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방민원 처리실태 자체 특정감사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소방민원 처리실태 자체 특정감사결과"

Copied!
29
0
0

Teks penuh

(1)

Incheon, Economic Capital City

대한민국의 심장, 경제수도 인천

소방민원 처리실태 자체 특정감사결과

- 청렴도 측정대상 업무(완공검사 등) 중심 -

2013. 4.

監 監 監 監 査 官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監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査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官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室

(2)

목 차

Ⅰ.

감사개요

···

1

1. 감사 배경 및 목적 2. 감사 대상기관 및 범위 3. 감사 방법 및 중점 4. 감사기간 및 인원

Ⅱ.

감사 대상사무 현황

···

3

1. 사무 종류 2. 주요사무 개념 3. 사무처리 현황

Ⅲ.

감사결과

···6

1. 총괄

2. 주요 지적사항

Ⅳ.

처분요구와 문책 ·

···25

1. 처분요구서 일람표 2. 문책자 현황

[첨부서류]

1.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2. 현지조치 사항

3. 감사결과 문책자조서

(3)

Ⅰ 감 사 개 요

1. 감사 배경 및 목적

□ (감사 배경) 2012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국민권익위 원회)

에서 청렴도가 낮게 평가

○ 2010년도의 종합청렴도가

미흡

등급을 받아 16개 광역자치단 체 중 14위로 저조하여 2011년도에 특정감사를 실시하고 민원 업무 전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지적 한 바 있음에도 청 렴도가 향상되지 않고 있으며,

○ 특히, 2012년도 외부청렴도 측정업무 중 “소방시설점검(완공검사, 완비증명)”에서 부패 위험지수중 연고관계에 따른 업무처리 및 업무처리의 투명성 항목에서 낮게 평가되어 취약업무로 분류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13위)

* 외부청렴도 (소방시설점검업무) : 8.75(´08) → 9.41(´09) → 8.48(´10) → 9.45/7(´11) → 8.00/13(´12)

□ (감사 목적) 2013년 시정 청렴도 상위권 진입을 위해 소방민원 업무를 감사하여 문제점과 책임소재를 규명하고 근본원인을 파악하여 발굴ㆍ개선함으로써 인천시 종합청렴도 향상 도모

2. 감사 대상기관 및 범위

□ (감사 대상기관) 3개 소방서 : 공단, 중부, 남부 소방서

※ 감사기간 등을 감안하여 8개 소방서중 3개 소방서 샘플감사

(4)

□ (감사 범위) 2011년 3월부터 2013년 2월 사이에 처리ㆍ추진한 청렴도 측정업무, 청렴도 측정대상자 관련업무 및 민원사무 등

* 청렴도 측정업무 : 소방시설의 완공검사, 안전시설 등 설치(완공)신고

* 청렴도 측정대상자(소방시설업자) 관련업무 : 각종 소방 관련업 등록, 건축 등 동의, 위험물 설치허가, 소방공사 착공신고, 방염성능검사 등

3. 감사 방법 및 중점

○ (감사방법) 서면 및 현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질감사를 실시 하되, 감사기간 등을 감안하여 특정 기관에 감사장 설치ㆍ운영

〈감사장 설치ㆍ운영계획〉

설치기관 운 영 기 간 비 고

공단소방서 ´13. 3.07~3.13(5일간) 중부소방서 ´13. 3.14~3.20(5일간) 남부소방서 ´13. 3.25~3.29(5일간)

※ 감사장선정 기준 : 본부 자체청렴도 평가결과 반영(중부․남부소방서) 위험물질 다량 취급 기관(공단소방서)

○ (감사중점사항)

“불합리한 규제기준”, “소극적 업무처리” 등 잘못된 제도ㆍ관행 발굴 및 개선

민원처리의 지연ㆍ불허ㆍ보완, 불필요한 서류 징구, 민원인에게 부담을 준 사례 발굴 및 재발방지

행정처분의 적정성 및 청렴시책 추진사항 점검

⇒ 2011도 감사 지적사항의 수행상태 점검

(5)

○ 감사반

- 감사인원 : □ □ 담당 外 4명 - 감사요원별 감사분야

구 분 직급(위) 성 명 감 사 분 야 감사반장 ☆☆담당 ★★★ ∘감사반 지휘ㆍ감독∘소방관련업에 관한 사무 감사요원 ○○6급 ◉◉◉ ∘완비증명에 관한 민원사무

“ ●●6급 ◈◈◈ ∘위험물에 관한 민원사무

“ ◎◎6급 ▣▣▣ ∘다중이용업소 관리에 관한 사무

“ ◇◇7급 ◇◇◇ ∘민원담당공무원에 관한 사항

Ⅱ 감사 대상사무 현황

1. 사무 종류

감사 대상사무는 민원사무 46종과 일반사무 3종 등 총 49종으로, 그 사무처리의 주요 근거법령으로는 총 5개 법령이 있음.

감사 대상사무 종류

(단위: 종, %)

계 민 원 사 무

소방공사분야 소방시설분야 다중이용분야 위험물분야 기 타 일반사무 (비중)46 10

(21.8) 13

(28.3) 2

(4.3) 16

(34.8) 2

(4.3) 3 (6.5)

* 감사 대상 사무 종류 「별표 1」

(6)

사무처리 주요 근거법령

분 야 근 거 법 령

민원 사무

소방공사 ◦ 소방시설공사업법

소방시설 ◦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다중이용업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위 험 물 ◦ 위험물안전관리법 기 타 ◦ 관련법

일반 사무

건축허가 등 동의 ◦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청렴시책 ◦ 자체 지침

2. 주요사무 개념

사무명 개 념

소방시설완공검사 ∘화재로부터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사업자가 소방시설을 설계도서대로 시공하였는지 확인 함.

안전시설등

설치(완공)신고 ∘화재 등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중이용업(유흥주점 등) 영업장에 소방시설등을 설치토록 함.

위험물제조소등

설치허가 ∘위험물(인화성 또는 발화성 성질)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해 기술기준에 맞게 위험물 제조소 등을 설치토록 함.

건축허가등 동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규모 이상 건축물 등의 허가 전에 소방서장에게 소방 시설에 대한 동의를 구함

3. 사무처리 현황

□ (분야별 처리현황) 민원의 성격을 지닌 사무 46종의 총 처리건수는

32,008건으로, 31,817건

(99.4%)

은 해결되었고 191건

(0.6%)

은 관계 법규에

저촉되는 등으로 거부

(불가ㆍ반려)

처리되거나 민원인이 신청을 취하하였음.

(7)

분야별 사무 처리 현황(´11.3.1.~´13.2.28.)

(단위 : 건, %)

분야 총 처리건수 해 결 불 가 반 려 취 하

민원

소방공사 13,471 13,436 - 14 21

소방시설 3,993 3,992 - - 1

다중이용업 3,719 3,713 - - 6

위험물 4,390 4,379 - 1 10

기 타 778 766 3 - 9

소 계 26,351 26,286 3 15 47

일반(건축허가등 동의) 5,657 5,531 - 86 40

계 32,008

(비중) 31,817

(99.4) 3

(0.02) 101

(0.31) 87 (0.27)

□ (기관별 처리현황) 각 소방서별 사무 처리 현황은 아래 표와 같음.

기관별 사무 처리 현황(´11.3.1.~´13.2.28.)

(단위 : 건)

소방서명 총 처리건수 해결 불가 반려 취하

중부 3,875 3,865 - 6 4

남동 3,125 3,118 - 3 4

부평 4,794 4,745 - 29 20

서부 5,573 5,497 - 42 34

공단 5,862 5,831 1 9 21

계양 2,522 2,513 - 9 -

남부 4,406 4,399 2 3 2

강화 1,851 1,849 - - 2

계 32,008 31,817 3 101 87

(8)

Ⅲ 감 사 결 과 1. 총 괄

가. 지적건수 : 32건

나. 조치계획

○ 행정상 조치 : 32건

(주의 17, 시정 14, 개선 1)

○ 재정상 조치 :

4,500,000원 (6건 과태료 부과)

○ 신분상 조치 : 2명

(훈계 2)

2. 주요 지적사항

유형 1 소방관련업에 관한 사무

《사례 1-1》소방관련업 행정처분사항 등록대장 미기재

○『예방소방업무처리규정』제33조(행정처분의 적용 등)제4항 규정에 따라 소방서장은 소방관련업에 대한 행정처분 등을 한 경우에는 그 내용을 등록대장의 행정처분 사항란에 벌칙․과태료․행정처분 등으로 구분하여 기록․관리하여야 하나 행정처분 사항을 관련 등록대장에 미기재, 누락 하여 관리

미기재한 행정처분사항을 소방관련업 등록대장에 등재후 관리토록 시정하고 관련자 주의 촉구 (시정)

《사례 1-2》소방시설공사업 제1종 국민주택채권 매입처리 부적정

○『소방시설공사업법』제4조 규정에 의거 소방시설공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시도지사1)에게 소방시설공사업 면허를 등록하여야 한다.

1)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제2조제1항[별표4] 규정에 따라 소방서장에게 위임

(9)

○ 소방시설공사업 면허 등록을 하고 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교부할 때는 자본금의 1/1,000에 상당하는 제1종 국민주택 채권 매입사실을 확인하고, 국민주택채권 매일사실을 확인대장에 기록한 후 교부하여야 함

○ 그러나 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하지 않거나 과다(초과)매입 또는 부족하게 매입하였음에도 등록증을 교부하였고, 매입사실을 확인대장에 기록․유 지 하지 아니함

소방시설공사업 등록에 따른 제1종 국민주택채권 매입처리 업무 철저 (주의)

《사례 1-3》소방시설공사업 등록신청에 따른 수수료 부족징수

○ 소방시설공사업 등에 대한 등록신청은 업종별로 구분하여 접수하되, 일반소방공사 감리업의 분야별 신청의 경우 기계 및 전기 분야를 겸하 여 등록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1건으로 접수, 처리 할 수 있으나 이에 따 른 수수료는 분야별로 각각 징수하여야 함.

(『소방시설공사업법』제4조 및『예방소방업무처리규정』제22조)

○ 그러나 일반공사감리업으로 등록․처리한 업체에 대하여 신청분야인 기계․전기 분야별로 수수료를 징수하지 아니하고, 1건으로 등록·처리 하면서 수수료를 부족 징수

일반 소방시설공사업 등록에 따른 수수료 징수 업무철저 (주의)

1)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제2조제1항[별표4] 규정에 따라 소방서장에게 위임

(10)

《사례 1-4》소방시설공사업 합병신고 처리 부적정

○ 소방시설공사업의 경우 합병 후 존속하는 법인 또는 합병으로 설립 되는 법인의 경우에는 “계약일을 기준으로 작성한 지위승계인의 자산평가액 또는 기업진단보고서”를 첨부하여 신고하여야 하고,

○ 합병전 공사업체 실질자본금과 합병후 공사업체 실질자본금을 대비하여 합병후 실질자본금이 많을 경우 그 증액된 자본금의 1/1000에 상당하는 제1종 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하여야 하나 이행하지 않음

○ 그러함에도 서류심사 절차를 소홀히 한 채 소방시설공사업의 합병신고에 따른 등록신청 심사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같은 날짜에 등록 처리

소방시설공사업 등록 및 채권 매입 업무 철저 (주의)

《사례 1-5》소방관련업 면허부여에 관한 통보 부적정

○ 소방관련업 등록사항 중 “ 면허를 받은 자가 변경되는 경우와 면허의 종 별 구분이 상위의 종으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면허가 경신되는 것으로 보는 경우”를 제외한 변경면허는 면허의 단순한 표시변경으로 보아 등 록면허세를 부과하지 아니함.

○ 그러나 남부소방서는 소방시설업 및 소방시설관리업 등 소방관련업의 등 록사항 변경사항 중 “대표자 변경” 등 면허의 단순한 표시변경으로 통보 대상이 아닌 총14건의 변경신고에 대하여 면허 부여 통보함

소방관련업의 등록사항 변경신고에 따른 면허 부여(변경, 취소, 정지)에 관한 통보 및 등록면허세 납부 확인 업무 철저 (주의)

(11)

《사례 1-6》소방시설업 지위승계신고 민원처리 부적정

○ 접수한 민원서류가 흠이 있는 경우에는 보완에 필요한 상당한 기간을 정 하여 지체 없이 민원인에게 보완을 요구하여야 하나, 민원처리기한 마감 전일에야 기간을 정하여 문서를 보완하도록 통보하였으며,

○ 보완서류에 대하여도 소방시설업 지위승계신고서로 접수․처리하여 수수 료를 부당하게 추가 징수함

소방시설업 지위승계 신고 등 민원 업무 처리 철저 (주의)

유형 2 소방시설 완비증명에 관한 민원사무

《사례 2-1》소방민원정보시스템 (자료등록 ) 업무처리 소홀

○ 소방민원정보시스템 고도화 및 확산사업에 따라 2008년 다중이용업소, 위험물제조소, 소방대상물 관리를 비롯하여 유관기관 연계 및 건축행정 정보 연계 등을 포함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소방민원시스템 입력을 철저 히 하도록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 강화계획을 시달하였으나, 시스템 미 등록 비율은 중부 0%, 남부 4%, 공단 소방서 13%이고, 평면도등 기타 자료 미등록 비율은 중부 10%, 남부 16%, 공단 소방서 59%로 확인 됨

소방민원정보시스템 미등록건을 입력조치하고 관련업무 철저 (시정)

(12)

《사례 2-2》소방특별조사 관련 업무처리 (과태료 부과) 소홀

○ 소방서에서는 화재취약요인 사전제거 및 자체안전관리를 조기에 정착시 키고 나아가 화재로 인한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소방특별 조 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 피난시설, 방화구획 또는 방화시설을 폐쇄, 훼손, 변경하는 등의 행위를 한 경우에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 그러나,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연동 불량건에 대하여 조치명령만 한 채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음

향후 위반자에 대한 적정 과태료 부과 (주의)

《사례 2-3》완비증명 민원 관련 업무처리 소홀

○ 안전시설 등 설치신고서를 접수 후 보완을 요구하면서 보완에 필요한 기간을 분명히 밝혀야 함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으며,

○ 동 문서에 대해서 사무전결처리규칙에 따라 관련팀장의 결재를 받아야 함에도 담당자 전결로 결재하여 민원인에게 회시

민원서류의 보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분명하게 기간을 밝히고 사무전결처리규정을 준수하여 업무처리 (주의)

《사례 2-4》안전시설 등 완비증명서 재발급 관련 업무처리 소홀

○ 안전시설 등 완비증명서를 재발급하면서 영업장 소재지를 잘못 기재한 사항에 대하여 정정을 했어야 하나 심사시 확인하지 못하였고,

(13)

○ 완비증명 재발급시 민원사무처리기간을 과소산정후 접수(처리기간 : 3일

→1일)하여 재발급

완비증명서 재발급과 관련하여 심사 및 기간산정 철저 (주의)

유형 3 위험물에 관한 사무

《사례 3-1》위험물 제조소등 용도폐지신고 업무 처리 소홀

○ 「위험물안전관리법」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당해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한 때에는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한 날부터 14 일 이내에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하고 신고서를 접수한 소방서장은 당해 제조소 등을 확인하여 용도폐지에 필요한 안전조치를 한 것으로 인정하는 경우에 수리통보하고 적합한 조치가 이행되지 아니한 경우에 는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명령하여야 한다

○ 그러나 공단소방서 예방안전과에서는 공장이전에 따른 설비철거를 사유 로 위험물제조소등 용도폐지신고서를 처리함에 있어 유독물 취급량이 지 정수량 미만으로 사용하여 허가대상 규모 미만으로 용도폐지신고 하였음 에도 신고 사항에 대한 검토 없이 수리하였다

○ 또한 일부 용도폐지신고는 신고서 접수시 현장 확인하여 용도폐지에 대한 안전조치사항등을 면밀히 검토후 신고서를 처리하여야 함에도 이를 이행 하지 않는 등 위험물 폐지시 안전조치 이행 확인 및 위험물 제조소 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 발생우려가 높다.

위험물 용도폐지신고를 접수한 때에는 현장 확인을 반드시 실시 하고, 위험물 제조소등의 관리 업무를 철저 (주의)

(14)

《사례 3-2》과태료 부과 및 체납액 관리 부적정

1. 독촉장 발부기한 미준수 및 중가산금 부과 징수 소홀

○ 과태료를 부과하고 납부기한까지 과태료를 납부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납부기한이 지난 후 50일 이내에 독촉장을 발급하여야 하고, 체납액을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납부기한이 경과한 날부터 매월 중가산금을 가산하여 징수하여야 하며, 중가산금 등을 징수하고자 할 때에는 사전에 징수 결정하여야 한다.

○ 그러나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 업체에 대해 2011.4.21일 200만원의 과태 료를 부과하고 83일이 지난 후에야 가산금과 중가산금을 납부독촉 하였 으며 중가산금도 2012.9.3일까지 14회 까지만 징수결의를 하고 감사일 현재까지 6회에 대한 중가산금 결의를 하지 않는 등 과태료부과 및 체 납액 관리를 소홀히 함

과태료 체납액에 미부과된 중가산금을 부과․징수 (시정)

2. 과태료 납부기간 등 운영 지침 미준수

○ 개별 부과 근거법령에 납부기한 규정이 없을 경우 「지방세기본법」제 57조 규정에 따라 납부의 고지를 하는 날로부터 30일 이내로 최초 납부 기한을 지정하고, 납부기한은 매월 말일을 최초 납부기한으로 지정하도 록 하고 매월 16일 이후 부과하는 건으로서 당해 월 말일을 최초 납부 기한으로 지정할 경우 납부기한이 촉박하여 납부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익월 말일을 최초 납부기한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 그러나 납부기간을 고지한 날로부터 60일까지 길게 주거나 기한을 말일 로 지정하지 않고 부과일로부터 15일이 도래하는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정하는 등 “세외수입 세입금 납부기한 지침”을 따르지 않고 납부기한을 임의로 부여

과태료 부과시 세외수입 세입금 납부기한 지침 준수 (주의)

(15)

3.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소방관련법 과태료 부과 부적정

○「위험물안전관리법」 제5조 제3항에 따르면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하여는 중요기준 및 세부기준에 따라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위반한 자에 대하여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고 규정하고 있고,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법률」제10조에 따르면 특정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주위에 물건 을 쌓아두거나 장애물을 설치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되며 이를 위반 할 경우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관계인”

이라 함은 소방기본법 제2조에 의거 소방대상물의 소유자·관리자 또는 점유자로 규정하고 있다.

○「질서행위위반규제법」에 따르면 과태료 부과 “당사자”란 질서위반행위 를 한 자연인 또는 법인(법인이 아닌 사단 또는 재단으로서 대표자 또는 관리인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로 규정하고 있다.

○ 따라서 소방관련법 등에 대한 위반행위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할 경우 그 부과 대상자를 정함에 있어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 등 관계인의 위반행위 책임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과태료 부과를 하여야 하며 관리 자의 위반행위 책임여부가 불명확할 경우는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 과태 료를 부과하여야 한다.

○ 그러나, 피난계단에 장애물을 적치에 따른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 관리에 관한 법률」위반 과태료와 위험물 저장용기 표시기준 위반에 따른「위험물안전관리법」위반 과태료를 부과하면서 그 위반행위의 책임 여부 및 부과대상자 선정에 대한 검토없이 단속 당시 현장 확인한 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과태료 부과대상자를 정함에 있어 관계인의 위반행위 책임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부과 (주의)

(16)

《사례 3-3》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행위 점검 부적정

○ 『위험물안전관리법』제5조에 따르면 위험물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하여는 중요기준 및 세부기준에 따라야 하며, 위반 할 경우에는 200만원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되어있다.

○ 위험물 제조소 등 허가 사업장을 점검하면서 화학제품 저장용 용기에 위험물 경고표시 미부착되어 과태료를 부과(200만원)하였으나 감사기간 중 확인한 바 적발된 화학제품은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에 검색한 결과 미등록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 행위 적발시에는 그 위반행위에 대하여 좀더 신 중하게 위험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 후 과태료 처분등을 하여야 함에도 이를 소홀히 하였다.

동 위험물에 대하여 공인시험기관에 위험물 여부를 시험의뢰하여 판정결과에 따라 환급등 조치 바람 (시정)

《현지조치 1》위험물안전관리법등 위반 단속시 청렴도 향상 방안 강구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정에 따라 소방관서에서는 위험물 제조소등 설 치허가 사업장 및 무허가 위험물 취급사업장 등을 단속을 하고 있으며, 단속시 소방관계법령 등 위반사법 특별단속부, 이동탱크저장소 및 운반 차량 단속부등 사용 점검표를 작성토록하고, 관련법 위반사실 적발시는 위반사진, 소방관계법령 위반사실 자인(확인)서 등을 확보토록 하고 있음

○ 그러나, 소방관계법령 위반사실 자인(확인)서는 위반행위자(확인자)가 위반내용등을 작성 확인하고 단속자 인적사항, 발급번호, 실인 등이 없어 작성후 파기 가능성이 있는 등 업무의 공정성 및 투명도가 낮아 청렴도 향상에 저해요소로 작용.

(17)

○ 환경관련법 지도점검 작성하는 위반확인서는 관련 훈령의 규정에 따라 실․국장 등의 실인을 찍은 후, 발급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작성시 단속 공무원 전원이 서명 날인 후 부본을 위반자에게 교부하는 등 단속의 투명성과 청렴도를 높이고 있음

소방안전본부는 각 소방관서 등에 자인(확인)서를 관리함에 있 어 각 소방관서장의 실인을 찍은 후, 발급번호를 부여하여 사용 관리토록하고 위반확인서 작성시 부본을 위반자에게 교부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청렴도 향상 (개선)

《현지조치 2》소방관련 위험물 등 단속시 시민참여 방안 강구

구분 제조소

현황

점검업소수 (점검율)

위반업소수 비고

(위반율) 시정보완 과태료

(부과율) 입건 2,097 515(24%) 112(21%) 59 39(7%) 14 공단소방서 621 100(16%) 36(36%) 21 12(12%) 3 중부소방서 1137 308(27%) 44(14%) 20 15(4%) 9 남부소방서 339 107(31%) 32(29%) 18 12(11%) 2

○ 「위험물안전관리법」 점검 및 단속 실적(2011-2012)

○ 각 소방서에서는 년간 4~5회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소방관련법 위반행위 단속계획을 수립하여 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며

○ 상기 3개 소방서의 2년간 단속실적을 보면 총 2,097개 사업장중 24%인 515개 사업장만을 점검하고 있으며 그중 21%인 112개 사업장이 관련규 정을 위반하였고 과태료는 7%인 37개 사업장에 대해 부과했으며, 이는 연간 약 10% 사업장에 대해서 단속이 이루어지고 약 3%정도 사업장에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는 실정임

위험물 및 소방점검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위하여 단속시 의용 소방대원 등 시민참여 방안 마련 (개선)

(18)

유형 4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에 관한 사무

《사례 4-1》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관리 소홀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제5조(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및 제6조(소방안전관리자에 선임 통보)에 따르면 기관장은 소방안전관리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감독직에 있는 사람으로서 자격을 갖 춘 사람을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하고 소방안전관리자의 퇴직 등의 사 유로 새로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할 때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 부터 30일 이내에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 선임한 날부터 14일 이내 에 그 선임 사실과 선임된 소방안전관리자의 소속·직위 및 성명을 관할 소방서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부 초등학교, 주민센터 등은 인사이동으로 소방안전관리자가 해임되었으면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 후 관할 소방서장에게 통보하여 야 하나 미이행 하고 있으며, 해당소방서에서는 정기인사로 인하여 소방 안전관리자의 변동이 예상되는 공공기관에 통보 등의 조치를 하지 않는 등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를 소홀히 한 사실이 있음.

안전관리자 선임 및 통보 미이행 기관은 즉시 이행하고 관련자 주의 촉구 (시정)

《사례 4-2》방염처리 물품사용 부적절

○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제12조(소방대상물의 방염 등) 및 제13조(방염성능의 검사)에 따르면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물과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방염대상물품은 방염성능 기준 이상의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방염성능의 검사를 받은 것이어야 하며 위반한 경우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9)

그러나 일부 방염처리업체에서는 특정소방대상업체의 실내장식물 합판 시공 후 관할소방서에 현장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결과 방염 성능기준에 미달되어 불합격 통보를 받았으나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 불합격 사실을 통보하지 않았으며,

○ 방염성능 기준에 미달된 실내장식물은 방염처리 재시공 후 방염성능 검 사를 재의뢰하여 합격판정을 받아야 하나 감사일 현재까지 이를 미이행 하고 그대로 방치하여 방염조치 의무를 소홀히 한 사실이 있음.

방염성능검사 위반업체에 대하여 과태료 부과조치(200만원)하고 동일사례 재발방지 위한 관련직원 직무연찬 (시정)

《사례 4-3》소방안전관리자 선임․해임 관리대장 작성 소홀

「예방소방업무처리규정」제17조(소방안전관리자 선임·해임 등)에 따르면

「공공기관이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을 통보받은 경우에는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 선임·해임 관리대장 에 기록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관할소방서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시행한 공문을 접수하고 기록을 누락하는 등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 대장 관리를 소홀히 함.

기록이 누락된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 관리대장 즉시 정비 및 관련자 주의 촉구하여 재발방지 (시정)

(20)

《사례 4-4》소방특별조사 세부조사표 작성 부적정

○ 소방특별조사는 『소방특별조사에 관한 세부운영규정』제10조(소방특별 조사의 방법) 및 제12조(소방특별조사에 따른 조치명령)에 따라 소방특 별조사 세부조사표의 각 사항을 확인 질문하는 방법으로 실시하되, 특정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행하는 소방안전관리 사항이 관계 법령에 적합 한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조사표에 기재하여야 한다.

○ 또한 소방관계법령 위반사항이 있는 경우 또는 조치명령을 기간 내 이 행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과태료 처분을 하여야 하나 2012년 3월부터 12 월까지 인천광역시 각 소방서의 소방특별조사 추진결과에 따르면 9개월 간 총3,452개 건물에 대하여 특별조사를 실시하여 양호가 2,489개, 건물 불량이 698개, 휴폐업 등 사유로 미실시가 265개이며 불량사항은 소방시 설이 1,942건, 위험물이 10건, 기관통보가 28건이고 조치결과는 2,095건 으로 행정명령 2,049건(97.8%), 기관통보 28건(1.3%), 과태료가 18건 (0.8%)으로 과태료 부과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계 양․남부․중부․강화소방서의 경우 과태료 부과실적이 없음.

이에 남부소방서의 2012. 4. 6 ∼ 4. 16.일까지 실시한 소방특별조사의 세부조사표 작성내용을 확인한 결과 ①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에 관한 사항에 소방안전관리자의 적합성에 관한 확인사항이 누락되었으며 ④ 자체 점검의 적합성 여부에 관한 사항은 미기재하여 작동기능점검의 점검표 및 배치확인서 보관 여부가 불명확하며 ⑦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사항은 점검자의 자격, 점검주기, 점검방법 등을 누락하는 등 「소방특별조사에 관한 세부운영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세부조사표를 작성을 소홀히 한 사실이 있음.

향후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직무연찬 및 관련자 주의촉구 (주의)

(21)

《사례 4-5》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사항

1. 다중이용업주 변경사항 통보 미이행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7조(관련 행정기관의 통 보사항)제②항에 의거 허가관청은 다중이용업주가 다음 각 호(1. 휴업·폐 업 또는 휴업 후 영업의 재개 2. 영업 내용의 변경 3. 다중이용업주 성 명 또는 주소의 변경 4. 다중이용업소 상호 또는 주소의 변경)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을 때에는 그 신고를 수리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통보하여야 하나

감사기간 중 다중이용업주 변경사항에 대한 소방안전교육 수료 여부를 확인한 결과 허가기관인 남구청에서는 ○○PC외 1개소에 대하여 변경 신고를 수리한 후 관련 행정기관인 남부소방서장에게 통보를 미이행한 사실이 있음

허가관청(남구)은 동일한 사례 재발방지를 위한 직무연찬 실시 (주의)

2. 다중이용업주 소방안전교육 안내 소홀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제5조(소방안전교 육의 대상자 등)에 의거 소방서장은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하려는 때에는 교육일시․장소 등 교육에 필요한 사항을 교육일 10일전까지 교육대상 자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은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실시하는 소방안전교육을 받아야 하고, 소방교육을 받지 아니하거나 종 업원이 소방안전교육을 받도록 하지 아니한 다중이용업주에게는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되어 있으나,

(22)

남부소방서에서는 2011.11.04일 남구청(위생안전과)2)로부터 ○○○○

사업주 변경사항에 대하여 통보받았으나 다중이용업주 또는 종사자가 소방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 또는 독려하고 미이행 할 경우 관 련법에 따라 처리하여야 하나 감사일 현재까지 ○○○○ 사업주에 대하 여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안내 등 관리를 소홀히 한 사실이 있습니다.

사업주에게 소방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일 10일전까지 통보하고 수료여부 확인 (시정)

유형 5 민원담당 공무원에 관한 사항

《사례 5-1》소방서 인터넷 홈페이지 관리에 관한 사항

○ 편리한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고 방문민원에 따른 사회적비용 절감 및 청렴도 향상을 위하여 민원인이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한 20종의 소방 관련 민원사무를 홍보하고자 각 소방서 홈페이지에 “소방민원 인터넷 신청 안내”를 게시하고 있음

그러나, 『민원안내』라는 별도의 메뉴가 있음에도 이용자의 손쉬운 접근과 편익을 고려하지 않고 잘 보이지 않는 팝업창, 알림창 등으로 운 영함으로써 홍보효과가 미흡 ⇒ 지난 2년간 인터넷 접수된 민원 총 4건

○ 강화, 공단, 중부, 남동, 서부, 부평소방서는『소방서 소개』란에 대중교통 정보를 게시하지 않고 있고, 약도정보가 미흡하여 정비가 필요

○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사이버 소방안전교육 환경조성을 위해 각 소방서 인터넷 홈페이지에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 메뉴를 운영하고 있으나 각 소방서 모두 해당사이트 링크가 불능 상태임

(23)

① 『인터넷 신청 가능한 민원사무』를 홈페이지 『민원안내』란에 게시

② 홈페이지에 대중교통 정보와 약도를 최신의 것으로 정비하시고,

③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은 소방방재청과 협의 또는 자체적으로 구축·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빠른시일 내 정상화 하고 연계되지 않는 현재 메뉴는 즉시 제거 - (시 정)

《사례 5-2》민원사무처리 규정 미준수 (민원신청 등)

○ “구술 또는 전화로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민원사무”의 종류는 민원인 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단순 질의․상담 등으로 민원사 무처리규정에 규정하고 있으나, 법령질의․진정․신고 민원에 대해 임의 대로 구술 또는 전화로 접수하여 그 중 일부는 처리결과를 전화로 통보 하였고,

○ 민원신청서류를 분실한 사례도 있는 등 민원사무의 공정한 처리와 공공 기록물의 보존 관리를 소홀히 함

① 단순질의가 아닌 진정, 법령질의, 신고에 관한 민원의 신청은 반드시 관련법에 따라 문서로 접수하며 민원사항 처리결과도 문서로 통지 (주의)

② 접수된 민원서류는 분실등에 대비하여 전자문서(온나라 문서 등록대장)에 등록시 첨부하고 선결 (개선)

(24)

《사례 5-3》불필요한 서류 징구

○ 민원서류를 접수할 때 공무원이 직접 확인․처리할 수 있는 서류를 민원인 이 첨부하여 제출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서류는 징구하지 않고 되돌려 주 는 것이 바람직 하다.

○ 그러나 민원인으로부터 소방시설공사 완공검사 신청 민원서류를 접수하여 이를 처리하면서 보완요구 전 이미 제출되어 공무원이 직접 확인ㆍ처리 할 수 있는 소방공사 감리일지 등 공부(公簿)가 첨부되었는데도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접수하여 민원인에게 시간적ㆍ경제적 불편을 초래

이미 제출되어 공무원이 직접 확인․처리할 수 있는 불필요 서류 를 첨부하는 일이 없도록 안내 등을 철저 (주의)

《사례 5-4》소방심의위원회 및 민원상담관제 추진 소홀

○ 소방서에서는 청렴도 향상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행정처분에 불복이 있는 민원 및 다수인 민원 등 처분의 적법성과 공정성을 위해 권한과 책임을 갖춘 간부급 공무원이 ‘소방민원심의위원회’ 및 ‘민원상담관제’를 운영하 고 있음

○ 그러나 2011.3.1 ~ 2013.1.31 기간동안 총 26,352건의 민원사무를 처리하고 보완보정․불허 처분한 민원이 156건, 고충민원은 72건 접수 되었음에도, 주요 민원상담관제 운영 내용을 보면 접수 건수는 총86건에 불과하고 그 중 68건(79%)이 법령에 대한 단순 질의답변이고, 간부급 공무원이 작성하 여야 할 일지를 업무담당자가 관리 작성하고 있는 등 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민원상담관제를 형식적으로 운영

본부에서는 소방서에 민원상담일지 공통서식과 운영요령을 시달 하고 각 소방서에서는 청렴시책 적극 추진 (시정)

(25)

《사례 5-5》불법행위 신고민원 처리 부적정

1. 불법행위 신고민원 현장 확인․점검 소홀

○ 각 소방서에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피난시설, 방화구획 또는 방화시설을 폐쇄․훼손․변경하는 등의 행위를 한 경우에는 200만원 이 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신고를 유도함으로써 비상구 확보에 대한 경각심과 안전의식을 확산시키고자 위반행위 신고포상금제 를 운영하고 있다.

○ 그러나 공단소방서에서는 2012년도에 총 19건의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미설치 및 훼손으로 위반행위 신고가 현상사진이 증빙자료로 첨부되어 접수되었으나 단 1건도 과태료 처분이 없음.

○ 당시 출장자의 일부 보고서에서는 신고자가 지적한 사항은 점검하지 않고 적법한 장면만 촬영후 정상이라고 보고한 사항이 확인되었고, 이에 대하여 현지 조사한 바 신고당시와 다름없이 위반행위가 시정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 함

① 본부는 과태료 1/2 감경기준이 위반자에게 차별없이 적용될 수 있도록 소방서에 세부기준을 시달하고 확인․점검을 소홀히 한 출장자 훈계처분 (시정)

② 해당 소방서에서는 현장확인 결과 현재까지 위반중인 5개업소 에 대하여 과태료 처분 확행 (시정)

2. 민원사무처리 규정 미준수 (결과 통보)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제15조 규정에 의하면 행정기관의 장은 민원인이 신청한 민원사항의 처리 결과를 민원인에게 문서로 통지하여 야 하고 민원인의 신청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거부 이유와 구제절차를 함께 통지하여야 한다.

(26)

그러나, 공단소방서에서는 2012년에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센 터 운영」에 따른 위반행위 신고포상금 신청 민원 19건이 접수되어 담 당자가 현지 확인출장을 하고, 신청인에게「포상금 미지급 대상」임을 통지하면서 출장내용과 지급 미대상 결정 사유에 대한 구체적 진술없이

“확인결과 위법사항 없음확인결과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실 경우 공단소방서 예방안전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단순기재하여 민 원사무의 공정하고 합리적 처리 및 민원인의 권익보호를 위해 마련한 민원사무처리규정을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있음.

직무연찬을 통해 민원사무처리규정을 준수하여 신고민원처리의 절차적 정당성 확립 (주의)

(27)

Ⅳ 처분요구와 문책 1. 처분요구 일람표

일련

번호 관계기관 제 목 처분요구 행정상 신분상 1 공단소방서 소방관련업 행정처분사항 등록대장 미기재 시정 - 2 공단소방서 소방시설공사업 제1종 국민주택채권 매입처리 부적정 주의 - 3 공단소방서 소방시설공사업 등록신청에 따른 수수료 부족징수 주의

4 중부소방서 소방관련업 행정처분사항 등록대장 미기재 시정 - 5 중부소방서 소방시설공사업 국민주택채권 매입처리 부적정 주의 - 6 중부소방서 소방시설공사업 합병신고 처리 부적정 주의 - 7 남부소방서 소방관련업 면허 부여에 관한 통보 부적정 주의 - 8 남부소방서 소방관련업 행정처분사항 등록대장 미기재 주의 - 9 남부소방서 전문소방시설공사업 국민주택채권 매입처리 부적정 주의 - 10 남부소방서 소방시설업 지위승계신고 민원처리 부적정 주의 - 11 중부소방서 소방민원정보시스템(자료등록) 업무처리 소홀 시정 - 12 남부소방서 소방민원정보시스템(자료등록) 업무처리 소홀 시정 - 13 남부소방서 소방특별조사 관련 업무처리(과태료 부과) 소홀 주의

14 공단소방서 민원(완비증명) 관련 업무처리 소홀 주의 - 15 공단소방서 안전시설등 완비증명서 재발급 관련 업무처리 소홀 주의

16 공단소방서 소방민원정보시스템(자료등록) 업무처리 소홀 시정 17 공단소방서 위험물 제조소등 용도폐지신고 업무 처리 소홀 주의 18 중부소방서 과태료 부과 및 체납액 관리 부적정 시정

19 남부소방서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행위 점검 부적정 시정 - 20 중부소방서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소방관련법 과태료 부과 부적정 주의 - 21 공단소방서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관리 소홀 시정 -

22 공단소방서 방염처리 물품사용 부적절 시정 -

(28)

일련

번호 관계기관 제 목 처분요구 행정상 신분상 23 중부소방서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관리 소홀 시정

24 옹진군,중구 다중이용업소 사업자 변경사항 행정기관 통보 소홀 주의 -

25 남부소방서 소방특별조사 세부조사표 작성 부적정 주의 -

26 남 구,

남부소방서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사항 시정 -

27 전 소방서 소방서 인터넷 홈페이지 관리에 관한 사항 시정 - 28 공단소방서 민원사무처리 규정 미준수(민원신청 등) 개선 -

29 공단소방서 불필요한 서류 징구 주의 -

30 소방안전본부

전 소방서 소방민원심의위원회 및 민원상담관제 추진 소홀 시정 - 31 소방안전본부

공단소방서 불법행위 신고민원 현장 확인․점검 소홀 시정 훈계 2명 32 공단소방서 민원사무처리 규정 미준수(결과 통보) 주의 -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별첨 1」

2. 문책자 현황

연번

소 속

직 급 성 명 문 책 사 유 문 책 혐 의 종 류

당 시 현 재 1 공단

소방서 좌동 ◈◈◈ ☆☆☆ 불법행위 신고민원 현장 확인․점검 소홀 훈계 2 공단

소방서

△△△

△학교 ◉◉◉ ★★★ 불법행위 신고민원 현장 확인․점검 소홀 훈계

* 감사결과 문책자 조서 「별첨 2」

[첨 부 서 류]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 현지조치 사항

□ 감사결과 문책자조서

(29)

[별표 1]

감사 대상사무 종류

분야 근거법령

민원 사무

소방공사 (10개 사무)

∘소방시설업 등록

소방시설 공사업법

∘소방시설업 등록증(등록수첩) 재교부신청

∘소방시설업 등록사항 변경신고

∘소방시설업 지위승계신고

∘소방시설업 합병신고

∘소방시설공사 착공(변경)신고

∘소방시설 완공(부분완공) 검사신청

∘소방공사 감리자 지정(변경)신고

∘소방공사 감리원 배치(변경)통보

∘소방공사 감리결과 보고(통보)

소방시설 (13개 사무)

∘방염처리업 등록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유지법)

∘방염처리업 등록증(등록수첩) 재교부신청

∘방염처리업 등록사항 변경신고

∘방염처리업 지위승계신고

∘방염처리업 합병신고

∘현장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신청

∘2급 방화관리자 선임연기신청

∘소방시설관리업 등록

∘소방시설관리업 등록증(등록수첩) 재교부신청

∘소방시설관리업 등록사항 변경신고

∘소방시설관리업 지위승계신고

∘소방시설관리업 합병신고

∘소방시설 등 점검결과 제출 다중이용업

(2개 사무) ∘안전시설 등 설치(완공)신고 다중이용업소의 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

∘안전시설 등 완비증명서 재교부신청

위 험 물 (16개 사무)

∘위험물제조소등 설치허가 신청

위험물안전관리법

∘이송취급소 설치허가 신청

∘위험물제조소등 변경허가 신청

∘이송취급소 변경허가 신청

∘위험물제조소등품명, 수량또는지정수량배수의변경신고

∘위험물탱크안전성능검사(시험)

∘위험물제조소등 전부(부분) 완공검사신청

∘이송취급소 완공검사신청

∘위험물제조소등 가사용승인신청

∘위험물제조소등 지위승계신고

∘위험물제조소등 용도폐지신고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자등록

∘위험물제조소안전성능시험자 변경신고

∘예방규정(제정, 변경) 제출

∘위험물 임시저장(취급) 승인신청

∘완공검사필증 재교부 신청

(2개 사무) ∘진정∘(단순, 법령) 질의 관련법

일반사무 (3개 사무)

∘건축허가 등 동의 소방시설유지법

∘행정처분 관련법

∘청렴시책 자체 지침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