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과 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과 시사점"

Copied!
9
0
0

Teks penuh

(1)서울경제브리프 ──────────────────────────────────────────.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과 시사점. ○ 21세기의 선도 유망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생명공학기술의 상용화로 등장한 바이오산업(Biotechnology Industry 또는 bioindustry)은 대학 및 연구기관 등 지적 클러스터와 기업지원 서비스가 집적되어 있는 서 울에서 성장하기 유리한 산업이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서울시에서 는 제1차 서울지역혁신발전 5개년 계획을 통해서 이러한 바이오산업을 5대 전략산업으로 선정 육성방안을 수립하였음. ○ 한편 싱가포르는 2000년 경제 발전 전략 Industry21(I 21)의 일환으로 바이오메디컬 이니시어티브(Biomedical Initiative)를 발족, 정부주도의 바이오산업 특히 바이오메디컬 부문에 특화된 산업육성 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이를 통해 생산액 기준으로 2002년 48%라는 고성장을 보이는 등 동아시아 바이오메디컬 허브로서 부상하고 있음. ○ 이러한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은 전체적인 산업구조뿐만 아 니라 바이오 의약분야 중심의 바이오산업 구조적 측면(바이오 벤처기업 중심으로 약40%이상임)에서도 유사한 서울시의 육성 정책에 주요한 시 사점을 줄 수 있음.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현황 ○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은 1988년 싱가포르 경제개발청(the Economic Development Board ; EDB)이 ‘국가BT계획’을 수립함으로 써. 시작되었으나,. 1999년. 수립된. 지식기반. 경제. 발전. 전략. Industry21(I 21)에서 일렉트로닉스, 케미컬, 엔지니어링에 이은 네 번 째의 축으로서 바이오산업을 규정하는 한편 이에 따라 2000년에 바이. ──────────────────────────────────────────. 13. (2) 서울경제연구센터 ──────────────────────────────────────────. 오메디컬 이니시어티브(Biomedical Initiative)가 발족되면서부터 본격 화되었음. - 이외에도 연구개발 부문 육성을 위한 ‘싱가포르 게노믹스 프로그램 (SGP)’이 수립되어, 게놈과학에 관련된 대학과 공공 연구기관의 인적․ 물적자원을 결집하여 연구개발에 돌입하고 있음. - 또한 아시아 BT연구의 허브가 될 구상으로 싱가포르․일본 양국정부가 약 480억원의 자금을 공동출자하여 싱가포르에 ‘아시아 태평양 생명 과학연구소(APLSL)’를 설립하여 지역 내 국제적인 혁신 역량을 증대 하고 있음. ○ 이러한 지원정책의 성과로서 2002년 기준으로 싱가포르 바이오산업의 생산규모는 97억 싱가포르 달러(약 6조 9천억원)로서 이는 2001년 대 비 48% 성장한 것인 한편 총 고용인원은 2001년 대비 11% 증가한 7,177명이었음. - 특히 싱가포르의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정책에 힘입어 주로 바이오메 디컬 부문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2002년 현재 바이오메디컬 부문 은 싱가포르 바이오산업 전체의 82%를 차지하고 있음. 싱가포르 바이오산업에서의 해외기업의 집적 ○ 현재 싱가포르에는 해외 유수 바이오기업의 집적이 진행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화이자, 벡튼디킨슨, 쉐링 플라우, 그락소 스미스 크라인, 죤 스 홉킨스 대학, 벡스타 등의 기업이 싱가포르에 진출하고 있는 한편 해외의 우수한 바이오기업이 싱가포르에 자회사를 설립하는 등 해외자 본의 바이오 기업체가 싱가포르에 설립되고 있음. - 한편 싱가포르는 2005년까지 15개의 대형 제약회사를 유치하여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의 임상실험이나 신약개발의 거점이 될 구상을 하고 ──────────────────────────────────────────. 14. (3) 서울경제브리프 ──────────────────────────────────────────. 있음. ○ 또한 인적자원의 부족한 현실을 감안하여 해외 바이오 부문 스타급 연 구자를 적극적으로 초빙하는 한편 세계 일류대학을 싱가포르에 유치하 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취하고 있음. - 이는 싱가포르가 단기와 장기의 이원적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임. - 단기적으로는 주로 해외로부터 세계적 일류의 바이오 기업과 인재를 유치하여 집적시키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국내에서 인재 와 연구능력을 육성하고자 함. ○ 이러한 싱가포르의 정책은 “비이오메디컬 분야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플 레이어를 유치하고 거기서 얻어진 첨단 노하우로 국내산업을 성장시킨 다.”라는 전략에 기반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지식기반 및 제도적 제반인프라, 인력지원체계, 기업지원체계로 구별하여 살펴보도록 함.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관련 지식기반 및 제도적 제반 인프라 ○ 바이오산업 특히 바이오메디컬 부문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 기업 및 우 수인력을 유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지식기반 인프라 지원정책 은 정보통신 및 인터넷, DB 차원의 인프라 구축, 기술이전체계 구축, 지적재산권 보호체계 구축 등 종합적인 인프라 패키지 지원 정책으로 특징지울 수 있는데, 이 중 연구 편의시설 확충 및 가치사슬 전 단계 지원 측면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함. ○ 2003년 6월 첨단 창업보육 시설인 ‘바이오폴리스(Biopolis)’라는 생명과 학의 복합단지가 건설됨.. ──────────────────────────────────────────. 15. (4) 서울경제연구센터 ──────────────────────────────────────────. - 바이오폴리스에는 게놈 연구소, 바이오 엔지니어링 연구소, 바이오 인 포매틱스 연구소 등 공공 연구기관 외에 민간의 연구기관이 집적하고 있음. - 바이오폴리스는 싱가포르가 추진하고 있는 One North 프로젝트(프로 젝트명은 싱가포르가 위치하는 북위 1도에서 유래)의 테크노폴리스의 일부로서 건설이 추진되고 있음. - 테크노폴리스 주변에는 기존의 국립대학 등 연구기관이 집적하고 있 으나, One North 프로젝트에서는 테크노폴리스의 건설로 인해 한층 연구기관 집적도를 높여 이 지역을 싱가포르에 있어서 연구개발 네트 워크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음. - 바이오폴리스가 포함된 테크노폴리스에는 연구시설 이외에도 산학간, 기업간의 공동개발과 협력을 위한 시설(오디토리옴, 공동회의실 등)과 연구인력 및 그 가족들을 위한 제반 편의시설(상업시설, 아파트와 Pocket Housing)등을 제공하는 등 일종의 뉴타운을 형성함.. One-North Zone 위치도. ──────────────────────────────────────────. 16. (5) 서울경제브리프 ──────────────────────────────────────────. ○ 한편 싱가포르는 바이오메디컬 부문의 가치사슬 단계 중 임상 및 인허 가 관련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 - 우선 싱가포르 신약 승인 기관인 의약평가센터(the Center for Drug Evaluation)에서는 승인절차 기간이 약 8~12개월 정도로 비교적 짧 아 해외 바이오메디컬 기업 및 일반제약 기업의 유인 요건으로 작용 하고 있음. - 천연물연구센터(the Center for Natural Product Research), 싱가포 르조직 네트워크(Singapore Tissue Network), 싱가포르 국립대학 바 이오 인포메틱스 센터와 과학기술청(A*STAR) 산하 바이오인포메틱스 연구소는 각각 천연물 신약소재 제공, 임상 실험을 위한 인체 조직 제 공, 외국 대학 및 연구소와 연계한 바이오인포메틱스 연구 및 연구인 력 양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싱가포르 국립 암 센터에서는 인폼드 콘센트 및 독자적인 심사기준을 거쳐 개인의 병력이나 약물투여 데이터 등의 축적과 함께 정상세포와 암세포 쌍방의 유전자 분석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 - 현재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와 같은 익명화된 개인의 일관된 병리 데 이터를 입수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싱가포르에서는 합법적으로 입수할 수 있어 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활용함으로써 유전자진단 사업 시스 템을 만들 수가 있음. 이러한 고도의 연구가 실시될 수 있는 것이 해 외기업의 유인요인이 되고 있음. - 싱가포르에서는 재생의료 연구를 하기 위해 필요한 ES세포(배아줄기 세포: 인체를 형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근본의 세포)의 취급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져 있어 연구자는 안심하고 연구를 추 진할 수가 있음.. ──────────────────────────────────────────. 17. (6) 서울경제연구센터 ──────────────────────────────────────────.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관련 인력지원체계 ○ 싱가포르는 정부 주도의 유치활동으로 해외의 바이오 관련 우수 인재를 초빙함으로써 국내 인적자본 부족을 보완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 또한 해외의 스타급 연구자를 유치함으로써 싱가포르의 브랜드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들에게 국내 인재를 교육시키게 함으로써 국내 인 재의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있음. ○ 해외 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기구는 인력 정책을 조율하는 교육자와 산 업 대표자들로 구성된 바이오메디컬 과학인력 자문위원회, 해외 인재를 식별 및 유치를 계획하는 바이오메디컬 연구회, 정보제공 및 실무를 담 당하는 인력청(the Ministry of Manpower)산하의 컨택 싱가포르 (Contact Singapore)로 그 기능이 삼분되어 있음. - 또한 이들 기구를 통해서 무제한의 연구비 지원을 포함한 자유로운 연구 환경, 최고급 연구시설, 간편한 행정 절차와 쾌적한 주거환경 등 을 제안함으로써 적극적으로 해외인력을 유치함. ○ 한편 해외인력 유치뿐만 아니라 국내인력의 해외교육 장려 및 해외 선 도 연구기관과의 인력교류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바이오메디컬 연구회의 장학제도 ‘National Science Scholarships’은 싱가포르 자국민의 해외 우수대학 지원 기회를 주는 한편 수혜자들에 게 의무적으로 졸업 후 싱가포르 연구소, 대학, 병원 등에서 근무할 것을 요구함. - 한편 해외 포스트 닥터 과정 알선 및 해외우수 대학과 연계한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 18. (7) 서울경제브리프 ──────────────────────────────────────────.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지원체계 ○ 싱가포르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지원은 주로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 이 전담함. - 경제개발청(EDB)은 잠재적 투자의 일환으로 1987년부터 미국 및 유 럽 바이오메디칼 기업에 투자하는 한편 이들 기업과 지속적인 협력관 계를 구축함. 이를 기반으로 이들 기업이 해외진출을 시도할 때 싱가 포르로의 유치를 유도해 왔음. - 또한 30여개 바이오 벤처 캐피탈기업에 대한 투자자금 조성을 지원하 는 한편, 미국의 Chiron Corporation과 같은 국제적인 바이오 벤처 캐피탈 기업을 지원 싱가포르 바이오메디컬 기업에 대한 투자를 유도 함. - 이에 덧붙여 해외 투자 기관 및 투자자들에 대한 편의 시설 지원 및 조세 감면책 등으로 바이오메디컬 기업에 대한 투자를 유인함. ○ 한편 경제개발청은 과학혁신역량 발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관투자자 와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하고 있음. 싱가포르는 특징적으 로 자국 연구자나 대학 및 연구기관에 대한 투자지원 뿐만 아니라 해외 연구개발 주체에 대한 투자도 병행하고 있음. -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은 미국 Johns Hopkinson 대학에 2백 2십만 달러(약 24억원)을 연구비로 지원하여, 이로 말미암은 발생한 소득의 10%는 의무적으로 싱가포르 과학기술청에 로얄티 명목으로 지급됨. 서울시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관련 시사점 ○ 싱가포르는 서울과 면적상으로는 유사하지만 인구는 1/3수준으로, 물적․ ──────────────────────────────────────────. 19. (8) 서울경제연구센터 ──────────────────────────────────────────. 인적자원이 부족한 현실을 극복하고, 2000년 이후 바이오산업이 급속 하게 성장한 이면에는 바이오메디컬 부문을 전략적으로 선정하고 이와 연관된 임상시험체제, 윤리 가이드라인 등의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개방적인 태도로 해외 인력, 기업, 투자기관, 대학 등을 적극적으 로 유치하여 국내 역량 및 국제적 감각을 배양하는 정책적 지원이 있었 음. ○ 서울의 경우 의료, 신약 부문에 우수한 인적자원이 풍부하며, 상대적으 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소득층의 비율이 높은 한편, 병원 등 의료서 비스 시설 등이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는 점과 현재 바이오산업 중 바이오의약 및 의료기기 등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서울의 전략부문으 로 바이오메디컬 부문이 적절할 것으로 보임. ○ 이러한 서울의 바이오메디컬 부문을 육성하려 할 때 싱가포르의 사례는 몇 가지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 주고 있음. ○ 우선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서울 소재 대학 연구소, 병원을 잘 연계하 여 활용함과 동시에 해외 우수 인력과 기업을 유치하여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매력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임. 또한 바이오메디컬 부문이 지닌 법적․윤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에 대한 논의 및 연구에 대한 지원과 제도적 정비 가 요구됨. ○ 인력지원과 관련해서 국제적 마인드를 지닌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한 기 구와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해외 인력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해 주 는 지원 방안을 모색되어야 함. 이때 단지 연구인력 차원에서의 유치를 넘어 전문 바이오 관련 경영 전문 인력의 유치도 이루어져야 할 것임. ○ 기업지원과 관련해서,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체들이 바이오 관련 전문. ──────────────────────────────────────────. 20. (9) 서울경제브리프 ──────────────────────────────────────────. 민간 벤처 캐피탈 투자 및 컨설팅 서비스 지원 체계의 부재로 인해 기 술 사업화에 애로를 겪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와 관련한 서울시 차원의 투자 컨설팅 지원 전략 수립이 요구되고 있음. 특히 이를 위해 서 적극적으로 국제적 마인드와 역량을 갖춘 해외 바이오 투자․컨설팅 전문 인력 유치나 해외 기업과의 연계 전략이 필요함. ○ 마지막으로 의료 부문을 중요한 산업의 하나로 인식하고 우리의 우수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서울을 동북아 의료산업의 허브로 발전하도록 제 도 개선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신창호․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email protected] 김재경․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원 [email protected]. ──────────────────────────────────────────. 21. (1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