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9월호 9. 28
원전 이슈 p.2
■ 일본의 원전운영 제로정책 유보의 의미
▶ 배경
▶ 국제 원자력 산업과 일본
▶ 혁신전략 유보의 의미 및 시사점
원전 포커스 p.9
■ 미 원전 안전성과에 따른 NRC의 대응 현황
▶ NRC의 원전 감독 프로세스, 원전 안전성과에 따른 NRC 대응체계, 2012년 중기 현황
■ 벨기에의 원자로 균열 문제와 관련국의 대응
▶ 벨기에의 원자력 정책, 벨기에 원자로 압력용기의 균열 문제, 벨기에와 관련 국가의 대응
주요 단신 p.20
▶ 정책 단신 ∙ 미 NRC, St. Lucie 원전 2호기 출력 증강 승인
∙ 미, 원자력에 대한 국민 지지율 증가
∙ 캐나다 퀘백州 정부, Gentilly 2호기 폐쇄 결정
∙ 프랑스, 에너지 이행에 대한 토론 예정
∙ 러시아 Kalinin 4호기, 상업가동 개시
∙ 인도 Kudankulam 원전 1호기, 연료 장전 시작
∙ 파키스탄, 2016년까지 Chashma 원전 3, 4호기 가동 전망
∙ 베트남, 원자력 협력 의사 표명
▶ 시장 단신 ∙ EDF Energy, 영국 Sizewell C 원전건설에 대한 협의 개시 예정
∙ Areva-CNPDC, 원전설계 관리 시스템에 관한 협력각서 체결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월간 월간
원전 이슈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일본의 원전운영 제로정책 유보의 의미
유동헌 연구위원 ([email protected])
앞으로의 에너지․환경 정책에 대해서는‘전략을 바탕으로’관계
지자체 및 국제 사회 등과 책임 있는 논의를 하고 국민의 이해를 얻으면서 유연성을 가지고 끊임없는
검증과 재검토를 하면서 수행
1. 배경
ㅇ 일본 정부는 2030년대 원전 가동률 0%, 절전 10% 이상, 온실가스 감축목표 철회 등을 내용으 로 하는 ‘혁신적 에너지․환경전략(이하 혁신전략)’을 9월 14일 발표하였으나, 9월 19일 회의에 서 혁신전략에 대한 각의결정을 유보하면서 단지 참고자료로 활용하기로 함.
- 혁신전략 발표 이후 국내외에서의 비판과 반대에 직면하였으며, 혁신전략에 대한 각의결정 유보는 혁신전략에 강하게 반발한 경단련 등 경제계와 원전 관련 시설 입지 지자체, 미국 등을 고려하여 정책 조정의 여지를 남겨두기 위한 결과로 인식됨.
※ 장관이 참석하는 국무회의(각의)에서의 안건 처리방법은 각의결정(閣議決定)과 각의승인(閣議了解) 두 가지가 있음. 각의결정은 內閣法 제1조제2항에 근거하여 만장일치를 원칙으로 하며, 합의체인 내각의 결정이 정부방침이 됨. 각의결정 사항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내각을 포함하여 결정내용의 수행책임이 있음. 각의승인(閣議了解)1)은 장관의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을 국무회의에서 확 인하는 것으로 각의결정보다 구속력이 약함. 한편, 심의회의 답신을 공표하는 경우는 각의보고(閣 議報告)가 됨.
ㅇ 혁신전략을 정부정책으로 채택하는 것은 명시적으 로 실패하였으나 “앞으로의 에너지․환경 정책에 대 해서는 ‘전략을 바탕으로’ 관계 지자체 및 국제 사 회 등과 책임 있는 논의를 하고 국민의 이해를 얻 으면서 유연성을 가지고 끊임없는 검증과 재검토를 하면서 수행한다”라는 의결을 하였음.
- 후루카와 국가 전략상은 혁신전략 채택을 유보한 것 이 실제 정책결정 과정을 고려한 것이지 혁신전략 내용이 변경된 것이 아니라고 밝힘.
ㅇ 이하에서 애초 일본 정부가 제시했던 혁신전략 채택 보류 결정의 의미와 시사점을 원자력 관 점에서 살펴보고자 함.
1) 효력 면에서 각의결정과 차이가 없다는 견해도 있음(http://ja.wikipedia.org/wiki/%E9%96%A3%E8%AD%B0).
원전이 전력공급 대안으로 평가되는 것은 기존 원자로의 효율 향상과 신형 원자로의 성공 가능성 등의 기술적 요인과 전력수요 증가 전망,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대응 등의 정책적 요인에 기인함
2. 국제 원자력 산업과 일본
□ 일본 원전 현황
ㅇ 후쿠시마 사태 이전에 원자로 54기를 운영하던 일본 원전은 사태 이후 후쿠시마 제1원전 1∼
4호기를 폐쇄하여 50기만을 보유하고 있음.
- 2012년 7월 1일과 7월 25일 각각 가동을 재개한 간사이전력의 오이원전 3, 4호기는 간사이 전력이 보유한 11기의 원자로 가운데 1990년대에 상업가동에 들어간 가장 최신 설비임.
ㅇ 일본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원자로 50기 이외에 3기의 원자로가 현재 건설 중임.
- 건설 중인 3기의 원자로는 2005년 12월에 착공한 주고쿠전력의 시마네 원전 3호기(마츠에 市), 2008년 5월에 착공한 J-파워의 오마 원전(아오모리현 오마町)과 동경전력 히가시도리
원전 1호기(히가시도리村)임.
※ 시마네 원전 3호기는 ABWR형 1,373MW 설비이며, 오마 원전 원자로는 일본원자력위원회의 1995 년 결정에 따라 건설되는 1,383MW규모의 ABWR형으로 MOX 연료만으로도 운영할 수 있는 설비 임. 히가시도리 원전 1호기는 ABWR형 1,385MW 규모이며 2017년 완공을 목표로 함.
□ 국제 원자력 산업 관점에서 일본의 위치
ㅇ 후쿠시마 사태로 전 세계적으로 원전에 대한 우려감이 상대적으로 커진 가운데 미국은 30년 만에 신규 원자로 건설을 2012년 2월에 승인한 바 있으며(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시험판 4월 27일자 p.3 참조), 영국은 저탄소 에너지시장으로 이행하기 위한 투자대상에 원자력을 포함함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2012-5월호 5월 31일자 p.2 참조).
- 중국, 인도, 발틱 해 지역, 중동, 터키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 원전 추가 혹은 신규 도입을 발표하고 있음.
ㅇ 정책적 관점에서 원전이 전력공급 대안으로 평가 받는 이유는 전력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에너지 수요, 에너지 안보 혹은 에너지 믹스 개선 욕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등이며, 출력증강 등을 통한 기존 원자 로의 효율 향상과 신형 원자로의 성공 가능성 등 기술적 요인도 원전이 주목되는 이유로 작용함.
ㅇ 혁신전략에 따라 이행하여 2030년대에 일본 내에 서 원전을 운영하지 않는다면 세계 원전 산업 구 도변화의 요인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임.
- 지난 20년간 원전건설산업에서의 다양한 인수합병 결과 두 개의 대형 원자력발전플랜트 공
원전 이슈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급업체(Westinghouse-Toshiba와 Areva NP)가 남았지만, 프랑스 Areva조차도 원자로만 만들 수 있으므로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위해서는 반드시 Siemens 혹은 EDF와 같은 파트너와 함 께 해야 함.
- 영국원자력연료(BNFL)가 1999년 Westinghouse의 원자력 부문을 인수하였고 2006년에 일본 Toshiba가 BNFL로부터 Westinghouse 원자력 부문을 다시 인수하였기 때문에 이제는 미국 조차도 ‘미국 독자적인(national)’ 원자로 제조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
- 일본의 MHI(Mitsubishi Heavy Industries), 수직적 통합을 한 러시아의 Atomenergoprom (Rosatom 포함)2), 캐나다의 AECL(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공급업체임.
- OECD의 원자력기구는 ‘단일기업만으로 완전한 원자력발전소를 완성할 수 있는 기업은 없다’
라고 지적하고 있음.
- 이처럼 원전건설을 위해 설비공급 업체 간 협업이 반드시 필요한 산업여건을 고려할 때 경 수로3) 시장의 상당 부분을 점하고 있는 미국 원전 대표 2개 기업의 경영권을 소유 혹은 경 영권에 참여하고 있는 일본 기업의 자국 내 원전산업 기반은 매우 중요함. 만약 Toshiba, Hitachi, MHI 등이 일본에서 원전 건설기반을 상실하게 되면 파트너 국가는 물론이고 세계 원전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을 것임.
Areva Westinghouse-
Toshiba GE-Hitachi Rosatom AECL KEPCO
본사 프랑스 미국 미국/일본 러시아 캐나다 한국
지분구조
프랑스정부 87%, 민간 13%
Toshiba 67%, Shaw group 20%, Kazatomprom 10%,
IHI 3%
히타치 GE 지분 40%, GE 히타치
지분 20%
러시아 정부 100%
캐나다 정부 100%
한국정부 21%, 한국정책금융
공사 30%, 외국인 25%,
기타 24%
원자로 종류 EPR1000 AP1000 ABWR VVER1200 CANDU APR1400 공사 중인
원자로 6 5 4 16 0 2
주 : 2006년 Westinghouse의 경영권이 BNFL에서 Toshiba로 인수될 당시 체결한 Toshiba와 Shaw group간 계약에 의거 2011년 9월 Shaw group은 풋옵션을 행사하기로 밝혔으며, 2013년 1월까지 Toshiba에 지분을 양도할 계획임.
자료 : Trevor Findlay(2011) p12.
The Japan Daily Press, August 14, 2012.
<국제 원자력 산업>
※ GE의 미국 내 합작법인(GE Hitachi Nuclear Energy, GEH) 지분구조는 GE가 60%, 히타치가 40%
2) 러시아의 주식회사형 공기업(Joint Stock Company)으로 영어 회사명은 Atomic Energy Power Corporation (AEP) 임.
3) 전 세계적으로 보급된 원자로의 용량이나 보급 기수 측면 모두에서 미국 기술로부터 출발한 경수로(PWR, BWR)가 지배적임.
프랑스의 AREVA NC와 영국의 BNFL이 1970년대부터 일본의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오고 있음 이며, 일본 내 합작법인(Hitachi GE Nuclear Energy, HGNE)의 지분보유 구조는 히타치 80%, GE 20%임.
ㅇ 한편, 일본은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프랑스와 영국에서 해오고 있으며, 일본 내에도 재처리 시설을 보유함.4)
- 프랑스의 AREVA NC와 영국의 BNFL이 1970년대부터 일본의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오고 있으며,5) 플루토늄 추출과 MOX 연료 생산 후 폐기물을 아오모리현의 재처리 공장으로 보 내고 있음(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주간 업데이트 2012-9월 3호 9월 21일자 p.2 참조). 세 계원자력연합(WNA)은 1969∼1990년 동안 일본 원전의 사용후 핵연료가 재처리를 위해 유 럽(프랑스와 영국)으로 160회 이상 수송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6)
- 사용후 핵연료의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계약에 명시된 대로 일본 으로 반환되어야 함. 프랑스는 1995년 3월부터 2007년까지 12차례에 걸쳐 폐기물을 일본으 로 반환하였고, 영국은 2010년부터 11차례에 걸쳐 폐기물을 반환할 예정이며 2016년까지 마 칠 계획임.
- 프랑스에서 반환한 방사성 폐기물은 아오모리현 롯카쇼무라 재처리 시설에 보관 중이며, 영 구 처분되기 전까지 약 30~50년 동안 임시 저장될 예정임.
ㅇ 일본의 혁신전략 발표 이후 Areva는 일본 원전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통해 얻는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언급(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주간 단신 업데이트 2012-9월 3 호 9월 21일자 p.2 참조)하였으며,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계약에 명시된 대로 고준위 방사성 폐기 물이 정상적으로 일본으로 수송되지 않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음에 영국과 함께 우려를 표함.
3. 혁신전략 유보의 의미 및 시사점
□ 혁신전략 유보의 의미
ㅇ 정부가 각의 결정한 내용은 ‘혁신전략을 바탕으로 관련 지자체 및 국제사회 등과 책임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 국민의 이해를 얻으며, 유연성을 갖고 부단한 검증과 재검토를 시행한다.’라 는 기본방침이며, 문서 내용 자체는 각의 결정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주간 업데이트 2012-9월 3호 9월 21일자 p.4 참조).
4) 현재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JAEA)의 핵연료 주기공학연구소 산하에 토카이 재처리시설을 운영 중이며, 아오모리 현 롯카쇼무라에 일본핵연료(주)가 건설 중인 롯카쇼무라 재처리시설은 최종단계인 사용후 핵연료를 사용한 종합 안전성 시험(active test) 시행 중으로 2013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함.
5) 1968년 미-일협정을 체결하여 미국 승인을 전제로 해외 재처리가 가능해졌으며, 1988년 7월 미-일 원자력 협정의 개정으로 미국은 일본이 재처리를 위해 폐연료를 유럽 국가에 보내는 데 대해 30년간의 사전 승인을 결정하였고, 같은 해, 미 의회는 폐연료에서 분리된 플루토늄을 유럽에서 해상 수송으로 일본에 반납하는 것을 승인함.
6) 2011년 9월 일본 내각부 보고에 따르면 일본은 국내에 6.7톤, 영국과 프랑스의 재처리공장에 맡긴 23.3톤 등 모두 30톤의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음.
원전 이슈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확실한 방향을 정해 놓고 목표달성을 위해 하나하나 구체적인
정책을 채워가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2030년대 원전
제로가 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만들어가는 것임
ㅇ 혁신전략에 대한 각의결정 유보는 일본 내부와 외국에서 제기한 다양한 목소리를 수용하면서 앞으로의 정책 조정의 여지를 남겨두기 위한 것으로 보임.
- 혁신전략이 중의원 해산과 총선7)을 염두에 둔 선거 목적이 아니냐는 의문의 목소리도 나옴.
- 경단련을 비롯한 일본 재계는 엔고 상황에서 원전을 운영하지 않으면 전력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일본 내 제조업 공동화와 그에 따른 고용 악화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를 제기함. 일 본화학공업협회 추정에 의하면 원전의존도 20∼25% 시나리오에서도 연간 1,700억엔의 부담
이 늘어남.
- 혁신전략 발표 이후 아오모리현의 일부 관료들은 추 가 폐기물을 받지 않겠다는 거부 의사를 표명함.
- 미국은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통해 생산되는 플루 토늄 관리, 원자력 산업과 기술개발에 미치는 영향 등 국가안보와 원자력산업 부문을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서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영국과 프랑스는 사 용후 핵연료 재처리 부산물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반환 및 수익 감소의 우려를 표명함.
ㅇ 동시에 다수 국민이 바라는 원전 운영 제로에 대한 기대감도 고려한 결과로 판단됨.
- 9월 17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전국 여론 조사에서 정부의 혁신전략 결정에 대해 60%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응답자의 지지 정당별로는 자민당 지지층은 48%가 찬성을 표하지만 다른 정당 지지층은 다 수가 찬성을 표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일본 정부 발표처럼 혁신전략을 참고문서(guideline)로 다루기로 했지만, 후루카와 국가 전략 상은 ‘확실한 방향을 정해 놓고 목표달성을 위해 하나하나 구체적인 정책을 채워가는 것이 중 요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2030년대 원전 제로가 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만들어가는 것이다’라 는 인식을 나타냈음.
ㅇ 일본 언론보도에 따르면 앞으로 있을 총선에서 자민당 승리가 예견되는 상황8)이지만 자민당 과 민주당 중 어느 당이 집권하든 2030년대 원전 제로 정책을 명시적으로 채택하지 않을 전 망임.
- 일본 경제가 엔고 부담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 원전 운영제로 실현은 산업계와 국민 경제에
7) 일본 언론은 노다 총리가 10월께 중의원을 해산할 방침이라고 8월 23일 보도하였으며,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총선이 11월께로 예상됨(중앙일보, 2012. 9. 14).
8) 일본경제신문과 TV도쿄가 9월 26∼27일 후쿠이현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결과 자민 당 지지율이 37%, 민주당 19%로 나타남(日本經濟新聞, 2012. 9. 27.). 차기 총선에서 자민당 승리가 유력시되는 상황이지만 일본유신회와의 연정구성은 사실상 가시권에 들어와 있음(문화일보, 2012. 9. 27).
저렴하고 획기적인 전력 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혁신전략
채택은 어려워 보임 추가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정치권이 선택하기 어려운 옵션임.
- 자민당 총재로 선출된 아베 전 총리는 ‘원전 의존도를 감축하는 것은 국민적 합의라 해도 좋지만 신재생에너지원을 확보한 후에 단계적으로 줄여가는 것이 책임 있는 대응’이라는 견 해를 밝힘.
- 원전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정책 방향에 대해 자
민당은 ‘발전비용과 에너지 안정적 공급 가능성
을 보면서 원전 비중을 낮출 것이고 다른 나라 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에너지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자민당의 책임’이라고 이시바 전 정무조사 회장이 밝힘.
ㅇ 일본이 원전 정책을 정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은 온실가스 감축목표임. 원전 제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정이 필수적인데 반해 가능성이 희박하여 혁신전략 은 참고자료에 머물 것으로 예상함.
- 일본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협상을 통한 목표 수정과 교토의정서 체제 거부의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두 가지 방법 모두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 체 제를 어렵게 만드는 것임.
ㅇ 외국에서 전력을 수입할 수 없는 일본이 원자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도입 확 대를 지향하고 있으나,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을 전부 대체하는 것은 가능해 보이지 않지 만 몇 년간 고정가격제(FIT) 정책을 시행하면서 대체 가능성을 파악할 것으로 보임.
- 혁신전략의 목표달성을 위해 앞으로 20년간 요구되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규모는 5,480 억 달러에 달하며, 전력 송배전 시스템 개선비용 650억 달러가 추가될 것으로 추정됨.
ㅇ 정치권의 우경화 양상을 드러내는 상황에서 원전 운영 없이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시설을 유지 하는 것은 원자력 이용의 용도를 의심케 하는 요소로 작용하면서 주변국의 오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국제관계가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원전 제로 선택은 쉽지 않을 전망임.
ㅇ 원자로 40년간 운영 원칙을 준수한다면 2000년대에 상업가동에 들어간 5기의 원자로9) 때문에 2030년대에 원전 제로는 달성하지 못하는 목표라는 점과 일본 원전산업을 동시에 고려하여 혁 신전략은 앞으로 대폭 수정되어 원전 운영제로가 아닌 ‘최소한의 규모에서 원전 안전운영’으로 방향전환이 예상됨.
ㅇ 정부가 혁신전략을 채택하진 않았지만, 앞으로의 원전 정책과 관련하여 일본 정부는 에너지믹 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 특히 앞으로의 국제적인 에너지 정세를 확실하게 알 수 없으므로 미래의 불확실성 요소로 말미암은 변화 가능성을 열어 놓을 필요가 있음을 인식한 것으로 보임.
- 현재 시점에서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고 앞으로의 일에 대해 확정적으로 결정하는
9) 주부전력의 하마오카 5호기, 도호쿠전력의 히가시도리 1호기와 오나가와 3호기, 호쿠리쿠전력의 시카 2호기, 홋카 이도전력의 도마리 3호기.
원전 이슈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것은 무책임한 것일 수 있다는 인식임.
- 확실한 기본을 바탕으로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전략의 필요성을 시 사하고 있음.
참고문헌
AREVA, “Transport of MOX fuel from Europe to Japan”
, “Return shipment of vitrified residues from France to Japan”
Atomenergoprom 홈페이지(http://www.atomenergoprom.ru/en/)
Emma Chanlett-Avery & Mary Beth Nikitin, “Japan’s Nuclear Future: Policy Debate, Prospects, and U.S. Interest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February 19, 2009
GE-Energy 홈페이지(http://www.ge-energy.com/content/multimedia/_files/downloads/geh_glance.pdf)
NHKニュース, “自民5候補 原発で政府対応’拙速’”, 2012年 9月 17日
Nuclear Power Industry News, “Nuclear Waste Shipped Back To Japan From UK”, January 21, 2012 Paul K. Kerr & Mary Beth Nikitin, “Nuclear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A Primer”,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June 19, 2012
PennEnergy, “Japan backs down from nuclear power phase-out plan”, September 26, 2012 The Denki Shimbun, “Completion of reprocessing plant postponed for a year”, September 21, 2012 The Japan Daily Press, “Toshiba expected to sell 16% stake of nuclear unit Westinghouse”,
August 14, 2012
The Wall Street Journal, “Hitachi, GE Weigh Changes in Nuclear-Power Alliance”, June 24, 2010 Trevor Findlay, “Nuclear Energy and Global Governance: Ensuring safety,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2011, Routledge Global Security Studies, p12
Wikipedia, Rokkasho Reprocessing Plant(http://en.wikipedia.org/wiki/Rokkasho_Reprocessing_Plant) , 閣議(http://ja.wikipedia.org/wiki/%E9%96%A3%E8%AD%B0)
World Nuclear Association, “Japanese Waste and MOX Shipments from Europe”, 2011년 8월 업데이트 Yoshio Baba, “The Problems Facing Nuclear Power in Japan: Emphasising Law and Regulations”,
OECD-NEA, Nuclear Law Bulletin No. 69, 2001 문화일보, “아베-하시모토 ‘극우연정’ 성사되나”, 2012. 9. 27
신성택, “핵무장 넘보는 일본의 핵능력”,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CO 12-25, 2012. 6. 29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각 호
日本經濟新聞, “衆院選「自民に投票」35% 民主14%、維新が肉薄”, 2012. 9. 27
전진호, “미-일 원자력협력과 일본 원자력외교의 교훈”, ICONS 칼럼, 원자력국제협력재단, 2008. 7. 17 중앙일보, “총선 앞두고 우경화 치닫는 일본”, 2012. 9. 14
미 원전 안전성과에 따른 NRC의 대응 현황
김봉금 위촉연구원 ([email protected])
NRC는 원전 운영의 규정 및 규제 준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원전에
대한 감독을 수행
1. NRC의 원전 감독 프로세스(Reactor Oversight Process)
□ 원전 감독 권한
ㅇ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1946년 제정되고 1954년 개정된 원자력법(Atomic Energy Act)과 1974년 제정되었으며 NRC의 설립 바탕이 된 에너지기구개편법(Energy Reorganization Act)에 따라 원전에 대한 규제·감독을 수행하고, 규정 위반에 대한 시정 조치를 지시하거나 라이선 스를 수정, 중단 또는 취소할 권한을 보유함.
- 핵물질에 대한 허위보고, 라이선스와 실제 원전건설 및 운영의 불일치, NRC 규정 위반 등이 발생할 경우, NRC는 건설 또는 운영 라이선스를 수정, 중단 또는 취소할 수 있음.
- NRC는 원전 운영이 NRC의 규정 및 규제를 준 수하고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원전에 대한 감 독을 수행하고 있으나, 원전 안전성, 시설 및 핵물질 보호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NRC의 감 독을 받는 원전 운영사에 있음.
□ 원전 감독 프로세스
ㅇ NRC의 원전 감독은 안전 위험도(risk significance)가 큰 원전시설, 구조물, 구성요소 및 운영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안전성과 개선 시 감독이 약화되고 안전성과 악화 시 감독이 강화되는 구조임.
ㅇ 원전 감독은 원자로 안전, 방사능 안전, 세이프가드의 세 가지 분야로 분류되며, 세 분야와 관 련된 7가지 범주에 대한 규제·감독을 통해 원전의 안전성과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NRC의 대 응단계를 결정함.
※ 7가지 범주에는 (1) 사고유발 사건의 제한 (2) 완화 시스템 (3) 방사능 유출 차단 (4) 비상시 대비 (5) 근로자 방사능 안전성 (6) 공공 방사능 안전성 (7) 보안이 포함됨.
- (1) 사고유발 사건에 대한 규제 목표는 원자로의 가동 중단, 또는 운영 중 원전의 안정성 및 주요 안전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사건의 발생을 제한하는 것임. 사고유발사건에는 원자로
원전 포커스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자료 : 미 NRC
<NRC 원전 안전 규제 프레임워크>
7가지의 범주에 대한 규제·감독을 통해 원전의 안전성과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NRC의 대응단계를 결정
- 트립(reactor trip), 급수(feed water) 손실, 외부 전력 손실 등이 포함됨.
※ 원자로 트립은 원자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원자로 안전회로 중 하나가 작동하여 긴급히 제어봉을 노내에 삽입하여 핵분열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것을 말함.
- (2) 완화 시스템에 대한 규제 목표는 사고유발 사건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시스템의 역량 및 신뢰성을 모니터하여 원자로 노심 손상을 예방하는 것임. 완화 시스템에는 안전주입계통, 붕 괴열제어계통, 비상전력계통 등이 포함됨.
- (3) 방사능 유출 차단에 대한 규제 목표는 원전 사고 시 방사능 유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하 여 공공안전을 보장하는 것임. 물리적인 방사능 차단시스템에는 연료피복, 원자로 냉각시스 템의 압력경계(pressure boundary), 격납용기 (containment vessel) 등이 포함됨.
- (4) 비상시 대비에 대한 규제 목표는 원전 사고 발생 시 원전 운영사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 한 적절한 조치를 이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임. 원전 운영사는 훈련과 연습, 경고·통
지 시스템(Alert and Notification System)의 테스트 등을 수행해야 하며 원전 부지 외 (off-site) 비상시 대비에 대해서는 연방재난관리청(FEMA)에서 담당함.
- (5) 근로자 방사능 안전성에 대한 규제 목표는 원전 운영 중에 방사능 노출 위험으로부터 근로자의 건강 및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이행하도록 하기 위함임. 원전 운
NRC는 자체 원전점검 결과와 운영사가 제출하는 7가지 규제 범주의 성과지표를 토대로 원전
안전성과를 측청 - 영사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규제 기준을 충족하고 ALARA 지침을 따라야 함.
※ ALARA는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의 약자로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가 권고한 방사선 방호의 기본 개념으로 사회적, 경제적인 요소들을 감안하여 방사선 피폭의 수준을 합리적 으로 달성 가능한 한 감소시킨다는 방호 철학을 의미함.
- (6) 공공 방사능 안전성에 대한 규제 목표는 원전 운영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체 및 액체 방 사능 물질, 방사능에 오염된 고체 물질 또는 핵폐기물 등에 대한 노출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하는 것임. 원전 운영사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규제 기준을 충족하고 ALARA 지 침을 따라야 함.
- (7) 보안에 대한 규제 목표는 원전 운영사의 보안 시스템과 자재관리 프로그램이 심층적인 방어체계를 갖춰 설계기준위협(design basis threat)과 방사능 물질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임. NRC는 원전의 보안에 대해 철저한 감독을 수행하고 있으나 기밀 유지를 위해 보안에 대한 점검 및 평가 정보는 공개하지 않고 있음.
ㅇ 또한, NRC는 원전 감독 프로세스에는 7가지 범주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소, 즉, 인적 성과 (human performance), 안전에 민감한 작업환경, 문제의 규명 및 해결에 대해서도 규제·감독함.
2. 원전 안전성과에 따른 NRC의 대응체계
□ 원전 안전성과 평가방법
ㅇ NRC는 자체 원전점검 결과와 원전 운영사가 분기별로 NRC에 제출하는 7가지 규제 범주의 성과 지표(performance indicator, PI) 자료를 검토하여 원전의 안전성과를 측정하고 있음.
- NRC는 각 원자로의 기본 점검(baseline inspection)에 연간 최소 약 2,000여 시간을 소요하 고 있으며, 원전점검은 상주 사찰관과 NRC의 전문 조사관이 수행하고 있음.
※ 각 원전에 최소 2명의 상주 사찰관이 배치되어 있음.
ㅇ NRC는 PI와 원전점검 결과를 검토한 후 안전 위험도에 따라 녹색, 흰색, 노란색, 붉은색의 네 가지 색상 코드로 분류하고 있음.
- 녹색 코드는 원전 운영사가 7개 범주의 규제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흰색에 서 붉은색으로 상승할수록 안전 위험도가 증가 하고 규제가 강화되는 것을 의미함.
□ NRC의 대응체계(Action Matrix)
ㅇ NRC는 색상 코드로 분류한 원전 안전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필요한 대응(Action Matrix)을 1~5단계로 분류하고 있음.
- 원전운영사 대응 단계(Licensee Response Column): 원전의 안전·보안성과가 목표를 달성하
원전 포커스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2012년 6월 30일 기준 104기 원자로 중 모든 안전 목표를 충족하는 1단계에 속하는 원자로는
62기에 달함
- 여 규제기관으로부터 기본적인 점검 및 감독만이 요구되는 단계임.
- 규제대응 단계(Regulatory Response Column): 1~2개의 미미한 안전문제 해결이 요구되며 추가적인 점검과 시정조치에 대한 감독이 필요한 단계임.
- 안전성과 저하 단계(Degraded Cornerstone Column): 안전성과 악화로 NRC의 추가 점검, 성과가 악화된 원인을 규명하는데 집중된 고위 관리층의 감독이 필요한 단계임.
- 다수 또는 반복된 안정성과 저하단계(Multiple/Repetitive Degraded Cornerstone Column):
중대한 안전 문제의 해결과 NRC로부터 가장 강력한 감독이 요구되는 단계임.
- 수용 불가능 단계(Unacceptable Performance Column): 원전 안전성과가 수용 불가능하여 원전 가동 중단이 요구되는 단계임.
3. 2012년 중기 현황
□ 대응단계별 현황
ㅇ NRC가 8월 30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2년 6월 30일 기준으로 미국에서 운영되는 총 104기 원자로 중 모든 안전 목표를 충족하는 1단계에 속하는 원자로는 62기에 달하며, 2단계 에 속하는 원자로는 총 34기임.
ㅇ 3단계에 속하는 원자로는 Hope Creek 1호기, Palisades 1호기, Perry 1호기, Saint Lucie 2호 기, Salem 1, 2호기의 총 6기임.
ㅇ 4단계에 속하는 원자로는 Brown Ferry 1호기와 Fort Calhoun 원전임.
- Tennessee Valley Authority가 운영하는 Brown Ferry 원전 1호기는 2010년 원자로의 정기 가동중단 중에 정지냉각계통의 밸브 고장이 발견되었으며, 당시 원자로 가동을 안전하게 중
단하기 위해 화재 발생 시에만 사용하는 대체 시스 템이 사용되었음. 이에 대해 NRC는 대응단계를 가장 강력한 감독이 요구되는 4단계로 상승시킴.
- Omaha Public Power District가 운영하는 Fort Calhoun 원전은 2010년 전기부품의 결함, 2011년 전 기 화재 발생과 충분한 홍수대응계획 미수립 등 여 러 안전문제로 현재 NRC 대응 4단계에 속함.
ㅇ NRC의 대변인은 원전 안전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NRC의 대응단계가 상승한 원자로 수가 2011 년 하반기 15기에서 2012년 상반기 41기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대부분 대응 2단계에 속 하며, 불과 한두 가지의 미미한 사안의 해결이 필요한 것이므로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라고 언급함.
참고문헌
NRC, “Mid-cycle Assessment for Nation’s Nuclear Plants”, September 6, 2012 NRC, Reactor Oversight Process(ROP)
The Huntsville Times, “TVA in midst of recovery program at Brown Ferry and other nuclear plants”, September 12, 2012
Associated Press, “Troubled fort calhoun nuke plant unlikely to restart soon”, September 10, 2012
원전 포커스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벨기에의 원자로 균열 문제와 관련국의 대응
조승희 위촉연구원([email protected])
벨기에 정부는 2012년 7월 초, Tihange 원자로 1호기의 수명을
10년 연장하여 2025년까지 운영하기로 결정
1. 벨기에의 원자력 정책
ㅇ 2011년 기준 벨기에 전체 전력공급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7%이며, 벨기에는 원 전의 단계적 폐지 정책을 통해 원자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고 하고 있음.
- 2003년 벨기에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을 금지하고, 기존에 운영 중인 7기 원전의 가동수명 을 40년으로 제한함.
- 2007년 정부에 의해 설립된 에너지 2030 위원회(Commission on Energy 2030)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에너지안보 강화, 경제안정을 위해 장기적으로 원자력 이용이 필요하다고 주 장함. 또한, 7기 원전에 대한 가동수명 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함.
- 에너지 2030 위원회는 2009년에 가장 오래된 3기의 원자로 수명을 2025년까지 10년 연장하고, 4기는 20 년 연장할 것을 권고하여, 정부는 2025년까지 원전폐 쇄 계획을 연기하기로 함.
-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벨기에 정부는 가장 오래된 3기의 원자로(Tihange 1호기, Doel 1~2호기)를 2015년에 폐쇄하고, 나머지 4기를 40년의 수명이 다하
는 2022~2025년에 단계적으로 폐쇄하기로 결정함.
ㅇ 하지만 2012년 7월 초, 정부는 Tihange 원자로 1호기의 수명을 10년 연장하여 2025년까지 운영 하기로 결정함(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2012-7월호 7월 27일자 p.40 참조).
- 원전 운영연장 결정은 원자로 폐쇄로 인한 전력공백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발전이 부족하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임.
- 2012년 초 발표된 정부 보고서는 3기의 원자로가 예정대로 2015년에 폐쇄될 경우 전력부족 이 예상된다고 밝혔으며, Melchior Wathelet 에너지부 장관은 안정적인 전력수급의 중요성을 강조함.
ㅇ 현재 프랑스 GDF-Suez의 벨기에 자회사인 Electrabel이 총 7기(Doel 1~4호기와 Tihange 1~3호 기)의 원자로를 운영 중임.
6~7월 신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검사과정 중 원자로 압력용기에서
미세 균열(15~20mm) 발견 원자로 원자로 모델 순 발전용량(MW) 가동시기 폐쇄시기
Doel 1 PWR 433 1974 2015
Doel 2 PWR 433 1975 2015
Doel 3 PWR 1,006 1982 2022
Doel 4 PWR 1,047 1985 2025
Tihange 1 PWR 962 1975 2025
Tihange 2 PWR 1,008 1982 2022
Tihange 3 PWR 1,054 1985 2025
총 7기 5,943
자료 : World Nuclear Association
< 현재 운영 중인 원자로 >
2. 벨기에 원자로 압력용기의 균열 문제
ㅇ Electrabel은 2012년 6월 2일 Doel 3호기 원자로의 유지보수 및 정기안전 점검을 위해 가동 중지 하였으며, 6~7월 신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검사과정 중 원자로 압력용기(pressure vessel)에서 미세 균열(15~20mm)이 발견됨.
- Electrabel은 벨기에 원자력 규제기관인 연방원자 력통제청(Federal Agency for Nuclear Control, FANC)에 이를 보고하였으며, FANC는 예방조치 차원에서 다른 원자로의 균열 가능성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힘.
- FANC는 2013년에 Tihange 1호기의 압력용기에 대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것을 요구하였 으며, Japan Steel Works가 제조한 Doel 4호기와 Tihange 3호기의 압력용기에 대해서도 유 사한 검사가 시행될 것이라고 밝힘.
※ 원자로 압력용기는 노심을 보호하고 있는 시설임.
- 이 사고는 IAEA의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ternational Nuclear Event Scale, INES) 중 1등급인
‘anomoly’에 해당되지만, 추가정보 및 분석결과에 따라 재평가될 수 있음.
원전 포커스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Doel 3호기의 가동재개 여부는 국제 전문가 패널의 안전성 평가와
FANC 과학 위원회의 검토, Electrabel의 분석 및 결론을
바탕으로 결정
자료 : IAEA
<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
ㅇ Electrabel은 9월 13일 Tihange 2호기 원자로의 압력용기에서도 Doel 3호기의 균열과 유사한 균 열 조짐이 발견되었다고 발표함.
- Doel 3호기와 동일한 압력용기를 사용하는 Tihange 2 호기도 유지보수 및 안전점검을 위해 8월 16일 가동 중 단되었으며, Doel 3호기의 균열과 유사한 균열 조짐이 발견됨.
- Tihange 2호기의 압력용기는 Doel 3호기의 압력용기 제조사와 동일한 네덜란드 업체 Rotterdamsche Droogdok Maatschappij(RDM)가 1970년대에 제조한 것임.
3. 벨기에와 관련 국가의 대응
□ 벨기에 정부의 대응
ㅇ FANC는 Doel 3호기의 가동재개 여부는 국제 전문가 패널의 안전성 평가와 FANC 과학 위원 회의 검토, Electrabel의 분석 및 결론을 바탕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함.
- FANC는 Doel 3호기의 균열을 검토하기 위해 원자로 압력용기와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핀란드, 불가리아 등의 국제 전문가 패 널을 지정하였으며, IAEA와 OECD 산하 원자력기구(Nuclear Energy Agency, NEA) 전문가들 의 참여도 예상된다고 밝힘.
- FANC의 Wily De Roovere 청장은 30년 동안 가동된 Doel 3호기의 가동재개에 대해 회의적 이라고 언급함.
균열 원인이 제품하자(production defect)로 추정됨에 따라, Doel 3호기와 동일한 압력용기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국가에서도 원자로 점검을 진행
- FANC는 압력용기의 균열수리, 또는 신품으로의 대체는 용기에 잔류하는 높은 방사능 때문
에 시도된 바 없으며,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함. 또한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하더라 도 우려를 초래하여 실현되기 어려운 실정임.
※ 현재 검사가 진행 중이며, 압력용기의 과냉(overcooling) 및 고압에 대한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가압열충격(pressurized thermal shock, PTS)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ㅇ 벨기에 정부는 현재로서는 Doel 3호기와 Tihange 2호기의 가동재개 시기를 결정할 수 없다고 밝힘.
- 최소 2012년 말까지는 안전에 대한 우려로 가동 중단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겨울 피크시즌 에 전력부족으로 정전이 될 가능성은 없다고 밝힘.
- 벨기에 정부는 압력용기의 균열이 일반 국민과 환경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는 FANC와 국제 전문가 패널의 확증을 받을 때까지 가동을 재개하지 않을 방침임.
□ 관련 국가의 대응
ㅇ FANC는 Doel 3호기의 문제와 원자로 정밀검사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8월 16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긴급 국제회의를 개최하였음.
-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독일, 미국, 프랑스, 영국 등 대부분 Doel 3호기와 동일한 압력용기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관련 국가의
원자력 규제기관이 회의에 참석하여 원자로 균 열 문제에 대해 논의함.
- FANC는 Doel 3호기가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 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균열 조짐이 방사능 누출 위험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함.
- FANC의 Wily De Roovere 청장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0월에 다시 회의를 개최할 것 이라고 밝힘.
※ 한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EU 역내 총 147기의 원자로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테스트가 진행되 고 있음. EU 에너지 집행위원장은 스트레스 테스트가 10월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스트레스 테스트에 Doel 3호기의 균열과 관련된 평가내용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힘.
ㅇ 균열 원인이 제품하자(production defect)로 추정됨에 따라, Doel 3호기와 동일한 압력용기의 부 품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국가에서도 원자로 점검이 진행되고 있음.
- 이 부품은 현재 파산한 네덜란드 업체 Rotterdamsche Droogdok Maatschappij(RDM)가 제조한 것임.
- 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에 의하면, 벨기에의 2기 원전 뿐 아니라 독일 2기, 네덜란드 2 기, 스페인 2기, 스웨덴 1기, 스위스 2기, 미국 10기, 아르헨티나 1기의 원전에도 이 회사가
원전 포커스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CSN은 Garona와 Cofrentes 원전의 압력용기에 대한 자료와 제조과정을
분석 중 제조한 부품이 사용됨.
※ 유럽에서 RDM이 제조한 부품을 사용한 원전은 독일 Brunsbuettel과 Philippsburg 1호기(모두 영구 폐쇄됨), 네덜란드 Borssele와 Dodewaard 원전, 스페인 Garona와 Cofrentes 원전, 스웨덴 Ringhals 2호기, 스위스 Leibstadt와 Muhleberg 원전임.
ㅇ 스페인 원자력안전청(Consejo de Seguridad Nuclear, CSN)은 Garona와 Cofrentes 원전의 압력용기 에 대한 자료와 제조과정을 분석 중임.
- CSN은 Cofrentes 원전이 Doel 3호기와 다른 제조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Doel 3호기와 같은 결함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힘.
- Cofrentes 원전의 압력용기는 수직으로 용접된 반원형 잠금방식(clasp)으로 구성된 반면에, Doel 3호기의 압력용기는 수평으로 용접된 주조고리(forged ring)로 구성됨.
- 또한, Garona 원전의 압력용기는 Doel 3호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건설되었으나, 크기, 두께, 원자로형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Doel 3호기와 같은 결함은 추정되지 않는다 고 밝힘.
ㅇ 스웨덴 방사선안전국(Swedish Radiation Safety Authority, SSM)은 Ringhals 2호기의 원전 운영사인 Ringhals AB에 압력용기에 대한 검사 횟수를 늘리도 록 요청함.
- Ringhals AB는 SSM에 2013년 6월 1일까지 실행계획 (action plan)을 제출할 예정임.
ㅇ 스위스 연방 원자력안전검사청(Swiss Federal Nuclear Safety Inspectorate)은 초음파 검사를 시행 한 결과 Muhleberg 원전의 압력용기에서 제조상 하자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힘.
- Leibstadt 원전의 배관은 RDM이 공급하였으나 압력용기는 일본과 프랑스 업체가 공급하였으 며, 단조강(forged steel)이 아닌 압연강(rolled steel)으로 제조됨.
ㅇ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미국 내 10기의 원자로에 사용된 문제의 부품에 대해 원전 운영 사와 추가적인 확인 작업이 남아 있다고 밝힘.
- 미국에 사용된 10기의 원전은 Catawba 1호기, McGuire 2호기, North Anna 1~2호기, Quad Cities 2호기, Sequoyah 1~호기, Surry 1~2호기, Watts Bar 1호기임.
참고문헌
I-Nuclear, “Belgium regulator appoints international panel of experts to help decide future of Doel-3”, September 14, 2012
________, “New inspection confirm cracking in Belgium’s Doel-3 reactor pressure vessel”, September 04, 2012
Reuters, “Second Belgian reactor has indications of cracks”, September 13, 2012
______, “Swiss Muhleberg reactor deemed safe after tests-operator”, August 29, 2012 ______, “Belgian nuclear reactor shut at least until year-end”, August 27, 2012
______, “Belgian atomic watchdog says tough to prove Doel 3 safe”, August 16, 2012 ______, “Foreign regulators to examine cracks at Belgian nuclear plant”, August 14, 2012 AFP, “Belgian nuclear chief ‘sceptical’ reactor can be restarted, August 10, 2012
Nuclear Power Daily, “Belgium’s nuclear watchdog may close two reactors”, August 08, 2012 World Nuclear News, “Safety checks on reactor vessels”, August 28, 2012
___________________, “Belgian unit checked for cracks”, August 08, 2012 World Nuclear Organization, Nuclear Power in Belgium, Country profile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각 호
단 신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정책단신
□ 미 NRC, St. Lucie 원전 2호기 츨력 증강 승인
ㅇ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Florida Power & Light(FP&L)가 운영하는 St. Lucie 원전 2호기 의 출력을 17% 증강하는 것을 9월 24일 승인하였음.
※ 플로리다州에 위치한 St. Lucie 원전은 현재 발전용량 839MW의 PWR형 원자로 2기를 보유하고 있음. 각각 1976년과 1983년부터 가동에 들어갔으며 2003년 NRC로부터 운영 라이선스 연장을 승 인받아 2036년과 2043년까지 가동될 전망임.
- FP&L은 St. Lucie 원전 2호기의 출력을 853MW에서 1,002MW로 증강하기 위해 2011년 2월 25일 NRC에 라이선스 개정을 신청함.
- NRC는 St. Lucie 원전의 설계가 출력 증강을 수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FP&L의 분석 결과 를 평가한 후, FP&L이 증기시스템, 전력변환시스템, 응축물(condensate)과 급수(feed water) 관련 시스템 등 원전 시스템 및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안전하게 원전 출력을 증 강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함.
- NRC는 2012년 7월 9일 St. Lucie 1호기의 출력을 853MW에서 982MW로 증강하는 것을 승 인한 바 있음.
ㅇ 2008년 11월에 체결한 계약에 따라 독일 전기․전자기업 Siemens는 새로운 고압 터빈과 저압 터빈의 공급과 발전기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St. Lucie 원전 1, 2호기 출력 증강에 협력할 예 정임.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2012.9.24; World Nuclear News, 2012.9.25)
□ 미, 원자력에 대한 국민 지지율 증가
ㅇ 미국 리서치 기관인 Bisconti Research와 GfK Roper가 미국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9월 14~16일까지 시행한 전화 조사 결과 응답자의 65%가 전력 생산을 위한 원자력 이용에 찬성한 다고 대답하여,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하락했던 원자력 이용에 대한 지지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한 달 전 지지율이 71%였으나, 사고 발생 6개월 후 62%까지 하락 하였으며, 2012년 2월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2%p 증가한 64%의 지지율을 보임.
ㅇ Bisconti Research의 Ann Bisconti 사장은 2011년 말과 2012년에 시행한 조사 결과 원자력 전 반에 대한 국민의 지지뿐 아니라 원전 운영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힘.
- 미국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76%가 미국에서 운영 중인 원전이 안전하다 고 대답하였으며, 이는 2012년 2월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2%p 증가한 것임.
ㅇ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원전의 라이선스를 연장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81%가 찬성한다고 밝 혔으며, 이는 2012년 2월 조사 결과와 같은 수준임. 응답자의 68%는 신규 원전 건설에 찬성 한다고 대답함.
ㅇ 한편 사용후 핵연료의 관리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80%는 미 정부가 사용후 핵연료 영구 저장시설을 건설해야 한다고 대답하였으며, 62%는 사용후 핵연료를 원전 부지 내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데 찬성한다고 밝힘.
(World Nuclear News, 2012.9.24)
□ 캐나다 퀘백州 정부, Gentilly 2호기 폐쇄 결정
ㅇ 9월 4일 선출된 퀘백州 정부의 Pauline Marois 총독은 9월 20일 열린 첫 각료회의에서 퀘백 州의 유일한 원자로인 Gentilly 원전 2호기의 개조 계획을 중단하고 원전을 폐쇄하기로 결정 했다고 밝힘.
※ Hydro Quebec이 운영하는 Gentilly 원전 2호기는 발전용량 635MW의 CANDU형 원자로로 1982 년부터 가동에 들어갔으며 2012년 말 라이선스가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2011년 캐나다 원자력안전 위원회(Canadian Nuclear Safety Commission, CNSC)는 원전 시설 개조를 위해 2016년 6월 30 일까지 라이선스 연장을 승인함.
- 퀘백州 정부는 2008년 8월 19일 Gentilly 원전 2호기의 라이선스 연장을 위해 약 20억 달러 의 비용으로 원전 시설을 개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음.
- 그러나 9월 4일 선출된 퀘백州 정부의 Pauline Marois 총독은 선거 공약으로 Gentilly 원전 2호기의 폐쇄를 내세웠음.
ㅇ Pauline Marois 총독은 Gentilly 원전 2호기 폐쇄 결정이 환경에 대한 퀘백州의 의지를 잘 보 여준다고 언급함과 함께 천연자원부 장관과 Hydro Quebec에 원전 폐쇄의 시사점에 대한 보 고서를 제출하도록 지시하였음.
ㅇ 한편 퀘백州의 일부 민주당 의원들과 업계 대표는 Gentilly 원전 2호기의 폐쇄에 따른 약 800 명의 실직자 발생에 대해 언급하는 등 원전 폐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州정부 및 지 자체 일각에서는 Pauline Marois 총독이 원전 폐쇄 계획을 보류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음.
(World Nuclear News, 2012.9.21; The Gazette, 2012.9.25)
□ 프랑스, 에너지 이행에 대한 토론 예정
ㅇ 프랑스는 2012년 말 저탄소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이행(energy transition)’에 대해 논의하는 국가적 차원의 토론을 개최할 예정임.
- 토론 계획을 제시한 Delphine Batho 환경·지속가능개발·에너지부 장관은 환경적 효과, 경
단 신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제적 효율성, 사회정의를 고려하여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함.
ㅇ 토론 결과는 2013년 6월 신규 에너지정책 법안이 수립에 활용될 예정임.
- 토론은 2012년 11~12월의 정보제공 단계(information phase), 2013년 1~4월의 공공 참여 단 계(phase of public participation)를 통해 2013년 5월에 권고안이 도출될 예정이며, 토론 결 과는 2013년 6월 신규 에너지정책 법안 수립에 활용될 예정임.
- 전문가 위원회, 시민 위원회, 그리고 州 및 지방 정부, 업계, 의원으로 구성된 국가 위원회 등 여러 기관이 토론에 참여할 예정임.
- 또한, 프랑스 정부는 지난 9월 14~15일 개최된 환경 컨퍼런스(ecological conference)에서 나온 결론을 이행하기 위한 세미나를 곧 개최할 예정임.
ㅇ 한편, 올랑드 대통령은 환경 컨퍼런스에서 2016년 말에 Fessenheim 원전을 폐쇄할 것이라고 발 표하였으며, 이러한 폐쇄가 폐로 부문에서 프랑스의 전문성을 입증할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라 고 언급함.
- 하지만 EDF는 Fessenheim 원전폐쇄를 부당한 조치라고 언급하면서, 이는 자사의 원전계획 을 상당히 불확실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함.
(Reuters, 2012.9.20; World Nuclear News, 2012.9.21)
□ 러시아 Kalinin 4호기, 상업가동 개시
ㅇ 러시아 원전운영사 Rosenergoatom은 Kalinin 4호기가 상업가동을 개시하였다고 발표함. - 950MW급 V-320 모델의 VVER1000형인 Kalinin 4호기는 2012년 4월 28일 74건의 시험을 성
공적으로 완료한 후 시험가동에 들어갔으며, 8월 초 시험가동을 완료함.
- 러시아 Udomlya 근교의 Tver Oblast 지역에 위치한 Kalinin 원전은 Tver Oblast 지역에 대 부분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모스크바, Saint Petersburg, Vladimir에도 전력을 공급하고 있음.
※ Kalinin 1~3호기는 각각 V-338, V-338, V-320 모델의 VVER1000형으로 950MW, 950MW, 988MW의 발전용량을 보유하고 있음. 1985년, 1987년, 2004년에 상업가동을 시작하여 2014년, 2016년, 2034년에 가 동 중단될 예정임.
ㅇ Kalinin 4호기는 1985년에 구소련 정부가 승인하여 오랜 기간을 거쳐 완공됨.
- 1985년에 착공하여 20% 정도 건설이 진행된 1991년에 중단되었다가 2007년 말에 재개됨.
- 이후 중단된 불가리아 Belene 프로젝트의 주요 부품을 사용하여 건설을 추진하여, 2011년 10월 원자로에 연료가 장전되었으며 2011년 11월 최초 임계(criticality)에 도달함.
※ 불가리아 정부는 다뉴브 강 인근의 Belene 지역에 신규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2012년 3월 말 이 원전 프로젝트를 철회하고 대신 Kozloduy 원전에 7호기를 건설하기로 결정함(세계 원전시 장 인사이트 2012-8월호 8월 31일자 p.25 참조). 계획변경 당시 러시아 AtomStroyExport는 1,000MW급 VVER 1000(AES-92)형 원자로 2기 중 1기의 건설을 완공한 상태였음.
※ 러시아는 현재 총 24,164MW 규모에 달하는 33기의 원자로를 운영 중이며, 10기의 원자로를 건설 중임. 러시아는 2030년까지 28~36기의 신규 원자로를 건설할 계획임.
(World Nuclear News, 2012.9.26)
□ 인도 Kudankulam 원전 1호기, 연료 장전 시작
ㅇ 인도 원자력규제위원회(AERB)가 9월 18일 Kudankulam 원전 1호기의 연료 장전에 대해 최종 승인을 결정함에 따라 Kudankulam 1호기의 연료장전이 9월 19일부터 시작됨.
※ 인도 국영원자력회사(NPCIL)가 소유하는 Kudankulam 원전은 러시아와의 협력으로 1997년부터 타 밀나두州에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VVER1000형 1, 2호 원자로의 발전용량은 각각 1,000MW임.
- Kudankulam 원전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 증가와 인도의 원자 력 규제시스템에 대한 불신 등으로 여러 차례의 시위와 탄원에 직면해왔음.
- Kudankulam 원전의 가동 및 원자력규제위원회(AERB)의 연료장전 승인을 반대하는 원자력 반대 시민단체와 환경단체의 탄원에 대해 Madras 고등법원이 8월 31일 기각을 결정하였음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주간 단신 업데이트 2012-9월 1호 9월 7일자 p.10).
ㅇ NPCIL 관계자는 163개의 핵연료다발(fuel bundle)을 장전하는데 약 10일이 소요될 것이라고 언급하였으며, 연료 장전이 완료된 이후 원자로 첫 분열반응을 시작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갈 예정임.
ㅇ 원자로 출력은 첫 임계 도달 이후 AERB의 감독하에 단계적으로 최대로 증가될 예정임.
※ 원자로의 임계란 핵분열 반응이 감소하지도 증가하지도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함.
(The Economic Times, 2012.9.21; The Times of India, 2012.9.22)
□ 파키스탄, 2016년까지 Chashma 원전 3, 4호기 가동 전망
ㅇ 파키스탄 원자력위원회(Pakistan Atomic Energy Commission, PAEC)의 Ansar Parvez 의장은 9월 17일부터 비엔나에서 열린 56차 IAEA 정기총회에서 현재 파키스탄이 Chashma 원전에 신규 원자로 2기를 건설 중이며 2016년 이내에 가동을 시작할 전망이라고 밝힘.
- 파키스탄의 모든 원자력 관련 활동을 담당하는 파키스탄 원자력위원회(Pakistan Atomic Energy Commission, PAEC)가 중국의 기술 및 재정 지원으로 건설 중인 Chashma 원전 3, 4호기는 각각 2011년 5월과 11월에 착공하였으며 2016년 이전에 가동에 들어갈 전망임. 두 원자로의 설비용량은 각각 340MW임.
※ 파키스탄 정부는 중국의 재정 지원으로 Chashma 3, 4호기를 건설할 계획을 2008년 6월 발표하 였으며 2009년 4월 중국 국가핵전기술공사(SNPTC)의 자회사인 Shanghai Nuclear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Institute(SNERDI)와 원전 설계계약을 체결하였음.
- 신규 원자로의 건설 목표는 파키스탄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산업, 농업, 상업 부문 의 전력 수요를 충당하는 것임.
단 신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 미 에너지부 장관은 2006년 3월 13일 파키스탄의 Shaukat Aziz 전 총리와 에너지 부문 협력 확 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회담을 개최하였으며, 당시 미 에너지부 장관은 파키스탄의 전력 수요가 2030년까지 7~8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음.
ㅇ 파키스탄은 현재 발전용량 125MW의 CANDU형 원자로인 Karachi 원전 1호기와 발전용량 300MW의 PWR형 원자로인 Chashma 원전 1, 2호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원자력이 전체 전력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4%에 불과함.
- Karachi 원전 1호기는 파키스탄의 첫 원전이자 이슬람 지역에서 건설된 첫 원전으로, GE
Canada가 원자로를 공급함. 1971년부터 가동에 들어갔으며 2019년 라이선스가 만료될 예정임.
- Chashma 원전 1, 2호기는 중국핵공업집단공사(CNNC)가 공급하였으며, 각각 2000년과 2011 년부터 가동에 들어갔으며 2040년과 2051년에 라이선스가 만료될 예정임.
(Pakistan Observer, 2012.9.18; Business Recorder, 2012.9.19)
□ 베트남, 원자력 협력 의사 표명
ㅇ Nguyen Quan 베트남 과학기술부 장관은 9월 17일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된 IAEA 연례 정기총 회에서, 베트남은 평화적 목적을 위한 모든 원자력 부문에서 IAEA 및 원자력 관련 국제기구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힘.
- Nguyen Quan 장관은 원자력 안전에 대한 IAEA의 실행계획을 지지·이행할 것이라고 언급 하면서, 베트남은 IAEA의 핵물질 방호협약(Convention on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Material, CPPNM)에 참여하기 위한 추가 의정서 및 문서를 승인했다고 밝힘.
- 또한, 베트남은 IAEA의 원전 안전규제에 따라 원전건설 프로젝트를 이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언급함.
※ 핵물질 방호협약: 평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핵물질을 수송, 사용, 저장할 때 방호하겠다는 협약으 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협약임. 핵물질의 불법 취득 및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방 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입국이 자국 영역을 횡단하거나 자국의 선박이나 항공기에 적재하고 국제 운송을 할 때, 평화를 목적으로 하는 핵물질이 일정한 수준에서 방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무를 가짐. IAEA는 안전조치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가 의정서(Additional Protocol)를 채택하 여 각 국의 서명과 비준을 추진함.
ㅇ 베트남은 현재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공급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총 10기의 원전을 건설할 계획임.
- 베트남 정부는 전력수요 증가에 따라 향후 10년간 전력부문에 약 5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 총 발전설비 용량은 2020년까지 52GW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이 중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5%이며, 10기의 원전건설 후 2050년까지 20~2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은 원자력 기술 및 인적자원 개발을 위해 2000년 이후 러시아, 프랑스, 중국,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와 원자력 협력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카자흐스탄은 베트남에 원전용 연료를 공급할 계획임.
- 러시아가 Phuoc Dinh 지역에 건설할 Ninh Thuan 1 원전은 1,000MW급 4기로 구성되며, 일본이 Vinh Hai 지역에 건설할 2 원전 역시 1,000MW급 4기로 구성됨.
(Vietnam News Service, 2012.9.20; Power Engineering, 2002.9.25)
시장단신
□ EDF Energy, 영국 Sizewell C 원전건설에 대한 협의 개시 예정
ㅇ EDF Energy는 영국 Sizewell C 원전건설에 대한 공식적인 공개협의(public consultation)를 11 월 말에 시작할 것이라고 밝힘.
- EDF Energy는 9월 21일, 영국 Sizewell C 원전건설에 관한 지역사회 협의 보고서(Statement of Community Consultation, SoCC) 초안을 Suffolk County Council과 Suffolk Coastal District Council에 제출하였으며, 공식 협의는 11월 말로 예정됨.
- EDF Energy는 영국 Suffolk 지역의 Sizewell C에 총 3,200MW 규모의 EPR형 원전을 건설할 계획임.
※ 영국은 2008년 계획법(Planning Act)을 수립하여 국가적 기반시설 구축사업의 승인 및 추진을 전 담하는 새로운 독립기관인 기반시설계획위원회(Infrastructure Planning Commission, IPC)를 설립하 였으며, 계획법에 따라 원전건설 업체는 IPC에 원전건설, 운영, 유지, 개발에 관한 승인을 신청해야 함. 또한, 이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와 신규 원전건설에 대해 협의하기 위해 SoCC를 지역 당국에 제 출해야 함.
ㅇ 또한, EDF Energy는 9월 22일 Hinkley Point의 원전건설 및 운영 신청에 대한 6개월간의 계 획심의관(Planning Inspectorate) 검토가 완료되었다고 발표함.
- EDF Energy는 Areva 및 Centrica와 공동으로 영국 Somerset의 Hinkley Point에 2025년까지 1,600 MW급 4기의 EPR형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며,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결정은 2012 년 말에 이루어질 예정임.
- 영국 정부와 EDF Energy는 현재 Hinkley Point 원전의 전력가격에 대해 논의 중이며, 이는 2012년 말 이전에 결정될 예정임.
- 이 프로젝트는 영국 정부의 재정지원에 대한 불확실성과 원자력에 회의적인 프랑스 올랑드 대통령의 당선으로 예정보다 지연됨.
※ 계획심의관(Planning Inspectorate): 지방 정부의 개발계획 보고서 및 지역사회 참여 보고서 (Statements of Community Involvement, SCI) 내용이 법적 조건에 부합하고 건전한 개발계획으 로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여부를 심사함.
(Power Engineering, 2012.9.21; Energy Business Review, 2012.9.24)
단 신
Monthly World Nuclear Power Market Insight□ Areva-CNPDC, 원전설계 관리 시스템에 관한 협력각서 체결
ㅇ Areva는 중국 원전설계 회사인 China Nuclear Power Design Company(CNPDC)와 원전설계 관리 시스템(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 PDMS)에 관한 협력각서(MOC)를 체결함.
- 계약에 따라 CNPDC는 Westinghouse의 AP1000형 및 중국 3세대형 원전건설에 Areva의 PDMS를 사용할 예정임.
- PDMS는 2001년부터 EPR형 Taishan 원전을 비롯하여, 16기의 원전건설 프로젝트에 사용되고 있음.
- Areva는 PDMS가 성공적인 프로젝트 관리환경을 창출하고 설계 품질과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ㅇ 또한, Areva와 EDF는 9월 24일 우라늄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발표함.
- Areva는 EDF에 2014~2035년 30,000톤 이상의 천연 우라늄을 공급할 예정임.
ㅇ 한편, Areva는 영국의 핵연료 관리 및 폐로 부문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학 및 설계 컨설팅 회사인 Atkins와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함.
- Atkins는 영국 Sellafield, Magnox 원전부지에서 약 25년 동안 원자력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음.
(World Nuclear News, 2012.9.25, 2012.9.26; Nuclear Power Daily, 2012.9.26)
[ 9월 3주 단신 ]
정책단신
□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원전제로 정책에 대한 우려 표명
ㅇ 일본의 2030년대 원전제로 정책 추진에 대해 미국, 영국, 프랑스는 우려를 표명함.
- 일본 정부가 9월 14일 에너지·환경회의에서 2030년대 원전 비중을 0%로 낮추는 ‘혁신적 에너 지·환경전략’을 발표한 이후, 원전건설과 핵연료 재처리 부문에서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 고 있는 미국, 영국, 프랑스는 우려를 표명함.
ㅇ 9월 12일 Daniel Poneman 미 에너지부(DOE) 부장관(deputy secretary)은 Seiji Maehara 일본 민 주당 정책대표와 만나, 일본의 에너지정책이 미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함.
- 미국은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통해 생산되는 플루토늄 관리, 핵 비확산 체제에서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