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시상 하부의 전사 조절제. AVP는 PVN(paraventricular nuclei)의 거대 거대 세포 뉴런(MCN)과 시신경상 핵(SON) 및 PVN의 ME(median eminence)로 돌출된 parvocellular 신경분비 세포에서 합성되며 축삭을 따라 뇌하수체 후엽으로 이동합니다[3] ].]. Streptozotocin 유발 당뇨병 모델에서 TonEBP와 AVP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또한 당뇨병을 유도하기 위해 streptozotocin(STZ; sigma)을 0.05M sodium citrate buffer(pH 4.5)에 180 mg/kg으로 녹여 1회 복강주사하였고, 대조군은 완충액만을 복강주사하였다. 복강주사 3일 후 혈당 농도로 당뇨병을 확인하였고, 확인 후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정량적 PCR(qPCR)은 1에서와 같이 준비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했습니다.
TonEBP, AVP 및 β-actin의 모든 정량적 실시간 PCR은 iQ SYBR Green Supermix(Bio-Rad, Hercules, C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PCR 결과는 측정된 Ct 값을 β-actin 값으로 보정한 후 2-ΔΔCt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4% PFA로 밤새 후고정한 후, free-floating 방법을 사용하여 coronal section(50 μm)을 수행했습니다.
TonEBP 및 AVP를 검출하기 위해 이중 표지 면역형광법을 사용했습니다. TonEBP는 FITC(TSA-Puls Fluorescein 시스템 PerkinElmer,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검출되었습니다.
결과
PVN 및 SON의 고장 환경에서 TonEBP 및 AVP의 공동 국소화. TonEBP와 AVP는 PVN 대조군에서 약하게 관찰되었고, TonEBP와 AVP는 탈수군에서 강하게 관찰되었다(도 4A). 또한, SON에서는 대조군에서 TonEBP와 AVP가 약하게 관찰되었고, 탈수군에서 TonEBP와 AVP가 강하게 관찰되었다(도 4B).
60X 공초점 이미지는 TonEBP와 AVP의 colocalization을 보여주었고 TonEBP와 AVP의 colocalization은 탈수된 PVN과 SON 그룹에서 증가했습니다. STZ 유발 당뇨병 모델에서 TonEBP와 AVP의 발현. 또한 STZ 처리 모델에서 수분 흡수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그림5D).
그러나 SON에서 TonEBP와 AVP의 발현에는 차이가 없었다(Fig. 5F). 따라서 STZ로 유발된 당뇨병 모델에서는 PVN에서만 TonEBP와 AVP의 발현이 증가하여 PVN에서의 포도당 반응을 확인하였다.
Legends to Figure
체외 NaCl 처리 후 고장 환경에서 TonEBP 및 AVP 발현 조사. 2 마우스의 탈수군과 같은 고장 환경에서 TonEBP 및 AVP 발현 확인. 3 탈수에 의해 유발된 고장 환경에서 시상하부 핵에서 TonEBP와 AVP의 공동 국소화 확인.
탈수군에서는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시상하부의 (A) PVN과 (B) SON에서 TonEBP(녹색)와 AVP(적색)의 colocalization을 검사한 후 20x와 60x 배율에서 colocalization을 확인하였다. 4 탈수로 인한 고장 환경에서 TonEBP와 AVP 프로모터의 결합 연구. 48시간 동안 물 섭취를 제한한 대조군(CTL)과 탈수군(DH)에서 TonEBP와 AVP 사이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뇌에서 ChIP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결합 부위에서 TonEBP와 AVP가 반응하였다.
5 STZ 유발 당뇨병 모델에서 TonEBP와 AVP 발현 확인.
고찰
STZ 유발 당뇨병 모델에서는 인슐린 분비가 손상되어 포도당 항상성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은 계속해서 소변으로 배설되고 더 많은 포도당을 우리 몸에 넣기 위해 음식 섭취가 증가합니다. 이 당뇨병 모델에서는 지속적으로 당분을 분비하기 때문에 음식섭취량을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당뇨병 모델에서 물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소변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TonEBP 및 AVP mRNA 발현은 이들 당뇨병 모델의 PVN 및 SON에서 확인되었다. TonEBP와 AVP는 모두 DH 모델과 마찬가지로 당뇨병 모델의 PVN에서 증가했지만 SON에서는 TonEBP와 AVP의 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SON에서 AVP 분비는 각각 인슐린과 포도당에 의해 증가하지만 AVP 분비는 포도당과 인슐린이 함께 반응할 때 더 증가한다[29]. 따라서 우리의 결과는 STZ-유도 당뇨병 모델이 SON에서 AVP 분비를 자극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Cheung CY, Ko BC (2013) NFAT5 in cellular adaptation to hypertonic stress - regulations and functional significance. 2006) Survival in hostile environments: strategies of renal medullary cells. Miyakawa H, Woo SK, Dahl SC, Handler JS, Kwon HM (1999) Tonicity-responsive enhancer-binding protein, a rel-like protein that stimulates transcription in response to hypertonicity. Maallem S, Berod A, Mutin M, Kwon HM, Tappaz ML (2006) Major differences in cellular distribution of the tonicity-induced expression of osmoprotective genes and their regulatory transcription factor TonEBP in rat brain.
Maallem S, Mutin M, Kwon HM, Tappaz ML (2006) Raabsa seelii garaagarummaa tonicity-induced ibsa tiraanskriipshinii factor TonEBP sammuu hantuutaa keessatti yeroo dheeraa sirna hypertonicity booda. Soo Youn Choi, Hwan Hee Lee, Jun Ho Lee1, Byeong Jin Ye, Eun Jin Yoo, Hyun Je Kang, Gyu Won Jung, Seung Min An, Whaseon Lee-Kwon, Maariiyoo Chiong, Sarjiyoo Laavanderoo, Hyug Moo Kwoon (2016) TonEBP immunomodulation IL-10-jiddugaleessa ta’e ukkaamsa. Ga Ram Jeong, Sun-Kyoung Im, Yun-Hee Bae, Eun Su Park, Byung Kwan Jin, Hyug Moo Kwon, Beom-Joon Lee, Youngmin Bu, Eun-Mi Hur, Byoung Dae Lee (2016) Mallattoolee inflammatory ibsa kana kakaasu kan pirootiinii hidhuu guddiftuu (TonEBP) kan tonicity-responsive microglia keessatti argamu.
HJ Shin, H Kim, RW Heo, HJ Kim, WS Choi, HM Kwon, GS Roh (2014) Tonicity-responsive enhancer binding protein haplodeficiency reduces seizure severity and neuroinflammation, mediated by NF-kB, acid attacks in kainica.
Keri Man Chi Mak, Amy Cheuk Yin Lo, Amy Ka Man Lam, Patrick Ka Kit Yeung, Ben Chi Bun Ko, Stephen Sum Man Chung, Sookja Kim Chung
Jeon US, Kim JA, Sheen MR, Kwon HM (2006) How tonicity regulates genes: the story of the transcriptional activator TonEBP. WK Park (2004) Abundance and nuclear distribution of TonEBP in response to tonicity changes in hyperglycemic cells. It controls osmoprotective gene expression such as AR, BGT1 and SMIT in response to hypertonicity condition.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of TonEBP increases in response to hyperosmotic stimulation in PVN and SON in which AVP is synthesiz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transcription factor TonEBP in the regulation of AVP gene expression in hypertonicity condition. Th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nEBP and AVP in extreme dehydration due to diabetes.
TonEBP and AVP mRNA levels were increased in NaCl-treated hyperosmotic condition in SH-SY5Y cells and dehydrated mice. Colocalization of TonEBP and AVP was enhanc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the hyperosmotic state due to dehyd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