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세계도시동향 스타일 2017 - s i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세계도시동향 스타일 2017 - s i"

Copied!
17
0
0

Teks penuh

(1)

ISSN 2586-5102

06756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길 57

G l o b a l U r b a n T r e n d

세계도시동향

2020. 11. 16 489호

‘환경 지역통화’를 활용한 환경 마을 만들기 추진 헤드라인뉴스

문화·관광

산업·경제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대행 광고세’ 도입을 통해 불법광고물 단속 및 예술단체 지원

드론 기술연구 및 시험비행을 위해 시유지 제공 환경·안전 겨울철 대기오염 완화를 위한 환경캠페인 전개

(2)

세계도시동향 해외통신원

암스테르담 장한빛

베를린 신희완

유진경 홍남명 프랑크푸르트 이은희

하노버 이희재

쿠알라룸푸르 홍성아

뉴욕 윤규근

이수진 이정근 로스앤젤레스 최윤경 샌프란시스코 김민희

시애틀 강민규

시카고 김영준

강기향

하와이 임지연

휴스턴 이경선

상파울루 김현아 스톡홀름 문선우 허윤회 바르셀로나 진광선 박정수 싱가포르 이은주

런던 정기성

비엔나 안병선

로마 서동화

피렌체 김예름

뉴델리 박원빈

박효택 자카르타 박재현

도쿄 박재호

오사카 권용수

베이징 박성은

상하이 문혜정

에드먼턴 장지훈

토론토 고한나

김용훈

보르도 김준광

파리 김나래

시드니 정용문

(3)

‘환경 지역통화’를 활용한 환경 마을 만들기 추진

일본 우베市 / 환경・안전

일본 우베市는 시민, 사업자, 행정 간의 협력을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 마을 만들 기를 추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환경 지역통화 ‘에코하’(エコハ)를 도 입・활용. 에코하는 市 소재 환경 마을 만들기를 지지하는 파트너 사업체에서 사용 가능

배경 및 목적

우베市는 환경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시민, 사업자 등의 협력을 효과적으로 끌어내 환경 마을 만들기를 추진하고자 환경 지역통화 ‘에코하’(エコハ)를 도입・활용

주요 내용

환경 지역통화 에코하는 환경을 보전하거나 배려하는 행동이나 활동을 한 주민에게 이러한 행동이나 활동을 응원하는 차원에서 市가 제공하는 지역통화를 말함

[그림 1] 환경 지역통화 ‘에코하’

市는 자원봉사활동, 환경강좌 등 수강, 환경보전활동1) 참여, 환경행사 참여 등 주민 들이 지역통화 교부 대상 행동이나 활동을 하면 에코하권(券) 2장(1장당 50엔(약 530원))을 교부

1) 시민 등이 자주적으로 실시하는 도로, 공원, 하천, 그 밖에 공공장소에서의 청소 활동으로, 환경보전을 위해 불특정 다수의 시민 등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하여 실시하는 활동

(4)

市는 에코하 대상 사업을 수시로 홈페이지에 공개

- 예컨대, 2020년 8월에는 대상 사업으로 제1회 환경 모임 등을 지정해 공개

에코하는 市 소재 환경 마을 만들기를 지지하는 파트너 사업체에서 사용 가능

에코하는 유효기간이 있어 받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함

에코하를 사용하면 가격 할인이나 부가 서비스 중 하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1,000엔(약 1만 원)마다 에코하 1장을 사용하면 50엔(약 530원)을 할인받을 수

있음

- 파트너 사업체에 따라서는 무료 음료 제공이나 무료 입욕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 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음

市는 환경보전에 이바지하는 파트너 사업체를 홈페이지에 소개하고, 파트너 사업체에

‘파트너 사업체임을 표시한 증표’를 제공

파트너 사업체는 정당한 이유 없이 에코하 사용을 거부할 수 없고, 에코하 교환・양도・

매매를 하거나 에코하 발행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할 수 없음

기대효과

시민이나 사업자의 환경의식을 제고하고, 시민・사업자・행정 간의 협력으로 효과적인 환경 마을 만들기를 추진할 수 있음

시민들이 환경보전활동이나 市의 환경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시민 간의 교류나 공통의 가치관 공유가 실현되고 커뮤니티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음

환경 지역통화를 사용함으로써 市 소재 파트너 사업체의 고객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 화에 이바지

https://www.city.ube.yamaguchi.jp/machizukuri/kankyouhozen/tsuuka_ecoha/index.html https://www.city.ube.yamaguchi.jp/machizukuri/kankyouhozen/tsuuka_ecoha/koufujigyou.html https://www.city.ube.yamaguchi.jp/kenkou/seijinkenkou/kenkouzukuri/happy_point.html

권 용 수 통신원, [email protected]

(5)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이탈리아 피렌체市 / 문화・관광

이탈리아 피렌체市는 ‘지속 가능한 관광도시’라는 목표를 세우고,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다양 한 관점에서 도시를 즐길 수 있도록 지역별 사람들의 실시간 분포현황을 표시하고, 덜 붐비는 장소를 추천하는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 ‘필 플로렌스(Feel Florence)’를 개발하여 배포

배경 및 목적

시민들의 삶의 질을 위한 피렌체市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피렌체市의 인구수가 약 38만 명인 데 반해 한 해 평균 관광객 수가 1,600만 명에 달하는 상황으로 인해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이 방해받는다는 불만이 꾸준히 제기 되어 왔음

2014년 처음 시민과 관광객 모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논의되었고, 6년 동안 공을 들여 2020년 2월 애플리케이션 ‘필 플로렌스(Feel Florence)’를 완성하여 발표 회를 열고 7월 대중들에게 배포

특정 지역에만 집중되는 관광객들의 경험 분산 및 다양화

두오모 성당, 우피치 미술관 등 유명 관광지에만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

관광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과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관광 객과 시민 모두 의미 있는 도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

또한 새로운 도시 브랜딩의 필요성 대두

독일 베를린의 ‘Be Berlin’,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I Amsterdam’ 등 유럽 도시 들의 성공적인 도시 브랜딩 사례를 모델로 삼아 피렌체 역시 도시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는 슬로건을 모색

도시 슬로건을 ‘필 플로렌스(Feel Florence)’로 결정하면서 市를 대표하는 관광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역시 통일함

주요 내용

애플리케이션 ‘필 플로렌스(Feel Florence)’의 기능은 다음과 같음

과거에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관광코스 추천
(6)

-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후 프로필을 생성하여 여행 취향 및 기호를 기재

- 정형화된 관광지를 벗어난, 덜 붐비고 이탈리아의 일상적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장소 및 활동 추천

- 가이드북에서 제시한 정보와 단체관광의 획일성에서 벗어나 각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

- 특정 관광지에 사람들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여 관광객과 시민 모두 쾌적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움

실시간 밀집도 제공

- 피렌체를 5개 구역으로 나눠 실시간으로 각 구역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색깔별로 구분하여 혼잡도가 심한 곳은 방문 자제를 제안하고, 차선책으로 방문

하기 좋은 지역을 추천

테마별 관광 아이디어 제공

- 르네상스 도시답게 박물관과 미술관 방문 등은 이미 포화상태로, 다양한 관광 주제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 도시의 정원과 공원, 예술가들의 공방, 숨겨진 메디치 가문의 빌라, 자전거 여행, 스포츠 공간 등 다섯 개 구역으로 나뉜 피렌체 역사지구를 속속들이 경험할 수 있 는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주된 지향점은 ‘지속 가능성’임

‘그린 플로렌스(Green Florence)’를 부제로 한 다양한 정보 제공

- 소비하는 여행에서 벗어나 도시 주변의 자연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정보 제공 - 대중교통과 자전거 이용을 유도하며 시민들이 직접 추천한 자전거 여행 코스 제공

‘느린 여행’의 즐거움 제안

- 단체관광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여행 일정과 취향에 맞게 피렌체를 즐길 수 있는 방식을 적극 권장

- 식수대, 공공화장실, 벤치, 쉴 수 있는 녹지공간 등의 지도를 제공하여 편안한 여행이 되도록 도움을 줌

시민들의 일상을 존중

- 관광도시 특성상 장소의 혼잡도로 인해 불편을 겪었던 시민들의 불만이 점차 해소 될 것으로 기대

-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시의 문화행사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또 다른 방식으 로 도시를 관광하는 경험을 가지도록 함

- 관광객들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민들의 아이디어와 제안으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으므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를 구축

(7)

정책 평가 및 의의

획기적인 관광정책을 시도한 이탈리아의 첫 번째 도시로 평가

피렌체市는 사람들의 밀집도 정보를 이용하여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도시 경험을 개 선하고 다양화한 최초의 이탈리아 도시

정보기술의 도움으로 ‘지속 가능한 관광’ 목표를 실현하는 획기적인 정책으로 평가

시민들의 적극적인 의견 제시와 활발한 참여가 돋보임

관광수입 확대를 위한 관광객 위주의 정책이 지배적이었던 과거에 비해 시민들을 배려하고 시민들이 중심이 되는 市의 접근에 긍정적인 평가가 대부분

- 시민들이 관광객들을 위해 추천한 덜 알려진 장소와 활동이 실제로 애플리케이션 에 포함됨

관광객의 재방문을 촉진할 수 있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치 있는 관광정책이라는 평 가를 받음

가이드북에 나온 천편일률적인 장소와 활동에서 벗어나 실제 시민들의 생활상을 경험해 볼 수 있는 다양한 여행 관점을 제공하면서 앞으로도 여러 번 방문을 유도할 만한 가치를 제공

코로나19 사태로 해외여행이 어려워지고 관광객의 급감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를 바로 측정할 수는 없으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https://www.comune.fi.it/dalle-redazioni/feel-florence

https://www.comune.fi.it/comunicati-stampa/gestione-dei-flussi-turistici-arriva-feel-florence-vivere-la-citta- modo

https://www.comune.fi.it/dalle-redazioni/feel-florence

김 예 름 통신원, [email protected]

(8)

‘대행 광고세’ 도입을 통해 불법광고물 단속 및 예술단체 지원

캐나다 토론토市 / 문화・관광

캐나다 토론토市는 문화예술 관련 시민단체의 의견을 반영하여 ‘대행 광고세’(TPST, Third Party Sign Tax)를 2010년 도입. 이는 공공장소에 광고주가 대행사를 통해 광고물을 설치할 경우 그 시설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세금을 차등 부과하는 정책. 市는 이를 통해 불법광고물 단속 및 처리를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 지역 문화예술사업 등에 투자

배경 및 목적

토론토市는 불법광고 단속을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 지역 예술단체를 지원하기 위해

‘대행(代行) 광고세’(TPST, Third Party Sign Tax)를 2010년에 도입

대행 광고세는 市 공공장소에 광고주가 대행사(代行社)를 통해 광고물을 설치할 경 우 그 시설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세금을 차등 부과하는 간접세

- 市는 2009년 문화예술 분야 시민단체 연합체인 ‘아름다운 도시 연합(The Beautiful City Alliance)’과 함께 옥외광고 규제를 위한 규정을 제정하고 ‘대행 광고세’를 도입하기로 함

- 기존의 조례를 통한 불법광고 단속이 신기술의 등장으로 현실과의 괴리가 생기 고 복잡한 세부 규정으로 인해 실효성, 객관성, 일관성의 담보가 어려워짐에 따라 새로운 세금을 도입하여 현재까지 시행 중

여론조사에 따르면 토론토 유권자 10명 중 7명이 대행 광고세를 지지한 것으로 나 타남

‘대행 광고세’의 주요 내용

광고 규제의 원칙 및 절차

대행 광고세는 광고물의 유형뿐만 아니라 크기와 장소를 토대로 부과

광고 표지판은 Class 1부터 Class 6까지 6단계로 나눠 세금을 차등 부과

모든 대행 광고는 市에 사전 등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거둬들인 세금은 市에서 정한 사업 등에 사용

대행 광고는 광고변경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직접 광고는 市 담당 공무원이 승인과 허가 관련 업무를 담당하도록 업무를 분리
(9)

대행 광고세 부과 대상 및 규모

세금은 총 6단계로 차등 부과

- 가장 낮은 단계인 Class 1은 1,308.91달러(약 110만 원)의 세금이 부과되며, 표 지판 면적이 15㎡ 이하인 정적인 광고, 벽 표지판, 장식벽 표지판, 돌출 표지판, 문 표지판 또는 기계적으로 표시하는 투영 표지판 등으로 규정하고 있음

- Class 6의 경우 43,375.50달러(약 3,658만 원)의 세금이 부과되며, 75㎡ 이상의 전자벽 표지판 및 전자 접지 표지판, 전자 지붕 표지판, 전자 투영 표지판, 전자 창 문 표지판 등으로 규정하고 있음

세금을 고의적으로 납부하지 않을 경우 벌금 부과

- 세금을 고의적으로 기한일 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 15%의 이자를 내야 하고, 해 당 세금의 최대 2배를 벌금으로 납부해야 함

대행 광고세 부과 예외 대상 - 연방정부 및 州정부 광고 - 교육기관 광고

- 의료기관 혹은 요양기관 광고

- 市 기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주택공사, 개발공사, 체육시설 등) 광고

정책 평가

대행 광고세 일부가 지역사회의 예술사업에 지원되는 기금으로 조성되고 있다는 점 에서 현재 광고 대행사와 지역 주민 모두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음

https://www.toronto.ca/services-payments/building-construction/sign-permits-information/third-party-sign -tax/

https://www.toronto.ca/legdocs/mmis/2018/ex/bgrd/backgroundfile-113057.pdf

https://www.newswire.ca/news-releases/toronto-unveils-billboard-tax-for-art-538779081.html

장 지 훈 통신원, [email protected]

(10)

드론 기술연구 및 시험비행을 위해 시유지 제공

캐나다 캘거리市 / 산업・경제

캐나다 캘거리市는 캐나다 최초로 시유지 두 곳을 개방하여 드론 관련 업체들의 기술연구를 위 한 드론 시험비행을 하도록 허가. 또한 지역 내 대학 및 연구소와 협력하여 기술연구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도록 해 신기술 기업 유치와 드론 안전사고 방지를 기대

배경

캘거리市는 캐나다 내에서 석유 및 가스 산업이 가장 성장한 곳으로, 세계 유수의 석유 및 가스 관련 회사들의 본사와 지사들이 밀집해 있음

이들 기업으로부터 드론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심 인근 지역을 개방 해달라는 요구가 늘어남

특히 석유 및 가스 산업 관련 탐사 드론의 시험비행에 대한 요구가 증대

이에 따라 市는 드론 시험비행을 위해 시유지를 제공하는 것을 2017년부터 검토하기 시작

市는 연방 항공법에 따라 250g 이상 드론 비행을 법으로 제한하고 있어, 기업들은 신청서를 작성하여 허가를 받아야 함

250g 미만의 마이크로 드론은 운행 가능하나, 공항 인근의 공원 및 습지, 숲 등의 보존지역과 묘지, 어린이공원 등에서의 운행은 제한하고 있음

주요 내용

市는 캐나다 최초로 시유지에서의 드론 시험비행을 2018년에 허용

市는 기업들의 요구에 따라 시범사업을 구상한 뒤 남부 앨버타 기술대학교 (Southern Alberta Institute of Technology)와 협력하여 2018년 3월 최초로 쉐퍼드 매립지(Shepard Landfill)에서 드론 기술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

비행을 위한 장소 제공은 무상으로 이루어졌으나, 공유지의 휴무일인 월요일에만 제공

처음 드론 시험비행에 나선 회사는 캘거리에 본사를 둔 에이리움(AERIUM Analytics)으로, 독수리 형상의 드론을 테스트

- 이 회사의 드론은 야생동물 습성 데이터, 에너지산업 현장의 환경정보, 수목 생태

(11)

조사를 위한 정보 수집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현장 테스트를 진행

[사진 1] 드론 시험비행장으로 제공된 시유지 안내표지판

市는 기업, 대학 등에 시유지를 확대 개방하고 시유지도 추가 제공

市는 기존 항공 드론 회사뿐 아니라 대학 등에도 시유지를 확대 개방

- 참여 업체 및 기관은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나사(NASA), 에이리움, 캘거리 대학교(University of Calgary) 등임

- 남부 앨버타 기술대학교는 市에서 제공한 시유지에서 드론 교통 학교, 전문 비행 학교 프로그램을 시행

市는 수요 증가에 따라 시유지를 추가 제공

- 월요일로만 한정된 쉐퍼드 매립지의 시공간적 제약으로 새로운 대안을 모색 - 市는 드론 연구자와 개발자가 더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캘거리 남동부의 포인트

트로터(Point Trotter) 산업단지를 제공하기로 함

- 이곳은 신기술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각종 운송, 물류, 유통, 제조산업의 중심지 로서 잠재력이 있던 곳

(12)

- 포인트 트로터 자동시스템 테스트구역(Autonomous Systems Testing Area, ASTA)으로 명명한 약 50헥타르의 광대한 지역을 연중무휴 제공

- 드론 비행의 특성상 추가 인프라가 필요하지 않으며, 신청 및 이용 절차도 간소화

정책 성과 및 향후 기대효과

북미 도시 중 선도적인 입장에서 유수의 혁신기업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성과를 창출

드론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고유한 센서와 시스템을 개발하도록 지원해 북미 시장의 리더로 부상

남부 앨버타 기술대학교는 록히드 마틴과 함께 드론을 이용하여 공유 매립지의 3D 지도를 완성

기술혁신 회사들의 아이디어 테스트를 위한 공간과 상업용 드론 비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신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

다음과 같은 효과도 기대

캐나다 전체 드론 사업자의 25%가 캘거리가 위치한 앨버타 남부에 위치해 있어, 항공 관련 산업의 발전을 기대

드론과 관련된 안전사고 방지 기대

https://www.calgary.ca/general/living-labs/drone-testing.html https://www.calgary.ca/general/living-labs/living-labs.html

장 지 훈 통신원, [email protected]

(13)

겨울철 대기오염 완화를 위한 환경캠페인 전개

인도 델리 NCT1) / 환경・안전

인도 델리 NCT 정부는 동절기라는 계절적 요인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시행해왔던 봉쇄령의 완화로 대기오염이 악화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 대기오염 완화를 위한 환경캠페인을 진행할 예 정. 주요 오염원인 ‘추수(秋收) 후 잔여물’의 퇴비화로 화전(火田)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줄여 나가고, ‘대기오염 신고 앱’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지역 내 대기 질 개선을 추진

배경

금년도 상반기만 놓고 보면 코로나19에 따른 봉쇄령으로 인해 지역 내 대기오염 상 황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으나, 하반기 봉쇄 완화 조치와 함께 지역을 둘러싼 농촌 지 역의 추수철(秋收節) 이후 화전(火田)으로 발생하는 재로 인하여 대기오염이 악화

코로나19에 따른 봉쇄조치 기간의 대기오염 상황은 평년 대비 약 79%가 개선된 것 으로 평가되나, 11월 들어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500㎍/㎥ 이상으로 진입하 면서 대기 질 개선이 요구

최근 5년 동안 대기 내 초미세먼지(PM 2.5) 평균 농도는 약 25% 감소되며 점차 개선 되어 왔지만, 코로나19와 오염된 공기가 사람의 폐에 복합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것 으로 예상되어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필요

주요 내용

델리 NCT 정부는 겨울철 대기오염 완화를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과 대기오염 상황을 점검하고 대기오염 완화를 위한 환경캠페인 ‘대기오염과의 전쟁(Yudh Pradushan ke Viruddh)’을 선포하고, 아래와 같은 세부사항을 온라인 컨퍼런스를 통해 10월에 발표

첫 번째, 지역 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기존에 진행해온 오염물질 억제 방안을 바 탕으로 선제적으로 대응

- 건설현장에서의 작업 중에 발생되는 먼지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감독 시행

1) 델리 NCT(National Capital Territory of Delhi)는 올드델리(Old Delhi)와 뉴델리(New Delhi)를 합친 델리 수도직할지역.

뉴델리市가 인도의 수도

(14)

- 산업현장에서의 매연 배출 허용기준을 강화하여 오염물질 발생량 조절

- 공중으로 물을 뿌려 미세먼지 저감에 도움을 주는 이동형 물대포(Anti-Smog Gun)를 지역 전역에 배치

- 주거지역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비포장도로를 개보수하고 자동청소차량 보급

두 번째, 주요 오염지역 13개 구역을 별도 지정하여 구역별 오염원에 대응하는 맞 춤형 대책을 수립하여 집중 관리

세 번째, ‘그린 델리(Green Delh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쓰레기 불법 소각 등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행위 등을 신고할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하고, 신고받은 사례에 즉각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

네 번째, 지자체 차원에서 대기오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종합상황실을 가동 하여 지역 모니터링 등을 시행

다섯 번째, 지역 수목자원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숲을 조성하고, 지역개발을 위해 나무 제거가 필요하면 수목자원의 80%를 지역 내 다른 장소에 심는 것을 의무화

여섯 번째,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오염원인 ‘추수(秋收) 후 잔여물’ 소각을 억제 하기 위해 인도농업연구원(Indi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 한 바이오 분해물질을 논밭에 뿌려 친환경적으로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캡슐을 적 극 보급

일곱 번째, 대체에너지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등의 이용을 권장하여 화석연료 사용 으로 발생하는 매연을 사전에 방지

- 일반 전기자동차 구입 시 최대 15만 루피(약 225만 원), 전기를 사용하는 이륜 또는 삼륜 자동차 구입 시에는 최대 3만 루피(약 45만 원)를 지원

- 전기자동차 등의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0여 개의 전기충전소를 추가 설치

정책 평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대기오염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 기대

이번 정책의 성과에 따라 다른 지방정부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특히 주요 오염원으로 지목받아 왔던 펀자브州와 하리아나州 곡창지대의 추수 이후 논밭 화전 문제에 대해 농업기술을 바탕으로 적극 대응하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음
(15)

[사진 1] 이동형 물대포(Anti-Smog Gun) [사진 2] 전기자동차 충전소

https://auto.hindustantimes.com/auto/news/subsidy-scheme-under-delhi-electric-vehicle-policy-to-roll-out- next-week-41599794608754.html

https://www.gktoday.in/current-affairs/yudh-prasdushan-ke-virudh-mega-anti-pollution-campaign-launched- by-delhi-cm/

https://www.hindustantimes.com/delhi-news/delhi-govt-to-prepare-bio-decomposer-for-crop-stubble-all- you-need-to-know/story-kec0HffMCCDz5sZ4wlOZbI.html

https://www.ndtv.com/delhi-news/yudh-pradushan-ke-virudh-delhis-war-against-air-pollution-amid-covid- 19-plans-for-13-hotspots-app-2305317

https://www.newsbytesapp.com/timeline/india/66979/316103/as-delhi-s-air-quality-dips-kejriwal-steps-up

박 원 빈 통신원, [email protected]

(16)

세계도시동향 제489호

발행인 서왕진 발행처 서울연구원

06756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길 57 02-2149-1234

www.si.re.kr IS S N 2586-5102 발행일 2020년 11월 16일

세계도시동향은 서울시 정책개발과 도시 관련연구에 참고할 가치가 있는 해외 주요도시의 정책사례와 동향을 소개하는 정기간행물입니다.

세계 각지에서 활동 중인 해외통신원으로부터

시의성 있는 사례와 정확한 현지 정보를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세계도시동향에 관한 문의나 건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서울연구원 도시정보실 출판팀 세계도시동향 담당([email protected])에게 연락 바랍니다.

(17)

ISSN 2586-5102

06756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길 57

G l o b a l U r b a n T r e n d

세계도시동향

2020. 11. 16 489호

‘환경 지역통화’를 활용한 환경 마을 만들기 추진 헤드라인뉴스

문화·관광

산업·경제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대행 광고세’ 도입을 통해 불법광고물 단속 및 예술단체 지원

드론 기술연구 및 시험비행을 위해 시유지 제공 환경·안전 겨울철 대기오염 완화를 위한 환경캠페인 전개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