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 환경에 따른 고라니의 행동생태 연구
김의경1
⋅
김태근1⋅
김혜리1⋅
임상진2⋅
박영철3*1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3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A Study on the Behavioral Ecology of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ccording to Different Habitat Environment
Eui-Kyeong Kim
1, Tae-Geun Kim
1, Hye Ri Kim
1, Sang Jin Lim
2and Yung Chul Park
3*1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6441, Korea 2Institute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34047
3Department of Forestry Environmental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34047
요약: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사람 거주지 인근 지역의 농경지에서 서식하는 고라니와 양구생태식물원의 산림 임연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고라 니의 행동권와 활동패턴을 조사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은 0.176㎢(Kermel 95%)이며 이중 중심지역은 0.039㎢(Kermel 50%)였다. 서식지가 잘 보전된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은 0.597㎢(Kernel 95%), 중심지역은 0.129㎢(Kernel 50%)였다.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의 평균 면적은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경우 0.041±0.031㎢였으며 평균 이동거리는 50m이하로 활 동이 활발한 시간은 6시, 12시, 19시, 22시였다.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일일행동권 평균 면적은 0.134±0.058㎢였고, 평균 이동거리는 100m이상으로 15시에 가장 활발한 활동을 나타냈고 13시부터 17시 사이에 활동이 집중되었다.
인위적 교란이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와 서식지가 잘 보전된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행동권 및 행동 특성은 차이를 나타냈다.
주요어: 설악산국립공원, 고라니, 행동권, 활동패턴, 서식지
Abstract: Home range and daily activity have been monitored in 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which lives in farm place near Jangjaeteo of Seoraksan National Park and another water deer which inhabits the forest edge of the mountain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The home range of the water deer in Jangjaeteo is 0.176㎢ (Kermel 95%) with core area of 0.039㎢ (Kermel 50%), whereas home rang and core area of the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is 0.597㎢ (Kernel 95%) and 0.129㎢
(Kernel 50%), respectively. Average area of daily home range of the water deer in Jangjaeteo was 0.041±0.031㎢ and average dis- tance of daily migration range was under 50m and the time when the water deer has shown high activity was 6:00, 12:00, 19:00, and 22:00. The average area of daily home range of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was 0.134±0.058㎢ and average distance of migration range was higher than 100m. They become active mainly from 13:00 to 17:00 with highest activity at 15:00.
Use pattern of home range and daily activity pattern exhibited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deer which lives in the disturbed hab- itats in Jangjaeteo and that which inhabits well-conserved habitat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Key words Seoraksan National Park, Hydropotes inermis, home range, activity pattern, habitats
서론
고라니는 중국과 한반도 고유종으로 중국고라니
(Hydropotes inermis inermis)와 한국고라니(Hydoropotes
inermis argyropus) 2아종이(유병호2000; Cooke and
Farrell 1998)
분포하고 있다(Fig. 1).고라니의 행동생태학적 연구는 중국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Hydropotes inermis inermis)를 대상으로 진행된 바 있다(Allen 1940; Cooke and Farrel 1981; Brown 1991;
Zhang and Guo 2000).
Received 09 September 2021; Revised 12 October 2021; Accepted 17 November 2021
*Corresponding to 박영철(Yung Chul Park) E-mail. [email protected]
중국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는 하루 활동시간 중 먹 이를 섭취하기 위한 소요 시간이
50.4%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Zhang 2000) 다음으로 휴식을 취하는 비율이 높았고 휴식을 취하는 동안 소목에 속하는 반추동물의 특징인 되새김질 행동을 지속 한다(윤명희1992;
이배근2003).
연간 행동권(home range)은
0.21㎢로 계절적인 활동
범위는 0.18~0.46㎢이고 이중 먹이 섭식과 휴식을 위해 이용하는 중심 영역은0.05㎢이였다(Cooke and Farrell
1998).
고라니의 행동 생태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중국고라니는 연해, 호수, 강 주변부의 습지대, 낮은 산 림지대 및 구릉지에 서식 하고(Allen 1940) 일반적으 로 산림보다 갈대밭이나 초지를 선호하며 이런 지역은 휴식, 교미, 분만을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Zhang 2000).
중국고라니의 임신기간은
210일 내외로 11월~1월에
짝짓기 하여 이듬해 봄인5월~7월에 1~3마리의 새끼
를 낳는다(Macdonald 1987; Brown 1991; Nowak 1991;Wilson 1993).
우리나라 고라니는 산 중턱이하 산기슭이나 강기슭, 계곡, 풀숲, 평지의 버들밭, 억새가 우거진 황무지, 그리 고 산기슭에 가까운 논에서 주로 서식하며 해발
600m
이하에서 주로 관찰되었고(이배근 2003) 봄에는 경작지 인근의 풀숲, 여름에는 강기슭이나 계곡 주변의 초지, 가 을에는 야산의 풀숲과 논과 밭 속, 겨울에는 양지바른 논둑, 밭둑 등 인가지역까지 내려온다(원병휘1967).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주된 활동시간(activity time) 은 저녁 6시부터 오전 6시까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며
Fig. 1. Distribution of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in Asia. (map source: www.http://www.iucnredlist.org, brush marks are distribution area)
새벽 3시와
4시 사이에 가장 활동성이 높고 낮에도 빈번
히 움직인다(이배근2003).
최근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원격무선위 치추적(Radio Tracking) 장치를 이용한 행동권 및 생태 특징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어 왔으나 연구 개체의 돌연 사, 발신기의 고장, 장비의 고가화 및 신호 분실 등의 돌 발적인 문제로 인해 서식지 환경에 따른 행동권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김원명 등
2009; Kim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인위적 교란이 발생하는 설악산국 립공원의 장재터 지역과 자연적 보전 서식지인 양구생 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 일일 행동권 및 시간대별 행동권 등 서식지 유형에 따른 고라니의 행동생태 특성 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조사대상지
고라니의 서식지 유형에 따른 행동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악산국립공원과 양구생태식물원에 서 식하는 고라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의 연구 대상지인 장재터는 대부분의 산림이 침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림과 하천이 근접해 있는 전형적인 수계 형태의 고라니 서식지로 서 식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도로, 민가 및 논과 밭 주변의 농작물 피해 방지막 등의 인위적 간섭으로 인해 고라니 의 서식지 단절과 교란이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대암 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강원도 양구군 동면 원당리의 양구생태식물원은 대부분의 산림이 혼효림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산림의 임연부와 계곡이 위치한 전형적인 산 림형 서식지로 양구생태식물원, 논, 밭 및 도로가 서식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나 인위적인 간섭이 비교적 낮은
자연적 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위치좌표 수집
고라니의 행동생태 연구를 위해 설악산국립공원 장재 터에서 포획한 수컷
1개체와 양구생태식물원 인근에서
포획한 수컷1개체를 대상으로 GPS발신기를 부착하여
행동 좌표를 수집하였다.본 연구에서 사용한
GPS
원격무선위치추적 장비는 국내에서 개발한 장치로GPS모듈과 RF무선모뎀 및 마
이크로프로세서와 리튬건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GPS
발신기는 고라니 몸무게의1~2%로 고라니 행동에 영향
을 주지 않는 범위에 포함되었다.고라니의 위치 좌표는 WGS84좌표 체계를 이용하였
으며
30분 간격으로 하루에 48개씩 좌표를
저장하도록설정하여 고라니는 2개체에서 확보된 위치좌표 1,792개
(장재터:625,
양구생태식물원:1,167개)를 행동특성 분석에 이용하였다(Table 1).
서식지 환경 분석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와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 는 고라니들 간 서식지 생태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본 행동권 분석에서 획득한 고라니의 위치좌표에 근거해 기존에 연구된 자료(최서윤 2003; 정지향 2007; 김원명
2009; Allen 1940; Brown 1991; Butzler 1990; Cooke and Ferrell 1998; Congalton
et al. 1999; Wilson 1993; Zhang2000; Kim 2010)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도 및
수치표고모델에서 고라니의 서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요인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환경요인은 자연적인 요 인과 인위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고라니의 서식지별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Sample
number Study
area Sex Age Weight
(kg) No. of
locations GPS tracking period
SNM52 Seorak national park Male adult 16kg 625 15 days
YGM51 Yanggu Male adult 17kg 1167 26 days
Table 1. Information of water deer for GPS tracking
데이터 분석
고라니의 행동권 연구는 White and Garrot(1990)의 정 의를 따랐다. 따라서 매
30분 간격으로 수집된 고라니
좌표의 95%에 해당하는 공간을 행동권으로 정의하였으 며 50%에 해당하는 지역을 중심지역(core area)으로 규 정하였다.고라니의 행동권은 최외각볼록다각형(MCP: Minimum
Convex Polygons)
기법의 100%, 95%, 50%에서의 행동 권 면적을 분석하였다. 단, 볼록형이 아닌 경우 최외각볼 록다가형 기법에 의한 행동권은 대 면적을 포함할 수 있 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Worton 1987). 따라 서 이런 경우는Kernel
밀도추정이 더 정확한 행동권 크 기를 나타냄으로(Kernohan et al. 2001) Kernel 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분석의95%, 90%, 50%에 대
한 결과도 함께 실시하였다.고라니의 행동권 분석 결과를 일일행동권, 시간대별 활동 및 이동거리와 서식지 선호도를 두 대조 서식지간 비교분석 하였다.
고라니의 일일 및 시간대별 행동생태를 확인하기 위
하여
GPS발신기의 위치좌표
저장 시간 간격을30분으
로 한정하였다. 발신기의 위치좌표는 약
16m의
오차한 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활동하다가30분 이내에
오차범위내로 재 이동 할 경우 활동 유무를 판단할 수 없기 때 문에 본 연구에서 수집한 좌표는 일일 행동권과 시간대 별 이동거리에 대한 범위를 오차범위 이상인 지점으로 이동하였을 때로 한정하였다.
고라니의 행동권, 일일 행동권, 시간대별 행동권 및 생태특성은 ArcGIS 9.3, HawthsTools, Home Range Tools
for ArcG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설악산국립공원 고라니의 행동권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 을 최외각볼록다각형(MCP: Minimum Convex Polygon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100%에서의 면적은 0.319㎢이였
으며, 행동권에 속하는 95%의 면적은 0.255㎢이고 중심 지역에 속하는50%의 면적은 0.097㎢였다(Fig. 2).
장재터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행동권은 하천지역 과 산림지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방사 직 후 산림에서 서식하다가 하천지역으로 이동한 이후 다시 산림 내 서 식지로 되돌아오는 행동을 보였다.
Fig. 2. Home range of water dee (MCP: 50%, 95%, 100%) and kernel methods (50%, 90%, 95%) in Jangjaeteo, Seorak National Park (map source : www.google.co.kr, A: Stream habitat, B: Forest habitat, Left (MCP: 50%-0.097㎢, 95%-0.255㎢, 100%-0.319㎢), Right (Kernel:
50%-0.039㎢, 90%: 0.136㎢, 95%: 0.176㎢).
Kernel의
밀도추정치에 의해 고라니의 행동권을 분석 결과 95%에 해당하는 면적이0.176㎢, 90%에 해당하는 면
적이 0.136㎢이였으며 중심지역인 50%의 면적은 0.039㎢였다.
설악산국립공원의 장재터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행동권의 위치좌표는 산림지역과 하천지역인 두 지역으 로 나뉘어서 분포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최외 각볼록다각형 기법에 의한 행동권은 산림지역과 하천지 역을 이동하는 경로까지 모두 포함되어 최대면적을 나 타냈다. 따라서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과 중심지역의 면적은 Kenel 밀도추정 기법에 의한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고라니의 행동 특성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악산국립공원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
설악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의 평균면적은
0.041±0.031㎢였다.
고라니는 발 신기 부착 후4일이 경과한 이후 하천지역으로 이동하여
4일간 행동하였으며 8일에 장재터지역의 산림형의 서식
지로 다시 이동하였고 9일 이후부터는 산림지역에서 일 정한 행동권을 유지하였다(Fig. 3).
현장조사결과 장재터 지역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서식 지는 논, 밭, 도로 등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대부분의 면적이 단절 또는 파괴되어 있고 서식지 내에 사유지 지 역을 표시하기 위한 철조망, 농작물 피해 방지 시설물 및 차량과 사람의 통행 등 인위적 서식지 교란이 발생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orsi et al. 1999; Haworth and
Thomson 1990).
장재터 지역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인위적인 교란 발생으로 인해 제 한된 면적만을 서식지로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설악산국립공원 고라니의 시간대별 행동 및 이동거리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시간대 별 활동을 조사한 결과 가장 활발한 활동 시간 때는 일 몰 이후인 19시와 22시이며, 일출이 시작되는 6시와 정 오인 12시에도 활동량이 증가하였다. 활동이 가장 낮은 시 간대는 8시와 24시였으며 하루 동안의 평균적인 최대 이동 거리는 60±88.4m이였으며 최소 이동거리는 23.3±13.6m였 다(Fig. 4).
장재터 지역은 설악산국립공원의 보호지역임에도 불 구하고 사유지의 면적이 많아 사람들의 출입과 차량의 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으로 겁이 많고 청각, 후 각 및 시각이 잘 발달되어 있는(유병호 2000) 고라니의 특성상 사람과 차량의 이동에 따른 교란 행위가 고라니 의 행동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따라서 사람과 차량의 이동이 많은 낮 시간 보다 사람과 차량의 출입이 상대적으로 적은 19시와
22
시에 활동량이 가장 높았으며 일부 인위적 교란 발생이 낮은 주간에도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손성 원 등1999;
이배근2003).
Fig. 3. Daily movement of water deer in Jangjaeteo, Seorak National Park.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을 최외 각볼록다각형(MCP: Minimum Convex Polygons)기법으 로 분석한 결과 100%의 면적에서
1.516㎢였고 행동권에
속하는95%의 면적은 0.405㎢였으며 중심지역인 50%
의 면적은
0.087㎢였다. Kernel의
밀도추정치로 분석한 고라니의 행동권 결과는 행동권에 속하는95%의 면적
이0.597㎢, 90%의 면적이 0.439㎢이고 중심지역에 속
하는50%의 면적이 0.129㎢였다(Fig. 5).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 좌표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볼록형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볼록 형 내에 세 개의 밀집지역이 분포하고 있어 최외각볼록 다각형에 의한 행동권의 면적이 최소치를 나타내는 것 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양구생태식물원 역시 Kenel 밀도 추정치에 의한 결과가 최외각볼록다각형 기법에 의한 결과보다 고라니의 행동권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구 원당리에 서식하는 고라니(암컷, 2개체)의 행동 권을 분석한 결과
MCP 100%에서 2008년도와 2009년
도 각각1.454㎢, 1.648㎢, 95%의 행동권에서 0.343㎢, 0.336㎢, 50%의 중심지역은 0.036㎢, 0.119㎢으로 기간
에 따른 행동권의 크기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김원명 등2009).
Fig. 4. Movement time of water deer in Jangjaeteo, Seorak Nation Park.
Fig. 5. Home range of water deer based on minimum convex polygon (MCP: 50%, 95%, 100%) and kernel methods (50%, 90%, 95%)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B: www.google.co.kr, A: MCP(50%-0.087
㎢, 95%-0.405㎢, 100%-1.516㎢), B: Habitat, C: Kernel (50%-0.129
㎢, 90%: 0.439㎢, 95%: 0.597㎢))
고라니는 평균 행동권이
21ha(0.21㎢)로 겨울철 영역
범위가 넓고 먹이섭식과 휴식을 위한 중심영역은 0.05㎢로(Cooke and Farrell 1998) 계절에 따라 서식장소가 바 뀌고 겨울철에는 양지바른 논둑이나 경작지 부근의 산 기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윤명희 1992; 유병 호 2000). 양구생태식물원의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 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 먹이 활동 기간에는 서식지 이용 범위가 산림에 인접한 경작지 부근까지 확대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 평균 면적은
0.134±0.058㎢로 발신기 부착 이후 6일과 12일에 큰 움
직임을 보이다가 주 서식지인 양구생태식물원 내로 되 돌아오는 경향을 보였으며 방사14일 이후부터 일정한
행동권 크기를 유지하였다(Fig. 6).양구생태식물원은 대부분 산림으로 논과 밭 및 도로가 포함되어 있으나 주거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차량과 사람의 이동에 따른 인위적 교란 요인이 낮은 지역으로 고라니가 하루 동안 이용할 수 있는 공간과 활동 시간이 안정화 되어 있기 때문에 고라니의 일일행동권으로 이용 하는 면적이 설악산국립공원의 고라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유병호 2000; 이배근 2003).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시간대별 행동 및 이동거리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최대 이동 시간은 오후 13
시로
15시와 겨울철 일몰 직후인 17시에도 활동량이 많
았으며 일출이 시작되는 6시와 7시 사이에도 활동이 증가 하였다. 최소 이동 시간은 24시로 12시와 20시에도 활동량 이 적었다. 한 시간 동안 최대 이동 거리는 194.1±245.6m 이였으며 최소 이동 거리는
84.7±65.3m이다(Fig. 7).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는 야생동물의 서식지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로 및 사유지 등 인위적 교란 요 인 매우 적고 사람과 차량의 이동에 따른 인위적 간섭 또한 적기 때문에 서식 행동에 교란이 낮은 것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는 먹이활동 시간 과 유용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일일행동권이 넓게 분석된 것으로 판단된다(Corsi et al.;
Haworth and Thomson 1990).
서식지 환경에 따른 고라니의 행동권 차이
서식지 간 고라니의 행동권 차이를 최외각볼록다각형
(MCP : Minimum Convex Polygon)
방법으로 분석한 결 과 인위적인 간섭이 심한 설악산국립공원의 장재터 고 라니의 행동권은 0.255㎢(MCP 95%)이고 양구생태식물 원 고라니의 행동권은0.405㎢(MCP 95%)로 지역 간 고
Fig. 6. Daily movement of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Fig. 7. Distance of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Fig. 8. Deference of home range of water deer in each of the two study area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s.
라니가 행동권으로 이용하는 면적의 크기 차이는 매우 컸다. 두 지역 간의
MCP 50%의 면적은 장재터지역이
0.097㎢,
양구생태식물원이 0.087㎢로 중심지역으로 이용하는 면적 크기는 거의 유사하였다(Fig. 8).
행동권을
Kermel
밀도추정기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설악산국립공원의 장재터는 고라니의 행동권은 0.176㎢(Kernel 95%)이고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은 0.597㎢(Kernel 95%)로
두 지역 간 서식하는 고라니가 서식지로 이용하는 면적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Kernel 90%의 행동권 면적 또한 장재터 고라니가 0.136
㎢이고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가
0.439㎢로 차이가
매 우 컸다(Fig. 8).중국고라니는 장기간의 환경 변화와 인위적인 개발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개체수와 지역적 분포가 급속히 감소하였으며(Xu et al. 1996) 서식지의 파괴와 단절은 이미 중국 야생동물을 멸종위기에 이르게 하는 중 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Wang 1998; Zhang 1998).
최근 우리나라의 야생동물 서식지는 인위적인 교란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수 십년 동안 인위적인 개발 및 간섭으로 인해 야생 동⋅식물들의 생물종 조성이나 서식공간의 분포가 많이 변형되어 있다(노백호와 박혜
경
2004).
또한 무분별한 개발 및 환경 변화로 인한 서식지 악화로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빈도수가 증가하면서 고라니의 개체수가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최서윤 2003).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고라니는 인위적인 요인인 논 과 밭 등 경작지의 농작물피해방지 시설, 건물, 철조망
및 도로의 개설로 인해 서식지의 단절 및 파괴가 진행되 고 있는 지역으로 차량 및 사람의 이동에 따른 서식지 교란이 장재터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행동에 직접 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 하는 고라니는 고립된 생태계 내에서 최소한의 행동권 면적을 유지하면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Corsi et al.; Haworth and Thomson 1990).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는 인위적 교란 요인인 식물원 과 논과 밭 등 경작지 및 도로가 개설되어 있으나 농작 물 피해 방지 시설 및 건물이 없고 사람의 출입 및 차량 의 이동 또한 매우 적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잘 보전된 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구 생태식물원 고라니는 이용할 수 있는 면적이 넓고 행동 을 제한하는 교란이 낮기 때문에 안정된 서식 공간과 활 동 시간이 확보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행동권을 지 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식지 환경에 따른 고라니의 시간대별 활동
서식지 환경에 따른 두 지역 간 고라니의 시간대별 행 동 및 이동거리를 확인한 결과 인위적인 교란이 발생하 는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고라니는 시간별 평균 이동
거리가
50m이하로 일몰
직후인19시와 야간인 22시에
가장 많이 이동하였으며 교란이 낮은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는 시간대별 평균 이동거리가
100m이상으로 가
장 이동이 많은 시간대는 7시, 13시와17시였다(Fig. 9).
시간대별 활동을 변동률로 분석한 결과 설악산국립공
Fig. 9. Daily Activity of water deer in each of two habitat
원 장재터 고라니가 가장 많이 움직인 시간은 6시, 12시,
19시, 22시로 하루에 4회 활동 폭이 컸으며 양구생태식
물원 고라니는15시에 가장
움직임이 많았으며13시부
터17시 사이에
집중적으로 활동하였다(Fig. 10).고라니는 하루 활동 시간 중 먹이를 섭취하는 데 소요 되는 시간이 50.4%로 전체 활동량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종으로 현장조사 결과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고라니는 사람의 출입과 차량의 이동이 빈번하 여 먹이활동을 위한 시간과 공간적이 제약을 많이 받고 있으며 한 시간 동안의 평균 활동 거리가
50m이하로 장
시간 지속적인 먹이섭식이 어렵기 때문에 하루에4차례
의 활동을 통해 먹이섭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Zhang 2000).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는 인위적 교란이 적고 서식지내에서 먹이섭식을 위한 시간 과 공간 확보가 충분하므로 하루
1회에 일정한 시간대에
먹이섭식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서식지 환경 요인에 따른 고라니의 선호도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고라니의 행동권에 포함되는 서식지 유형은 공공시설지역
1,8%,
기타나지3.6%,
내 륙수0.9%,
논12.0%,
밭, 16. 6%, 자연초지55.9%,
침엽 수림 9.4%로 구성되어 있었다. 장재터 고라니는 밭을 가 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행동권 중 49.0% 차지하였다. 초 지는 36.2%을 이용하였으며 공공시설지역은 전혀 이용 하지 않았다. 고라니의 선호도는 밭이 2.96으로 가장 높 았다(Table 2).고라니는 서식지의 형태나 면적, 위치 등에 따라 서식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동물로 장재터는 침엽수림이 우 점하고 있는 산림으로 침엽수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 으며 일반적으로 초지나 논, 밭, 소택지 등을 서식지로 선호하는 고라니 생태 특성상 장재터 고라니 역시 서식 지로서 밭과 초지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Fig. 10. Daily activity time of water deer in each of the two habitat.
Habitat pattern
Availability
(Habitat patten area from Kernel 95%) Use
(GPS point in habitat pattern) Preference (Use/Availability)
Area(m2) Rate(%) GPS Points Rate(%)
Land of public acilities 2446.43 1.8% 0 0.0% 0.00
Bare ground 4890.11 3.6% 9 1.4% 0.40
Stream 1166.66 0.9% 1 0.2% 0.19
Paddy 16310.62 12.0% 21 3.4% 0.28
Field 22585.57 16.6% 304 49.0% 2.96
Grassland 76226.44 55.9% 225 36.2% 0.65
Coniferous forests 12839.64 9.4% 61 9.8% 1.04
Table 2. Preference of water deer according to habitat in Seorak National Park
다(김원명
2009; Cooke and Farrell 1998).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에 포함되는 서식지 는 활엽수림 13.1%와 혼효림 86.9%로 구성되어 있었으 며 이용가능성 대비 선호도가 높은 지역은 혼효림으로 면적별 서식환경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Table 3).
고라니는 농경지 주변의 산림의 임연부이나 풀숲에 주로 서식하는 주연종(edge species)이다. 양구생태식물 원의 고라니가 서식하고 있는 지역은 산림 임연부 지역 으로 식물원을 제외하고는 인위적인 구성 요소가 없기 때문에 혼효림을 주 서식지로서 선호하였으며 현장 조 사결과 서식지 내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서식지로서의 이용은 매우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김원명
2009).
고찰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서식지내 행동 및 생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악산국 립공원 장재터와 양구생태식물원의 고라니의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인위적 교란이 심한 설악산국립공원 장재 터 고라니의 행동권은
0.179㎢(Kermel 95%)이고 중심
지역은0.097㎢(Kermel 50%)이며,
비교적 교란이 낮은 자연적 서식지를 보전하고 있는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 의 행동권은0.597㎢(Kernel 95%),
중심지역은 0.129㎢(Kernel 50%)로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이
더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 교란 요인은 고라니의 서 식지 이용 및 활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고라니의 행동권의 크기가 서식지 환 경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고라니의 일일행동권의 평균 면적은
0.041±0.031㎢이고 한 시간당
평균 이동거리는50m
이하이며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6시, 12시, 19 시, 22시였다.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일일행동권 평균 면적은 0.134±0.058㎢, 한 시간당 평균 이동거리가 100m 이상으로 가장 활발한 활동 시간은15시였으며 13시부
터
17시에도
꾸준히 활동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는 인위적 교란으로 인하여 고라니의 서식에 필요한 활동의 시간적 및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고 시간당 움 직일 수 있는 면적과 거리가 짧기 때문에 먹이식물 획득 을 위해 활동이 불규칙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위적 요인 에 의한 교란이 낮은 양구생태식물원은 설악산국립공원 에 서식하는 고라니 보다 서식에 필요한 활동 공간과 시 간이 안정이기 때문에 하루 동안 일정한 시간에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는 서식지 유형이 다른 설악산국립공원 장 재터 지역과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 2 개체의 행동권 분석 결과로 연구 대상인 고라니의 개체 수가 적고 행동권 분석 기간이 짧기 때문에 한국에 서식 하는 고라니의 일반적인 행동특성으로 간주하기에는 한 계가 있으나 서식지 환경이 고라니의 행동 및 생태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만큼 이번 연구 결과 는 고라니의 서식지 개선 및 개체군 관리를 위한 기초자 료로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동물의 행 동권 연구는 서식지 이용 및 선호도, 개체 및 분류군의 공간적 중첩, 생태적 수용력 추정 등 기초 생태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므로 향후 다양한 고라니 개체의 연도별, 계 절별, 연령대별, 서식지별 및 개체별 행동권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서식지 보전과 개 체군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자료 구축 및 분 석이 필요하다.
Habitat pattern
Availability
(Habitat patten area from Kernel 95% ) Use
(GPS point in habitat pattern) Preference (Use/Availability)
Area(m2) Rate(%) GPS points Rate(%)
Deciduous forest 57305.85 13.1 29 2.5 0.195
Mixed stand forest 381658.17 86.9 1107 97.5 1.120
Table 3. Preference of water deer to habitat pattern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참고문헌
김원명, 김지연, 서창완, 김의경, 김정현, 신정화, 정현미, 방기 정, 조용구. 2009. 고라니 개체군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최적관리방안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노백호, 박해경. 2004. 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 공간 설정방안 연구.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포유류. 문교부.
유병호. 2000. 저푸름을 닮은 야생동물. 다른세상.
윤명희. 1992. 야생동물. 대원사.
이배근. 2003. 고라니(Hydropotes inermis Swinhoe)의 형태, 생태 및 DNA 분류학적 특징.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지향. 2003. 대부도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서식지 적합도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서윤. 2003. 대부도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서식지 적합도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llen GM. 1940. Mammals of China and Mongolia. Natural history of central Asia. New York: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1: 1126-1261.
Brown RE. 1991. The biology of deer. Springer-verlag, New York, Berlin, Tokyo.
Butzler W. 1990. Grzimek's encyclopedia mammals. Vol. 5.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New York.
Congalton RG, JM Stenback, RH Barrett. 1993. Mapping deer habitat suitability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eocarto International. 3: 23-33.
Cooke A, L Farrell. 1998. Chinese water deer. Mammal soci- ety and the Brithish deer society.
Corsi F, E Dupre, L Boitani. 1999. A large-scale model of wolf distribution in Italy for Conservation Panning.
Conservation Biology. 13: 1-11.
Haworth PE, DBA Thompson. 1990.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reeding distribution of upland bird in the South Pennies, England. Journal of Applied Ecology. 20: 562-577.
Kernohan BJ, RA Gitzen, JJ Millspqugh. 2001. Analysis of animal space use and movements. Pp. 125-166, In: Radio Tracking Animal Population (Millspaugh JJ, Marzluff JM, eds.). Academic press.
Kim BJ. 2010. Ecological and genetic characeristics of the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in South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Macdonald D. 1987. The encyclopedia of mammals. Facts on File Publications, New York.
Nowak RM. 1991.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Fifth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Wang S. 1998. China Red Data Book of Endangered Animal.
Mammal Volume. Beijing: Science Press. In Chinese.
White GC, RA Garrott. 1990. Analysis of wildlife radio-tracking data. p. 289. Academic Press, Inc. San Diago. California.
Wilson D. 1993.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econd ed.
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Worton BJ. 1995.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o evaluate kernel based home range estimators. J. Wildlife Manage.
59: 173-183.
Xu HF, HJ Lu, XP Liu. 1996. The current status and habitat use of Chinese water deer in the coast of Jiangsu Province.
Zool Res. 17: 217-224.
Zhang E, G Guo. 2000. Poaching as a major threat to Chinese water deer in Zhoushan Archipelago, Zhejinag Province, PR China. Deer. 11(8): 413-414.
Zhang E. 1998. Uniparental female cara in the Chinese water deer at Whipsnade Wild animal park, England. Acta Theriologica Sinica. 18: 178-183.
Zhang E. 2000. Daytime activity budget in the Chinese water deer. Mammalia. 64: 163-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