육과 교사양성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공일주(1996), <아랍문화의 이해>,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곽노의 외 4인(1996), <비교유아교육론>, 서울: 양서원.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1997), <세계 속의 한국교육>,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2007), <대한민국 교육 40년: 공교육 정상화, 대학 발전, 평생학습사회를 향한 전 진>, 서울: 한스미디어.
권이종(1985), <유럽 주요국의 교육제도>, 서울: 배영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2010), <조선 전문가의 일생>, 서울: 글항아리.
김두정 외 3인(1988), <학교 교육과정의 쟁점과 대응책: 국제비교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민정 외(1997), <동남아의 사회와 문화>, 서울: 오름.
김선규․김인식․최호성(2000), <남북한 국사교과서 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김영명(2001), <행복한 아이 행복한 사람들: 독일 킨더가르텐의 아이들>, 서울: 학지사.
김옥순 편역(1993), <비교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용학․임현진(2000), <비교사회학: 쟁점, 방법 및 실제>, 서울: 나남출판.
김웅진․김지희(2000), <비교사회연구방법론: 비교정치․비교행정․지역연구의 전략>, 서울: 한울 아카데미.
김윤정(2010), <다문화교육과 공생의 실현: 재일한국인을 통해 본 다문화시대의 교육>, 서울: 일조각.
김은미 외(2011), <SNS 혁명의 신화와 실제: ‘토크, 플레이, 러브’의 진화>, 서울: 나남.
김이경(2007), <OECD 학교장 리더십 개선 국제비교연구(II): 주요국 쟁점 및 사례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 발원.
김인숙(2010), <너는 젊다는 이유 하나로 사랑받기에 충분하다>, 서울: 휴.
김진아 외(2009), <열정 세대: 상상력과 용기로 세상을 바꾸는 십대들 이야기>, 서울: 양철북.
김태완 외 3인(1991), <한국·중국·독일의 교육통합정책에 관한 심포지움 보고서>, 서울:한국교육개발원.
김현미(2005), <글로벌시대의 문화번역>, 서울: 또 하나의 문화.
김형주(1997), <문화로 본 러시아>, 서울: 두리.
문옥표(1994), <일본의 농촌사회: 관광산업과 문화변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문옥표 외 8인(2000),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 서울: 백산서당.
박세훈(2008), <변하고 있는 미국 교육>, 서울: 원미사.
박영숙․박인종(1987), <초·중등교육 국제비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준(1993), <세계의 자녀양육>, 서울: 양서원.
서범종(2008), <조선시대 독서당 연구>, 서울: 원미사.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편(2007), <세계화의 역사와 패권 경쟁>,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편(2007), <차이를 넘어 공존으로: 스페인어권 세계의 문화 읽기>, 서울: 서울대 학교출판부.
서정화 외 3인(1980), <주요국가의 교육행정제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성내운 외 2인(1983), <세 학교의 이야기>, 서울: 학민사.
신세호 외 9인(1991),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신용석(1991), <현장에서 본 프랑스 교육>, 서울: 서당.
심영섭․이종각(1990), <두 문화 속의 한국교육>, 서울: 문음사.
안영옥(2005), <스페인 문화의 이해>(제2판),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양동휴(2007), <세계화의 역사적 조망>,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양승윤(1994), <인도네시아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연변대학(1987), <연변 조선족 교육사>,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우실하(1997),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문화 바로 읽기>, 서울: 소나무.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편(1982), <세계의 취학전교육 I, II>, 서울: 배영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편(1986), <세계의 영재교육 I, II>, 서울: 배영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편(1988), <국제이해교육의 길잡이>, 서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윤병희 외 5인(1996),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서울: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윤수종 편(2002), <다르게 사는 사람들: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이야기>, 서울: 이학사.
윤정일 외 5인(1995), <한일간 교사교육 제도 및 정책 비교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이광규(1994), <재중한인: 인류학적 접근>, 서울: 일조각.
이득기․이충원․안세근(1996), <비교교육학: 연구방법과 교육개혁>, 서울: 문음사.
이용숙 외 3인(1985), <고등학교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용숙 외 5인(1986), <교수-학습자료 활용 실태 및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인류학적 국제비교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용숙 외 2인(1994), <교육과정 개혁 국제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용숙 외 5인(1995), <교과서 정책과 내용구성 방식 국제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재천(2000), <조선조 성균관교육과 유생문화>, 서울: 아세아문화사.
전경수 외(2008), <혼혈에서 다문화로>, 서울: 일지사.
전효선(2007), <국내외 교실 학습 연구(I): 한국, 영국, 프랑스, 일본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정광필 외(2008), <이우학교 이야기>, 서울: 갤리온.
조용환(1997), <사회화와 교육: 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서울: 교육과학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조용환(2000), 인터넷시대의 교육인류학적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제3권 제3호, pp.163-183.
조용환(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제4권 제2호, pp.1-27.
조용환(2004),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제7권 제2호, pp.55-75, 서울: 한국교육인류학 회.
조용환(2007),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과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편 <다문화 사회의 이 해>, pp.226-261, 서울: 동녘.
조용환(2009), <고등학생의 학업생활과 문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조용환(2009), <경기도 대안학교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조용환(2010), 교육을 보는 눈. 이정전 외 <세상을 보는 눈: 인문>, pp.11-47, 서울: 이슈투데이.
조용환(2011),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과 평가>, 서울: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조용환 외 2인(1990), <외국 교과서 한국 관련 내용 연구의 종합적 검토>,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조용환·윤여각·이혁규(2006), <문화와 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차향선(1999), <한국과 일본의 근대 초등 공교육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영표 외 2인(1988), <북한과 중국의 교육제도 비교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최운실 외 2인(1988), <사학 국제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최정웅 외 6인(1995), <비교교육발전론>, 서울: 교육과학사.
한경구(1994), <공동체로서의 회사: 일본기업의 인류학적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문화인류학회 편(2003),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서울: 일조각.
한국문화인류학회 편(2006),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개정증보판), 서울: 일조각.
한국비교사회연구회 편(1990/1992), <비교사회학: 방법과 실제 I, II>, 서울: 열음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2001),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 한․중․일 문화비교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서울: 백산서당.
한종하 외 2인(1982),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현주 외 2인(1994), <중·고등학생의 논리적 사고 및 정의적 발달 특성 조사 연구: 1982년과 1994년의 비 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姜尙中(1996: 이경덕․임성모 역, 1997),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서울: 이산.
하라 히로꼬(최정순 역, 1989), <어린이의 문화인류학>, 서울: 삼동자.
郭⿑家/이경자 역(2004), <중국의 고대학교>, 서울: 원미사.
內⽥ 樹(2007)/박순분 역(2007), <하류지향: 공부하지 않아도, 일하지 않아도 자신만만한 신인류 출현>, 서울: 열음사.
⾺越 徹(1997: 한용진 역, 2001), <한국 근대대학의 성립과 전개: 대학 모델의 전파 연구>, 서울: 교육과 학사.
Aho, E., Pitkanen, K., & Sahlberg, P.(2009), Policy Development and Reform Principles of Basic and Secondary Education in Finland since 1968. 김선희 역(2010), <에르끼 아호의 핀란드 교 육개혁 보고서>, 서울: 한울림.
Altbach, P.(1987), Higher Education in the Third World, New York: Adven Books. 김성재 역 (1992), <제 3세계의 고등교육>, 서울: 현대사상사.
Appadurai, A.(2006), Fear of Small Numbers: An Essay on the Geography of Anger,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장희권 역(2011), <소수에 대한 두려움>, 서울: 에코리브르.
Barral, d'E.(1999), Otaku, les Enfants de virtuel, Paris: Editions Denoel. 송지수 역(2002), <오타쿠, 가상 세계의 아이들>, 서울: 문학과지성사.
Bronfenbrenner, U.(1970), Two Worlds of Childhood: US and USSR, New York: Simon and Schuster. 김영철 역 (1987), <두 세계의 어린이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Darisuren, Y.(2007), <몽골과 한국 간 교원양성제도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Gandhi, L.(1998), Postcolonial Theory: A Critical Introduction, New York: Allen & Unwin. 이영욱 역(1999),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서울: 현실문화연구.
Gatto, J. T.(1992), Dumbing Us Down. 김기협 역(2005), <바보 만들기>, 서울: 민들레.
Harris, M.(1974), Cows, Pigs, Wars and Witches: The Riddles of Culture, New York: Vintage Books. 박종열 역(1982), <문화의 수수께끼>, 서울: 한길사.
Hofstede, G.(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 Hills.
차재호․나은영 역(1995), <세계의 문화와 조직>, 서울: 학지사.
Kelm, A.(조흥윤 역, 1985), <제 3세계와 유럽 어린이의 나날>, 서울: 정음사.
Koetzsch, R.(1997), The Parents' Guide to Alternatives in Education. 교육이론실천연구회 역 (2007), <대안학교 길잡이>, 서울: 교육과학사.
Melmann, A.(이충원 역, 1981), <비교교육제도론>, 서울: 배영사.
NIER (Ed.)(강환국 외 역, 1982), <아시아 제국의 도덕교육>, 서울: 배영사.
NIER (Ed.)(강환국 외 역, 1987), <구미 제국의 도덕교육>, 서울: 배영사.
Petrovich, J. & Wells, A. Ed.(2005), Bringing Equity Back: Research for a New Era in American
Educational Polic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김안나․정회욱 역(2009), <교육의 수월 성과 형평성: 미국 교육개혁의 교훈>, 서울: 교육과학사.
Said, E. W.(1978), Orientalism, New York: Pantheon Books. 박홍규 역(1991), <오리엔탈리즘>, 서 울: 교보문고.
Shils, E.(1981), Tradi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김병서․신현순 역(1992), <전 통: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서울: 민음사.
Smudt, B.(?), Conversations with Great Teachers. 노상미 역(2011), <가르친다는 것은>, 서울: 이매 진.
Tobin, J., D. Wu and D. Davidson(1988), Preschool in Three Cultures: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강득희, 이경 역 (1993). <비교문화적으로 본 유아교육기관>, 서울: 서원.
Wolpert, S.(1990), India, Berkeley, CA: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이창식․신현승 역(1999),
<인디아, 그 역사와 문화>, 서울: 가람기획.
* 저널 <비교교육연구>, 한국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회 저널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저널 <비교문화연구>,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저널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사전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사전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National Systems of Education
강의계획
주 강의내용
1주 강의 안내 2주 휴강: 추석
3주 <강의> 비교, 비교연구, 비교교육학
4주 <강의> 비교연구의 목적과 난점, 다양한 접근방법 - 발표 과제안 제출 5주 <강의> 교재 (1)에 대한 토론, 발표 과제 및 일정 조정 - 독후감 (1) 제출 6주 <강의> 비교교육학의 쟁점들, 발표 일정 확정
7주 <강의> 교재 (2)에 대한 토론 - 독후감 (2) 제출
8주
<발표> 학교제도(1)
쟁점 --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 국․공․사립학교, 대안학교 교사(양성, 자격, 임용, 지위), 학생(관심, 고민, 일탈)
교육과정, 교과서, 평가, 교육매체, 숙제, 개별화/수준별 수업 등
9주
<발표> 학교제도(2)
쟁점 -- 취학, 입시, 진학, 월반/유급, 졸업, 남녀공학, 체벌, 상담, 학부모 참여, 학교운영위원회, 촌지 등
10주
<발표> 교육이념과 교육여건
쟁점 -- 교육적 인간상, 교육의 가치, 학교교육의 기능과 의미 교육재정, 의무교육, 시설, 장학금
교육열, 학원, 과외, 사교육, 소수집단이 경험하는 문화적 장벽 등
11주
<발표> 평생교육
쟁점 -- 원격통신교육, 독학사, 학점은행, 박물관교육, 사회교육 기관과 시설 기업교육, 노동교육, 인력 개발/관리 정책 등
12주 <발표> 가정교육
쟁점 -- 초기사회화, 기초생활교육, 용돈, 성교육, 홈스쿨링 등
13주
<발표> 청소년문제, 교육행정
쟁점 -- 아동-청소년-성인, 자립도(홀로서기), 일탈/비행
교육행정기구, 장학, 연수, 잡무, 교육지방자치제도, 교육개혁 14주 <강의> 정보혁명시대 비교교육학의 과제
15주 <종강> 종합 질의토론 16주 기말 보고서 제출 (교과서의 각 장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