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학
권원기 저
제1절 사회의 의의
1
사회의 가변성
► 사회는 자연과 다르게 가변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왜 사회는 가변적일까?
- 사회를 구성하는 인자가 사람이기 때문
► 인간의 속성
- 변화무쌍
- 하루에도 열두 번 이상 변덕스런 존재
수시로 변덕을 부리는 가변적인 인간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 사회인데, 그렇다면 그 사회 또한
가변적이지 않을 수 없다.
2
사회의 성격형성
► 사회도 나름대로의 성격을 형성하고 있다.
- A지역사회는 A라는 성격을, B지역사회는 B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 일정 공간 내에 거주하는 인간의 성향이 비슷한 이유
- 첫째, 오랫동안 이어져 온 정신과 물질 교육
- 둘째, 자연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행동양식을 보여주는 것
- 셋째, 성향이 비슷한 사람끼리 모여 사는 것을 선호하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해당지역의 성격모습으로 굳어질 수 있다.
3
사회의 의미
일반적으로 사회는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형성하며 국가나 권력으로부터 지나친 억압 또는
강제를 당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사회구성
원들 간의 관계가 형성되는 시민사회’를 의미
► 사회는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 사회는 인간에게
‘질서의 울타리’
와 같다.- 사회는 무질서한 면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질서를 추구하는 속성이 있다. 그래야만 사회 구성원들이 예측 가능한 행동 을 하게 되고 서로의 안위를 위해 노력할 수 있게 된다.
사회가 인간들에게 질서를 갖고 있는 울타리 역할을 할 때, 비로소 사회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제2절 사회와 인간의 관계
1
인간의 진화
► 본래 인간의 출현 초기에는 사회란 것이 없던 것으로 추측
► 인간이 모여 살다 보면 어느 정도 질서라는 것이 필요
인간의 진화는 사회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는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탄생 한
‘보이지 않는 생명체’와 같다고 할 수 있다.
▪ 인간의 불의 사용 - 동물들에게 잡아 먹히는 생활 청산
▪ 농경의 시작 - 인간을 한 장소에 모여 살게 함
▪ 문자의 사용 - 보다 정교한 사회 질서를 구축
2
사회와 인간의 영향
1) 사회의 영향
► 사회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인간에게 수많은 영향을 미친다.
► 사회라는 존재는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분명히 인간들을 구속 내지는 간섭하고 있다.
► 사회는 인간에 대해 간섭하고 구속하며, 각종 세금이나 사용료 등 의무만을 부과하는 마이너스적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사회는 사회구성원인 개인에게 여러 가지 플러스 이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해준다.
사회는 개인 한 명 한 명을 보호하는 면에서 보면 일종의 ‘개인보호의 우산’과 같은 역할을 수행
한다. 반대로 사회를 각종 의무를 부과하는 괴롭
히는 존재로 본다면 ‘개인의 약탈자’로 비춰질 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사회를 갈망하면서도 때로
는 사회에 대해 부담을 느끼기도 한다.
2) 인간의 영향
► 개인 또는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 개인 한 명 단위로 사회에 영향을 주는 것만이 아니라 어떤 때는 집단의 노력으로 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