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반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반응"

Copied!
44
0
0

Teks penuh

(1)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반응

( )

兪 蓮 實 全南大

. 머리말

맬서스주의의 전파와 인구문제 .

인식

마거릿 생어의 산아제한론의 전파 .

지식인의 산아제한에 관한 논쟁 .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반응 .

. 맺음말

. 머리말

마거릿 생어

(Margaret Sanger, 1879 1966)

∼ 는 미국의 저명한 산아제 한 운동가로서 산아제한연맹

(The Birth Control League)

을 결성하고 산아제한진료소

(Clinics)

를 설립하여 피임 지식의 전파와 피임 의료의 보급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

1) 산아제한이란 일반적으로 금욕과 낙 태 영아 살해를 포함해서 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등의 재생산을 통제ㆍ 하는 여러 방법을 의미했으나

, 1914

년 마거릿 생어가 산아제한

(Birth

이란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면서 과학적 피임법을 이용한

Control)

수태 조절을 의미하게 되었다

.

마거릿 생어는 신맬서스주의

(Neo-

1) 마거릿 생어의 일생과 그녀의 산아제한 사상에 대해서는 버지니아 코이니, 안정숙 옮김, 마가렛 생거 이유있는 반항 풀무( , 1979); 이남희,마가렛 생어 와 미국산아제한운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Margaret Sanger) , 1910 1940 (

석사학위논문, 2006); 이창신, 여성의 육체에 대한 여성의 권리 마거릿 생어: 와 미국의 산아제한 운동( 미국학논집 40-2, 2008 1 ), pp.215 250년 월 참고.

(2)

와 우생학 을 이론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자발

Malthusianism) (Eugenics)

적 모성성

(Voluntary Motherhood)’

을 부각시키며 여성의 육체에 대한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였다 즉 마거릿 생어는 이전까지 경제적 혹은

.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어 오던 산아제한을 여성을 위한 문제로 전환‘ ’ 시키면서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라는 성과를 이루어냈던 것이다

, .

마거릿 생어는

1922

4

월 중국을 방문하여 北京과 上海에서 여러 차례 산아제한에 관한 강연회를 개최하였다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

.

에는 북경대학교의 蔡元培 胡適 張競生ㆍ ㆍ 및 婦女雜誌 의 주요 필진 이었던 章錫琛 周建人ㆍ 2)과 같은 五 四ㆍ 신문화운동의 리더급 인물들이 참여하여 그 시대적 의미를 더했다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을 계기

.

로 중국의 지식인들은 인구 우생학 성도덕 여성해방과 같은 다양한ㆍ ㆍ ㆍ 사회적 현안을 산아제한과 연계지어 토론하기 시작하였고 산아제한

,

단체의 설립과 피임 의료의 보급 등 근대적 의미의 산아제한 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

3) 이러한 시대적 의미가 있는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 과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해 적지 않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여왔 다

.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에 관한 연구는 주로 ① 마거릿 생어의 산 아제한론의 중국 전파

,

4) ② 五 四ㆍ 시기 산아제한 사조의 형성

,

5)

2)章錫琛(1889 1969) 1921 년부터1925년까지 婦女雜誌 의 주편을 맡았는데, 그는 兒制限號” “婦女運動號” “配偶選擇號” “新性道德號와 같은 특집호 를 출판하여 자유연애와 성문제를 공론화하였다. 周建人(1888 1984) 婦女 의 보조편집자로 활동하며(1921 10 1925 8 )년 월 연애 혼인 이혼

雜誌

문제에 관한 155편의 문장을 발표하였다.

3) 유연실, 民國時期 산아제한 단체의 설립과 피임의 의료화( 中國近現代史硏 41, 2009 3 ), pp.63 96.

4)張倩紅,試論瑪格麗特 桑格的節育理論及其對中國的影響 ( 河南大學學報 社會(

) 32 4 , 1992 7 ), pp.86 92; ,

科學版 丁莉芳 楊東銘 試述桑格夫

( , 1999 2 ), pp.100

人的生育節制主義及對中國的影響 廣西 育學院學報

102; 劉治剛 趙介民, 節育運動創業史上 瑪格麗特 桑格的成功與張競生的:

失敗( 醫學與哲學 第213 , 2000 3 ), pp.55 56; 王雪峰, 20 世紀 20年代中國的節制生育思潮與實踐 以桑格夫人來華爲中心的考察: ( 魯東大學學報 (哲學社會科學版) 255 , 2008 9 ), pp.34 39.

(3)

의 산아제한 특집호의 의미

,

婦女雜誌 6) ④ 五 四ㆍ 시기 여성해방과 산 아제한의 연관성7) 등에 집중되었다 기존의 연구는 마거릿 생어의 중

.

국 방문에 대한 지식인들의 동향과 산아제한에 대한 중국 사회의 반응 을 이해하는데 적지 않은 공헌을 했으나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여전히 연구의 공백을 남기고 있다 첫째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의 시대적

. ,

배경에 관한 분석이 미흡하였다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의 동기를

.

이해하기 위해서는 淸末 맬서스주의와 신맬서스주의의 유입에 따른 인 구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라는 측면이 선행적으로 연구되어야 한 다

.

8) 즉 마거릿 생어의 산아제한론의 수용을 맬서스주의의 전파와 연 계지어 살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연구는 지식인들의

. ,

산아제한에 대한 논쟁을 여성해방 성도덕 인구문제 우생학과 같은ㆍ ㆍ ㆍ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지 않았다 특히 지식인들의 산아제한 논쟁에

.

5)梁景和,五四時期生育節制 思潮述略 ( 史學月刊 , 19963 ), pp.49 68;

, : 1920

姚毅 母性自決民族改良 年代中國における兒調節 言說 中心 ( 中國女性史 11 , 2002 1 ), pp.1 16; 陳江明, 民國生育節制運

( , 2002 6 ); ,

動與人口政策 復旦大學歷史系碩士學位論文 關威 五四時期國人

( 51 , 2003 3 ), pp.34 39; ,

生育觀念的 變 婦女 究論叢 第 陳文聯

( ( ) , 2003

五四時期先進知識分子的生育節制思想 華中科技大學學報 社會科學版

1 ), pp.113 117; , :

尹旦萍 中國計劃生育的先聲 論新文化運動時期的 兒產 ( , 2004 5 ), pp.68 70; ,

制限論 江漢論壇 包樹芳 民國時期節育思潮初探 (揚州大學歷史系碩士學位論文, 2004 5 ); 關威,新文化運動與科學性觀念的

( ( ) 2004 6 ), pp.79 83; ,

傳播 首都師範大學學報 社會科學版 蓮實

( 108 , 2008 5 ), pp.128 146.

國時期關於 生育節制 的四大論戰 史林 第 6)呂芳上,個人抉擇或國家政策:近代中國節育的反思 從 1920年代婦女雜誌 出版

( 12 , 2004 12 ), pp.195 230.

兒制限專號說起 近代中國婦女史

7) 肖愛樹, 五四新文化運動時期的婦女解放思潮( 濟寧師專學報 17 3 , 1996 9 ), pp.23 26; 尹旦萍,西方思想的傳入與中國女性主義的崛起新文

( ( ) 57 4

化運動時期女性主義的思想來源 武漢大學學報 哲學社會科學版

, 2004 7 ), pp.482 487; ,

陳文聯 黃娟 從 生育節制看五四時期的婦女解

( ( ) 6 3 , 2005 6 ), pp.66 68.

南華大學學報 社會科學版 8)呂蔭,陳長 的人口思想 ( 人口學刊, 19862 ), p.8; 王聲多,馬爾薩斯

( , 1986 6 ), pp.17 22; ,

人口論在中國的流傳和論爭 社會科學 曾吉平 ( , 2007 4 ), pp.13 15; , 五四時期馬爾薩斯人口論批判 湘潮 張登德

( ( )

富國策 與西方經濟學在近代中國的傳播 山東師範大學學報 人文社會科學版

53 4 , 2008 7 ), pp.122 125.

(4)

함유된 전통적 가족질서에 대한 도전과 새로운 성담론 질서의 형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산아제한에 대한 도시

. ,

일반민들의 태도와 반응을 면밀하게 고찰하지 못하였다 특히

. 1920

년 대 행해진 일련의 혼인과 가정문제에 관한 사회조사의 항목에는 생육 관념 및 자녀출산에 관한 내용이 들어있는데 이를 통해 당시 일정 정

,

도의 교육을 받은 청년남녀의 산아제한에 대한 태도를 살필 수 있다

.

이는 五 四ㆍ 시기 개인주의적 경향의 확산과 전통적 가족구조의 변화 속에서 출산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전환되고 있었는가를 밝혀 줄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 생각된다

.

이를 규명하기 위해 필자는 ① 淸末 맬서스주의의 전파는 산아제한 론의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

② 산아제한 논쟁의 주요 쟁점 은 무엇이고 그 논쟁의 사회적 의미는 무엇인가

, ,

1920

년대 도시 청 년남녀의 산아제한에 대한 태도와 반응은 어떠하였는가라는 세 가지 테마를 설정해 보았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

Ⅱ장과 Ⅲ장에서는 마 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의 계기와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

Ⅳ 장과 Ⅴ장에서는 지식인들의 산아제한에 관한 논쟁과 도시 청년남녀의 산아제한에 대한 반응을 통해서 산아제한론이 중국인의 전통적 생육

,

관념과 성도덕을 변화시키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구체적인 사회조사 자료를 통해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

.

ㆍ 경제적 측면의 요구가 어떻게 표출되고 있었는지 보다 다양한 각도에 서 조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 1920

년대 산아제한 운동을 전개하 기 위한 지적 사회적 토양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보다 심층적으로ㆍ 규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맬서스주의의 전파와 인구문제 인식 .

맬서스의 인구론이 중국에 소개된 것은

1880

년 汪鳳藻가 富國策 을 번역하면서부터였다

.

9) 富國策 은 서구의 근대 경제학 이론을 강의

(5)

하기 위한 同文館의 교재였는데 그 가운데 맬서스의 인구론이 간략하

,

게 언급되었다

.

10) 또한

1896

년 陳熾가 富國策 을 재번역하여 時務報 에 연재하면서

,

富國策 의 인기와 함께 맬서스의 인구론에 대한 지 식인들의 인지도도 점차 확산되었다

.

또한 嚴復 梁啓超ㆍ 와 같은 지식인들은 사회진화론11)의 입장에서 맬 서스의 인구론을 소개하였다

. 1898

년 嚴復은 天演論 을 출판하였는데

,

부분에서 맬서스의 인구론과 만물의 기하급수적 증가에 따른 생 導言

존경쟁과 적자생존의 진화법칙을 설명하였다

.

12) 사회진화론의 대중화 에 절대적 역할을 담당했던 梁啓超는

1902

년 「中國史上人口之統計」라 는 글에서

맬서스의 人口論 이 세상에 나오면서부터 인구의 번식은 기하급수적 으로 증가하여 매 25년마다 배로 증가한다고 말한다 다윈은 이를 통해서. 의 원리를 깨달았다. 19세기에 이르러 지구 이 거의 의

物競天擇 萬國 人滿

9) 富國策은 처음에는 근대 서구의 경제학을 지칭하는 중문 명칭이었다. 1862 이 설립된 후 미국 선교사, 은 경제학 과목을 개설하고 과

北京 同文館 丁韙良

목명을 富國策으로 정하였다 그는 영국의 경제학자. Henry Fawcett 政治經 를 경제학 과목의 교재로 채택하였다

(Manual of Political Economy) .

濟學提要

의 부교습 가 이 책을 번역하여 이라는 제목으로

1880 同文館 汪鳳藻 , 富國策

간행하였다[張登德,富國策 與西方經濟學在近代中國的傳播 ( 山東師範大學

( ) 53 4 , 2008 7 ), p.122].

學報 人文社會科學版

10) 富國策 에서는 맬서스의 인구론을 人數論으로 번역하였다 임금과 인구수. 의 상관관계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맬서스의 인구론을 소개하였는데 인구수를, 억제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天數(기근 홍수 가뭄 질병 전쟁 와 ) 人事 晩婚( 을 통한 출생률 감소 가 있다고 하였다) [( )美 法思德, 汪鳳藻譯, 富國策,

, 2]. 六年同文館聚珍版

11) 중국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 및 민족주의 형성에 대해서는 조경란, 중국에 서의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극복( 역사비평 계간32 , 1996 년 봄), pp. 325 338; ( )英 馮客(Frank Dikotter) ,著 楊立華 譯, 近代中國之種族觀念 南京 江蘇( : 벤저민 슈워츠 저 최효선 역 부와 권력을 찾아서 한길

, 1999); , , (

人民出版社

, 2006); 양일모,동아시아의 사회진화론 재고 중국과 한국의 진화 개념의: 형성( 한국학연구 제17 , 2007), pp.89 119; 백지운,량 치차오(梁啓超) 사회진화론: 계몽주의의 종교적 재구성( 中國語文學論集 55 , 2009), pp.323 345 참조.

12) 赫胥黎著 嚴復譯, , 天演論 卷上 商務印書館( , 1933), pp.8 11.

(6)

우환을 겪지 않은 곳이 없으니 맬서스의 학설이 더욱 학계에 세력을 떨, 치게 되었다 각국의 전쟁의 원인을 추론해보면 대체로 민족과 민족이 서. 로 접촉하여 경쟁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그 상호 접촉의 까닭은 대체로. 하여 이주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자연의 이치로 중국도 역시 그

人滿 天演

예외가 될 수 없다.13)

라고 하여

,

“人滿爲患”이 민족경쟁을 초래한 원인이라고 분석하였다

.

아울러 그는 人滿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晩婚을 주장하며 “優劣의 수는 항상 혼인의 늦고 빠름과 정비례 한다”14)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

는 인구를 ‘ ’라는 수적 의미로 파악하기보다는 우승열패와

梁啓超 戶口

생존경쟁의 주체인 민족이라는 집체와 연계지어 인식하였다 때문에

.

이라는 위기의식 속에는 서구 열강과의 종족경쟁에서 우승해 人滿爲患

야 한다는 민족적 救亡의식이 내재되어 있었다 결국 사회진화론이 중

.

국 지식인들이 인구문제를 이해하는 근본 토대를 형성하면서 인구문제 는 사회적 민족적 맥락에서 이해되었다ㆍ

.

년 는 라는 기사를 실어

1904

東方雜誌 「論中國治亂由於人口之衆寡」

중국의 태평시기와 혼란시기의 인구증감의 추이를 상세하게 서술하였 다

.

가 말하기를 천하가 생겨난 지 오래되어 한번 잘 다스려지면 한“ , 孟子

번은 어지러워진다 고 하였다 이 말은 비록 진화의 이치와는 서로 배치” . 되나 중국의 역사를 살펴보면 이 말이 진실로 맞다 대체로 중국의 안정. 과 혼란은 인구의 衆寡와 서로 비례한다 중국의 안정은 진실로. 治道가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인구의 과소 때문일 따름이다 중국의 혼란 또한. 진실로 亂道가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인구의 증가 때문일 따름이다.15)

위 글에서 기자는 맬서스의 인구론에 입각하여 인구과잉이 중국 역

13)梁 超啟 ,中國史上人口之統計冰室文集之十」 飲( 冰室合集 第二冊 北京, , 2003), p.35.

中華書局

14) 梁 超啟 , 禁早婚議冰室文集之七」 飲( 冰室合集 第一冊 北京, 中華書局, 2003), p.107.

15)社說:論中國治亂由於人口之衆寡( 東方雜誌 第1第 號6 , 1904 8 6 ), 月 日 p.115.

(7)

대 왕조의 혼란을 초래한 주요한 원인이었다고 지적하였다 때문에 인

.

구증가로 인한 흥망의 교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구과 잉을 억제하거나 토지 인재 기술의 증식을 통해 재원을 확대해야

,

ㆍ ㆍ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

淸末 맬서스의 인구론이 소개되면서 “人滿 즉 인구과잉 자체가 가난의 근본 원인이고 이것이 국가의 멸망

”, 爲患

과 종족의 소멸을 초래한다는 위기의식이 확산되었다 결국 사회진화

.

론과 맬서스주의의 영향 하에서 지식인들은 인구를 민족 혹은 국가라 는 집단적 생명력의 유기체로 생각하였고 인구의 생산력 향상을 통해

,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다는 민족주의적 신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

맬서스의 인구론과 인구조사의 방법을 중국에 체계적으로 소개한 사람은 陳長蘅이었다 그는

. 1918

년 中國人口論 을 출판하였는데 그

,

주된 내용은 ① 세계 각국과 중국의 인구 현황

,

② 인구와 국가부강의 관계

,

③ 혼인 개량 등 인구문제 전반에 관한 것이었다

.

陳長蘅은 특히 인구와 국가부강의 관계에 대해서

중국이 오늘날 빈곤한 가장 큰 원인은 人民의 과밀한 번식 때문이다. 은 유한한데 생육은 무한하여 유한한 지력으로 무한한 생육을 공급, 地力

하니 위태롭게 된 것이다 생계의 곤란이 어찌 우연이겠는가 오늘날 사. ? 리에 밝은 선비는 과학에 힘쓰고 실업을 진흥하고 재원을 개발해야 한, , 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그러나 만약 인민이 생육을 줄이지 않는다면 인구. 의 증가가 항상 재부의 증가보다 빨라 비록 실업이 흥하고 재원이 개발, 된다 하여도 인민은 예전처럼 빈곤할 것이다.16)

라고 하였다 때문에

.

陳長蘅은 晩婚과 減育을 통해 인구의 지나친 희 소와 과밀 사이의 절충적 인구규모를 유지하는 것이 국가부강과 문명‘ ’ 진화에 유리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생육억제의 방법으로 맬서

.

스가 제시한 도덕적 억제와 월경주기법 질외사정법 등의 자연적 피임ㆍ 법을 가장 경제적이고 건전한 방법으로 추천하였다 그는 신맬서스주

.

의자들이 주장하는 도구와 약품을 이용한 비자연적 피임법을 사용법“ 이 복잡하고 비교적 부유하거나 한가한 계급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

,

16) 陳長, 中國人口論( 民國叢書 3-16, 上海書店, 1989), pp.99 100.

(8)

에 보편화되기 어렵다”17)고 비판하였다 이처럼

.

陳長蘅은 신맬서스주 의의 피임법에 대해 회의적이었는데

,

18) 그 이유는 구미의 여러 국가들 이 피임법을 남용함으로써 쾌락주의 만연과 출산율 저하의 문제에 직 면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

19)

의 의 출판은 맬서스의 인구론에 대한 중국 지 陳長蘅 中國人口論

식인들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이는 중국의 인구문제에 대한 현실

,

적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 1920 3

년 월 新靑年 잡지는 인“ 구문제 특집호 를 발행하였는데”

,

陳獨秀ㆍ顧孟餘 등 총

8

명의 논설이 게재되었다

.

20) 그 가운데 顧孟餘와 彭一湖는 맬서스주의를 적극 옹호 하며 중국의

,

“人滿爲患”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① 조혼 금지 최

(

저 혼인연령 규정

),

② 納妾 금지

,

③ 인구과밀을 야기하는 종교윤리 및 풍속의 타파

,

④ 인구학설과 각파의 인구억제 방법 전파

,

⑤ 인민의 생활수준 향상

,

⑥ 과학 미술 교육의 제고ㆍ

,

⑦ 체계적인 빈민규휼률의 시행

,

⑧ 각종 工人 보호 정책의 시행 등 여러 가지 방안을 동시에 강 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21) 이에 반해 陶孟和와 陳獨秀는 사회주의 적 시각에서 빈곤문제의 근본 원인은 인구과잉이 아니고 분배의 불균“ 등 때문이다”22)라고 주장하였다 더욱이

.

陳獨秀는 맬서스가 자본가의 17) 陳長, 앞의 책, p.23.

18) 1922 4 30 ,년 월 胡適의 일기에는陳長과 산아제한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고 쓰여 있다 둘의 대화에서. 陳長 “coitus reservatus(오르가즘을 피하는 함축성교 를 가장 좋은 피임법으로 평가하였다고 한다)” [胡適, 胡適日記全編

는 보류성교로 3 ( : , 2001), p.655].“coitus reservatus”

第 冊 合肥 安徽 育出版社

번역되는데 이를 통해 마거릿 생어의 방문 이후에도, 陳長은 자연적 피임법 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고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 陳長, 앞의 책, pp.45 46.

20) 新靑年 人口問題號”( 新靑年 7 第 號4 , 1920 3 1 ) 月 日 에는 顧孟

, , ; , ; ,

人口問題 社會問題的鎖鑰 陶孟和 貧窮與人口問題 陳獨秀 馬爾塞斯

; T·S, ; , ;

人口論與中國人口問題 人口論底學說變遷 馬寅初 計算人口的數學

, ; , , ; ,

張菘年 羅素與人口問題 嚴智鍾 數要多 質要好 彭一湖 論人口有增加於 등 총 편의 글이 실렸다8 .

生活資料以上的恒常傾向

21)顧孟餘,人口問題 社會問題的鎖鑰, ( 新靑年 7第 號4 , 1920 3 1 ), 月 日 p.14.

22) 陶孟和, 貧窮與人口問題( 新靑年 7 第 號4 , 1920 3 1 ), p.14. 月 日

(9)

편견을 비호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

① 산업 교통 과학 생산기술의ㆍ ㆍ ㆍ 발전

,

② 노동력의 증강

,

③ 평균분배를 통하여 빈곤을 해결해야 한다 고 강조하였다

.

23) 또한 그는 인구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나태 한 상류사회의 인구를 제한하고 생산에 종사하는 하층 노동자의 생존

,

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외에

. T·S

와 嚴智鍾은 우생학에 입각하여 인구의 수 보다는 질 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우수한‘ ’ ‘ ’

.

종의 번식을 장려하고 열등한 종은

,

禁婚과 인공피임을 통해 斷種시켜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24) 이처럼 맬서스주의는 빈곤의 원인을 발명했“ 다”25)고 할 정도로 인구라는 각도에서 사회문제를 관찰할 수 있는 새 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즉 맬서스주의는 생식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

.

한 지식인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

맬서스주의와 그를 계승한 신맬서스주의가 전파되면서 근대적 피임 법에 대한 지식인들의 관심도 증대되었다

.

陳長蘅은 中國人口論 에서 신맬서스주의와 근세 생육절제 방법의 진보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 면서 비자연적 생육절제 방법의 폐해를 언급하였다

.

26) 또한 사회주의 자였던 趙革非도 피임법의 유행이 풍기문란과 도덕적 타락을 야기한다 고 보고 성도덕이 확립된 후에 피임을 실시할 것을 권고하였다

, .

27) 그 러나 일부 지식인들은 서구의 피임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 도 하였다

. 1920 5

년 월 婦女雜誌 에는 「避妊問題之硏究」라는 글이 실 렸는데 저자인

,

邵飄萍은 경제적 우생학적 측면에서 피임을 옹호하였ㆍ 다

.

28) 또한 三無라는 필명의 저자는 「避妊我觀」이라는 글에서

23) 陳獨秀,馬爾塞斯人口論與中國人口問題( 新靑年 7第 號4 , 1920 3 1 ), pp.8 10.

24) 嚴智鍾, 數要多,質要好( 新靑年 7第 號4 , 1920 3 1 ), p.5. 月 日 25) 陳獨秀,馬爾塞斯人口論與中國人口問題( 新靑年 7第 號4 , 1920 3

1 ), p.7.

26) 陳長, 앞의 책, pp.20 23.

27)幼雄 趙革非( ),新馬爾塞斯主義與性的道德( 婦女雜誌 第7第 號7 , 1921 7 5 ), pp.29 31.月 日

28)邵飄萍,避妊問題之(婦女雜誌 第6第 號5 , 1920 5 5 ), pp.1 8. 月 日

(10)

피임은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인구의 출산에 대해서 일종의 예방 적 제한을 가하는 것이다(Preventive Cheeks). …… 그것은 성욕 생활에 있어 과학의 능력을 사용하여 지금까지 불가항력적이었던 출생을 지배하 고 또한 과학의 능력을 사용하여 인류의, 實質을 개선하고 더욱이 과학, 의 사회개조 정신을 발휘하여 세계에 영원한 평화의 기초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해준다.29)

라고 하여 피임을 현대문명의 특색인 과학주의의 발현으로 평가하였

,

다 이처럼

.

五 四ㆍ 시기 과학주의에 대한 맹신이 피임에도 어느 정도 투영되어 일부 지식인들은 남녀의 성생활을 과학적으로 지배함으로써

,

인구억제와 종족개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피임에 대한

.

과학주의적 포장은 ‘受胎’와 그에 따른 인구의 증가를 불가항력적 자연 법칙이 아닌 인위적 억제와 조절이 가능한 대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 .

그리하여 피임을 비자연적 예방적 기술적인 것으로 정의하는 개념ㆍ ㆍ 들 예를 들어

,

豫防受胎 藝術的 節制 非自然的 節育ㆍ ㆍ ㆍ技術的 節育과 같은 용어들이 생겨났고 이를 통해 인구를 억제할 수 있다는 과학적

,

신념이 더욱 강화되었다

.

그러나

1920

년대 초반 맬서스주의와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반응 은 여전히 냉소적 이었다

. 1920

년 중국의 성박사로 불리는 張競生은 프랑스 유학에서 돌아와 당시 廣東省 督軍이었던 陳炯明에게 인구억제 와 피임의 시행을 건의하였지만

,

陳炯明은 그를 정신병자 취급하였“ ” 다

.

30) 이후 張競生은 美的社會組織法 에서 “國勢部

(

인구관리국 와

)”

을 설치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인구관리를 시행하고 피임법을

“避孕局”

사회적으로 보급시킬 것을 주장하였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

31) 이 와 같이 張競生은 사실상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이전부터 산아제한 을 설파하였지만 그에 대한 사회적 반응은 미진했다 그 이유에 대해

, .

은 張競生

29) 三無,避妊我觀( 婦女雜誌 第612 , 1920 12 5 ), pp.1 7. 月 日 30) 江中孝 主, 張競生文集 上卷 廣州( 廣州出版社, 1998), p.2.

31) 江中孝 主,앞의 책, pp.184 192.

(11)

나는 삼년 전 우리나라 사람들의 돼지와 개 같은 번식을 보았다 부모. 는 단지 사정과 임신만을 알뿐 자녀를 기르고 가르치지 않으니 남자 아, 이는 자라서 도둑이 되고 여자 아이는 창녀가 된다 그때 일찍이 산아제, . 한법을 극력 제창하였지만 사회적으로 욕설만 얻어들었다 일 년도 못되. 어 미국의 생어부인이 중국을 방문하여 동일한 논조를 제창하였는데 전, 에 나를 욕하던 신문들이 오히려 돌변하여 생어부인의 주장을 환영하였 다 사실 나의. 學理가 생어부인보다 더욱 심오하다 그러나 나는 모욕을. 당하고 그녀가 명성을 누린 까닭은 그녀는 미국의 여자이고 나는 중국의 남자이기 때문이다.32)

라고 하였다

.

張競生의 이 말은 산아제한론이 마거릿 생어라는 서구 여성의 권위를 덮어씀으로써 중국 사회에 비로소 호소력을 지니게 되 었음을 역설적으로 반증한다 즉

.

五 四ㆍ 시기 서양의 학설과 개념에 대 한 열광 서구적인 것에 대한 지식인들의 맹목적인 추종이라고 하는

,

현상이 산아제한론의 수용에 있어서도 그대로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 다 그런 의미에서 산아제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는 마거릿 생

.

어의 중국 방문을 기점으로 중대한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년 존 듀이 의 중국 방문이 실용주의

1919 (John Dewey, 1859 1952)

사상의 전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

33)

1920

년 러셀

(Bertrand

과 블랙 의 동반 방문이 혼인문제에

Russell, 1872 1970)

(Dora Black)

관한 토론을 촉발시켰던 것처럼

,

34) 서양의 저명한 학자의 중국 방문은 지식인들이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토론할 공간과 시간적 계기를 제공 하였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마거릿 생어를 촉매제 로 잘 활용하였고

.

‘ ’

,

산아제한론을 빌어 중국의 성도덕 개량 자유연애 여성해방 인구문ㆍ ㆍ ㆍ

32) 江中孝 主,앞의 책, p.81.

33)青 「, 杜威的中國之行及其影響( 近代史, 2001年 第2 ), pp.130 169;

, ( ( ) 5

史雲波 杜威中國之行對五四 思想界的影響 江蘇大學學報 社會科學版

2 , 2003 4 ), pp.23 28; , (

史雲波 杜威的五四觀及其影響 江蘇大學

( ) 7 4 , 2005 7 ), pp.48 54; ,

學報 社會科學版 陳文彬 五四時期杜

( , 2006 6 ).

威來華講學與中國知識界的反應 復旦大學歷史系博士學位論文 34) 呂芳上,法理私情-5 4 시기 러셀 블랙의 동반 중국 방문이 촉발한 혼인

문제 토론(1920 1921)- ( 中國現代史 10, 2000 12 ), pp.1 19.

(12)

제 종족개량 등과 같은ㆍ 五 四ㆍ 적 이슈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였던 것 이다

.

마거릿 생어의 산아제한론의 전파 .

년 마거릿 생어는 제 차 국제산아제한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런

1922 5

던으로 가는 도중 자신의 산아제한론을 선전하기 위해 일본과 중국을 방문하였다 당시 중국의 일부 언론에서는 일본 정부가 생어의 입국을

.

허용하지 않자 당초 계획을 수정하여 중국을 방문하였다고 보도하였

,

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 1922 3

년 월 일본 改造社의 요청으로 일본을 방문한 생어는 인구와 전쟁 및 산아제한을 주제로 여러 차례 강연을 진행하였다

.

35) 일본 정부 측에서 공개강연에 적지 않은 제제를 가했지 만 생어의 강연은 일본인으로 하여금 인구번식의 미몽에서 깨어나게

,

“ 하고 일본 군국주의에 큰 타격을 가했다

,

36)고 평가될 정도로 일본 여 론의 주목을 받았다 생어의 방일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산아조절연구

.

회가 설립되고

,

산아제한평론 잡지가 창간되는 등 산아제한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37) 사상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산아제한론은 일본 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는데 생어의 주요 저작들이 번역되기 이전에

,

의 이 먼저 번역되었고

,

安部磯雄 産兒制限論 38) 婦女雜誌 의 산아제 한 특집호에도 石本靜枝女士 山川菊榮 中山啓ㆍ ㆍ 등 일본학자의 논설이 다량 게재되었다

.

39) 일본 산아제한론자의 학설이 소개되면서 ‘Birth

35)祁森煥,「產兒制限和日本( 晨報 1922 3 9 10 ), 6 ; 伯珩,婦女與家

: ( 31 3 , 1934 2 1 ), p.24.

庭欄 日本的節育運動 東方雜誌 第 第 號 月 日

36) 梓生, 珊格爾夫人東來的影響( 婦女雜誌 8 第 號6 , 1922 6 1 ), p.35.

37) 후지메 유키 지음 김경자 윤경원 옮김, , 성의 역사학 근대국가는 성을 어: 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 2004), pp.215 257.

38) 安部磯雄著 李達譯, , 產兒制限論 上海 商務印書館( : , 1922).

39) 妇 杂 誌 第8 第 號 産兒制限號6 ”, 1922 6 1 . 月 日

(13)

또한 일본식 역어인 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되었

control’

‘産兒制限’

.

40)

일본 방문이후 마거릿 생어는

4

월 중순경 北京에 도착하였다 그녀

.

의 중국 방문을 주선한 인물이 누구였는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

陳達과 蔣夢麟이 유력하게 지목된다

.

蔣夢麟은

1921 11

년 월 년 월까지 워싱턴 회의에 참석차 미국에 머물고 있었기 때문

1922 2

에 이 기간에 생어를 만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

41) 그러나

1916

년 미국의 콜롬비아 대학에서 유학하며 인구문제에 비교적 관

1923 ,

심을 가지고 있었던 陳達이 생어의 중국 방문을 직접 주선했을 가능성 이 더 높다

.

陳達은 蔡元培에게 생어부인“ (

Mrs. Margaret Sanger)

은 를 여 년간 연구하였는데 동아시아에 가

‘生 限制(

產 Birth Control)’ 10 ,

서 선생과 면담을 원한다”42)라는 친필의 소개장을 보냈다

.

“Birth 에 경제적 측면에서의 인구제한을 의미하는 라는

Control”

“生 限制

40) “Birth control”을 처음 중국어로 번역한 사람은 陳達로 추정된다. 그는 으로 번역하였는데 이 용어는 널리 사용되지 않

“Birth control” “生産限制法

았다. 生産 자체가 출산이나 임신 보다는 경제적 측면의 의미를 많이 담고 있 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의 근대적 용어들이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 처럼 마거릿 생어의 사상도 일본 학자들의 책과 논설이 먼저 소개되면서 일본, 식 용어인 産兒制限이 자연스럽게 통용되었다 이후. 節育 生育節制 등의 용어 가 함께 혼용되었다.

41)關國煊,蔣夢麟先生年表 上( ) ( 傳記文學 第406 ), pp.63 70. 胡適 일기에 생어 부인이 夢麟의 소개장을 가지고 있었다”(耿雲誌 主編, 胡適遺稿 고 한 점과 생어가 과의 인 16, : , 1994, p.226)

及秘藏書信 合肥 黃山書社 陳海澄

터뷰에서 워싱턴회의에 참석한 중국대표 某某 여러 명의 요청으로 오게 되었 ”(陳海澄,會見山額夫人以後底雜記, 時事新報 學燈 , 1922 5 17 19 면 고 한 점으로 미루어 이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을 주선하였을 4 )

蔣夢麟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蔣夢麟 자신이 마거릿 생어를 중국에 초정하였다는 구 체적인 언급이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단언하기 힘들다.

42) 耿雲誌 主編,陳達致蔡元培信一通( 胡適遺稿及秘藏書信 35, 合肥 黃山書:

이외에도 라는 글에서

, 1994), p.53. “1922

陳達 生育節制與我國人口問題

년 나는 일찍이 미국 산아제한가 생어 부인이 우리나라에 와서 선전하도록 소 개하였다 라고 말하였다 [中國社會學社編, 中國人口問題 世界書局( , 1932), 이로 미루어 이 생어 부인의 중국 방문을 직접 주선한 인물임을 알

p.61]. 陳達

수 있다.

(14)

역어를 붙인 것도 陳達이었다

.

北京에 도착한 이후 생어는 蔡元培에게 산아제한에 관심 있는 인사들과 접촉하고 싶다는 희망을 전달하였 다

.

43) 북경에 머무는 동안 생어는 胡適 張競生 趙元任 楊步偉 周ㆍ ㆍ ㆍ ㆍ

등의 지식인들을 만났다

.

季梅 葉叔衡ㆍ 44) 이들은 모두 五 四ㆍ 신문화운 동을 주도했던 인물들로 이들의 사상적 경향과 언론계에서의 영향력

,

을 통해서도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의 시대적 의미를 충분히 살필 수 있다

.

와 의 주선으로 생어는

4

19

일 북경대학에서 강연을 蔡元培 胡適

개최하였다 강연에 앞서

.

北京大學日刊 에서는 총장 蔡元培의 통보문 을 이틀에 걸쳐 게재하였다 이 통보문을 통해서 당시 지식인들의 산

.

아제한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알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무제한의 생육으로 인구의 증가가 양육의 능력을 초과하여 적게는 한 사람 한 가정의 가난을 초래하고 크게는 실로 세계문화와 평화의 일대, , 위기를 초래하였다 서양의 맬서스 이래로. “生育制裁(Birth Control)”을 제창하는 학자들이 많으나 사회적 편견 때문에 종종 이를 비도덕적이라, 여긴다 실로 낳고 기르지 않으며 낳아서 가난과 질병으로 죽는 것 보다. , 미리 억제하여 낳지 않는 것이 낫지 않은가? 미국 생어부인(Mrs.

은 를 가장 열심히 제창하는 사람으로 년

Margaret Sanger) “生育制裁” 8

동안 이 일로 수차례 감옥에 드나들었다 최근. 1년 동안 “生育制裁協會 를 창립하였는데 찬성하는 사람이 이미 만

(The Birth-Control League)” , 5

여명에 달한다.45)

43) 耿雲誌 主編, 桑格夫人致蔡元培信一通( 胡適遺稿及秘藏書信 35, 合肥 黃: , 1994), p.54.

山書社

44) 清華大學 교수였던 趙元任의 부인 楊步偉는 생어 부인이 중국에 왔을 때 , 이 주변의 많은 지인들을 초대하였는데 자연히 우리도 주요한 인물이었, 胡適

다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더 많은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라고 하였다. [楊步偉, 이를 계기로 는 마거릿 ( : , 1987), p.280].

一個女人的自傳 湖南 岳麓書社 楊步偉

생어의 저작인 女子應有知識 商務印書館( , 1925)을 번역하기도 하였다 또한. 년 월 일 청화대학 총장인 가 마거릿 생어를 초청한 식사자리에

1922 4 20 周季梅

등이 참석하였는데 모두 산아제한 문제를 토론했다고, 胡適 林孟宗 葉叔衡

한다[胡適, 胡適日記全編 3(合肥 安徽 育出版社: 教 , 2001), p.629].

45) 校長 事( 北京大學日刊 1922 4 18 19 ), 1 .

(15)

이처럼 지식인들은 생어를 맬서스주의자로 소개하였으며 맬서스의

,

인구론에 입각하여 산아제한을 이해하고 있었다 즉 산아제한을 경제

.

적 정치적 목적에서 인구의 출생을 예방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ㆍ 하였으며 생어의 중국 방문을

,

“人滿爲患”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때문에 일부 지식인들은 이 기회를 통해 맬서

.

“ 스의 인구론 혹은 신맬서스론의 정수를 중국인에게 소개하고 과학적

,

방법으로 인구조절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시켜야 한 다”46)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

마거릿 생어는 북경대학교에서 「生育制裁的什 與 樣麼

」이라는 제목 으로 강연을 하였는데 통역을 담당한

,

胡適이 여자의 연설이 이렇게“ 조리가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47)고 할 정도로 산아제한의 의미와 목적 피임법을 체계적으로 전달하였다 이 강연의 주요 내용은

, .

① 맬 서스의 인구론에 입각한 인구증가의 폐해

,

② 우생학에 입각한 사회 극빈층과 불량유전자의 출산 억제

,

③ 금욕

, X-ray

나 외과 수술을 이 용한 임신중절 콘돔이나 페서리를 이용한 피임 방법의 소개 등 이었

,

.

48) 이 강연의 내용이 晨報副鐫 ㆍ 婦女評論 ㆍ 婦女雜誌 ㆍ 家庭 등의 주요 잡지에 실리면서 생어의 산아제한론은 언론의 조명을

받기 시작하였다

.

49) 이후 마거릿 생어는

4 26 30

월 ∼ 日까지 上海에 머 물며 각종 강연회에 참석하여 자신의 산아제한론을 선전하였다 특히

.

월 일에는 의 주년을 맞이하여

4 30

家庭日新會

3

「生育節制的重要和方法」 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개최하였다

.

50) 강연 이후 음주 흡연 도박“ ㆍ ㆍ 46) 梓生, 珊格爾夫人東來的影響( 婦女雜誌 8 第 號6 , 1922 6 1 ),

p.36.

47) 胡適, 胡適日記全編3(合肥 安徽 育出版社: 教 , 2001), p.628.

48) 小峰 矛塵合記 ,生育制裁的什 與 樣( 婦女雜誌 第8第 號6 , 1922 6 1 ), pp.126 132.

月 日

49)小峰 矛塵合記 ,講演 生育制裁的什 與 樣: ( 晨報副鐫 1922 4 25 ), 1-2 ; 小峰 予塵合記 ,生育節制底甚 與 樣( 婦女評論 第43 , 1922 5

31 ), 2 ; , ( 8 6

小峰 矛塵合記 生育制裁的什 與 樣 婦女雜誌 第

, 1922 6 1 ), pp.126 132; , (

月 日 小峰 矛塵合記 生育制裁的什 與 樣 2 2 , 1922 11 10 ), pp.221 238.

家庭

(16)

을 하지 않아야 한다 는” 家庭日新會의

3

가지 규율에 어머니의 건강과“ 아버지의 수입을 고려하여 가족을 제한한다”51)는 규율을 첨가하여 많 은 사람들의 지지를 얻기도 하였다

.

마거릿 생어는 중국 방문을 통해 산아제한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 었다 그녀는

.

奉天 北京ㆍ ㆍ漢口 南京ㆍ ㆍ上海 일대를 여행하는 동안 빈 곤의 실상을 눈으로 목격하게 되었다

.

우리는 단지 길거리가 온통 질병으로 만연된 것을 보았다 우리는 나. 병에 걸린 사람들이 길가에 앉아서 행인들에게 구걸하는 것을 보았으며, 매독에 걸린 사람들이 우리 옆을 걸어 다니는 것을 보았으며 구걸이 직, 업인 어머니들이 아이들을 등에 업고 거리에서 구걸하는 것을 보았다. 만약 그들이 나에게 아이들이 너무 많아요“ ”, “밥이 없어요 라는 말”

……

을 하지 않았다면 나는 거의 절망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를 위해서. 산아제한을 하는 것이 확실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방법일 것이 다.52)

이처럼 생어는 중국의 빈곤의 원인을 인구과잉 때문으로 인식하고

,

우생학적 측면에서 빈민 병자 하급사회에서부터 산아제한을 시작하“ ㆍ ㆍ 여 인구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53)고 주장하였다 또한 생어는 중국

.

에서 산아제한 운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① 중국의 지식남녀를 모아서 산아제한연맹

(Birth Control League)

을 조직하고

,

② 산아제한 과 관련된 잡지를 창간하고

,

③ 산아제한진료소

(Birth Control Clinic)

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54) 이를 위해 생어는 미국산아제한연 맹의 지부를 北京ㆍ上海ㆍ廣州에 설립하려고 하였으나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

55)

50) 張梓生筆記, 珊格爾夫人在上海家庭日新會的請演( 婦女雜誌 8 第 號6 , 1922 6 1 ), pp.132 134. 月 日

51)克士,珊格爾夫人的中國觀察記( 婦女雜誌 第810 , 1922 10 1 ), 月 日 p.46.

52) 同上註, pp.45 46.

53) 瞿世英,珊格爾夫人訪問記( 婦女雜誌 第8第 號6 , 1922 6 1 ), p.5.년 월 일 54) 山額夫人昨日抵滬( 時事新報 1922 4 27 ), 3 1 . 제 장 면

55) 山額夫人之宣傳忙( 時事新報 1922 5 9 ), 3 1 . 月 日 제 장 면

(17)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이후 산아제한 관련 서적이 대량으로 출판 되었다 특히 마거릿 생어의

.

生育節制法 ㆍ 節育主義 ㆍ 女子應有的

등의 서적이 번역되었고

,

知識 56) 영국의 산아제한 운동가인 마리 스 토프스

(Marie Stopes)

의 夫婦良箴 ㆍ 現代節育法 등의 서적도 번역 되었다

.

57) 아울러 程浩ㆍ高希聖과 같은 지식인들도 生育節制問題 ㆍ

등의 서적을 저술하여 서구의 산아제한 이론과 피임법

ABC

兒制限

을 소개하고 중국의 산아제한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였다

, .

58) 이러한 서적들이 당시 사회에 어느 정도 보급되었고 일반인들의 산아제한에

,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는 파악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

의 서적 광고 가운데 초판은“

5

천부를 인쇄하였는데 얼마

,

生育制限法

되지 않아 완전히 다 팔렸다 각계 독자들이 편지를 보내어 독촉하니

.

을 발행한다”

再版 59)는 문구를 통해 산아제한 관련 서적의 판매량이 상 당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

생어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언론계에서는 산아제한 관련 논설을 다 량 게재하였다 또한

.

學燈 ㆍ 婦女評論 ㆍ 婦女雜誌 ㆍ 家庭

究 등 의 잡지사에서는 산아제한 특집호를 출판하기도 하였다

.

60) 鐸之兄은

56) 1920년대 번역된 마거릿 생어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美 瑪格麗特

(Mrs. Margaret H. Sanger) , , ( :

桑格 著 中華節育硏究社譯 生育節制法 蘇州 中

, 1922); · , , ( :

華節育硏究社刊 瑪格麗特 桑格著 封熙卿譯 家庭性 育實施法 上海

, 1923); , , ( : ,

商務印書館 瑪格麗特 桑格著 陳海澄譯 節育主義 上海 商務印書館 1925);瑪格麗特 桑格著 楊步偉譯· , , 女子應有的知識 上海 商務印書館( : , 1926).

57) (英 瑪麗 司拖波 · Marie Stopes, 夫婦良箴 上海 英商別發有限公司( : , 1926); 瑪麗 司拖波著· , 現代節育法 上海( : 健康生活社, 1937).

58)徐傅林譯著, 生育節制論 上海 中華書局( : , 1922);程浩著, 節制生育問題 上(

: , 1925); , ABC ( , 1929);

東亞圖書館 高希聖著兒制限 上海世界書局 繆端生

, ( , 1933); ,

兒調節之理論與實際 上海新亞書店 嚴與寬編著 節育的理論與

( , 1933); , ( , 1933).

方法 上海大東書局 蠻石著 節育的實施 上海新文化編譯社 59) 醫藥評介通俗生育制限法( 現代醫藥 第2 1 , 1934 10 15 ). 60) 각 잡지사의 산아제한 특집호는 다음과 같다. 時事新報 副刊 學燈 (增刊)

節育運動號”, 1922 4 30 ; 民國日報 上海 ) 副刊 婦女評論 第39 40

”, 1922 5 3 10 ; 8 6

生育節制問題號 婦女雜誌 第 第 號兒制限

”, 1922 6 1 ; 2 2 ”, 1922 11 10

月 日 家庭 兒制限號 日.

(18)

의 “ ” 머리말에서 家庭

究 産兒制限號

산아제한은 일종의 인도주의적 사회주의적ㆍ ㆍ四海同胞主義적 과학적ㆍ 피임운동으로 20세기 세계의 신복음이다 돼지기름. ㆍX광선 보류성교 등ㆍ 종종 방법이 얼마나 외설스럽던 간에 낙태 영아살해 자살보다 인도적ㆍ ㆍ 이며 칼 대포 군함 독가스 보다 평화적이며 이기주의 계급격차 세, ㆍ ㆍ ㆍ , ㆍ ㆍ 계빈곤보다 아름답다.61)

라고 하며 산아제한을

, 19

세기의 가장 혁명적 발견이라고 평가하였다

.

이와 같은 산아제한 특집호의 출판은 산아제한 이론의 선전과 함께 생 육과 연계된 중국의 가족제도와 혼인문제를 공개적으로 토론할 수 있 는 여론의 장을 마련해 주었다 이외에도

.

現代婦女

(

旬刊

)

와 같은 산 아제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잡지도 창간되었다

.

現代婦女 는

부녀문제와 산아제한 문제를 토론하기 위한 공개 출판물 로서

“ ” 中華節

와 가 함께 창간하였다

.

育硏究士 婦女問題硏究所 62) 특히 現代婦女 는 산아제한과 모성의 자유 여성해방의 관계를 심도 깊게 논의하여 여성

,

들에게 산아제한 관념을 전파하는데 일조하였다 이와 같은 잡지의 출

.

판으로 산아제한을 전문적으로 선전할 수 있는 언론 기반이 조성되었 으며 언론 매체를 중심으로 산아제한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급속히

,

확산되었다

.

지식인의 산아제한에 관한 논쟁 .

년대 산아제한론이 소개되었을 때 이에 대한 중국 사회의 반응

1920 ,

은 매우 대조적이었다

.

五 四ㆍ 신문화운동에 경도된 일부 지식인들은 산아제한을 전통적 가치질서를 비판하는 일종의 문화코드로 내세우며

,

61)鐸之兄,卷頭言( 家庭 22兒制限號”, 1922 11 10 ), p.2

62) 徵求投稿( 現代婦女 7 , 1922 11 6 ), 4 . 월 일

(19)

대가족질서를 부정하고 자유연애와 성의 해방을 제창하고 여성의 생

, ,

리적 해방을 주창하였다 그러나 산아제한 반대론자들은 마거릿 생어

.

를 무녀“ ” “ㆍ낙태업자 라고 비판하고”

,

63) 산아제한을 망국멸종의 징조“ ”

도덕적 타락 과 같은 엄청난 재앙거리로 여기며

“ ”

64) 多子多福 傳宗ㆍ

와 같은 전통적 가치질서를 옹 接代ㆍ不孝有三無後爲大 男主外女主內ㆍ

호하였다 이와 같은 산아제한을 둘러싼 찬 반의 대립은 지식인들 사

.

ㆍ 이의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논쟁의 주요 쟁점은

.

① 여성의 생 리적 해방

,

② 전통적 생육관념과 대가족주의의 비판

,

③ 새로운 성도 덕 질서의 건립

,

④ 인구문제

,

⑤ 우생과 종족개량 등 이었다 이 논쟁

.

은 산아제한을 둘러싼 지식인들 사이의 단순한 찬 반 논쟁으로 비칠ㆍ 수 있지만 그 내부에는

,

① 新ㆍ舊 젠더 관념의 충돌

,

② 性 가치관의 혼란

,

③ 사회개량에 대한 이념적 차이

,

④ 개인주의와 민족주의의 갈 등이라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뒤얽혀 있었다

.

마거릿 생어의 중국 방문 이후 지식인들은 산아제한을 인구학적ㆍ 경제학적 시각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에서 벗어나 여성해방의 측면에서

,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즉 마거릿 생어의 산아제한론의 특징으로 말 할

.

수 있는 모성자결 과 여성의 신체적 자주권 의 측면이 부각되면서 이‘ ’ ‘ ’

,

것이 五 四ㆍ 시기 여성해방론에도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65)

63)陳海澄,會見山額夫人以後底雜記( ) ( 時事新報 學燈 1922 5 17 ), 4 .

64) 梓生, 珊格爾夫人東來的影響( 婦女雜誌 8 第 號6 , 1922 6 1 ), p.36.

65) 여성의 신체적 자주권에 대한 상상은 산아제한론의 영향 속에서 싹텄지만, 현실적으로 여성의 성과 생식은 여전히 우량한 자녀를 낳아서 强種强國을 이 룩해야 한다 는 국가적 목적에 종속되었다 성 여성해방 연애 혼인 생식 . 등의 문제가 우생학과 결부되어 優生救國의 구호로 표출됨으로써 실질적인, 남녀평등 자유연애 여성해방이 이룩되기는 힘들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생육 . 자주권에 대한 구상속에서 부권제의 확장인 국가에 대한 전복을 통해 여성의 자주적 사회를 건설하자는 적극적 의미는 반영되지 않았던 것이다[Frank Dikötter, Sex, Culture, and Modernity in China: Medical Sc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Sexual Identities in the Early Republican Period, London:

Hurst & Company, 1995; 彭小妍, 五四的 新性道德 ’: 女性情慾論述與建構民族

Gambar

그림 면

Referensi

Dokumen terkait

[r]

도움 없이 혼자서 밥과 반찬을 하고 상을 차린다 식사 준비에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식사 준비를 할 수 없어서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 한다 식사 준비를 할 수 있는데 하지 않는다 식사 준비를 해본 적이 없다... 버스나 전철 택시 혹은 승용차 등을 타고 외출을 할 때, 남의 도움 없이 혼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