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신경학적 윌슨병의 생화학 및 유전학적 특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신경학적 윌슨병의 생화학 및 유전학적 특징"

Copied!
63
0
0

Teks penuh

대상 환자

윌슨 병 환자의 진단 및 표현형 분류

윌슨 신경 질환 환자의 독특한 임상 과정. 임상 과정 A에 따른 윌슨 신경 질환의 구리 대사 소견 비교.

윌슨 병 환자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동물실험

  • 쥐 모델 준비
  • 생화학 분석
  • 뇌 및 간 조직에서 대사물질 분석
  • 뇌 및 간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 뇌 자기 공명 분광학 분석
  • 행동 및 운동 분석

다음과 같은 뇌 대사물질이 포함되었습니다. 알라닌, 아스파테이트, 크레아틴,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포도당, 글루타메이트, 글루타민,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GPC), 포스포릴콜린(PCh), 미오이노시톨, 젖산염, 포스포크레아틴(PCr), N-아세틸아스파르트산염(NAA), N- 아세틸아스파릴글루타메이트(NAAG), 포스포에탄올아민, 타우린, 거대분자 및 지질(Lip13a, Lip09, MM09, MM20). 동물의 체중은 행동 및 운동 테스트 첫날에 기록되었습니다.

그림 1.  ATP7B 유전자 제거 생성의 도식적 표현, ATP7B 표적 벡터 (위),  쥐 Atp7b 유전자좌의 해당 부분 (중간)  및 재조합기술을 통한 유전자 제거 생성 (아래)
그림 1. ATP7B 유전자 제거 생성의 도식적 표현, ATP7B 표적 벡터 (위), 쥐 Atp7b 유전자좌의 해당 부분 (중간) 및 재조합기술을 통한 유전자 제거 생성 (아래)

통계 분석

윌슨병 환자의 표현형에 따른 진단에 있어서의 임상적, 생화학적 소견. 이러한 차이는 신경학적 윌슨병 그룹에서 간경변증의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표현형에 따른 윌슨 병 환자들의 진단 소견

또한 생화학적 소견과 진단시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윌슨병 환자에서 정상적인 생화학적 소견을 보이는 환자의 표현형별 비율. 순응도가 양호한 신경학적 윌슨병 환자의 임상경과에 따른 임상적, 생화학적 소견의 비교.

우리 연구에서는 신경학적 윌슨병 환자의 약 30%가 일반적인 간 기능 검사에서 정상적인 생화학적 소견을 보였다는 점에 주목할 만합니다. 대상성 간경변증만 있는 윌슨병 환자의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신경학적 윌슨병군에서 생화학적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다. 신경학적 윌슨병의 독특한 표현형 특성에 기여하는 생화학적 기초를 이해하기 위해 구리 대사를 분석했습니다.

미네랄 및 요중 구리 배설 수준을 포함하여 구리 대사와 관련된 모든 생화학적 수준은 신경학적 윌슨병 그룹에서 더 낮았습니다. 간 기능 장애를 반영하는 생화학적 수치는 신경학적 윌슨병 환자의 임상 경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신경학적 윌슨병의 치료에는 아직 충족되지 않은 요구가 많다.

표 1. 표현형에 따른 윌슨 병 환자들의 진단 시에 임상적 및 생화학적 소견
표 1. 표현형에 따른 윌슨 병 환자들의 진단 시에 임상적 및 생화학적 소견

신경학적인 윌슨 병 환자들의 독특한 임상 경과

표현형에 따른 윌슨병 환자의 치료 및 치료 기간. 본 연구의 결과는 신경학적 윌슨병 환자가 서로 다른 자연 질병 과정과 치료 결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이는 이들이 윌슨병의 뚜렷한 하위 그룹에 속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윌슨 신경질환군에서 KF 고리의 빈도가 높았고,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와 발병 연령도 높았다.

이들 효소의 기능적 결핍은 구리 대사뿐만 아니라 윌슨병 자체의 신경학적 표현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신경학적 및 간성 윌슨병 환자에서 구리 대사의 생화학적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알려지지 않은 요인이 윌슨병의 뇌 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윌슨 신경질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다른 환경적 요인이나 유전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신경학적 윌슨병의 발병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Atp7b-/-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생화학적 소견과 운동능력을 분석하였다.

표 5. 좋은 순응도를 보인 신경학적 윌슨 병 환자에서 임상 경과에 따른 임상적 및 생화학적 소견 비교
표 5. 좋은 순응도를 보인 신경학적 윌슨 병 환자에서 임상 경과에 따른 임상적 및 생화학적 소견 비교

동물실험 결과

Atp7b+/+ 및 Atp7b-/- 쥐들의 생화학적 분석

두 그룹 사이에는 호모시스테인, 메티오닌, S-아데노실메티오닌, S-아데노실 호모시스테인의 연령 관련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그림 8A-D).

그림 6. Atp7b +/+와 Atp7b -/- 쥐들에서 간기능 비교 A.  Aspartate  aminotransferase,  B.  Alanine  aminotransferase,  C
그림 6. Atp7b +/+와 Atp7b -/- 쥐들에서 간기능 비교 A. Aspartate aminotransferase, B. Alanine aminotransferase, C

Atp7b+/+ 및 Atp7b-/- 쥐들의 간과 뇌 조직의 구리, 철 및 메티오닌 대사

Atp7b+/+ 및 Atp7b-/- 쥐들의 간과 뇌 조직의 병리학적 소견

Atp7b+/+ 및 Atp7b-/- 쥐들의 뇌 자기 공명 분광학 분석

이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대규모 윌슨병 코호트의 결과와 일치하며, 중요한 것은 더 많은 수의 윌슨병 환자가 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상세한 생화학적 특성이 평가되었다는 것입니다(11). 또 강조할 점은 신경학적 윌슨병군에 속한 환자들은 일상적인 생화학적 검사에서 정상적인 결과를 보일 수도 있고, 구리대사검사와 뇌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할 때까지 윌슨병의 진단이 늦어질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신경학적 증상보다 간 증상과 더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구리 대사 상태를 반영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환자의 임상 경과에 대한 예후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GABA 고갈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의 기저핵에 대한 뇌자기공명분광법에서 GABA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52). GABA와 NAA는 신경학적 윌슨병과 관련된 이전 연구들과 유사하지만, 콜린 대사산물에 대한 결과는 이전 연구들과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윌슨병 발병률이 가장 높기 때문에 윌슨병에 대한 선별검사는 간기능 장애가 있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신경학적 윌슨병이 생화학적 및 분자적 유전적 특성에 기초하여 간성 윌슨병과 별개의 질병 하위군인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적어도 하나의 대립유전자의 틀이동, 넌센스 또는 스플라이스 부위 돌연변이와 두 대립유전자 모두의 형질도입 힌지 및 ATP 도메인의 돌연변이는 윌슨 신경 질환에서 덜 빈번합니다.

그림 13.  12개월령 Atp7b -/-와 Atp7b+ /+쥐에서 행동 및 운동시험 비교 A.
그림 13. 12개월령 Atp7b -/-와 Atp7b+ /+쥐에서 행동 및 운동시험 비교 A.

Gambar

그림 1.  ATP7B 유전자 제거 생성의 도식적 표현, ATP7B 표적 벡터 (위),  쥐 Atp7b 유전자좌의 해당 부분 (중간)  및 재조합기술을 통한 유전자 제거 생성 (아래)
표 1. 표현형에 따른 윌슨 병 환자들의 진단 시에 임상적 및 생화학적 소견
그림 2. 표현형에 따른 윌슨 병 환자들의 정상 생화학적 소견을 갖는 환자들의 비율
그림 3.
+7

Referensi

Dokumen terkait

Baek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D, USA Ethan Cumbler Department of Medicine, Division of Hospital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