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편 연구에 대한 화행이론(化行理論)의 적절성과 유용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시편 연구에 대한 화행이론(化行理論)의 적절성과 유용성"

Copied!
26
0
0

Teks penuh

(1)

시편 연구에 대한 화행이론(化行理論)의 적절성과 유용성: 찬양시 분석을 중심으로 1

(https://doi.org/10.22782/eots.2022.22..003)

방정열

안양대학교, 겸임교수

· 한글초록

· 한글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화행이론(化行理論 =

speech act theory

)의 기본 개념 을 설명하고, 그것을 찬양시에 적용하여 시편 해석 방법론으로서의 적절 성과 유용성을 타진하는 데 있다. 주지하듯이 오랫동안 양식비평을 통해 연구되어 왔던 시편은 1970~80년대를 기점으로 정경비평으로 분석되기 시작했다. 개별 시편의 삶의 정황(

Sitz im Leben

)에 대한 분석에서 시편서 전체(

canonical Psalter

)를 고려한 분석으로 혹은 인접한 시편들과의 긴밀 한 관계에 대한 분석(

compositional approach

)으로 전환된 것이다. 흥미 롭게도 이러한 방법론적 시각 전환은 독자들에게 시편서 전체를 고려하

1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을 밝힌다(NRF- 2019S1A5B5A07109835).

(2)

며 묵상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을 제공했다는 장점도 있지만, 동시에 개 별 시편을 통해 전달되는 시인(화자)의 목소리가 퇴색하게 되는 한계도 보여주었다. 시편서 전체와 그것을 조형한 최종 공동체와의 관계에 집중 하다보니 개별 시편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시인(화자)의 목소리가 무 대 아래로 가라앉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런 한계를 화행이론으로 극 복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으며, 그 극복 가능성을 찬양시—특별히 대표 적인 찬양시인 시편 113편—에 화행이론의 개념을 적용하고 활용함으로 써 찬양시의 발화수반행위, 곧 ‘간증’(

witness

)의 목소리를 드러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시편 113편의 문학적 장르(

literary genre

)와 여러 발화들을 분석할 것이다.

주제어: 화행이론, 정경비평, 발화수반행위, 찬양시, 간증

1. 들어가는 말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시편은 오랫동안 양식비평(

form criticism

)에 의 해 연구되어 왔다. ‘양식비평의 아버지’로 불리는 헤르만 궁켈(

Hermann Gunkel

)은 시편을 연구할 때 양식(

literary form

) 확인을 결정적인 요소 로 간주했으며, 시편의 장르를 ‘찬양시’, ‘공동체 찬양시’, ‘개인 탄식시’,

‘감사시’, ‘제왕시’ 등으로 분류했다. 이렇듯 궁켈은 시편에서 찾아낸 여 러 문학적 요소들을 근거로 그 시편의 양식(장르)를 결정했지만, 그가 결 국 찾아들어간 곳은 과거에 그 양식(장르)을 낳았던 ‘삶의 정황’(

Sitz im

Leben

)이었다.2 그러나 이에 대한 해석학적 반작용으로 태동된 정경비평

2 그 이후에 나온 양식비평 학자들—지그문드 모빙켈(S. Mowinckel), 베스터만(C. Westermann), 게 르슈텐베르거(E. Gerstenberger) 등—이 좀 더 세밀한 ‘삶의 정황’을 제시하기는 했으나, 그들의 결 론도 과거에 그 텍스트를 낳았던 ‘삶의 정황’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시편 2편을 해석하면서, 과거 어 느 시점에 그 시편을 낳았을 것으로 보이는 ‘왕의 대관식’을 상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3)

(

canonical criticism

)은 최종 텍스트(

final text

), 즉 정경(

canon

)을 해석의 대상으로 삼았다.3 텍스트 배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과거의 어떤 ‘삶 의 정황’이 아니라 텍스트의 최종 상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따라서 샌 더스(

J

.

Sanders

), 차일즈(

B

.

Childs

), 윌슨(

G

.

Wilson

), 맥칸(

C

.

McCann

), 젱어(

E

.

Zenger

) 등, 대부분의 정경비평 학자들은 전체 텍스트 안에서 일 부 단락이 갖는 신학적이고 문학적인 기능을 확인하고자했다. 다시 말해, 시편서 전체에서 각 시편이 갖는 신학적, 문학적 기능, 소위 ‘정경적 기 능’(

canonical function

)을 밝히고자 했다. 따라서 정경비평 학자들은 시편 2편을 해석하면서, 양식비평 학자들과는 달리, 시편 2편이 시편서 전체에 서 갖는 서론적 기능에 주목했던 것이다. 이 방법론을 사용하면서 시편 연구가들은 ‘시편서의 신학’(

theology

)에 주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정경비평은 시편 독자들이 텍스트 전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반대로 전체 안에 있는 개별 시편들의 의미를 약화시키 는 단점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바로 이 지점에서 확인된 다. 양식비평과 정경비평의 한계를 보완하고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代案 的) 방법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화행이론(化行理論 =

speech act

theory

)은 시편서 전체를 염두에 두면서도 개별 시편의 의도(발화수반행

위 효과 =

illocutionary force

)를 분석하며 화자의 목소리를 되살리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그 유용성과 적절성이 시편 해 석에 대한 실제적 적용과 분석 과정을 통해 입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 다.

화행이론의 시편 연구는 한국 구약 신학계에 소개된 바가 많지 않다.

화행이론을 시편 분석에 적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더더욱 그렇다. 기독교 신학 내에 발표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장성길의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 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

3 James Muilenburg, “Form Criticism and Beyond”,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88 (1969), 1-18 을 보라.

(4)

에 대한 소고” 「성경과 신학」(2010), 최승락의 “구약 인용의 수사학:

C

. 스 텐리와 칼빈의 비교” 「신약연구」(2011), 방정열의 “시편과 신명기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시편 1-2편과 89편을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2017), 김양일의 “케빈 벤후저의 수행 개념을 통한 월터 브루그만의 설교신학 평 가와 그 적용” 「신학과실천」(2017) 등을 선별해볼 수 있다. 이 중에서 방정 열의 “시편과 신명기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시편 1-2편과 89편을 중심으 로”의 일부가 화행이론을 시편 1편에 적용하고 있으나, 아쉽게도 매우 짧 게 다뤄졌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의 의의(意義)는 충분하다. 기존의 구약 학계에 충분히 소개되지 못한 화행이론을 소개함과 아울러 시편의 여러 장르(본 연구에서는 ‘찬양시’에 집중할 것이지만)에 다각적으로 적용하고 분 석함으로써 시편 해석과 이해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 대한다.

2. 화행이론의 기본 개념

화행이론은 존 오스틴(

John L

.

Austine

)이 주창하고(1975), 그의 제자 인 존 설(

John R

.

Searle

)이 발전시킨 언어철학의 하위 분야 이론이다.

4

이 이론의 기본 개념은 모든 발화(진술)는 수행적(遂行的)이라는 것에 있으 며, 세 가지 기본적인 차원을 강조한다: 발화행위(

locution

), 발화수반행 위(

illocution

), 발화효과행위(

perlocution

). ‘발화행위’는 발화 자체를 가리 키며, 이 행위는 음성적 행위(

phonetic act

), 어떤 단어를 발화하는 의례 적 행위(

phatic act

), 그리고 어떤 확정적 의미를 지닌 단어를 사용하는 제

4 J.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1975); John Searle,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idem, Expression and Meaning: Studies in the Theory of Speech Ac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5)

술(題述)적 행위(

rhetic act

)로 구성된다.5 간단히 말해서, 발화행위는 구어 (口語)일 경우 일련의 소리(음성)를 내는 것(문어[文語]일 경우 일련의 단어를 쓰는 것)이다. ‘발화수반행위’는 화자(話者)가 발화행위를 통해서 수행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즉, 발화를 통해 무엇인가—예를 들어 약속, 정보, 명 령, 경고 등—를 명시적 혹은 암묵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발화의 구체 적인 이유 혹은 의도를 가리킨다.6 ‘발화효과행위’는 화자의 발화로 인해 발생된 청자의 어떤 행동과 관계가 있다.7 예를 들어, 화재를 발견한 사 람이 건물 내에 있는 누군가에게 경고하기 위해서 “불이야!”라고 크게 외 쳤을 때, 그 외침을 들은 청자는 그 현장에서 대피하게 되는데, 그 결과를 말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차원은 발화를 사용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 생하게 되는데, 이 이해를 텍스트에 그대로 접목하면, 텍스트 자체를 발 화행위로, 그 텍스트의 의도, 목적, 이유 등을 발화수반행위로, 그 텍스트 를 통해 독자에 나타나게 되는 결과적 반응을 발화효과행위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이 개념을 성경 해석에 적극적으로 접목하고자 한 학자들이 있는 데 케빈 벤후저(

Kevin Vanhoozer

), 니콜라스 볼터스트로프(

Nicholas Wolterstroff

), 프란시스 왓슨(

Francis Watson

) 등을 들 수 있다.8 벤후저

5 J.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95.

6 J.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13.

7 J.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101. 8-10장을 보라.

8 Donald Evans, The Logic of Self-Involvement: A Philosophical Study of Everyday Langu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ristian Use of Language About God as Creator (London:

SCM, 1963); Brevard S. Childs, “Speech-Act Theory and Biblical Interpretation,”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58 (1978); Huge C. White, “Introduction: Speech Act Theory and Literary Criticism,” Semeia 41 (1988): 1-24; Anthony C. Thiselton, New Horizons in Hermeneutics (Grand Rapids: Zondervan 1992); Dietmar Neufeld, Reconceiving Texts as Speech Acts: An Analysis of 1 John (Leiden: E. J. Brill, 1994); Richard Briggs, “The Uses of Speech-Act Theory in Biblical Interpretation,” Currents in Resarch 9 (2001): 229-76; Vern S. Poythress, “Canon and Speech Act: Limitations in Speech-Act Theory, with Implications for a Putative Theory of Canonical Speech Act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70 (2008): 337-54; Kit Barker,

“Speech Act Theory, Dual Authorship, and Canonical Hermeneutics: Making Sense of Sensus Plenior,” Journal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3 (2009): 227-39; Richard Briggs, Words in Action: Speech Act Theory and Biblical Interpretation (Edinburgh: T&T Clark, 2004); Kevin J. Vanhoozer, “The Semantics of Biblical Literature: Truth and Scripture's Diverse Literary

(6)

는 화행이론의 핵심을 다음과 같이 간명하게 정리한다: “오스틴의 핵심 은 발화가 일종의 행위이며, 많은 발화들은 수행적이다.”9 즉, 발화는 그 것이 구어이든 문어이든 명제적(

propositional

), 사실적(

constative

), 수행 적(

performative

)임을 뜻할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매개자인 ‘화자(저자)의 의도가 다시 살아나게 되었음’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벤후저는 화행이 론이 화자(저자) 역할의 중요성을 부활시켰다고 보는 것이다.10 이처럼 벤 후저는 화행이론의 언어적 통찰력을 저자의 의도를 되살리는데 활용하 면서 텍스트를 “의미적 행위”(

meaningful act

)로 간주한다.11 따라서 “문학 적 해석의 기본 단위는 복잡한 의사 전달 행위로 간주되어야 할 텍스트이 다”라고 요약한다.12 왜냐하면 하나의 텍스트는 명제적이며 수행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화행이론 개념은 성경 텍스트에 그대로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성경 본문들 또한 단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무엇인가 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성경 본문들은 독자들에게 진리가 무엇인가를 알려주고, 무엇인가를 행하도록 설득하며, 우리의 생각이나 행동에 변화 를 촉구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명제적일 뿐만 아니라 수행적이다. 토 비(

Derek Tovey

)는 “독자는 문학적 담화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할 때 저자

Forms,” in Hermeneutics, Authority, and Canon (ed. D. A. C. and. J. D. Woodbridge; Grand Rapids: Academie Books, 1986), 49-104; idem,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The Bible, the Reader,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Grand Rapids: Zondervan, 1998);

idem, First Theology: God, Scripture, and Hermeneutics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Press, 2002); idem, The Drama of Doctrine: A Canonical-Linguistic Approach to Christian Theology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2005); Nicholas Wolterstoff, Divine Discourse: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Claim That God Speak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9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The Bible, the Reader,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209.

10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The Bible, the Reader,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209. 사실 화행이론은 저자의 역할과 중요성을 약화시킨 구조주의와 후기구 조주의에 대해 저항하는 운동 가운데 하나이다.

11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The Bible, the Reader,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211.

12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The Bible, the Reader,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219.

(7)

가 무엇을 말하는가에 주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듣게 된 것을 통해 자신 이 무엇을 하고 있는가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 이것은 성경 텍스 트가 구어의 발화처럼 어떤 구체적인 방식으로 수행적 효력(

illocutionary force

)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저자의 중요성에 대한 회복뿐만 아니라 성경을 하나님과 독자 사이의 의사소통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접근(화용론적 접근)과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화행이론에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두 가지 한계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행이론은 인간의 복잡한 발화행위(구어이든 문어 이든)를 지나치게 단순화시켜 분류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설(

Searle

) 의 경우, 발화행위를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단언행위(

assertives

), 지시행 위(

directives

), 약정행위(

commissives

), 표현행위(

expressives

), 선언행위 (

declaratives

). 하지만 인간의 복잡한 발화 행위는 이 분류를 넘어선다.

둘째는 그의 분류는 발화 행위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발 화 행위는 다양한 맥락에 따라 미묘한 혹은 다른 의미론적 차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이쓰레스(

Poythress

)가 “너는 나의 백성이다”라는 발화를 분석하면서 확인한 바와 같이, 그 발화는 위의 다섯 가지 분류 이 상의 의미를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발화 행위는 다차원적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그의 판단처럼 화행이론의 한계를 간과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

“문제는 인간의 행위에 담긴 의미가 매우 풍요롭고 다차원적이라서 어떤 이론도 그것을 다 분석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인간의 언어 행위 를] 과학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은 어떤 한 차원 혹은

13 Derekk Tovey, Narrative Art and Actin the Fourth Gospel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151;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7), 70. 앨스톤 (William Alston)도 화행이론과 발화수반행위 효과(illocutionary force)를 인정하며, 그 발화수반행 위 개념이 언어철학과 의미론에서 가장 근본적인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William Alston, Philosophy of Language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64), 39;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The Bible, the Reader,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209을 보라.

(8)

몇 개의 차원 이외의 것들을 다 간과할 수 있다는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14

브릭스(

Richard Briggs

) 또한 “화행이론은 텍스트 해석을 돕는데 분명 잠재력이 있다... 지난 25년에 걸쳐서 더디지만 꾸준한 연구 결과물에 도 불구하고, 화행이론의 통찰력을 주해에 활용하는 약간의 광범위한 책 들이 있었다”라고 평가한다.15 이런 평가는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시편 연구에 대한 화행이론의 적용은 성경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언어학적 해 석 접근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그 이론이 활 용된 연구 결과물 또한 충분하지 않다.

16

따라서 화행이론의 긍정적인 측 면을 고려하면서 시편 텍스트에 그대로 적용하여, 그 적절성과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3. 찬양시 분석에 대한 화행이론 적용과 그 유익

이제는 대표적인 찬양시로 분류되는 시편 113편에 화행이론을 적용해 해석하고,17 그 유익을 살펴보자. 이를 위해서 먼저 시편 113편의 발화 자 체를 분석해야 할 것이다. 이는 그런 이후에야 그 발화를 통해 전달되는 발화수반행위를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14 Poythress, “Canon and Speech Act: Limitations in Speech-Act Theory, with Implications for a Putative Theory of Canonical Speech Acts,” 341-42.

15 Donald K. Berry, The Psalms and Their Readers: Interpretive Strategies for Psalm 18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Series 153; Sheffield: JSOT Press,1993).

16 Peter Cotterell, “Linguistics, Meaning, Semantics, and Discourse Analysis,” in A Guide to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The Introductory Articles from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ed. W. A. VanGemeren; Grand Rapids:

Zondervan, 1997). 122페이지 이후를 보라.

17 찬양시로 분류되는 시편들에는 다음 시편들이 포함된다: 시 8; 33; 47; 48; 65; 66; 67; 68; 76; 84;

87; 89; 93; 96; 97; 98; 99; 100; 103; 104; 105; 111; 112; 113; 114; 117; 135; 145; 146; 147; 148;

149; 150.

(9)

3.1. 시편 113편의 전형적인 구성 요소들과 발화

여기서 먼저 언급해야 할 것은, 시편 정경(

canonical Psalter

)을 논할 때 그것을 단지 150개로 구성된 개별적인 시편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최종 시편서의 당대 독자들과 미래 독자들에게 무엇인가를 전달하기 위해 분 명한 의도를 가지고 완성된 하나님의 의사소통 행위(

divine discourse

) 로 이해하는 것이다.18 그런 차원에서 접근할 때 시편 정경은 인간이 기 도와 찬양과 탄식이라는 방식을 통해 하나님을 향해 했던 의사소통 행위 (

communicative act

)이지만, 동시에 하나님이 인간에게 무엇인가를 전달 하는 의사소통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시편 113편은 인간의 의사소통 행 위임과 동시에 하나님의 신적 의사소통 행위(

divine communicative act

) 라 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지점은 발화(

locution

)란 단어 하나 혹은 문장 하나를 통해 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예를 들어, 전후 맥락 없는 ‘윽’이란 외마디도 발화가 될 수 있다), 문학적 장르(

literary genre

)를 통해서도 발생한다. 즉, 발화를 하 나의 단어나 문장에 국한하지 말고 문학적 장르까지 내다볼 수 있어야 한 다. 따라서 온전한 발화수반행위 분석은 문학적 장르에 대한 분석이 필수 적일 수밖에 없다.

3.1.1 시편 113편의 문학적 장르의 특징

찬양시의 문학적 장르의 특징은 다른 장르와 달리 그리 복잡하지 않다.

대체로 ‘찬양으로의 초청’과 ‘하나님의 정체와 행위에 대한 선포’로 구성되 어 있다. 시편 113편도 다르지 않다. 즉 ‘찬양으로의 초청’(1-3절)과 ‘하나 님의 정체/행적 선포’(4-9절)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성 요소는 ‘찬양으로

18 Kit Barker, Imprecation as Divine Discourse: Speech Act Theory, Dual Authorship,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108.

(10)

의 초청’이다.

3.1.1.1 찬양으로의 초청

시편 113편은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뜻을 지닌 ‘할렐루야!’로 시작한다.

이 표현이 흥미로운 것은 다른 장르의 시편들(특별히 “여호와!”를 부르며 시작하는 탄식시들)과 달리 찬양시의 시인들은 개인 혹은 공동체에게 ‘여 호와를 찬양하라!’며 초청하기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지점은 공동체에 게 “여호와를 찬양하라!”고 말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고 어법에도 맞지 만 여호와에게 “여호와를 찬양하라!”(즉, “할렐루야!”)고 명령하는 것은 자 연스럽지도 않으며 어법에도 맞지 않다는 데 있다. 찬양시의 이런 문학 적 특징은 다른 찬양시에서도 등장한다. 시편 33편은 “여호와를 즐거워 하라!”로 시작하는데, 이 표현 또한 시인이 하나님이 아니라 공동체에게 명령하는 표현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에게 “여호와를 즐거워하라”는 명령 의 표현을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시편 98편의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표 현 또한 하나님에게 사용될 수 없는 표현인데, 그것은 여호와 하나님에게

“여호와를 찬양하라”고 명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찬양시는 하나 님을 불러 그에게 찬양의 노래를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개인 혹은 신앙공 동체를 불러 함께 찬양하자며 초청하고 있는 것이다.

시편 113편의 경우 찬양의 초청 대상은 “할렐루야!”에 이어서 등장하는

“여호와의 종들아!”에서 분명해진다19(시 135:1절을 보라: “할렐루야! 여호와 의 이름을 찬송하라. 여호와의 종들아! 찬송하라!”).

19 여기서 ‘여호와의 종들’의 정체를 자세히 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만, ‘여호와의 종들’이 ‘천상의 존 재들’이 아니라 레위인들, 제사장들 혹은 언약 백성을 총칭하는 인간 공동체 구성원들인 것만은 분 명하다.

(11)

할렐루야(=여호와를 찬양하라)!(1

a

)

찬양하라!(=할렐루)! 여호와의 종들아!(1

b

)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하라(=할렐루)!!(1

c

)

뿐만 아니라 “할렐루야!(=여호와를 찬양하라!)”에 이어서 곧바로 “찬양 하라(=할렐루)! 여호와의 종들아!”와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하라!”가 발화 (發話)된다. 1

b

와 1

c

에서 ‘찬양하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1

a

에서 사용되 었던 히브리어 동사 ‘할랄’(

llh

)의 피엘 명령형 남성 복수 ‘할렐루!’(

Wll.h ;

)를 번역한 것이다. ‘할렐루야’는 음역한 것이고, ‘찬양하라’는 번역어인 셈이 다. 즉, 두 표현 ‘할렐루야’와 ‘할렐루’는 히브리어 원문 상 동일하다. 세 동 사 모두 피엘 명령형 남성 복수이며, 따라서 이 명령을 듣는 대상은 하나 님이 아니라 공동체가 된다. 다시 말해서, 찬양시는 하나님을 향해 부르 는 노래가 아니라 신앙 공동체, 시편 113편의 경우, “여호와의 종들”로 불 리는 일단의 그룹에게 찬양하자며 초청하는 시편인 것이다. 찬양시의 이 런 문학적 특징 및 화자와 청자의 선명한 구분은 찬양시가 본질적으로 하 나님을 향해 불렸던 찬양이 아니라 공동체에게 무엇인가를 말하고자 했 던 노래였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발화자(發話者)는 시인이고, 청자(聽者)는 공동체가 된다.

3.1.1.2 하나님의 정체/행적에 대한 발화

찬양시의 첫 번째 문학적 구성 특징이 공동체에게 하나님을 찬양하자 는 초청이었다면, 두 번째 특징은 ‘하나님이 누구인가?’ 혹은 ‘하나님이 무 엇을 행하셨는가?’에 대한 발화이다. 이 특징 또한 대부분의 찬양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찬양시인 시편 135편의 경우, 1-4절까지 ‘찬양 초청’이 전개된 직후 5-7절에서는 하나님의 위대하심이 8-14절에서는 하

(12)

나님이 이스라엘에게 행하신 구원 행위가 각각 선포된다.

“내가 알거니와 여호와께서는 위대하시며 우리 주는 모든 신들보다 위대하시도다”(시 135:5)

5절에서 시인은 자신이 알고 있는 하나님이 존재론적인 차원에서 다른 신들과 구분된다는 점을 선포한다. 이 선포는 시인이 하나님을 직접 경험 하면서 체득한 고백이거나 조상들로부터 전해들었던 신앙 내용에 대한 고백일 수 있다. 시편 135편의 경우 시인은 후자에 근거하여, 조상들로부 터 들었던 하나님의 행적을 표현함으로써 하나님의 정체를 선포한다.

“그[여호와]가 애굽의 처음 난 자를 사람부터 짐승까지 치셨도다.

애굽이여! 여호와께서 네게 행한 표적들과 징조들을 바로와 그의 모든 신 하들에게 보내셨도다.

그[여호와]가 많은 나라를 치시고 강한 왕들을 죽이셨나니”(시 135:8-10)

이와 같이 시편 113편도 찬양 초청에 이어 4-9절에서 하나님이 어떤 분 이신가와 그가 무엇을 행했는가에 초점을 맞춰 전개한다.

“여호와는 모든 나라보다 높으시며 그의 영광은 하늘보다 높으시도다”(4 절)

“여호와 우리 하나님과 같은 이가 누구리요 높은 곳에 앉으셨으나, 스스로 낮추사 천지를 살피시고

가난한 자를 먼지 더미에서 일으키시며 궁핍한 자를 거름 더미에서 들어 세 워

지도자들 곧 그의 백성의 지도자들과 함께 세우시며

(13)

또 임신하지 못하던 여자를 집에 살게 하사 자녀들을 즐겁게 하는 어머니가 되게 하시는도다”(5-9절)

4절은 하나님을 열방과 하늘, 곧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보다 높으 신 분으로 묘사하는 반면, 5-9절은 그렇게 높으신 분임에도 불구하고 하 나님이 천지를 살피고(5-6절), 가난한 자들을 구원하며(7-8절), 무자(無子) 한 가정에 자녀를 허락하시는 분(9절)이라고 소개한다. 4-9절 모두 하나 님의 정체와 그의 행위들을 선포한다.

이런 구성적 특징은 보통 원인접속사 ‘키’(yKi)에 의해 도입되며, 찬양시 인 시편 117편의 예가 대표적이다. 1절에서 시인은 “너희 모든 나라들아!

여호와를 찬양하며, 너희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할지어다”라며 신앙 공동체를 찬양의 영역으로 초청한다. 초청되는 대상은 ‘너희 모든 나라들’

과 ‘너희 모든 백성들’이다. 그들에게 찬양하자며 초청한 것이다. 이 구절 에 이어서 찬양시의 두 번째 구성적 특징인 하나님의 정체가 언급되는데, 원인접속사 ‘키’에 의해 도입된다: “우리에게 향하신 여호와의 인자하심 이 크시고 여호와의 진실하심이 영원함이로다”(2절). 히브리어 원문은 원 인접속사 ‘키’로 시작하기 때문에 직역을 하면 “우리에게 향하신 여호와의 인자하심이 크시고 여호와의 진실하심이 영원하기 때문이다”가 된다. 시 인이 1절에서 ‘너희 모든 나라들’과 ‘너희 모든 백성들’에게 찬양하자며 초 청한 이유가 명시된 것이다.

[시 117:1-2]

`~yMiauh'-lK' WhWhB.v; ~yIAG-lK' hw"hy>-ta, Wll.h; 1절 `Hy"-Wll.h; ~l'A[l. hw"hy>-tm,a/w< ADs.h; Wnyle[' rb;g" yKi 2

(14)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시인이 공동체에게 하나님의 정체와 행위를 보고하는 방식이다. 즉, 여호와에 대한 3인칭 명사 혹은 대명사를 사용하 여 그의 성품과 행위를 묘사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시편 117편 2 절의 경우 개역개정은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여호와의 진실하심”으로 번역했지만, 원문은 3인칭 대명사 접미사를 붙여 “그의 인자하심”과 “여 호와의 진실하심”으로 되어 있다.

시편 113편의 경우 시인은 4절에서 3인칭을 사용하여 ‘여호와’는 모든 나라보다 높으신 분으로 선포하고 있고, 5절에서는 이 세상의 그 무엇과 도 비견될 수 없는 존재로서 “여호와 우리 하나님”, 곧 3인칭을 사용한다.

마지막 찬양시인 시편 150편의 경우 3인칭 대명사 접미사가 7번 등장하 고(1절[1

x

], 2절[2

x

], 3절[2

x

], 4절[2

x

], 5절[2

x

]), 3인칭 고유명사 ‘여호와’가 4 번 등장한다(1절[2

x

]20, 6번[2

x

]). 이와 같은 3인칭 사용은 2인칭 독자들에 게 하나님을 소개할 때 부득불 사용할 수밖에 없는 방식이기는 하다.21 아 래에서 다시 언급하지만 찬양시에서 여호와를 3인칭으로 사용하는 방식 은 자신을 포함한 독자들에게 증인되기를 촉구하는 것이다.22

3.1.1.3 찬양으로의 초청

시편 113편은 마지막 구절(9절)에서 시인이 공동체를 다시 한 번 찬양 으로 초청하면서 갈무리된다: “또 임신하지 못하던 여자를 집에 살게 하 사 자녀들을 즐겁게 하는 어머니가 되게 하시는도다. 할렐루야!”(9절[개역 개정]). 즉, 시편 113편은 ‘할렐루야!’로 시작해서 ‘할렐루야’로 끝나며, 대 부분의 찬양시도 같은 문학적 양식을 취한다(대표적인 예로 시 146-150편을

20 1절에서는 여호와의 대체형 ‘야’(Hy")가 한 번, 엘로힘의 ‘엘’(

la e

)이 한 번 각각 사용된다.

21 삼인칭 사용 방식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한 번 언급될 것이다.

22 Patrick Miller, Interpreting the Psalms (Philadelphia: Fortress, 1986), 68.

(15)

들 수 있다).

3.2. 시편 113편의 발화수반행위

이제 위에서 살펴본 발화를 근거로 시편 113편의 발화수반행위를 분석 해보자. 시편 113편의 화자(話者)는 시인이고, 청자(聽者)는 “여호와의 종 들”로 불리는 공동체이며, 화자가 청자(공동체)를 향한 발화는 여호와의 정체와 여호와의 행위들에 관한 것들이다(4-9절). 이 간단한 정보를 통해 서 탄식시를 포함한 다른 여타의 시편들과 달리 찬양시인 시편 113편은 하나님이 아니라 공동체에게 들려지고 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 다.

3.2.1. 높으신 하나님(4-5절)

화자는 공동체에게 “여호와는 모든 나라보다 높으시며 그의 영광은 하 늘보다 높으십니다. 누가 여호와 우리 하나님과 같은 분이 있으며, 높은 곳에 좌정하신 분이 누구입니까?”(4-5절[사역])라고 선포한다. 1절에서 ‘높 다’로 번역된 ‘룸’(~Wr)의 분사 ‘람’(~r")은 ‘모든 나라들’과 ‘하늘’에 비하여 높 이 계신 여호와의 상태를 묘사한다. ‘모든 나라들’은 이 땅 위에 있는 최고 의 권력을 상징하며(시 9:17; 59:8; 67:2; 72:11, 17; 86:9; 113:4; 117:1; 118:10),

‘하늘’은 피조세계 전체를 가리키는 ‘하늘과 땅’에서 한 축을 담당하는 공 간으로 피조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을 가리킨다. ‘하늘’은 욥기 16장 19절 에서 ‘룸’의 명사인 ‘마롬’(~Arm')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낮은 곳에 대한 반의 어로 사용된다. 즉, 여호와는 최고의 권력을 가지고 계시며, 피조세계를 다스리시는 분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기하고자 하는 질문은 화자(話者)가 이 발화를 통해 청자(聽 者)인 공동체에게 수행하는 것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즉, 발화수반행위

(16)

(

illocution

)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이와 같은 발화 내용이 교육적인 효과를 낳는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청자들은 여호와 하나님의 이런 속 성들을 듣고 그 분에 대해 더욱 깊이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발화가 가져다 준 결과이지 발화수반행위라고 보기는 힘들다. 오히려 시 인은 위의 발화를 통해 ‘간증’(

witness

)이라는 발화수반행위를 수행한다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공동체에게 세상 권력 및 피조세계와 확연하게 구분 되는 초월적인 하나님을 증거하는 것이다. 화자는 ‘증거’라는 단어를 사용 하지 않고 있지만, 발화 자체의 의도는 여호와를 증거하는 것이기 때문이 다.

3.2.2. 낮은 곳을 향한 하나님(6-8절)

화자는 4-5절에 이어서 하나님의 또 다른 모습, 즉 높은 곳에 계시는 분 이 낮은 곳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그린다. 6절에서 화자는 여호와가 세 상을 살피기 위해 낮추는 모습을 묘사한다(“스스로 낮추사”[개역개정]; 시 13:6). ‘낮추다’로 번역된 히브리어 동사 ‘샤펠’(

šāpēl

)은 시편 전체에서 4 번만 등장할 정도로 빈도수가 낮지만(시 18:27; 75:7; 113:6; 147:6), 자기 자 신을 포함하여 어떤 대상을 비천한 자리로 끌어내린다는 개념을 전달한 다.

23

구체적으로 “가난한 자를 먼지 더미에서 일으키시며 궁핍한 자를 거름 더미에서 들어 세우신다”(7절[개역개정]). ‘가난한 자’(lD")와 ‘궁핍한 자’(!Ayb.a,), ‘먼지 더미’와 ‘거름 더미’, ‘일으키다’와 ‘들어 세우다’는 각각 의미 론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동의적 평행법’(

synonymous parallelism

)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교차대구 구조를 취한다(

abc

//

b

a

c

′). 여기서 ‘가난한 자’(lD")는 경제적으로 완전히 파산된 자들은 아니어도 사회적 불의(不義) 앞에 무력한 자들로 간주되던 자들이었고,24 ‘궁핍한 자’(!Ayb.a)들은 실제로

23 HALOT 4:1631-32; NIDOTTE 4:224.

24 NIDOTTE 1:934-935.

(17)

궁핍하여 매일의 생존을 위해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는 사회적 약자들이 었다.25 그런 점에서 ‘가난한 자들’보다 ‘궁핍한 자들’이 경제적인 측면에 서 더 열악한 상황에 처한 자들이었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첫 번째 행(

A

) 보다 두 번째 행(

B

)이 열악한 상황에 처한 자들이 강화되어 언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쨌든 7절은 ‘여호와께서 낮은 자들을 일으킨다’는 하 나의 개념을 전달한다.

lD rp'['me ymiyqim .

A

c b a

!Ayb.a, ~yrIy" tPov.a;m e

B

c′ a′ b′

그리고 8절이 부정사로 시작하고 있다는 점에서 7절에 대한 목적을 밝 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여호와께서 낮은 자들을 일으켜서 그들을 백 성의 지도자들과 함께 영예의 자리에 앉히겠다는 것이다: “지도자들, 곧 그의 백성의 지도자들과 함께 세우시며”(8절[개역개정]). 그렇다면 7-8절 은 높은 곳에 계신 여호와께서 낮은 자리로 내려와 그 공동체에서 가장 비천한 존재들로 간주되던 자들을 영예의 자리로 높이겠다는 것을 발화 한 것이다. 이것은 9절의 내용으로 더욱 분명해진다: “또 임신하지 못하 던 여자를 집에 살게 하사 자녀들을 즐겁게 하는 어머니가 되게 하시는도 다”(9절[개역개정]). 고대근동에서 아기를 갖지 못하던 여자는 공동체로부 터 모멸과 수치의 대상이었고 따돌림 받던 사회적 약자였으나, 여자가 아 기를 갖는 것은 그 가족과 공동체에 최고의 영예로 받아들여졌다(창 16:2;

20:18; 삼상 1:6). 따라서 여호와께서 그런 자들이 아기를 갖도록 하신다는 것은 공동체로부터 모욕을 당하던 여자를 최고의 자리에 앉히겠다는 것

25 NIDOTTE 1:226-227.

(18)

을 의미한다.26

여기서 다시 한 번 던지는 질문은 이것이다. 화자(시인)가 공동체에게 6-8절의 발화를 통해 수행하는 발화수반행위(

illocution

)는 무엇이냐는 것 이다. 4-5절의 발화수반행위와 마찬가지로 6-8절의 발화수반행위 또한

‘낮은 자들을 돌보시는 여호와의 성품’을 증거하며 간증하는 것이다. 이것 이 화자의 발화를 통해 전달되고자 하는 효력이자 의미라 할 수 있다. 벤 후저(

Vanhoozer

)는 “의미는 의사소통 행위(

communicative action

), 즉 저 자가 특정한 시간에 특별한 방식으로 특정한 단어들을 사용하여 행한 것 의 결과이다”라고 정의했는데,

27

6-8절 또한 화자가 특정한 단어들을 조합 하고 배열하여 낮은 자들을 향한 하나님을 증거(간증)하고 있는 것이다.

4. 나가는 말

각각의 시편은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의사소통 행위이자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의사소통 행위이다. 더 나아가 일부 시편들은 인간이 또 다른 인간들(공동체)에게 행하는 의사소통 행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언어적 행 위에 대한 인식은 시편을 해석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양식비평 과 다르며, 정경비평과도 구분된다. 화자(시인)가 청자(공동체)에게 하나 님의 성품과 행위를 발화하지만 독자들에게 발화 자체 이상의 것, 곧 발 화수반행위(

illocution

)를 주목하게 한다. 이런 화행이론의 유익은 위에 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찬양시가 하나님을 향한 노래가 아니라 공동체에게 했던 간증이었다는 분석에서 확인된다. 어떤 점에서는 전통적으로 ‘찬양 시’(

praise

)로 분류된 시편들이 실상은 멜로디에 실린 간증문이었다는 점

26 Willem A. VanGemeren, Psalms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8), 834.

27 Kevin J. Vanhoozer, “From Speech Acgts to Scripture Acts: The Covenant of Discourse &

the Discourse of Covenant” in First Theology: God, Scripture & Hermeneutics (ed. K. J.

Vanhoozer; Downers Grove: IVP, 2002), 177-179.

(19)

에서 ‘간증시’(

witness psalm

)로 개칭을 해도 크게 무리가 되지는 않을 것 이다.
(20)

◆ 참고 문헌

김양일. “케빈 벤후저의 수행 개념을 통한 월터 브루그만의 설교신학 평 가와 그 적용.”「신학과실천」56 (2017): 223-55.

______. 『한 권으로 꿰뚫는 시편: 성도의 탄식과 하나님의 응답』. 서울:

IVP

, 2015.

방정열. “시편 표제어 유무에 대한 정경적 해석의 가능성.” 「한국기독교 신학논총」106 (2017): 11-37.

______. “시편과 신명기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시편 1-2편과 89편을 중 심으로.”「한국개혁신학회」53 (2017): 122-50.

______. 『새로운 시편 연구: 실패한 인간-왕에서 신실하신 하나님-왕을 향하여』.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8.

장성길.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 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에 대한 소고.”「성경과 신학」54 (2010): 1-34.

최승락. “구약 인용의 수사학:

C

. 스텐리와 칼빈의 비교.”「신약연구」10 (2011): 333-61.

Anderson

,

A

.

A

.

The Book of Psalms

.

Grand Rapids

:

Eerdmans

, 1972.

Austin

,

J

.

L

.

How to Do Things with Words

. 2

nd Ed

.

Oxford

:

Clarendon Press

, 1975.

Barker

,

Kit

.

Imprecation as Divine Discourse

:

Speech Act Theory

,

Dual Authorship

,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

Winona Lake

:

Eisenbrauns

, 2016.

______. “

Speech Act Theory

,

Dual Authorship

,

and Canonical

Hermeneutics

:

Making Sense of Sensus Plenior

”.

Journal of

(21)

Theological Interpretation

3 (2009): 227-39.

Berry

,

Donald K

.

The Psalms and Their Readers

:

Interpretive Strategies for Psalm

18.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Series

153.

Sheffield

:

JSOT Press

,1993.

Brueggemann

,

Walter

. “

Bounded by Obedience and Praise

:

The Psalms as Canon

.”

JSOT

50 (1991): 63-92.

______.

The Message of the Psalms

:

A Theological Commentary

.

Minneapolis

:

Augsburg Press

, 1995.

Childs

,

Brevard

.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

Philadelphia

:

Fortress

, 1979.

Cotterell

,

Peter

. “

Linguistics

,

Meaning

,

Semantics

,

and Discourse Analysis

.”

Pages

131-157

in A Guide to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

The Introductory Articles from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

Edited by W

.

A

.

VanGemeren

;

Grand Rapids

:

Zondervan

, 1997).

Creach

,

Jerome

.

Yahweh as Refuge and the Editing of the Hebrew Psalter

.

JSOTSup

217.

Sheffield

:

Sheffield Academic

, 1996.

DeClassé

-

Walford

,

Nancy L

. “

The Canonical Shape of the Psalms

.”

In An Introduction to Wisdom Literature and the Psalms

.

Edited by M

.

E

.

Tate et al

;

Macon

:

Mercer University

, 2000.

______.

Reading from the Beginning

:

The Shaping of the Hebrew Psalter

.

Macon

,

GA

:

Mercer University

, 1997.

______.

The Shape and Shaping of the Book of Psalms

.

Atlanta

:

SBL

, 2014.

______. “

An Intertextual Reading of Psalms

22, 23,

and

24.”

In Book

of Psalms

:

Composition and Reception

.

Edited by P

.

W

.

Flint

(22)

and P

.

D

.

Miller

;

Leiden

:

Brill

, 2005: 139-52.

Eaton

,

John

.

The Psalms

:

A Historical and Spiritual Commentary with an Introduction and New Translation

.

London

:

T

&

T Clark

, 2003.

Gerstenberger

,

E

.

S

.

Psalms Part I with an Introduction to Cultic Poetry

.

FOTL

14;

Grand Rapids

:

Eerdmans

, 1988.

______. “

The Psalms

:

Genres

,

Life Situations and Theologies

-

Towards a Hermeneutics of Social Stratification

.”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

Reading the Psalms in Real Time

:

Proceedings of the Baylor Symposium on the Book of Psalms

.

Edited by J

.

S

.

Burnett et al

;

New York

:

T

&

T Clark

, 2007: 81- 92.

Gunkel

,

Hermann

.

Introduction to Psalms

:

The Genres of the Religious Lyric of Israel

.

Macon

,

GA

:

Mercer University Press

, 1998.

Miller

,

Patrick

.

Interpreting the Psalms

.

Philadelphia

:

Fortress

, 1986.

Mowinckel

,

Sigmund

.

The Psalms in Israel

s Worship

.

Vol

. 2.

Translated by D

.

R

.

Ap

-

Thomas

;

Oxford

:

Blackwell

, 1962.

McCann

,

James C

.

A Theological Introduction to the Book of Psalms

:

The Psalms as Torah

.

Nashville

:

Abingdon

, 1993.

______.

The Shape and Shaping of the Psalter

.

Sheffield

:

JSOT Press

, 1993.

______. “

Books I

-

III and the Editorial Purpose of the Hebrew Psalter

.”

In The Shape and Shaping of the Psalter

.

Edited by J

.

C

.

McCann

;

Sheffield

:

JSOT Press

, 1993: 93-107.

Muilenburg

,

James

. “

Form Criticism and Beyond

”.

Journal of Biblical

(23)

Literature

88 (1969): 1-18.

Poythress

,

Vern

. “

Canon and Speech Act

:

Limitations in Speech

-

Act Theory

,

with Implications for a Putative Theory of Canonical Speech Acts

.”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70 (2008): 341-42.

Searle

,

J

.

R

.

Speech Acts

: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

Lond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69.

______.

Expression and Meaning

:

Studies in the Theory of Speech Acts

.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79.

Tovey

,

Derek

.

Narrative Art and Actin the Fourth Gospel

.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151.

Sheffield

:

Sheffield Academic Press

, 1997.

VanGemeren

,

Willem A

.

Psalms

.

The Expositor

s Bible Commentary

5.

Edited by Tremper Longman

&

David E

.

Garland

.

Grand Rapids

:

Zondervan

, 2018.

Vanhoozer

,

Kevin J

. “

From Speech Acts to Scripture Acts

:

The Covenant of Discourse

&

the Discourse of Covenant

.”

Pages

159-203

in First Theology

:

God

,

Scripture

&

Hermeneutics

.

Edited by K

.

J

.

Vanhoozer

.

Downers Grove

:

IVP

, 2002.

______.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

The Bible

,

the Reader

,

and the Morality of Literary Knowledge

.

Grand Rapids

:

Zondervan

, 1998.

______. “

The Semantics of Biblical Literature

:

Truth and Scripture

'

s Diverse Literary Forms

.”

Pages

49-104

in Hermeneutics

,

Authority

,

and Canon

.

Edited

.

D

.

A

.

C

.

and

.

J

.

D

.

Woodbridge

.

Grand Rapids

:

Academie Books

, 1986).

______.

First Theology

:

God

,

Scripture

,

and Hermeneutics

.

Downers

(24)

Grove

,

Ill

.:

InterVarsity Press

, 2002.

______.

The Drama of Doctrine

:

A Canonical

-

Linguistic Approach to Christian Theology

.

Louisville

:

Westminster John Knox

, 2005.

Wenham

,

Gordon

.

The Psalter Reclaimed

:

Praying and Praising with the Psalms

.

Wheaton

:

Crossway

, 2003.

______. “

The Ethics of the Psalms

.”

Pages

175-94

in Interpreting the Psalms

:

Issues and Approaches

.

Edited by David Firth and Philip S

.

Johnson

.

Downers Grove

:

IVP Academic

, 2005.

______.

Psalms as Torah

:

Reading Biblical Song Ethically

.

Grand Rapids

:

Baker Academic

, 2012.

Wilson

,

Gerald H

.

The Editing of the Hebrew Psalter

.

SBLDS

76;

Chico

,

CA

:

Scholars

, 1985.

______. “

The Shape of the Book of Psalms

.”

Int

46 (1992): 129-42.

______. “

Shaping the Psalter

:

A Consideration of Editorial Linkage

in the Book of Psalms

.”

In Shape and Shaping of the Psalter

.

Edited by J

.

C

.

McCann

;

Sheffield

:

JSOT Press

, 1993: 72-82.
(25)

•Abstract

The Adequacy and Usefulness of Speech-Act Theory to Psalm Studies: the Analysis of Praise Psalms

Bang, Jeung Yeoul Anyang University Adjunct Professo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peech

-

act theory to praise

psalms and demonstrate the adequacy and usefulness of the

theory

.

As is known

,

the Book of Psalms

,

which have long been

studied by form criticism

,

has begun by canonical criticism since

1970-1980.

It implies that the study on the Book of Psalms has

shifted from the examination of individual psalms to the analysis

of psalms as a whole or to the analysis of the close relationship

of neighboring psalms

,

either on a macro

-

structural level or on

the micro

-

structural level

.

Interestingly

,

the methodological shift

has helped readers appreciate the Book of Psalms as a whole

,

but

at the same time the voice of the utter

(

psalmist

)

got discolored

.

The focus on the whole Psalter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hat finalized the Psalms abated the voice of psalmists

who tried to convey messages through individual psalms

.

The

study argues that the speech

-

act could overcome this limitation

,

showing the adequacy and usefulness of the method to praise

(26)

psalms

.

Key

Key

--

Words Words

: :

Speech

-

Act Theory

,

Canonical Criticism

,

Illocution

,

Praise

,

Witness

•논문접수일: 2022년 3월 10일

•수정접수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3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