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아시아·호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아시아·호주"

Copied!
3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6호 2016.10.7

61

아시아·호주

▣인도, 러시아 Vankorneft社 및 Taas-Yuryakh社의 지분 매입 승인

¡ 인도국영기업 Oil India社(OIL), Indian Oil社(IOCL), Bharat Petro Resources社(BPRL)로 구 성된 컨소시엄은 러시아 JSC Vankorneft社 및 LLC Taas-Yuryakh Neftegazodobycha社의 지 분을 31억4천만 달러에 매입하기로 하고, 인도내각경제위원회(Cabinet Committee on Economic Affairs, CCEA)의 승인을 받음(인사이트 제16-11호(3.25일자) pp.45~46 참조).

‒ 컨소시엄은 Vankorneft社 지분 23.9%, Taas-Yuryakh社 지분 29.9% 매입 계약을 체결함.

JSC Vankorneft社 및 LLC Taas-Yuryakh Neftegazodobycha社는 Rosneft社의 자회사임.

자료 : The Telegraph

< Vankor 및 Taas-Yuryakh 매장지 위치 >

・ 금번 지분 매입을 통해 인도는 Vankor 매장지에서 6.56MMtoe, Taas-Yuryakh 매장지에서는 최초 0.5MMtoe, 이후 2019년까지 1.5MMtoe를 확보할 수 있게 됨.

・ Vankor 매장지의 라이선스는 2032년까지, Taas-Yuryakh 매장지는 2041년까지임.

‒ 인도 석유부는 2015년 BP社가 Taas-Yuryakh社의 지분 20%를 매입한 바 있어, 이번 계약을 통해 Rosneft社 및 BP社의 첨단 기술을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또한 인도 국영기업 Oil and Natural Gas Corp.(ONGC)社는 Vankorneft社의 지분 11% 매입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2016.9.14) 동 유전에서 110,000b/d의 석유를 확보하게 됨.

‒ ONGC는 2016.5월 기준 JSC Vankorneft의 지분 15%를 소유하고 있으며, 거래가 완료되면 26%를 소유하게 됨.

‒ 금번 11% 지분 추가 매입 계약을 통해 ONGC의 생산량은 30% 늘어나 연간 석유 220만 톤, 가스 1Bcm을 생산하게 될 것임.

(OilPrice; The Economic Times, 2016.9.28)

(2)

6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6호 2016.10.7

▣파키스탄, 카타르와 LNG 도입계약 체결

¡ 파키스탄은 2013년 이후 3개 회계연도 동안 82개의 석유・가스 광구를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총 가스 수요 8,000MMcf/d 중 절반 정도만 국내생산이 가능함.

‒ 가스 생산량은 정체되어 있는 반면, 지난 5년 간 연평균 38만 건의 수요가가 신규로 늘어나 현 재 수요가수는 750만 건에 달함.

・ 천연가스는 파키스탄의 1차 에너지 공급 중 약 50%를 차지하는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2005 년까지는 국내 생산분으로 수요를 충족했으나 이후 생산이 정체 상태를 보임.

‒ 새로 발견된 82개 광구 중 45개 광구에서 생산을 시작했으나 기존 광구의 가스 매장량이 거의 고갈되면서 가스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임.

연도 확인 매장량

생산량 국내 소비량 전년대비 증감률(%)

2009 885.4 11.7 38.4 38.4

2010 906.0 2.3 39.0 39.0

2011 905.0 -0.1 39.1 39.1

2012 895.0 -1.1 38.7 38.7

2013 679.6 -24.0 38.9 38.9

2014 754.6 11.0 38.9 38.9

2015 699.4 -7.3 39.3 39.9

2016 668.7 -4.4 39.7 41.4

2017 638.3 -4.5 39.3 41.4

2018 608.3 -4.7 38.9 42.2

: 2014년 데이터는 예측치, 2015년 이후 데이터는 전망치임. 자료 : BMI

< 파키스탄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 및 수급 추이 >

(단위 : Bcm)

‒ 파키스탄 Shahid Khaqan Abbassi 석유천연자원부 장관은 LNG 수입을 통해 가스 부족 상황 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LNG 수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 현재 파키스탄은 1개의 LNG 터미널이 있고 2017.6월 두 번째 LNG 터미널이 가동을 개시 할 예정이며 Gwadar항에 세 번째 터미널을 건설할 계획임. 또한 총 60억 달러를 투자하여 가스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예정임.

¡ 파키스탄 에너지기업 Global Energy Infrastructure Limited(GEIL)와 카타르의 Qatargas는 연 간 130만 톤의 LNG를 20년간 파키스탄에 공급하는 매매계약을 체결함. 동 계약에는 LNG 공 급량을 연간 230만 톤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음.

‒ 2018년부터 ‘Qatargas 2’ LNG 플랜트에서 대형 LNG 선박(Q-Flex)을 통해 LNG 공급을 개시 할 예정이며, 자세한 가격 조건은 공개되지 않음.

파키스탄 국영석유기업 Pakistan State Oil社와 카타르 Qatargas社는 2016.2월 연간 375만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6호 2016.10.7

63

톤의 LNG를 공급하는 장기계약(2016~2031년)을 체결한 바 있음. MMBtu당 LNG 공급가격 은 배럴당 브렌트유가의 13.37%를 적용함.

(Pakistan Observer, 2016.9.30, 10.4; Gulf Times, 2016.10.2)

▣WB, ’13~’16년 간 총 41개 석탄화력 프로젝트에 금융지원

¡ 세계은행(WB)은 2013.6월 석탄화력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지원을 제한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으나, 특별한 경우에 한해 금융지원을 할 수 있다는 예외조항에 따라 산하기구인 국제금융공 사(Internatioanl Finance Corporation, IFC)를 통해 2013~2016.9월까지 총 41개 석탄화력 프로 젝트에 금융지원을 함.

‒ 세계은행은 석탄화력 이외에는 기본적인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없고, 세계은 행 외에 다른 기구의 자금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는 국가의 경우 예외적으로 금융지원을 실시 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음.

‒ IFC는 지역은행 및 투자기금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어, 이를 통해 총 41개 석탄화력 프로젝트

(발전설비용량 56,127MW)에 간접적으로 금융지원을 함.

‒ 41개 석탄화력 프로젝트 중 방글라데시의 Rampal 석탄화력발전소는 IFC와 연관된 6개 지역

은행(Axis Bank, HDFC Bank, ICIC Bank, IDFC, Kotak Mahindra, Yes Bank)이 동 프로젝 트에 투자하기로 합의함.

・ Rampal 발전소의 설비용량은 1,360MW로 방글라데시 총 발전용량의 약 10% 수준임. 동 프로 젝트의 지분은 방글라데시 정부, 인도국영에너지기업 Bharat Heavy Electricals Limited(BHEL) 가 각각 15%를 소유하고 나머지 70%는 지역은행이 소유하는 구조임.

‒ 필리핀은 2013년 이후 20개 이상의 신규 석탄화력 프로젝트에 IFC로부터 간접적인 금융지원 을 받았음.

・ 그 중 Lanao Kauswagan 석탄화력발전소(설비용량 540MW)가 2017년 가동을 개시할 예정임. 동 발전소는 Rizal Bank로부터 총 3억9천만 달러의 금융지원을 받은 바 있음.

‒ IFC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Vietinbank, Credit Agricole은 베트남 Duyen Hai 발전소(설비용량 3,105MW)에 투자함.

・ Vietinbank는 Duyen Hai 발전소의 운영사인 Electricity of Viet Nam(EVN)에 28억5천만 달러 의 금융지원을 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였고, Credit Agricole은 EVN에 5년간 1억3,700만 달러의 금융지원을 함.

‒ IFC 대변인 Frederick Jones는 AFP와의 인터뷰에서 2005년 이후 IFC가 150억 달러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성 향상 분야 등 석탄화력 발전소 이외에도 다양한 부문에 투자해왔 다고 강조함.

(AFP; Aljazeera; Mizzima; 2016.10.3)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