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 보 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시 보 선"

Copied!
626
0
0

Teks penuh

(1)

시 보 제1573호

시보는 공문서로서의 효력을 갖는다

2016년 11월 14일 월요일

조 례

규 칙

훈 령

고 시

◦인천광역시조례 제5718호 (인천광역시교육감 행정권한의 위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 3

◦인천광역시조례 제5719호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 ··· 6

◦인천광역시조례 제5720호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 ··· 25

◦인천광역시조례 제5721호 (인천광역시 법률고문 운영 조례 전부개정조례) ··· 133

◦인천광역시조례 제5722호 (인천광역시 재정운영 조례) ··· 138

◦인천광역시조례 제5723호 (인천광역시 항결핵제 보급수수료 징수 조례 폐지조례) ··· 210

◦인천광역시조례 제5724호 (인천광역시 시립체육시설 관리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 ··· 212

◦인천광역시조례 제5725호 (인천광역시 도시개발 조례 일부개정조례) ··· 214

◦인천광역시조례 제5726호 (인천광역시 도시개발사업 설치 및 운영 조례 폐지조례) ··· 216

◦인천광역시조례 제5727호 (인천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단지 공동전기요금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 218

◦인천광역시조례 제5728호 (인천광역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 ··· 220

◦인천광역시조례 제5729호 (인천광역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조례 일부개정조례) ··· 230

◦인천광역시조례 제5730호 (인천광역시 피난시설 등 유지관리 위반행위 신고포상금 지급 관한 조례 전부 개정조례) ··· 234

◦인천광역시조례 제5731호 (재단법인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 246

◦인천광역시조례 제5732호 (인천광역시 에너지사업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 ··· 250

◦인천광역시조례 제5733호 (인천광역시 어린이 통학로 교통안전을 위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 253

◦인천광역시조례 제5734호 (인천광역시 택시 기본조례 일부개정조례) ··· 255

◦인천광역시규칙 제3007호 (인천광역시 사무 전결처리 규칙 일부개정규칙) ··· 257

◦인천광역시규칙 제3008호 (인천광역시 불법운행 택시 신고포상금 지급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 359 ◦인천광역시훈령 제1165호 (인천광역시 도로 조명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규정 전부개정규정) ···· 364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68호 (양화지구 수리시설 개보수사업 시행계획(변경) 승인 고시) ··· 396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69호 (도시관리계획(용도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397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0호 (송림6 도시환경정비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변경) 및 지형 도면 고시) ··· 399

회 람

발행 : 인천광역시 편집 : 대변인실

(2)

공 고

입법예고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6–107호 (인천광역시 공공조형물의 건립 및 관리 등에 관한 조례(안) 입법예고) 580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6–108호 (「인천광역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일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590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6-109호 (인천광역시 도시철도채권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 601

◦인천광역시입법예고 2016-110호 (인천광역시 민원사무처리 규정 전부개정 안) ··· 607

◦인천광역시의회공고 제2016-69호 (인천광역시 지역서점 활성화에 관한 조례안) ··· 615

◦인천광역시교육청공고 제2016–234호 (인천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 개정규칙(안)) 620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1호 (정비구역 해제 및 지형도면 고시) ··· 408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2호 (간석초교주변구역 주택재개발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 (변경) 및 지형 도면 고시) ··· 410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5호 (방축구역 도시개발사업 구역지정(변경), 개발계획 수립(변경), 실시계획 (변경)인가 및 지형도면 고시) ··· 435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6호 (대산지구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시행계획(변경) 승인 고시) ··· 461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7호 (IHP도시첨단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개정 고시) ··· 463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8호 (도시계획시설(운동장)사업 실시계획(변경) 고시) ··· 477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79호 (도시관리계획(화도진근린공원 조성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 ·· 478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81호 (용현․학익 7블록 도시개발구역 지정, 개발계획 수립 및 지형도면 고시) ·· 483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82호 (동춘1구역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 수립(변경), 실시계획(변경)인가 및 지형 도면 고시) ··· 492

◦인천광역시고시 제2016–283호 (도시관리계획〔도시계획시설: 철도(일반철도)〕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 519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고시 제2016-222호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B) 실시 계획(변경) 승인 고시) ··· 520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고시 제2016-223호 (도시관리계획(공원조성계획 : 송도 제14호 어린이공원)결정 및 지형도면 고시) ··· 547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490호 (도시관리계획(도시계획시설: 수질오염방지시설) 결정(변경) 입안(안) 열람· 공고) ··· 550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493호 (공시송달공고 (국제물류주선업 등록기준 미달업체 행정처분 사전통지)) 551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494호 (공시송달공고 (국제물류주선업 등록기준 미달업체 행정처분 사전통지)) 553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497호 (환경컨설팅회사 등록취소 공고) ··· 555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498호 (도시계획시설(수도공급설비)사업 실시계획 작성을 위한 열람․공고) ··· 556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03호 (악취관리지역 지정(안) 공고) ··· 558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04호 (비영리(사단)법인 설립허가 공고) ··· 566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06호 (공시송달공고 [정보통신공사업자 행정처분(등록취소) 통지]) ··· 567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07호 (공시송달 공고 (요양보호사교육기관 지정취소 행정처분에 따른 청문실시 통지)) ··· 568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08호 (비영리민간단체등록 공고) ··· 571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09호 (환경관리 대행기관 지정취소 공고) ··· 572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13호 (인천도시계획시설(가좌공원) 실시계획인가를 위한 서류 공람․공고(안)) · 573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14호 (부동산개발업 등록말소 공고) ··· 575

◦인천광역시공고 제2016–1516호 (부동산개발업 등록 공고) ··· 576

◦인천부평소방서공고 제2016-9호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 우수업소 공표) ··· 577

◦인천서부소방서공고 제2016–11호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 우수업소 인정 예정공고) ··· 578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공고 제2016-253호 (공시송달공고) ··· 579

(3)

인천광역시교육감 행정권한의 위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개정이유

가. 교육지원청에 중학교 이하 각급학교 종합감사의 권한을 위임하여 단위학교 종합감사 확대 및 감사주기(3년) 확보

나. 각급학교 지도 ․감독 권한과 감사 권한의 일원화로 업무 효율성 제고

2. 개정근거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6조(사무의 위임ㆍ위탁 등)

3. 주요내용

교육장에게 중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종합감사 등 행정감사에 관한 사 항을 위임함. (제5조)

4. 일부개정조례: 붙임

5. 신구조문대비표: 붙임

(4)

공 포

인천광역시의회에서 의결된 인천광역교육감 행정권한의 위윔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다음과 같이 공포한다.

인천광역시교육감 이 청 연 2016년 11월 14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718호

인천광역시교육감 행정권한의 위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교육감 행정권한의 위임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 다.

제4조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제5조제1호차목 중 “종합감사를 제외한”을 “종합감사 등”으로 한다.

부칙

이 조례는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5)

현 행 개 정 제4조(명의 표시) 이 조례에 의하

여 위임받은 권한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13조에 따라 위임받은 자의 명의로 시 행하여야 한다.

제4조(명의 표시) --- --- ---「행정 효율과 협업 촉 진에 관한 규정」 제13조--- --- ---.

제5조(교육장에게 위임하는 사항)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권한을 교육장에게 위임한다.

제5조(교육장에게 위임하는 사항) --- ---.

1. 공·사립의 유치원·초등학교·

중학교·공민학교·고등공민학 교 및 이에 준하는 각종학교 의 다음에 관한 사항

1. --- --- --- ---

가. ∼ 자. (생 략) 가. ∼ 자. (현행과 같음) 차. 중학교 이하 각급학교의

종합감사를 제외한 행정감 사에 관한 사항(단, 중학교 ㆍ고등학교 병설학교와 고 등학교를 포함하는 통합학 교 제외)

차. --- 종합감사 등 --- --- --- --- --

카. (생 략) 카. (현행과 같음)

2. ∼ 8. (생 략) 2. ∼ 8. (현행과 같음)

(6)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 제 명 :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

 개정이유

2017년 1월 1일자로 시행되는 「지방자치법 시행령」 제54 조 개정에 맞춰 정례회의 집회일을 변경하고, 의회운영에 대한 시 민의 접근성과 이해도를 높이고자 「인천광역시의회 회의규칙」

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회운영 사항을 조례로 정비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〇 제1차 정례회를 종전 매년 6월 둘째 주 화요일에서 매년 6 월 1일로, 제2차 정례회는 매년 11월 둘째 주 화요일에서 매년 11월 5일로 변경함(제13조)

〇 기존 「인천광역시의회 회의규칙」으로 정한 의장 및 부의장

선거, 의원에 관한 사항, 임기 등의 내용을 입법체계를 달리

하여 조례로 정비함(제14조부터 제20조까지)

(7)

전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6년 11월 14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719호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 전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조례는「지방자치법」 및 같은 법 시행령과 「지방 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 따라 인천광역시의 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기본이념) 인천광역시의회(이하 “의회”라 한다)는 인천광역시 민(이하 “시민”이라 한다)의 대표로 구성되는 의결기관으로서 그 의사결정에 있어 합리성과 전문성을 기초로 시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의회상을 확립하여야 한다.

제3조(의회의 의정원칙) ① 의회는 합법적인 절차에 따라 의사를 공

(8)

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하며 그 결과를 원칙적으로 시민에게 공개하 여야 한다.

② 의회는 다양한 시민의 의사를 수용하고 시민과 인천광역시의회 의원(이하 “의원”이라 한다)의 창의적인 의견이 시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③ 의회는 소속 의원들이 의정활동에 필요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의회사무처의 자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제도개선 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제4조(의원의 의정활동원칙) ① 의원은 시민의 대표로서 인천광역시 (이하 “시”라 한다)의 균형적인 발전과 시민의 복리증진을 목표로 활동하여야 한다.

② 의원은 자유로운 의견개진과 토론의 기회를 가지며 다른 의원 의 의견과 인격을 존중하여야 한다.

제2장 의원 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

제5조(윤리강령) 의원이「지방자치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8조 에 따라 시민의 대표로서 양심에 따라 그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시민으로부터 신뢰와 존경을 받을 수 있도록 준수하여야 할 윤리강 령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시민의 대표자로서 인격과 식견을 함양하고 예절을 지킴으로써 의원의 품위를 유지하며, 시민의 의사를 충실히 대변한다.

2. 시민을 위한 봉사자로서 시민의 복리증진과 시정발전을 위하여 공익우선의 정신으로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한다.

3. 공직자로서 직무와 관련하여 부정한 이득을 도모하거나, 부당 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아니하며,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을 솔선수 범한다.

4. 의회의 구성원으로서 서로간의 의정활동에 있어서 공정한 여건

(9)

를 준수한다.

5. 책임 있는 정치인으로서 시민에게 의원의 책임을 다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공사행위에 관 하여 시민에게 책임을 진다.

제6조(윤리실천규범) 의원은 제5조의 윤리강령을 성실하게 준수하기 위한 윤리실천규범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직무를 수행할 때 의원의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2. 직무와 관련하여 청렴하여야 하며, 공정을 의심받는 행동을 해 서는 안 된다.

3. 지위를 남용하여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그로 인한 대가를 받아서는 안 된다.

4. 지위를 남용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 또는 기업체와의 계약이나 그 처분에 따른 재산상의 권리·이익 또는 직위를 취득 하거나 타인을 위하여 그 취득을 알선해서는 안 된다.

5. 강연, 출판물에 대한 기고, 그 밖의 유사한 활동과 관련하여 개 인·단체 또는 기관으로부터 일반적이고 관례적인 기준을 넘는 사 례금을 받아서는 안 된다.

6. 심사대상 안건이나 행정사무감사 또는 조사의 사안과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지는 경우 이를 사전에 소명하고, 관련 활동에 참여 해서는 안 된다.

7.「공직자윤리법」에 따른 재산등록 및 신고의 의무를 성실히 이 행하여야 한다.

8. 직무상 국외활동을 하는 경우에 성실하게 보고 또는 신고를 하여야 하며 정당한 이유 없이 장기간 해외활동이나 체류를 해서는 안 된다.

제7조(겸직신고) ① 의원이 법 제35조제3항에 따라 인천광역시의회

의장(이하 “의장”이라 한다)에게 겸직사항을 신고할 때에는 별지

(10)

제1호 서식을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신고사항에 변경이 있을 경우 지체 없이 서면으로 변경 신고하여야 한다.

③ 의장은 겸직신고 사항의 확인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겸직 기관ㆍ단체의 정관 등 자료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제8조(영리행위의 제한) 의원은 법 제35조제6항에 따라 해당 상임위 원회 소관 업무와 관련된 영리행위를 하지 못한다.

제9조(공적기밀의 누설금지) 의원은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 등 각종 직무를 통하여 알게 된 공적기밀을 누설해서는 안 된다.

제10조(회의출석) 의원은 청가서나 결석 신고서를 제출한 경우 또는 공무출장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회의 각종 회의에 성실하게 출석하여야 한다.

제11조(윤리심사 등) ① 의원이 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을 위반하 는 행위를 한 때에는 윤리심사의 대상이 된다.

② 제1항에 따른 의원 윤리심사 절차 등 필요한 사항은「인천광역 시의회 회의규칙」제12장 징계규정을 준용한다.

제3장 정례회 등 회기운영

제12조(회의일수) ① 법 제44조제2항과 제47조제2항 및「지방자치 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54조제3항에 따른 연간 회의 총일수는 140일 이내로 하되, 회의 총일수 연장이 필요한 경우에 는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다.

② 정례회의 회기는 연 2회를 합하여 70일 이내로 하고, 임시회의

회기는 매 회기 20일 이내로 한다.

(11)

협의를 거쳐 정한다.

제13조(정례회의 집회일) ① 영 제54조제1항 및 제3항에 따른 정례 회의 집회일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그 날이 공휴일인 경우에 는 그 다음날에 집회한다.

1. 제1차 정례회: 매년 6월 1일 2. 제2차 정례회: 매년 11월 5일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선거 등 특별한 사유가 발생한 해에는 본 회의 의결로 따로 정할 수 있다.

제14조(의회의 개폐선포) 의회의 개회와 폐회는 의장이 선포한다.

제15조(개회식) 의회는 매 회기 최초 집회일에 개회식을 한다. 다만, 지방의회의원 총선거 후 최초의 임시회에 있어서는 의장과 부의장 선거 후에 개회식을 한다.

제4장 의장과 부의장

제16조(의장·부의장의 선거) ① 의장은 의회에서 무기명투표로 선거 하되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득표로 당선된다.

② 제1항의 득표자가 없을 때에는 2차 투표를 하고 2차 투표에도 제1항의 득표자가 없을 때에는 최고득표자가 1명이면 최고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최고득표자가 2명 이상이면 최고득표자에 대하여 결선투표를 실시하여 다수득표자를 당선자로 한다.

③ 제2항의 결선투표결과 득표수가 같을 때에는 연장자를 당선자로 한 다.

④ 부의장은 의장의 선거가 끝난 후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방법

으로 각각 선거한다.

(12)

제17조(의장·부의장의 임기) ① 의장선거일이 부의장 선거일보다 먼 저인 경우 부의장의 임기는 의장의 임기와 같이 종료한다.

② 의원 총선거 후 처음 선출된 의장 또는 부의장의 임기가 폐회 중에 만료된 경우 그 의장 또는 부의장은 다음 회기에서 의장 또 는 부의장을 선출한 날의 전일까지 재임한다.

제18조(부의장의 의장 직무대리) 의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의장이 지정하는 부의장이 그 직무를 대리한다. 다만, 의장이 지정하지 아 니한 경우에는 먼저 선출된 부의장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제19조(임시의장의 선거) 법 제52조에 따른 임시의장의 선거는 의장 선거의 예에 따른다.

제20조(의장·부의장의 사임) ① 의장과 부의장은 의회의 동의를 얻 어 그 직을 사임할 수 있다.

② 사임에 대한 동의 여부는 토론하지 않고 표결한다.

제5장 의원

제21조(등록) 의원 당선인은 당선인으로 결정된 후 당선증서를 의회 사무처에 제시하고 등록하여야 한다.

제22조(의정활동비·여비 및 월정수당 지급기준 등) ① 법 제33조제2 항 및 영 제33조제2항에 따라 의원에게 의정활동비·여비 및 월정수당 을 지급한다.

② 의정활동비의 지급액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의정자료수집·연구비: 매월 120만원

2. 제1호의 활동과 관련한 보조활동비: 매월 30만원

(13)

하여 지급한다.

④ 의정활동비와 월정수당은 시 공무원의 보수 지급일에 지급하며, 최초 임기 개시월과 퇴직 월에는 일할 계산하여 지급한다.

⑤ 의원이 공무로 여행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지급기준에 따라 여비를 지급한다.

1. 국내여비: 별표 1의 국내여비지급표 2. 국외여비: 별표 2의 국외여비지급표

⑥ 의정활동비·여비 및 월정수당 지급기준 등 이 조례에서 규정된 이외의 사항은 시 소속공무원의 예에 따른다.

제23조(의석배정 및 최초 임시회) ① 의원의 의석은 의장이 의회운 영위원회와 협의하여 정한다. 다만,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는 의장이 잠정적으로 정한다.

② 총선거 후 의장이 선출되기 전의 의석은 사무처장이 지역선거구 순서에 따라 임시로 정한다.

③ 총선거 후 최초로 집회되는 임시회는 법 제45조에 따라 사무처장이 소집하되, 집회일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의원의 임기 개시일로 한다. 다만, 그 날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에 집회한다.

④ 사무처장은 최초 임시회 의사일정 운영계획안을 작성하여 의원 당선자에게 집회일 7일 전까지 통지한다.

⑤ 제4항에 따라 작성된 의사일정을 불가피한 사유로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사무처장이 변경할 수 있다.

⑥ 제5항에 따라 의사일정을 변경하였을 때에는 의원 당선자에게 그 이유와 변경된 의사일정을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한다.

제24조(선서) 의원은 임기 초에 의회에서 다음의 선서를 한다. "나

는 법령을 준수하고 주민의 권익신장과 복리증진 및 지역사회의 발

전을 위하여 의원의 직무를 양심에 따라 성실히 수행할 것을 주민

(14)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

제25조(청가 및 결석) ① 의원이 사고로 회의에 출석하지 못할 때에 는 그 이유와 기간을 기재한 청가서를 미리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의원의 청가는 5일 이내이면 의장이 허가하고 5일을 초과하면 의회에서 허가한다.

③ 의원이 청가의 기간이 경과되어도 회의에 출석할 수 없을 때에는 다시 청가서를 제출하여야 하고 청가의 기간 내에 회의에 출석하 였을 때 그날 이후의 청가는 그 효력을 상실한다.

④ 의원이 사고로 회의에 출석하지 못하였을 때에는 그 이유와 기 간을 기재한 결석 신고서를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⑤ 의원이 정당한 이유 없이 회의에 계속하여 2일 이상 결석하였을 경우 의장 또는 위원장은 해당의원의 출석을 요구하여야 한다.

⑥ 제5항의 출석요구는 문서로 하되 긴급한 경우에는 구두로 할 수 있다.

제26조(사직) ① 의원이 사직하고자 할 때에는 본인이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사직의 허가여부는 토론 없이 표결한다. 다만, 폐회 중에는 의 장이 이를 허가할 수 있다.

③ 의원은 제출한 사직서에 대하여 의회의 의결 또는 의장이 허가가 있기 전까지 철회할 수 있다.

제6장 위원회 관리

제27조(상임위원회 설치 및 위원정수) 법 제56조에 따라 의회에 두 는 상임위원회와 그 위원 정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의회운영위원회 11명 이내

2. 기획행정위원회 7명 이내

(15)

4. 산업경제위원회 7명 이내 5. 건설교통위원회 7명 이내 6. 교육위원회 7명 이내

제28조(상임위원회의 직무와 그 소관) ① 상임위원회는 그 소관에 속하는 의안과 청원심사 등을 처리하는 직무를 행한다.

② 상임위원회의 소관은 다음과 같다.

1. 의회운영위원회

가. 의회운영에 관한 사항

나. 의회사무처 사무에 속하는 사항 다. 의회 관련 자치법규에 관한 사항 2. 기획행정위원회

가. 대변인, 브랜드담당관, 감사관, 투자유치전략본부(투자유치 사무를 제외한다), 시민소통담당관, 규제개혁추진단, 기획조 정실, 재정기획관, 재난안전본부, 행정관리국 및 관련 사업소의 사무에 속하는 사항

나. 소방본부 및 관련 소방기관의 사무에 속하는 사항 다. 인재개발원 사무에 속하는 사항

라. (재)인천발전연구원 사무에 속하는 사항 마. (재)인천인재육성재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3. 문화복지위원회

가. 보건복지국, 여성가족국, 문화관광체육국 및 관련 사업소의 사무에 속하는 사항

나. 보건환경연구원 사무에 속하는 사항 다. 인천관광공사 사무에 속하는 사항

라. 인천광역시시설관리공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마. 인천광역시의료원 사무에 속하는 사항

바. 인천문화재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16)

사. 인천광역시여성가족재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아. 강화고려역사재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4. 산업경제위원회

가. 투자유치전략본부(국제협력 사무를 제외한다), 경제산업국, 환경녹지국 및 관련 사업소의 사무에 속하는 사항

나. 경제자유구역청 사무에 속하는 사항

다. 상수도사업본부 및 관련 사업소의 사무에 속하는 사항 라. 농업기술센터 사무에 속하는 사항

마. 인천환경공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바. (재)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사무에 속하는 사항 사. 인천신용보증재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아.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사무에 속하는 사항 자. 인천종합에너지(주) 사무에 속하는 사항

차. 인천유시티(주) 사무에 속하는 사항 5. 건설교통위원회

가. 도시계획국, 건설교통국, 해양항공국 및 관련 사업소의 사무 에 속하는 사항

나. 도시철도건설본부 사무에 속하는 사항 다. 종합건설본부 사무에 속하는 사항 라. 인천도시공사 사무에 속하는 사항 마. 인천교통공사 사무에 속하는 사항 6. 교육위원회

가. 인천광역시교육청 및 그 소속기관의 사무에 속하는 사항

제29조(상임위원회의 위원) ① 의원은 하나의 상임위원회 위원(이하

“상임위원”이라 한다)이 된다. 다만,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은 겸할 수 있다.

② 의장은 상임위원이 될 수 없다.

제30조(위원의 임기) ① 상임위원은 선임된 날부터 2년간 재임한다.

(17)

된 때에는 다음 회기에서 위원을 새로 선임한 전일까지 재임한다.

② 특별위원회 위원은 선임된 날부터 활동기간 만료일까지 재임한다.

③ 개선 또는 보임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남은 기간으로 한다.

제31조(상임위원장) ① 상임위원회에 위원장(이하 “상임위원장”이라 한다) 1명을 둔다.

② 상임위원장은 상임위원 중에서 의장선거의 예에 따라 본회의에서 선거한다.

③ 상임위원장의 임기는 상임위원의 임기와 같다.

④ 상임위원장은 본회의의 동의를 얻어 그 직을 사임할 수 있다.

다만, 폐회 중에는 의장의 허가를 받아 사임할 수 있다.

제32조(특별위원회) ① 법 제56조제1항에 따라 의회에 두는 특별위 원회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예산안, 결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심사하기 위한 예산결산특 별위원회

2. 의원의 자격심사·윤리심사 및 징계에 관한 사항을 심사하기 위한 윤리특별위원회

3. 그 밖에 특정한 안건을 일시적으로 심사하거나 처리하기 위하여 의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특별위원회

② 특별위원회 구성을 위한 결의안은 그 이유와 활동기간, 위원 정수, 구체적인 직무의 범위 등을 명시하여 재적의원 5분의 1 이 상의 연서로 발의한다. 이 경우 위원 정수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13명을 초과할 수 없다.

③ 특별위원회에는 위원장(이하 “특위위원장”이라 한다) 1명을 두

되 위원회에서 호선하고 본회의에 보고한다. 위원장이 선임될 때까

지는 위원 중 최다선위원이, 최다선위원이 2명 이상인 경우 및 모

든 위원이 초선인 경우에는 연장자가 직무를 대행한다.

(18)

④ 특위위원장은 그 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그 직을 사임할 수 있 다. 다만, 폐회 중에는 의장의 허가를 받아 사임할 수 있다.

⑤ 특별위원회의 활동기간은 본회의가 의결한 기간으로 한다. 다만, 해당 특별위원회의 활동기간이 만료되고 이미 심사한 안건이나 위 원회에서 제안한 안건(활동기간 연장 또는 활동결과보고서 채택의 건을 포함한다)이 본회의에 계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회의에서 그 안건이 의결될 때까지 존속하는 것으로 본다.

제33조(위원의 선임 및 개선 등) ① 상임위원 및 특별위원회의 위원 은 의장이 추천하여 본회의 의결로 선임한다.

② 위원을 개선하거나 보임하는 경우에도 제1항과 같다.

③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본회의에 부의하는 안건은 수정동의를 발의할 수 없으며, 질의나 토론을 하지 않고 표결한다.

제34조(위원장의 직무)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 며 질서를 유지하고 사무를 감독한다.

제35조(부위원장) ① 위원회에는 부위원장 2명을 둔다.

② 부위원장은 위원회에서 호선하고 이를 본회의에 보고한다.

③ 위원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장이 지정하는 부위원장이 위원장의 직무를 대리한다. 다만 위원장이 지정한 부위원장이 없을 때에는 선출 순으로 위원장의 직무를 대행한다.

④ 위원장이 궐위된 때에는 위원장이 선임될 때까지 선출 순으로 위원장의 직무를 대행한다.

⑤ 위원장이 위원회의 개회 또는 의사진행을 거부·기피하여 위원회 활동이나 안건 심사가 어려운 때에는 부위원장 선출 순으로 위원 장의 직무를 대행한다.

제36조(소위원회) ① 위원회는 효율적인 안건심사를 위해 필요할 때

(19)

② 소위원회에서 심사를 마친 때에는 소위원회의 위원장은 그 심 사경과와 결과를 위원회에 보고한다.

제37조(전문가의 활용) ① 위원회는 안건의 심사와 관련하여 학식과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심사보조자로 위촉할 수 있다.

② 위원회가 제1항에 따라 전문가를 심사보조자로 위촉하고자 할 때에는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의장에게 요청한다. 이 경 우 의장은 예산의 범위에서 위촉인원 또는 위촉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③ 제1항에 따라 위촉된 심사보조자는「지방공무원법」제31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아야 하며,「지방공무원법」제6장 복무에 관한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④ 위촉된 심사보조자에 대한 수당의 지급기준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의회 규정으로 정한다.

⑤ 심사보조자로 위촉된 전문가는 위촉기간 만료일 이전에 위촉받은 안건에 대한 심사보고서를 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위촉기간 만 료전이라도 위원회가 보고서를 요구할 때에는 이에 따라야 한다.

⑥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는 때에는 위촉 기간 중이라도 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의장이 해촉할 수 있다.

1. 위촉된 업무를 게을리하거나 그 업무 수행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질병 등으로 위촉기간 내에 업무수행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 우

3. 안건에 대한 심사가 종료된 때 또는 안건을 심사할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

4.「지방공무원법」제31조에 따른 결격사유에 해당하거나 형사사

건으로 기소된 경우. 다만, 약식명령이 청구된 경우는 제외한다.

(20)

제7장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답변

제38조(출석·답변할 수 있는 관계공무원 등) ① 법 제42조제3항에 따라 시장, 인천광역시교육감(이하 “교육감”이라 한다)외에 의회 또는 위원회에 출석·답변할 수 있는 공무원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부시장, 부교육감

2. 시장 및 교육감의 보조기관 중 실·본부·국장, 담당관, 실·과장급 3. 법 제113조부터 제116조까지에 따른 소속행정기관장

4.「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32조에 따른 교육기관장

5.「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34조에 따른 하급교육 행정기 관장(교육장)

6. 소속행정기관의 소속공무원중 시본청의 실·과장과 동일직급 이 상인 사람

7. 제4호의 교육기관 및 제5호의 하급교육 행정기관의 소속공무원 중 교육감의 보조기관으로서의 실·과장과 동일직급 이상인 사람 8. 그 밖에 의회 또는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5급 이상 공무

② 의회나 위원회는 필요할 경우 다음 각 호의 임원을 출석·답변하 게 할 수 있다.

1. 법 제146조에 따른 지방공사 및 공단의 임원

2.「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9조에 따른 출자·출연 기관의 임원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13조(정례

회의 집회일)제1항제2호 개정규정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

다.

(21)

및 조사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2항 중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제35조”를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제37조”로 한다.

제21조 중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제28조와 제30조 부터 제35조”를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제30조와 제32조부터 제37조”로 한다.

② 인천광역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 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항 중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제26조”를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제28조”로 한다.

(22)

[별표 1]

국내여비지급표(제22조제5항제1호 관련)

(

단 위

:

)

구 분 철 도 운 임

선 박 운 임

항 공 운 임

자 동 차 운 임

현 지 교통비

(1

일당

)

숙박비

(1

야당

)

식비

(1

일당

)

시 의 원

1

등 급

2

등 정 액 정 액 정 액

20,000 46,000 25,000

비 고

1. 의회 소재지 내에서의 출장 및 여행(인천광역시 내에서의 출장 및 여행을 말한다)이나 출장 및 여행거리가 12Km 미만인 경우에는 현지 교통비와 식비만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의회의 회의(위원회 회의를 포함한다) 당일 출ㆍ퇴근이 곤란한 원격지(육로 편도 60킬로미터 이상 지역)나 도 서지역(수로 편도 30킬로미터 이상 지역)에 거주하는 의원이 회기 중 회 의에 출석하여 숙박하게 되는 경우에는 교통비(현지교통비는 제외한다) ㆍ숙박비 및 식비(기준 식비의 3분의 1을 말한다)를 지급할 수 있다.

2. 철도운임구분표 중 1등급은 새마을호 특실을 가리키며, 해당 철도운임구분표 를 적용할 수 없을 때에는 그 노선의 열차 최고등급에 해당하는 철도운임을 지급한다.

(23)

국외여비지급기준표(제22조제5항제2호 관련)

(단위 : 달러화)

구 분 철도운임 선박운임 항공

운임 자 동 차 운 임

등급별 국외여비

지급기준 준 비 금

등 급

일 비

(1 )

숙 박 비

(1 )

식 비

(1 )

15

일 미만

15

일 이상

30

일 미만

30

일 이상

의 장

부의장

2

등급 이상의 등급 구별이 있는 경우에는 최상급등급의 철도 임

○등급구별이 없는 경 우에는 그 승차에 요 하는 실비액

○공무상의 사유로 인하여 급행요금 또 는 침대요금을 필요 로 하는 경우에는 그 실비액

2

등급 이상의 등급 구별이 있는 경우에 는 최상등급의 선 임

○등급구별이 없는 경 우에는 그 승선에 요 하는 실비액

○공무상의 사유로 인하여 침대요금을 필요로 하는 경우 에는 그 실비액

1

등 정액

실 비 액

가 등 급

40 205 133

150 180 210

등 급

40 149 99

등 급

40 118 72

등 급

40 100 61

의 원

1

정액

가 등 급

35 166 107

140 170 195

등 급

35 120 78

등 급

35 92 58

등 급

35 79 49

비고

:

1.

국가 및 도시별 등급 구분은「공무원 여비규정」제

16

조 관련 「별표

4

」의 비고에서 정한 구분에 따른다

.

2.

준비금은「공무원 여비규정」제

23

조를 준용한다

.

3.

「공무원 여비규정」의 개정으로 위 표의 국외여비지급기준을 조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영이 개정되기 전이라도 공무원 국외여비 조정비율에 따라 조례로 조정하여 지급할 수 있다

.

(24)

[별지 제1호서식]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겸직(변경)신고서

소속정당 선

거 구 분

지 역 구 성

한 글 비례대표

한 자 생 년 월 일

겸 직 내 용

기관․

단체명

직 위 재 직 기 간

보 수 ( 택일 ) 연 원

월 원 전화번호 주 소

「지방자치법」제 35 조제 3 항의 규정에 따라 위와 같이 겸직을 신고합니다 .

년 월 일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 인 )

인천광역시의회 의 장 귀하

※ 신고기한

:

임기개시 후

1

개월 이내에 신고

(

임기 중에는 취임 후

15

일 이내에 신고

)

(25)

 제 명 :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

 개정이유

상위법령 등의 제․개정에 따라 기존에 위임된 사무 중 변경이 필 요한 사항을 반영․정비하고, 행정 능률의 향상과 주민 편의를 위하 여 위임 사항을 신설․수정․삭제하며, 조직개편에 따른 정비 등을 실 시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〇 신설되는 위임 사무

- 자원순환과 (별표 1, 별표 2 및 별표 5)

군․구․경제청에 이미 위임된 폐기물처리 관련 업무와 연계된 사무 를 업무의 일원화 및 현지성을 고려하여 추가 위임함

‧ 폐기물처리업자 등에 대한 폐기물 처리명령 및 방치폐기물 관리, 폐기물처리담당자 등에 대한 교육에 관한 사항 등

- 택시화물과 (별표 1 및 별표 2)

ㆍ시․도지사에게 권한이 이양된 사무에 대하여 기존에 군수 ․구청장에 게 재위임한 사무를 위임사무로 변경함

ㆍ행정의 효율성 및 민원인 편의를 위하여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이미 군․구로 위임된 사무와 연계된 사무를 추가로 위임함 ‧ 특수여객자동차운송사업, 자동차대여사업, 전세버스운송사업에

관한 사무

- 산업진흥과 (별표 1 및 별표 2)

ㆍ「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의 제정

(법률 제12733호, 2014. 6. 3. 제정, 2015. 6. 4.

시행)

으로 어린이제품 안전관리에 관한 사무를 군수․구청장에게

위임하는 규정을 신설함

(26)

‧ 어린이제품 판매중지․개선․수거 또는 파기명령 및 언론매체 등 을 통한 공표 ․교환 ․환불 ․수리 등의 명령, 과태료 부과 ․징수 등

- 농축산유통과 (별표 4)

ㆍ농산물도매시장 이전 건립에 관한 업무를 종합건설본부에서 추진하기 위하여 위임 규정을 신설함

‧ 농산물도매시장부지 등 매입에 관한 사무 〇 수정되는 위임사무

- 관광진흥과 (별표 5)

ㆍ관광진흥법 시행령」의 개정

(대통령령 제27044호, 2016. 3. 22. 일부개정, 2016. 3. 23. 시행)

으로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관련 사무가 관광객 이용시설업으로 재분류됨에 따라 경제자유구역청장에게 이미 위 임 된 관광객이용시설업에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사무를 추가 위임함

‧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등록, 양수, 등록취소, 과징금의 부과 ․징 수, 청문, 보고검사, 과태료 부과 ․징수 등

- 자원순환과 (별표 1 , 별표 2 및 별표 5)

ㆍ「폐기물 관리법」 등 상위법령 개정에 따른 근거법령 및 위임 사무를 정비함

‧ 위임된 권한의 과태료 부과․징수 등 - 택시화물과 (별표 1)

ㆍ「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른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자 유가보조금에 관한 행정처분 권한을 구청장에게 위임하는 사항에 명시하여 지도 ․감독 권한을 명확히 함

‧ 화물자동차 유가보조금의 지도․감독, 환수 및 지급 ․정지 등

(27)

- 관광진흥과 (별표 5)

ㆍ「관광진흥법」 등의 개정으로 관광특구 지정 및 관광지개발에 관한 권한이 시장 권한의 사무가 군수․구청장에게 이양되어 관 련 사무를 삭제함

‧ 관광특구 지정․지정취소 ․면적변경 신청, 관광지개발에 대한 권 한

- 교통관리과 (별표 1)

ㆍ구청장에게 위임한 「도로교통법」에 규정된 버스전용차로구간 의 통행 위반자에 대한 인력에 의한 단속 업무를 시로 환원하 여 시에서 무인 및 유인 단속을 총괄적으로 실시함

‧ 버스전용차로구간의 통행 위반자에 대한 인력에 의한 단속 및 과태료 부과․징수 사무

- 예방안전과 (별표 4)

ㆍ「소방시설공사업법」의 개정

(법률 제12938호, 2014. 12. 30. 일부개정, 2015. 7. 1.

시행)

으로 ‘방염처리업’이 소방시설업에 포함됨에 따라 ‘방염처리 업’ 관련 위임규정을 삭제함

ㆍ소방시설업의 등록신청․변경․지위승계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처

리하기 위하여 소방서에 위임된 권한을 시로 환원함

(28)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6년 11월 14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720호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사무위임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1, 별표 2, 별표 4 및 별표 5를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29)

구청장에게 위임하는 사항 (제2조 관련)

실과별 번호 위 임 사 무 명 근 거 법 규 비고 재산관리

담 당 관

1 시유재산의 관리처분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시유일반재산의 매각

1) 가액 1억원 및 토지면적 300㎡ 미만인 재산의 최종처분결정권을 제외한 처분관련사항 2)「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제2조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사업․주택재개발사업․도시환 경정비사업구역 내 재산의 처분

나. 시유일반재산의 대부 및 유지관리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14조

같은 법 제36조부터 제38 조까지

같은 법 시행령 제37조부터 제43조까지

같은 법 제31조부터 제35 조까지, 제44조부터 제47조 까지,

제81조 및 제83조 같은 법 시행령 제26조, 제29조부터 제36조까지 및 제81조

사회복지 정 책 과

1 사회복지법인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사회복지법인 임원의 임면보고의 접수 나. 사회복지법인 감사의 추천

다. 사회복지법인 임시이사의 선임 라.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18조제6항 같은 법 제18조제7항 같은 법 제22조의3제1항 같은 법 제26조 및 제51조 장 애 인

복 지 과

1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51조

다 문 화 보 훈 봉 사 과

1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51조

보 건 정 책 과

1 의약품 도매상에 관한 사항 가. 의약품 도매상의 허가

나. 허가사항등의 변경허가 신청 등 나. 폐업 등의 신고

「약사법」제45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9조제1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88조제1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89조제1항 2 의료기관(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30)

실과별 번호 위 임 사 무 명 근 거 법 규 비고 부속병원)에 대한 다음의 권한

가. 개설허가 및 사항변경 「의료법」제33조 3 한약업사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한약업사의 허가

나. 한약업사의 영업소 이전 다. 허가증의 갱신

라. 허가취소와 업무정지 등 처분

「약사법」제45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7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86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96조 4 마약류 도

․소매업자, 의료업자, 마약류 관리자에

대한 다음의 권한

가. 마약류취급자의 허가․지정 나. 마약류 관리자의 지정

다. 허가증 등의 교부 및 재교부

라. 마약류취급자의 폐업․휴업․재개업신고 마. 마약류취급자의 사망, 무능력자가 된 때 및

법인이 해산한 경우 신고

바. 구입서 및 판매서 교부(마약류 도매업 제외) 사. 사고마약류의 처리

아. 자격상실자의 마약류 처분

자. 마약류도매업자 마약 등의 판매 승인 차. 마약의 도매보고

카. 마약의 소매보고

타. 마약류관리자의 마약류 인계인수 파. 허가 등의 제한

하.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보호 거. 출입․검사와 수거

너. 폐기 명령 등 더. 업무보고 등

러. 허가의 취소와 업무정지 머. 청문

버. 과징금처분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제3호 같은 법 제6조제2항 같은 법 제7조제2항 같은 법 제8조제2항

같은 법 제8조제3항 및 제5항 같은 법 제10조

같은 법 제12조 같은 법 제13조 같은 법 제26조 같은 법 제27조 같은 법 제29조 같은 법 제33조제2항 같은 법 제37조 같은 법 제40조 같은 법 제41조 같은 법 제42조 같은 법 제43조 같은 법 제44조 같은 법 제45조 같은 법 제46조 여 성

정 책 과

1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51조

보 육 1 공립보육시설 위탁운영 「영유아보육법」제24조

(31)

정 책 과 같은 법 시행규칙 제24조 2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51조 아 동

청소년과

1 보호대상아동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보호조치(일시․위탁보호 포함) 나. 시설보호 조치

다. 시설보호 아동에 대한 퇴소조치 등 라. 비용의 징수

마. 아동 등에 대한 조사

「아동복지법」제15조 같은 법 제15조

같은 법 제16조 같은 법 제60조 같은 법 제66조 2 아동보호 등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아동의 친권상실 선고의 청구 나. 아동의 후견인 선․해임 청구

「아동복지법」제18조 같은 법 제19조

3 아동복지시설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비용보조

1) 경상적 보조 2) 자본적 보조

(시설보강비 건축면적 495㎡ 이상은 제외) 나. 비용의 수납 승인

다. 보조금의 반환명령 라. 아동복지단체의 육성

「아동복지법」제59조

같은 법 제60조 같은 법 제61조 같은 법 제58조

4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51조 노 인

정 책 과

1 매장․화장 및 개장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매장․화장 및 개장신고

나. 무연분묘의 처리

다. 설치기간이 종료된 분묘의 처리 라. 분묘에 대한 일제 조사

「장사 등에 관한 법률」제8조 같은 법 제28조

같은 법 제20조 같은 법 제11조

2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지도․감독 「사회복지사업법」제51조 문화재과 1 시 지정 문화재의 탁본, 영인, 촬영의 허가 「인천광역시 문화재보호

조례」제26조 개 발

계 획 과

1 환지예정지 지정증명 「토지구획정리사업법」제56조

「도시개발법」제35조 2 지방산업단지조성사업(직속기관 및 사업소장

시행일 경우 제외)

(32)

실과별 번호 위 임 사 무 명 근 거 법 규 비고 가. 실시계획 승인

나. 실시계획의 고시 및 관계서류의 사본송부 다. 실시계획 승인에 관한 협의

라. 공공시설의 귀속 및 양도에 관한 협의 마. 국

․공유재산의 용도폐지 및 양도에 관한 협의

바. 준공인가 및 준공인가검사 의뢰

사. 준공인가공고 통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제18조제1항

같은 법 제19조의2제1항 같은 법 제18조제2항 같은 법 제18조의2제2항 같은 법 제26조제3항 같은 법 제27조제2항 같은 법 제37조제1항 및 제2항 같은 법 제37조제5항 3 「학교시설사업촉진법」에 따른 협의 「학교시설사업 촉진법」제4조 4 도시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책임감리원 또는

시공감리원 지도․감독(단, 시장이 시행자인 경 우와 종합건설본부장이 시행하는 사업은 제외)

「도시개발법」제20조

5 도시개발구역지정에 관한 의견청취를 위한 공고가 있는 지역 및 도시개발구역에서의 다음의 권한 가. 건축물의 건축(「건축법」제11조제1항에

따라 시장이 허가하는 경우는 제외), 공작물의 설치,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허가 및 변경 허가

나. 공사나 사업에 착수한 자가 공사 또는 사업을 계속 시행하기 위한 신고

다. 가목을 위반한 자에 대한 원상회복 명령 및 「행정대집행법」에 따른 대집행

「도시개발법」제9조제5항

같은 법 제9조제7항 같은 법 제9조제8항

건 축 계 획 과

1 주택건설사업의 시행

가. 사업계획의 승인(단, 국가,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인천광역시 도시개발공사에서 시행하는 사업은 제외) 나. 다른 법률에 따른 인․허가 등의 의제 등 다. 주택의 감리 등

라. 부실감리자 등에 대한 조치 마. 사업계획의 승인절차 등 바. 간선시설의 설치 등

「주택법」제16조

같은 법 제17조 같은 법 제24조 같은 법 제24조의3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 같은 법 시행령 제24조

(33)

사. 감리자의 지정 및 감리원의 배치 등 아. 이의신청의 처리

자. 감리자의 교체 등

같은 법 시행령 제26조 같은 법 시행령 제28조 같은 법 시행령 제29조 2 학교용지부담금 환급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학교용지부담금의 부과․처분 취소 및 환급통지서 송부

나. 학교용지부담금 환급계획 공고 다. 학교용지부담금 환급신청서 접수 및

환급금 지급

라. 환급조정위원회의 설치․운영

「학교용지부담금 환급 등에 관한 특별법」제2조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같은 법 제3조, 제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부터 제5조까지

같은 법 시행령 제4조 환 경

정 책 과

1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조난 또는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치 료 활동에 대한 권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11조제1항 2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른 교통소음․진동관리

지역 내의 방음․방진 시설의 설치 등에 대한 권한

「소음․진동관리법」제29조

3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른 다음의 권한

가.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에 대한 개선명령

나. 보고 및 검사 등 다. 과태료 부과․징수 등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관리법」제10조 같은법 시행규칙 제8조 및 제9조 같은 법 제13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2조 같은 법 제16조

같은 법 시행령 제4조 4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에 따른 다음의 권한

가. 보관시설과 재활용시설의 신고 및 변경신고의 수리

나. 잔류성유기오염물질함유폐기물 재활용시설에 대한 사용중지 또는 폐쇄명령

다. 관리대상기기등의 신고 또는 변경신고의 수리 라. 오염기기 등의 소유자에 대한 안전관리상

필요한 조치명령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

제23조제2항

같은 법 제23조제3항 같은 법 제24조의2 같은 법 제25조제3항

(34)

실과별 번호 위 임 사 무 명 근 거 법 규 비고 마. 보고나 자료제출명령, 조사․확인 및 검사

바. 연차보고서의 제출 사. 청문

아. 과태료의 부과․징수

같은 법 제29조제1항 같은 법 제29조의2 같은 법 제30조 같은 법 제37조 5 「석면안전관리법」에 따른 다음의 권한

가. 석면등의 수거․조사

나. 제품의 회수 또는 판매금지 명령 다. 조사 결과 공개

「석면안전관리법」제8조제2항 같은 법 제8조제3항

같은 법 제8조제4항 6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에 따른

다음의 권한

가. 빛 방사 허용기준 준수 의무

나. 빛 방사 허용기준을 초과한 자에 대한 개선명령, 사용중지 또는 사용제한 명령 다. 보고 또는 자료제출명령 및 검사

라. 과태료의 부과․징수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제12조제2항

같은 법 제13조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같은 법 제18조제4항 대 기

보 전 과

1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다음의 권한 가. 배출시설의 설치허가, 변경허가 및 신고,

변경신고의 수리

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가동개시 신고의 수리 다. 개선명령

라. 배출시설에 대한 조업정지 등의 명령 마. 배출부과금의 부과 및 징수

바. 허가의 취소, 배출시설의 폐쇄 및 조업정지 명령 사. 과징금의 부과징수

아. 위법시설에 대한 폐쇄조치 등 자. 환경기술인의 교육위탁

차. 측정기구의 운영․관리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적합하게 운영․관리하게 하기 위한 조치

카. 조치명령을 받은 자가 적정운영‧관리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당해 배출시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조업 정지명령

「대기환경보전법」제23조 같은 법 제30조제1항 같은 법 제33조 같은 법 제34조 같은 법 제35조 같은 법 제36조 같은 법 제37조 같은 법 제38조 같은 법 제77조 같은 법 제32조제5항 같은 법 제32조제6항

「산업 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 률」 제 6조 및 제7조의 규정에 따라 지 정된 국 가산업 단지 및 지방산 업단지 안의 사 업장 제 외

(35)

타. 같은 법 제32조제5항 및 제33조 규정에 따 른 조치명령을 받지 아니한 자 또는 개선명 령을 받지 아니한 자가 측정기기나 시설을 개선하고자 할 경우 제출하는 개선계획서 접수

파. 연료의 제조․공급․판매․사용 등의 규제 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규제

거. 보고 및 검사 너. 청문

더. 과태료 등 부과․징수

같은 법 시행령 제21조

같은 법 제41조 및 제42조 같은 법 제44조 및 제45조 같은 법 제82조제1항 같은 법 제85조

같은 법 제92조 및 제94조 2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과태료 부과

․징수 권한

「대기환경보전법」제94조 3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다음의 권한

가. 배출가스 검사 유효기간의 연장

나. 저공해 자동차 등의 표지 교부 (저공해 자동차에 한정함)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제25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30조 같은 법 제28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38조 자 원

순 환 과

1 폐기물처리업(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중 폐기물수집

․운반업, 폐기물처분업, 폐

기물재활용업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폐기물처리사업계획서 접수․검토 및 적 합 여부 통보

나. 허가 또는 변경허가, 변경신고 등 다. 허가증의 교부

라. 허가의 취소 및 영업정지 또는 과징금 부과․징수

마. 권리의무 승계에 관한 신고의 수리 바. 휴업․폐업․재개업 신고에 관한 사항 사. 폐기물처리에 관한 보고․검사 등

「폐기물관리법」제25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8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8조 및 제29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8조 같은 법 제27조 및 제28조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같은 법 제33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47조 같은 법 제37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9조 같은 법 제39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61조

(36)

실과별 번호 위 임 사 무 명 근 거 법 규 비고 아. 폐기물처리업자 등에 대한 폐기물 처리

명령 및 방치폐기물 처리

자. 법령 또는 명령을 위반한 행위에 대한 행정처분 및 청문

같은 법 제39조의3 및 제40조 같은 법 제60조 및 제61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83조 2 폐기물처리신고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권리

․의무 승계에 관한 신고의 수리

나. 휴업

․폐업․재개업 신고에 관한 사항

다. 폐기물처리에 관한 보고

․검사 등

라. 폐기물처리신고자의 방치폐기물 처리 마. 신고 또는 변경신고의 증명서 교부 바. 폐쇄명령 및 처리금지 명령

사. 과징금 부과․징수

아. 법령 또는 명령을 위반한 행위에 대한 행정처분 및 청문

「폐기물관리법」 제33조 같은 법 제37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9조 같은 법 제38조

같은법 시행규칙 제60조 및 제61조 같은 법 제40조제2항 같은 법 제46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67조 같은 법 제46조제7항 같은 법 제46조의2

같은 법 제60조 및 제61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83조

3 폐기물 수집

․운반업자의 임시보관장소 및 폐기물

재활용업자의 임시보관시설 승인

「폐기물관리법」제13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 및 제11조

4 사업장폐기물배출자에 대한 폐기물 처리명령 「폐기물관리법」제39조의2

5 폐기물처리에 대한 조치명령 및 대집행에 관한

사항

「 폐 기 물 관 리 법 」 제 4 8조 및 제49조

6 건설폐기물 재활용시행계획 수립․시행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8조

7 건설폐기물임시보관장소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임시보관장소 설치승인 및 변경승인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13조의2

(37)

나. 임시보관장소 설치승인서(변경승인 포함) 교부

다. 승인 및 변경승인 내용 허가기관 통보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제2 항 및 제4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제3항 및 제5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제6항

8 건설폐기물처리업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폐기물처리사업계획서 접수․검토 및 적 합 여부 통보

나. 허가신청기간 연장

다. 폐기물처리업 허가

․변경허가

(신고) 및 허가증 교부

라. 허가증의 재교부

마. 건설폐기물의 재위탁 승인

바. 허가의 취소 및 영업정지, 임시보관장소 승인취소, 반입정지

사. 허가 또는 승인을 취소하거나 영업정지 또는 반입정지 시 방치폐기물의 적절한 처리 아. 과징금 부과․징수

자. 관계 행정기관의 협의 차. 권리․의무의 승계신고 카. 휴업․폐업 등의 신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21조제2항 및 제3항

같은법 시행규칙 제12조제7항 같은법 제21조제4항 및 제22조 같은법 시행규칙 제12조제6항, 제8항, 제13조제2항 및 제13조의2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조제6항 같은 법 제23조제3항 같은 법 제25조 같은 법 제25조제5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15조 같은 법 제26조

같은 법 제30조제3항 같은 법 제31조제2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3조 같은 법 제33조제1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5조 9 건설폐기물처리시설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처리시설의 설치승인 및 신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27조제1항 및 제4항

같은법 시행규칙 제16조제1항,

(38)

실과별 번호 위 임 사 무 명 근 거 법 규 비고

나. 처리시설의 변경승인 및 변경신고

다. 처리시설의 사용신고

라. 처리시설의 개선명령 및 사용중지명령 마. 개선명령 및 사용중지명령의 기간 연장 바. 개선 또는 사용중지명령 이행보고의 접수

및 명령의 철회 사. 폐쇄명령

아. 관계 행정기관의 협의 자. 권리․의무의 승계신고

제5항 및 제18조 같은 법 제27조제3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16조제3항, 제4항, 제5항 및 제18조

같은 법 제28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0조 같은 법 제29조제2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2조제1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2조제2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2조제3항 및 제4항

같은 법 제29조제3항 같은 법 제30조제3항 같은 법 제31조제2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3조 10 위임된 권한에 대한 보고자료 제출 명령 및

출입․검사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34조제1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8조 11 방치폐기물처리이행보증에 관한 다음의 권한

가. 예방조치를 위한 지도․점검

나. 공제조합 또는 협회에 이행상황 점검요구․

통보서 접수 및 필요한 조치 다. 방치폐기물이행보증서 접수

라. 계약의 갱신 및 분담금 납부 명령 마. 방치폐기물처리명령

바. 처리책임을 승계한 자에 대한 조치(처리명령) 사. 행정대집행

아. 처리이행보증 주체에 대한 조치 자. 공제조합과의 협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41조제1항 같은 법 제41조제2항, 제3항 및 제4항

같은 법 시행령 제18조제2항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 같은 법 제42조제3항 같은 법 제43조제1항 같은 법 제45조제1항 같은 법 제45조제2항 같은 법 제46조제1항 같은 법 제46조제2항

12 위임된 권한에 대한 청문 실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57조제2항

(39)

13 위

Referensi

Dokumen terkait

개정이유 재학생들의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이 창업으로 이어져 신시장과 일자리 창출의 기반 마련을 위하여 창업휴학 학사제도 규정을 신설하고자 함... 강원도립대학교 학칙 제 호 강원도립대학교 학칙에 관한 일부개정 학칙안 강원도립대학교 학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 종전의 예체능계열 레저스포츠과 소속 재적생이 2018학년도까지 졸업 하지 못하는 경우, 인문사회계열 레저스포츠복지과에 재적하는 것으 로 본다... 강원도립대학교 학칙 제 호 강원도립대학교 학칙 일부 개정 학칙안 강원도립대학교 학칙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제2조교직과정이수자 교직과정이 설치 승인된 각 학과ㆍ전공의 학생으로서 졸업 후 중등학교 정교사 2급, 보건교사 2급, 전문상담교사 2급, 영양교사 2급 자격증을 교부받고자 하는 자는 재 학 중 이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정의 교직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제3조교원양성위원회 교직과정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는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을 촉진하고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 촉진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일부 개정해 4월 2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환경친화적 자동차는 전기자동차, 수소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자동차 법」제2조에 정의된 자동차를

그 밖에 사회상규社會常規에 따라 허용되는 금품등 ④ 공무원은 제3항제5호에도 불구하고 같은 호에 따라 특별히 장기적ㆍ지속 적인 친분관계를 맺고 있는 자가 직무관련자 또는 직무관련공무원으로서 금품 등을 제공한 경우에는 그 수수 사실을 별지 제13호 서식에 따라 지체 없이 소 속기관의 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⑤ 공무원은 자신의

제 조 사용료의 납부4 사용료는 인천광역시에서 발행하는 납입고지서에 의하여 지정기한 내에 납입하여야 하며 지정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아니할 때에는 공유 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22 조 사용료, 같은 법 시행령 제80조연체료의 징 수 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부기한을 경과한 날로부터 체납된 사용료에 연체료를 가산하여 납부하여야

⑤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법 제37조제2항에 따른 타당성 조사 또는 「국가재정 법」 제38조에 따른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은 투자사업에 대하여 제4항에 따라 투자심사를 의뢰하려는 때에는 타당성 조사 또는 예비타당성조사의 결과 및 그 반영 여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타당성 조사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의 결과를 반영하지 아니한 때에는

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7조의2중도매인 간 거래 규모의 상한 등 ① 중도매인이 법 제31 조제5항에 따라 해당 도매시장의 다른 중도매인과 거래하는 경우에는 중도매인이 해당 도매시장의 다른 중도매인으로부터 구매하거나 다른 중도매인에게 판매한 연간 총 거래액이 해당 중도매인의 전년도 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