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 (제15-3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 (제15-3호)"

Copied!
3
0
0

Teks penuh

(1)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호 2015.1.23

57

아시아·호주

□ 인도, 미국과 LNG 수출 조건과 이란 내 활동 인도 기업들에 대해 논의 예정

ㅇ 인도는 1월 25일~27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방문 기간 동안 미국 LNG 수출 조건의 수 정과 이란에서 영업 활동을 하는 인도 국영·민영 석유·가스기업들을 미국 GAO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을 요청할 방침임.

- 인도는 천연가스 생산량이 감소하는 반면 가스 수요가 증가하여 미국산 LNG 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임.

인도 국영가스기업 GAIL (India) Ltd.는 2건의 LNG 프로젝트(Sabine Pass LNG 프로젝트 3.5백만 톤/년, Cove Point LNG 프로젝트 2.3백만 톤/년)를 통해 미국산 LNG를 2017~2018년부터 20년 동안 5.8백만 톤/년 수입하는 장기계약을 체결하였으나, 현재 미 국 에너지부(DOE)의 승인 대기 중임. 또한 미국 기업과 추가로 3.5~4백만 톤/년 규모의 LNG 수입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짐(인사이트 제14-20호(2014.6.6 일자) p.52 참조).

- 하지만 미국 LNG 선박을 통한 수송, 미국 직원 배치, 미국 보험회사를 통한 보험 가입 등의 미국산 LNG 수출 조건으로 당초 Henry Hub 가격(약 3달러/MMBtu) 수준으로

LNG으로 수입하려고 했던 인도의 계획보다 미국산 LNG 수입가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

- 한편, 인도 민영 석유·가스기업 Oil and Natural Gas Corp.과 국영석유기업 Oil India Ltd., Indian Oil Corp.이 미국 회계감사원(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GAO)이 1월 13일 발표한 이란 내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목록에 포함됨.

- 상기 목록에 포함될 경우, 미국의 對이란 제재와 관련하여 향후 해당 기업들의 외자 유 치나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와의 교역에 잠재적으로 차질이 있을 것으로 분석됨.

ㅇ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인도 방문 기간 동안 온실가스감축, 원자력손해배상법 개정 등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짐.

- 2014년 11월 12일 발표된 온실가스감축 합의 내용을 담은 ‘중-미 기후변화 공동성명’ 에 이어 인도와도 관련 합의를 하길 원함.

미국은 ‘중-미 기후변화 공동성명’을 통해 2025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26~28%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함. 이는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17% 감축하겠다는 미국의 기존 계획을 수정한 것임.

- 2005년 미국 Geroge Bush 전 대통령과 인도 Manmohan Singh 전 총리가 핵 협정을 체결하였으나, 2010년 제정된 인도 원자력손해배상법(Civil Liability for Nuclear Act) 으로 외국기업들이 인도에 원자로를 수출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는 것으로 알려짐.

인도 원자력손해배상법에 따르면, 원전사고가 설비공급업체 직원 또는 공급된 설비의 결함 에 의해 야기되었을 경우, 원전운영사가 설비공급업체에 배상금의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2)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5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호 2015.1.23

권한(Right to Recourse)을 부여하고 있어 외국설비공급업체들에게 배상책임이라는 비용 부담이 있음(2013.8.16일자) p.26 참조).

- 이에 미국은 인도가 원전사고 시 운영사가 1차 책임을 지는 국제 규범을 따를 것을 요 청하고 있음.

- 인도의 원자력손해배상법 개정으로 외국기업들의 원자로수출이 활성화되어 궁극적으로 인도가 전력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미국의 입장임.

(The Economic Times, 2014.1.20~21; BBC News, 2014.1.22)

□ 인도네시아, 투자 유치 위해 원유 및 가스 탐사·개발 관련 과세 철폐

ㅇ 인도네시아 재무부는 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2015년 1월 1일부로 원유 및 가스 기업 들의 탐사·개발 활동에 부과되었던 토지세 및 건물세를 철폐함.

- 지금까지 원유 및 가스 기업들은 탐사·개발 활동 및 생산단계에 걸쳐 토지세 및 건물세 를 납부해왔음.

- 2015년 1월 1일부로 규정 개정을 통해 토지세 및 건물세 부과 대상이 인도네시아 자국

내 사업자로 한정되면서, 원유 및 가스 기업들은 생산 단계부터 세금이 부과됨.

- 인도네시아 재무부에 따르면, 2014년에 원유 및 가스 기업들이 납부한 토지세 및 건물 세는 총 18조 루피아(약 14억 3,000만 달러)로서, 정부 수입의 1.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사·개발 활동에 부과된 세금은 공개되지 않았음.

- 투자유치를 위해 수년 동안 세금 인센티브 정책을 요구했던 인도네시아 에너지부의 요 구가 반영된 결과임.

ㅇ 이같은 규정 개정으로 국내외 원유 및 가스 기업들의 투자 유치 및 탐사·개발 활동이 활 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 원유업계 전문가는 이같은 개정안을 인도네시아 국영석유가스기업 Petramina를 포함한 국내기업과 Chevron, ExxonMobil, ConocoPhillips와 같은 해외 원유 및 가스 기업들이 환영할 만한 조치로 평가하면서, 향후 기업들의 탐사·개발 활동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측함.

- 인도네시아 원유 및 가스 탐사·개발 활동의 촉진으로 생산량 증대 효과가 기대됨.

OPEC 회원국이었던 인도네시아는 지난 수십년 동안 자급자족이 가능한 산유국이었으나, 최근 들어 원유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음. BP(2014)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원유 생 산량은 2010년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2013년 원유 생산량 및 소비량은 각각 882,000b/d, 1,623,000b/d를 기록함.

(Reuters, 2015.1.16.)

□ 호주 NWS, 제 3자 설비 임대 및 지분별 개별 판매 등 운영 방식 전환 시사

ㅇ 호주 NWS LNG 프로젝트(이하 “NWS") 파트너들은 가스 매장량 고갈에 대응하기 위해

(3)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호 2015.1.23

59

제 3자 설비 임대와 지분별 개별 판매 등을 도입하면서 LNG 프로젝트 운영 방식을 전환 할 계획임.

- NWS는 자사가 보유한 액화설비를 미국의 석유가스기업인 Hess에게 임대해 주는 내용

의 제 3자 설비 임대 계약(third-party tolling agreement) 의향서를 2014년 12월에 Hess 와 체결하였음. Hess는 서호주 지역 Equus 가스전에서 직접 개발한 천연가스를 임대한 NWS의 설비를 통해 액화 처리하여 아시아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됨.

- 판매 방식 또한 NWS 파트너간 공동 판매(joint-sales)에서 지분별 개별 판매(equity

sales)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판매 전략 아래 각 파트너들은 참여 지분만큼 자율적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됨.

지분별 개별 판매는 연간 약 150만 톤까지 적용될 계획이며, 기존 중장기 계약이 만료된 후 파트너별 판매할당량은 늘어날 수 있음. 현재 일본, 한국, 중국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약 20건의 중장기 공급 계약이 체결된 상태임.

NWS의 규모를 고려할 때, 향후 Woodside Browse FLNG의 가스 또한 제 3자 설비 임대 계약을 통해 생산될 가능성이 높음.

- 향후 NWS 비즈니스 모델은 설비 임대와 자체 생산이 일부 결합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일각에서는 올해부터 지분별 개별 판매가 개시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4월~6 월 사이 화물 적재 일정으로 인해 하반기가 되어서야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ㅇ 한편, 공동 판매 방식이 NWS에게 호주 국내 가스공급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제공한다 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향후 공동 판매가 철회될 가능성도 있음.

- 현재 NWS는 서호주 지역 가스 공급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호주의 Mike Nahan 에너지부 장관은 2014년 12월에 NWS의 공동 판매 철폐를 요구한 바 있음.

(Woodside 홈페이지; World Gas Intelligence, 2015.1.14)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