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압연 동박판의 형상 제어 인자에 따른 특성 변화 연구 - 울산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압연 동박판의 형상 제어 인자에 따른 특성 변화 연구 - 울산대학교"

Copied!
50
0
0

Teks penuh

압연동판의 형상제어 인자에 따른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압연동판은 높은 가공성을 가지고 얇은 두께로 압연되기 때문에 형상에 결함이 많다.

Fig 1.1.  압연 동박의 불량 유형
Fig 1.1. 압연 동박의 불량 유형

압연 동박판에 사용되는 주요 Alloy

전해동박은 폴리이미드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전기도금 미세구조로 인해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는 압연동박과 전해동박의 차이점을 한눈에 정리한 표이며, 최근에는 압연동박의 기능적 우수성으로 인해 전해동박 대신에 압연동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Fig 1.4  압연 동박 개발 합금의 특성 1.2.5 압연 동박과 전해 동박의 차이
Fig 1.4 압연 동박 개발 합금의 특성 1.2.5 압연 동박과 전해 동박의 차이
  • 압연 장력의 설정
  • 압연기 Roll의 형상
  • 압연기 형상 제어 System
  • 열처리 (Stress Relief Treatment)

또한, 롤링 압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후방 장력이 전방 장력보다 2배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텐션은 주로 작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과도한 백텐션은 압연 시 롤 바이트에서 스트립과 작업롤 사이의 미끄러짐을 유발합니다. 평탄부분을 짧게 하고 테이퍼를 크게 하면 가공성은 높아지나 압연지의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6단 로터리밀의 경우 UCδ의 변화에 ​​따른 판형상의 변화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세팅이 중요하다. 압연기 형상 제어 시스템으로는 AFC 또는 ASC라는 제어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AFC는 형상측정롤(Shape Roll)을 이용하여 판재의 실제 형상을 측정하고, 압연의 액츄에이터(변위, 굽힘, 크라운 회전, 제자리 냉각)를 제어하여 압연 중 판의 형상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장치입니다. 밀.

Fig 1.6.  압연 압력과 장력의 상관식
Fig 1.6. 압연 압력과 장력의 상관식
  • 시험편 특성
    • Cu 99.9% 순동 (Tough Pitch 동)
    • Cu-Sn 합금
  • 시험편 제조 방법
  • 실험 장치
  • 실험 분석 방법
  • 실험 방법
    • Work Roll 형상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중간 Roll의 Shifting Position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압연 Pass별 가공도 변화에 따른 형상 변화
    • 압연 장력 변화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저온 소둔 열처리 조건에 따른 형상 및 기계적 성질 변화

구리 극박 압연의 경우 6단 압연기 HBA 어닐링 플랜트에서 열처리된 소재의 최종 압연 시 형상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판의 냉간압연에서는 4개 또는 6개의 하이롤 밀이 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압연 시 발생하는 압력이 높아 밀 본체의 신장, 롤의 굽힘, 편평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체 길이의 견고한 하우징으로 외부 롤을 지지하여 롤 변형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플랫폼의 중앙 롤로 지지하여 롤 압력을 감소시킵니다. 가공성(시트 형상 제어 불가능, 초박형 시트 작업 시 느린 롤링 속도 및 두께 편차)으로 인해 고밀도 6단계 밀링 커터가 선호됩니다. 인장강도, 경도, 신장률 등 기본적인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 외에도 3차원 시트 형상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스트립의 형상을 관찰했습니다.

합격방식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Work Roll Crown량만 기존 Flat Roll에서 5/1000mm로 변경하고 Roll Test를 실시하였다. 6단 압연기의 굽힘특성으로 인해 롤의 측면으로 갈수록 롤의 탄성변형량이 증가하고, 탄성변형부에 의해 벨트 장력 및 에지 웨이브가 발생함에 따라 형상변화가 발생한다. 스트레스 감소가 확인되었습니다. 절삭성 정도에 따라 박리에 가해지는 내부응력이 달라지므로, 절삭성 정도 변화에 따른 판 형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압연동판 중 연신율, 굽힘 등 기계적 성질에 특화된 Cu-Sn 판만을 저온소둔 열처리하므로 이번 시험은 동청정이 아닌 Cu-Sn 판 제작으로 진행되었으며, 시험편으로. 저온 어닐링 처리 상태 변화 시험 실시 본 압연 시험에서는 6단 압연기에서 압연한 후 스트립의 형상 및 기계적 성질을 타사와 비교하였다. 현재 수준을 식별합니다.

Fig 2.1 Cu 99.9%  순동의 가공경화 곡선
Fig 2.1 Cu 99.9% 순동의 가공경화 곡선
  • Work Roll 형상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중간 Roll의 Shifting Position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압연 Pass별 가공도 변화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압연 장력 변화에 따른 Strip의 형상 변화
  • 저온 소둔 열처리조건에 따른 형상 및 기계적 성질 변화
  • 압연 동박 기계적 성질 및 형상 비교

중간롤러의 변위위치를 변경하면서 회전시험을 한 결과 바의 높이 H는 "0"이었다. 이는 원뿔이 중심에서 11mm 이동할 때 막대의 측면에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의 분포가 감소하여 측면의 형상이 0.4mm 이상 개선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압연시 가장 높은 작업성은 압연롤과 테이프 사이의 접촉압력이 높아 압연롤과 테이프 사이에 윤활유를 위치시키는 전단력에 의한 유막압력과 얇을수록 수명이 긴 압연압력 사이의 균형입니다. 영화. 윤활제 두께.

또한, 롤러 장력이 증가할수록 롤러 압력이 작아질수록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롤러 장력이 스트립의 형상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Roll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얇은 압연 시 항상 발생하던 십자형 꼬임이 크게 개선되었다. 실제 압연에서는 예압을 크게 하면 가장자리 주름이나 중앙 버클이 억제되어 압연 하중이 약간 감소할 수 있습니다.

사이드 웨이브가 타사에 비해 약한데 압연 후 사이드 트리밍을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공성 정도에 따른 조직분석 결과, 두꺼운 판재의 경우 등각방향으로는 조직이 확인되었으나, 0.035mm 이하의 압연동박 소재의 경우에는 압연 가공정도가 스트립이 크기 때문에 소재가 늘어나고, 구조가 롤 길이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Fig 3.2. Roll Crown에 따른 압연 하중 변화
Fig 3.2. Roll Crown에 따른 압연 하중 변화

결론

감사의 글

Gambar

Fig 1.3.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FPCB  예시
Fig 1.2.  압연 동박의 주요 용도
Table 1.2.  압연 동박과 전해 동박의 차이
Fig 1.4  압연 동박 개발 합금의 특성 1.2.5 압연 동박과 전해 동박의 차이
+7

Referensi

Dokumen terkait