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세드릭 오 프랑스 디지털 국무장관, KISTI 연구현장 방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세드릭 오 프랑스 디지털 국무장관, KISTI 연구현장 방문"

Copied!
4
0
0

Teks penuh

(1)

- 1 -

세드릭 오 프랑스 디지털 국무장관, KISTI 연구현장 방문

- 데이터센터·슈퍼컴퓨팅센터 방문, 디지털 전환 분야 협력 논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18일, 세드릭 오 (Cédric O) 프랑스 디지털전환 및 전자통신 담당 국무장관을 맞이하여 KISTI 데이터센터와 국가슈퍼컴퓨팅센터를 소개하고, 디지털 전환 분야에 있어 양국 과학기술정보기관 간 협업 등을 논의하였다.

세드릭 오 장관은 2017년부터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디지털경제 보좌 관으로 해당 부문을 담당해왔으며, 2019년 디지털 담당 국무장관 역임을 시작으로 현재는 경제재정부 디지털 전환 및 전자통신 담당 국무장관으로 재임 중이다. 디지털 전환과 전자정보통신망, 중소기업과의 협업 등에 관 심을 갖고 있는 세드릭 오 장관은 해당 분야에 대한 한국과의 협력에 특 히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KISTI는 ScienceON, NTIS 등과 같은 국가과학기술데이터 플랫폼을 서비스 중에 있으며, 25.7PetaFlops의 성능을 갖춘 국가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인프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국가과학기 술정보 전문기관으로서, 국내외 과학기술정보뿐만 아니라 디지털 뉴딜을 위한 과학기술 분야 데이터 댐을 구축하는 등, 국가 데이터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보 도 자 료

배포 즉시 보도 가능합니다.

대전(본원): 대외협력실 이종성 042-869-0976 / 박한철 0961 / 이정훈 1263 문의: 대외협력실 박한철 (042-869-0961)

배포번호 : 2021-44

배포일자 : 2021.11.18.(목)

매수 : 보도자료 4매

(첨부자료 포함) 배포처 : 대외협력실

(2)

- 2 -

김재수 원장은, 현장에 같이 참석한 프랑스 국립정보과학・자동화연구소 (INRIA)와의 협력관계 및 프랑스 과학기술정보연구소(INIST)와의 협업 등을 언급하면서,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양국의 대표 과학기술정보기관 간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에 세드릭 오 장관도 우수한 인프라와 강점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 분 야에서 양국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협력과 교류의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대표기관 간 실무차원의 조율을 확대해나가자고 제안하였다.

INRIA의 담당자도 동석하여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시 작으로 양국 과학기술정보 기관 간의 글로벌 협업, 공동연구 등이 더욱 활 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재수 원장은,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변화의 물결은 우리 사회의 모든 구조를 혁신시키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는 상황이 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의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 최고책임기관 (CDO)이라는 임무를 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프랑스 전문기관과도 협력 을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3)

- 3 -

첨부 1

세드릭 오 프랑스 디지털 국무장관 KISTI 방문 사진

KISTI 김재수 원장(왼쪽)과 세드릭 오 프랑스 디지털 국무장관(왼쪽에서 두번째)

(4)

- 4 -

첨부 2

국가슈퍼컴퓨터 5호기‘누리온’시설 현황

□ 개요

ㅇ (목적) 국가 과학기술 발전 및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계산자원수요 대응 및 핵심 인프라 역할 수행

- 거대도전 문제 등 전통적인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더불어 국가현안문제 해결 지원 (COVID-19, 중소기업제조혁신 등)

ㅇ (규모 및 성능) 57만 CPU 코어, 25.7PF(실측 13.9PB) 세계 11위 수준(’18.6)

* 매니코어CPU 노드 8,305대와 범용 x86 CPU 노드 132대, 0.9PB Mem, 20PB 스토리지

ㅇ (경과) ‘17.8 계약 ⇨ ’18.09 구축 완료 ⇨ ’18.12 공식 서비스 시작

* 사업 기간 : 5년(’16~20), 예산 : 시스템 구축(587억), 응용SW(4년, 62.7억), 기반시설(258억)

ㅇ (활용) 나노ㆍ에너지 신소재, 신약개발, 기후변화, 중력파ㆍ천체물리 등 계산과학 분야의 거대ㆍ난제 연구 지원 및 M&S 등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지원

[슈퍼컴퓨팅지원동 및 시스템 구축 사진]

□ 지원성과

ㅇ ‘18.12월 서비스 오픈 후 산‧학‧연‧관 150개 기관, 2,174명의 사용자가 340만개 사용자 작업 수행, 가동율 99% 유지

ㅇ 나노소재, 바이오 빅데이터 등의 대규모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국가 전략분야 지 원을 통해 NSC 12건을 포함한 SCI 257건의 논문 유발(’18.1~’19.2)

ㅇ 슈퍼컴퓨터 기반 산·학·연의 COVID-19 관련 연구 지원

* 서울대-리하이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인체세포침투 표면돌기인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분석 규명 ** 서울대-화학연-파스퇴르연구소, 코로나19 치료 후보약물의 결합 매커니즘 규명 등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