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PDF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Copied!
9
0
0

Teks penuh

(1)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1).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 ■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목표종. ■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특이종. ■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 ○ 서울에서 출현하는 생물종수는 총 1,277종으로 조사됨. - 도시의 자연환경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서울시 전역의 다양한 비오톱 유 형에 대한 생물상 조사2)를 실시한 결과, 서울시에서 발견된 총 생물종수는 1,277종으로 식 물 766종, 양서파충류 12종, 곤충류 424종, 조류 60종, 포유류 15종임(<그림 1> 참조). ○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의 차이 - 출현하는 생물종수가 많은 비오톱 유형은 조경녹지비오톱, 도시기반시설지비오톱, 산림지 비오톱임. 조경녹지비오톱은 녹지공간을 조성하면서 다양한 수종을 식재한 것이 종다양성 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임. 도시기반시설지비오톱은 도시기반시설지들이 전반적으로 산 림과 같은 대규모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와 인접하는 경우가 많아 인접 비오톱의 영향으로 생물종다양성이 높아짐.. 1) 그리스어원의 bios(생명)와 topos(장소)가 합쳐진 독일어인 비오톱(Biotop)은 경계를 가지는 생물의 특정서식공간을 의미하 며 각각 고유한 환경속성을 가지는 소생물권을 뜻함. 2)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상 조사는 2001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3년 동안 실시되었음. 2000년에 제작된 서울시 도시 생태현황도에 근거한 비오톱 유형은 토지이용 및 자연환경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9개의 대분류군(주거지, 상업 및 업무지, 도 시기반시설지, 교통시설지, 조경녹지, 하천 및 습지, 경작지, 산림지, 유휴지)으로 구분되고, 대분류군은 다시 토지이용, 불투 수토양포장도, 현존식생을 기초로 총 65개 비오톱 유형으로 구분됨. 본 조사에서는 2005년 도시생태현황도 정비에서 유형이 변경될 일부 비오톱 유형을 제외한 총 59개 비오톱 유형을 대상으로 각 비오톱 유형별로 3개 비오톱을 선정하였음(총 173 개의 조사 비오톱 선정). 조사내용은 식물분야에서 식생구조, 우점종, 군집구조 등이, 동물분야에서는 조류상, 곤충상, 포유류 상, 양서파충류상 등이 조사되었음..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9. (2) 서울연구포커스. 90 0 766. 800 70 0. 총종수. 60 0 50 0. 424. 400 30 0 200 10 0. 60 15. 12 0 식물. 양서파충류. 곤충류. 조류. 포유류. 생물분류군. <그림 1> 생물분류군별 출현종수. - 하천 및 습지비오톱은 다른 비오톱 유형에 비교하면 출현하는 생물종수에서는 큰 특성을 보이지 않으나 다양한 수변식생을 비롯하여 다른 비오톱에 나타나는 생물상과는 차별성을 보임. 산림지비오톱은 일반적으로 개발지에 비해 출현하는 생물종이 많으며 종구성에서도 자생종이 많아 생태적으로 안정적임. - 상업 및 업무지비오톱과 교통시설지비오톱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공간의 부족으로 출현하는 생물종이 다른 비오톱에 비해 상당히 적으며 유휴지비오톱의 경우는 이 대분류 군에 해당하는 비오톱유형이 하나뿐이어서 다른 대분류군에 비해 생물종이 적게 나타남.. 80 0 68 2. 700. 생물종수. 60 0. 636 58 4 5 31. 488. 500 40 0. 38 2. 4 70. 37 7. 30 0 17 4. 20 0 10 0. 도 시 유 휴 지. 산 림 지. 경 작 지. 하 천 및 습 지. 조 경 녹 지. 교 통 시 설 지. 상 업 및 공 업 업 무 지 지 및 도 시 기 반 시 설 지. 주 거 지. 0. 비오톱유형. <그림 2> 비오톱 유형(대분류군)별 출현종수. ──────────────────────────────────────────────── 10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 불투수토양포장비율이 높지 않은 비오톱 유형의 생물다양성이 높음. - 불투수토양포장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표적인 토지이용형태인 주거지비오톱과 상업 및 업무지 비오톱을 분석하였는데 불투수포장 비율에 따라 생물다양 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그림 3> 참조). - 건물층수와 같은 물리환경의 여건이 유사할 때 불투수포장비율이 높은 주거지비오톱에서 출현하는 생물종은 306종이며 불투수포장비율이 낮은 주거지에서 출현하는 생물종은 486 종으로 나타남. - 상업 및 업무지비오톱의 경우 불투수토양포장면적비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출현하는 생물 종수가 100종 정도 차이가 나서 불투수토양포장면적비율이 증가하면 출현하는 생물종수가 적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 출현하는 생물종수의 많고 적음이 생태적 건강성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척도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비교적 열악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도심의 경 우 다양한 생물종의 출현은 도시환경의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음. 따 라서 토지이용에서 기본적으로 불투수토양포장면적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도시에 다양한 생물이 살 수 있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임.. 60 0. 486. 50 0. 생물종수. 40 0. 3 16. 30 6 30 0. 2 11 20 0. 10 0. 0. 불 투 수 포 장 비 율 이 주 거 지. 높 은. 불 투 수 포 장 비 율 이 주 거 지. 낮 은. 불 투 수 포 장 비 율 이 높 은 상 업 및 업 무 지. 불 투 수 포 장 비 율 이 낮 은 상 업 및 업 무 지. 비 오 톱 유 형. <그림 3> 불투수포장비율이 높은 비오톱유형과 높지 않은 비오톱유형의 생물다양성 비교.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11. (4) 서울연구포커스.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특이종 ○ 비오톱 유형별 특이종 및 비특이종 분류방법 - 비오톱 유형별로 다른 유형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드물게 나타나면서 특정 비오톱유 형에 주로 나타나는 생물상을 분석하여 특이종으로 정하고 이와는 상반되게 다양한 비오 톱유형에서 나타나는 생물을 비특이종으로 분류함. - 기술적으로는, 173개 조사 비오톱의 5%인 7개 이하의 비오톱에 출현하는 생물종을 분석 하고 선정된 생물종 중에서 특정 비오톱유형에 2개 이상 나타나는 경우 해당 비오톱 유 형의 특이종으로 분류함. 또한 특정 대분류군에 2개 이상 나타나는 생물종은 해당 대분류 군의 특이종으로 분류함. 그리고 173개 조사 비오톱의 1/3에 해당하는 58개 이상의 비오 톱에 출현하는 생물종을 분석하여 비특이종으로 분류함. ○ 서울의 도처에 분포하는 비특이종 - 다양한 비오톱 유형에서 볼 수 있는 비특이종, 즉 서울의 도처에 나타나는 식물은 가중나무, 아 까시나무, 개나리,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 총 29종으로 외래종의 비율이 높아 도시공간이 인 위적인 영향으로 외래식물 확산의 근거지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음. 또한 단풍나무, 은행나무, 장미, 향나무, 회양목 등의 조경수목도 서울시 도처에 서식하는 종으로 나타남(<표 1> 참조). - 노랑나비, 방아개비, 참매미 등 19종의 곤충, 그리고 까치, 박새, 참새 등 3종의 조류가 서 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종들임. ○ 비오톱 유형별 특이종 - 주거지비오톱에 주로 나타나는 특이종은 식물의 경우 매발톱꽃, 실유카, 채송화, 패랭이꽃, 풀또기, 들묵새, 피막이, 두충 등이고 곤충류는 청등에잎벌, 참풍뎅임. 양서파충류와 조류, 포유류에서는 특이종이 나타나지 않았음(<표 2> 참조). - 조경녹지 비오톱에 나타나는 특이종은 식물에서는 흰말채나무, 꿩의밥, 엉겅퀴, 별꽃아재비, 개쉬땅나무, 귀룽나무, 모감주나무, 백송, 삼나무, 서어나무, 약모밀, 연필향나무, 종비나무, 풍년화, 피나무, 황벽나무 등이, 곤충류에서는 국화하늘소, 힌줄꼬마벌이었으며, 조류는 새 홀리기, 포유류는 너구리와 두더지였음. 조경녹지비오톱에서만 포유류에서 특이종이 나타 났는데, 이는 골프장이나 1ha이상의 조경수목식재지 등이 산림과 인접할 경우 비교적 큰 생활반경을 가지는 포유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 12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표 1> 서울의 도처에 분포하는 비특이종 식물 가중나무 강아지풀 개나리 개망초 괭이밥 깨풀 단풍나무 닭의장풀 망초 바랭이 뽀리뱅이 사철나무 서양민들레 소나무 쇠별꽃 쑥 아까시나무 왕바랭이 은행나무 잔디 장미 제비꽃 쥐똥나무 질경이 토끼풀 향나무 환삼덩굴 황새냉이 회양목 (29). 양서파충류. 곤충류. 조류. 포유류. 곰개미 꼬마꽃등에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네발나비 노랑나비 대만흰나비 된장잠자리 말매미충 메추리노린재 무당벌레 밀잠자리 방아깨비 배추흰나비 암먹부전나비 양봉꿀벌 집파리 참매미 톱다리개미허리노린 재 푸른부전나비 (19). 까치 박새 참새 (3). 고양이 집쥐 (2). - 하천 및 습지 비오톱의 특이종은 식물의 경우 개사철쑥, 쇠치기풀, 참깨, 가시박, 미국실새 삼, 석잠풀, 수박, 큰도꼬마리, 흰명아주여뀌, 단풍잎돼지풀임. 또한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 고 있으며 괭이갈매기, 알락할미새, 왜가리 등이 특이종으로 나타나고 있음. - 산림지비오톱에 주로 나타나는 특이종은 식물의 경우 각시붓꽃, 개머루, 선밀나물 등이며, 양서파충류는 유혈목이, 곤충류는 가시큰다리잎벌레, 등얼룩풍뎅이, 여치 등, 조류는 개똥 지빠귀, 곤줄박이, 오목눈이, 오색딱따구리, 포유류는 멧토끼임..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13. (6) 서울연구포커스. <표 2> 특정 비오톱유형(대분류군)에 나타나는 특이종 비오톱유형 (대분류군). 식물. 주거지. 매발톱꽃, 실유카, 채송화, 패랭이꽃, 풀또기,들묵새, 피막이, 두충. 상업 및 업무지. 해당화, 민바랭이. 도시기반 시설지. 개피, 부들, 물통이, 여우주머니, 옥잠화. 양서파충류. 곤충류. 조류. 포유류. 새홀리기. 너구리, 두더지. 청등에잎벌, 참풍뎅이. 맹꽁이. 별쌍살벌, 애귀뚜라미, 두꺼비메뚜기, 삼하늘소, 검정뺨금파리, 털검정파리 뚱보기생파리, 줄꽃등에. 교통시설지. 조경녹지. 흰말채나무, 꿩의밥, 엉겅퀴, 별꽃아재비, 개쉬땅나무, 귀룽나무, 모감주나무, 백송, 삼나무, 서어나무, 약모밀, 연필향나무, 종비나무, 풍년화, 피나무, 황벽나무,. 하천 및 습지. 개사철쑥, 쇠치기풀, 참깨, 가시박, 미국실새삼, 석잠풀, 수박, 큰도꼬마리, 흰명아주여뀌, 단풍잎돼지풀. 경작지. 배나무, 가지, 딸기, 상추, 쑥갓, 배나무, 층층나무. 산림지. 고비, 선밀나물, 꿩의밥, 각시붓꽃. 유휴지. 털빕새귀리. 국화하늘소, 흰줄꼬마벌. 괭이갈매기, 알락할미새, 왜가리. 땅별노린재, 배홍무늬침노린재, 황각다귀, 가시점둥글노린재, 무늬고리장님노린재 유혈목이. 콜체잎벌레. 오목눈이. 멧토끼. ──────────────────────────────────────────────── 14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목표종 ○ 비오톱 유형별 목표종 선정방법 - 서울시의 생물종 및 서식지 관리를 위해 목표종을 선정하였는데, 목표종은 비오톱 유형별로 특이종 및 기타 생물종 목록을 기초로 생물분류군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선정함. ○ 비오톱 유형별 목표종 - 조류와 포유류는 출현종이 많지 않으므로 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조류의 경우 붉은머리오 목눈이, 직박구리, 박새를, 포유류는 다람쥐를 목표종으로 선정하였음(<표 3> 참조). - 비오톱별로는 주거지비오톱의 경우 곤충류에서 청등에잎벌이 선정되었고, 조경녹지비오톱 에서는 곤충류에서 풀무치, 땅강아지, 양서파충류에서는 참개구리, 청개구리가 선정되었음. - 산림지 비오톱에서는 곤충류에서 애사슴벌레, 범부전나비, 넓적사슴벌레, 땅강아지, 말총 벌, 쌍꼬리부전나비가, 양서파충류에서 도룡뇽, 산개구리가 선정되었음. <표 3> 비오톱 대분류군별 목표종 비오톱유형. 곤충류. 주거지. 청등에잎벌.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붉은머리오목눈이, 직박구리, 박새. 다람쥐. 상업 및업무지 공업지 및 도시기반시설지. 왕잠자리. 교통시설지. 왕잠자리. 조경수목식재지 하천 및 습지. 풀무치 땅강아지 풀무치 노랑뿔잠자리 강하루살이. 참개구리 청개구리. 경작지. 배홍무늬침노린재 풀무치. 맹꽁이 산개구리 청개구리. 산림지. 애사슴벌레 범부전나비 넓적사슴벌레 땅강아지 말총벌 쌍꼬리부전나비. 도롱뇽 산개구리. 유휴지.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15. (8) 서울연구포커스.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 비오톱 유형 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공간관리가 필요함. - 비오톱 유형별 생물상 조사결과를 분석하면 고밀도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유사한 생물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어 도시전체로 보면 생물다양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옴.. 불투수포장비율이 높은 비오톱의 경우는 대부분 도심에 분포하고 유형의 특이종이 나타나 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높은 불투수포장비율은 생물종의 유입 및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 이 되고 있음. - 인위적인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할지라도 그 영향이 크지 않은 비오톱들은 생물다 양성이 높음. 따라서 도시의 생태적인 관리에서 인위적인 영향의 정도가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비교적 높은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산림지비오톱과 도심의 양호한 비오톱들을 서로 연계하여 도시 전체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계획이 필요함. - 수공간을 포함한 비오톱유형은 생물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하천, 도로와 같은 선형비 오톱은 다양한 생물의 확산을 위한 거점이 될 수 있음. 따라서 수변비오톱, 불투수포장비 율이 낮은 철도시설지 등과 같은 선형비오톱과 기타 불투수포장비율이 낮은 비오톱유형들, 그리고 산림지비오톱 등은 이들 유형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물종 관리를 해야 함. ○ 생물분류군별 관리방향 - 식물 : 인공조림지보다는 자연림에서 생물다양성이 높으므로 산림의 경우 자연림으로의 천이를 유도하고 자연림에서의 개발사업은 규제하는 등 관리계획을 세워 산림의 생물종 다양성을 유도함. 특히 습윤지성 낙엽활엽수림은 다른 비오톱유형과는 식물종조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생물종 다양성을 위해 특별히 보호 관리되어야 함. - 곤충류 : 곤충의 먹이가 되는 식물의 식재 및 인접토지이용의 영향이 곤충의 다양성 증진 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양서파충류 : 수공간의 확보는 식물상의 증가뿐만 아니라 양서파충류를 비롯한 동물의 서 식에 필수적인 요소임. - 조류 : 조류서식을 위해서는 수공간과 함께 일정 규모의 면적이 확보되어야 함. - 포유류 : 도시에서 포유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유형의 비오톱들이 인접할 수 있도록 계획 관리하여 큰 면적의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동물들의 서식을 유도 하도록 함. ──────────────────────────────────────────────── 16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서울시 비오톱 유형별 생물다양성 현황과 생태적 공간관리 방향. 비오톱유형 시가화지역 선형비오톱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수면. 생태네트워크 환상녹지네트워크 남북녹지네트워크 동서수경네크워크 도심부 환형생태네트워크. <그림 4> 선형비오톱을 이용한 서울시 생태네트워크. 송인주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02-2149-1165 [email protected].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17. (1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